KR200480509Y1 - 족저근막염 및 몰톤 신경종 치료 및 예방용 안창 - Google Patents

족저근막염 및 몰톤 신경종 치료 및 예방용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09Y1
KR200480509Y1 KR2020140009056U KR20140009056U KR200480509Y1 KR 200480509 Y1 KR200480509 Y1 KR 200480509Y1 KR 2020140009056 U KR2020140009056 U KR 2020140009056U KR 20140009056 U KR20140009056 U KR 20140009056U KR 200480509 Y1 KR200480509 Y1 KR 200480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insole
present
plantar fasciitis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호
Original Assignee
오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호 filed Critical 오세호
Priority to KR2020140009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2High modulus filament or fi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신발 안창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안창은, 상기 안창 앞측에 구비되며 탄성이 주변 부분보다 높은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 및 상기 안창 후측에 구비되며 탄성이 주변 부분보다 높은 종골 부위 안창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는 다섯 중족지골관절의 위치에 따라서 안창이 두껍게 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족저근막염 및 몰톤 신경종 치료 및 예방용 안창{Insole for treating and preventing plantar fasciitis and Morton’s neuroma}
본 고안은 신발 안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가적인 패드 및 지지 구조를 포함하여 족저근막염 및 몰톤 신경종 치료 및 예방 효과를 갖는 신발 안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발을 보호할 뿐 아니라 자세를 바로 해주고 체중을 분산시켜 발목, 무릎, 고관절, 척추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신발의 안창은 충격의 흡수에 특히 중요한 부위로 충격 완충/ 하중 분산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안창이 필요하며, 족저아치를 받쳐주는 높이 또한 조절해줄 필요가 있다.
KR 10-2007-0090272 A KR 10-2007-0090272 B KR 10-2012-0064690 A
최근 현대인들은 잘못된 자세, 무리한 운동, 단순작업의 반복 등에 의해 다양한 관절염을 앓고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관절염이 걷기 운동이나 올바른 걷기 자세 등에 의해 교정되거나 치유될 수 있음은 많은 연구에 의해 이미 입증이 된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걷는 자세나 걸을 때 몸에 걸리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안창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고안은 특히 족저근막염 또는 몰톤 신경종과 같은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구조의 안창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창은 상기 안창 앞측에 구비되며 탄성이 주변 부분보다 높은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 및 상기 안창 후측에 구비되며 탄성이 주변 부분보다 높은 종골 부위 안창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는 다섯 중족지골관절의 위치에 따라서 안창이 두껍게 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안창은, 상기 종골 부위 안창부의 중앙부에 패드 삽입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패드 홈에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족저근막염 패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족저근막염 패드는 상기 종골 부위 안창부보다 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의 중앙부는 패드 삽입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패드 홈에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몰톤신경종 패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몰톤신경종 패드는 상기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보다 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안창에서, 상기 족저근막염 패드는 또는 상기 몰톤 신경종 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패드 삽입 구멍에는 패드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패드홈 및 상기 패드 돌기는 상기 족저근막염 패드 및 상기 몰톤 신경종 패드가 상기 패드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경우 서로 맞물리도록 같은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안창은, 장심 받침부에 구비되는 홈, 및 상기 장심 받침부의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심 받침 패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심 받침 패드는 장심 받침 패드 고리를 더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창은 탄성이 좋은 종골 부위 안창부 및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가 구비되어, 신발 착용자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함으로써 관절에 대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안창에서, 종골 부위 안창부 및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에는 패드 삽입 구멍과 탈부착이 가능한 족저근막염 패드 및 몰톤신경종 패드를 각각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관절염 통증이나 증상에 따라서 다양한 탄성으로 안창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안창은 장심 받침부에 홈이 구비되며, 이 홈에 탈부착이 가능한 복수의 장심 받침 패드가 구비되어, 다양한 장심 높이에 최적화된 안창을 제공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족저근막염 패드나 몰톤시경종 패드를 제거하고 사용하면 증상이 심한 곳에 체중이 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장심 받침 패드에는 장심 받침 패드 고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장심 받침부의 홈에 장심 받침 패드를 삽입/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창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 삽입 부분의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창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함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으로부터 불필요한 분산을 피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참조 부호/번호는 도면들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도록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창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본 고안의 안창의 기능을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인체의 발 및 발목 부위의 관절을 함께 도시하였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안창은, 종골(10)과 중족지골관절(20) 부위를 두껍게 하여 충분히 체중을 흡수,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종골(10)이 지지되는 부위에 쿠션을 강화한 종골 부위 안창부(30)를 구비하고, 중족지골관절(20)이 지지되는 부위에 쿠션을 강화한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40)를 구비하도록 한다. 종골 부위 안창부(30) 및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40)는 다른 부분/주변 부분보다 탄성이 좋은/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40)는 다섯 중족지골관절의 위치에 따라서 안창이 두껍게 강화된다.
종골 부위의 쿠션을 강화한 종골 부위 안창부(30)에 체중이 가장 많이 실리고 뼈가 튀어 나와 있어 족저근막염이 잘 생기는 종골(10)의 안쪽 돌기 부분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종골 부위 안창부(30)보다 탄성이 더 좋은 족저근막염 패드(50)를 삽입할 수 있다. 족저근막염의 통증 정도에 따라, 족저근막염 패드(50)를 삽입하고 사용하거나, 아예 족저근막염 패드(50)를 삽입하지 않고 구멍이 있는 대로 사용하여 체중이 통증 부위에 실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발 아래로 지나가는 족저신경은 당뇨병이 있거나 중곡지골관절염이 있으면 중족지골관절들의 중앙 부위(20)에서 가장 잘 눌린다. 이 부위는 족저신경이 병적으로 두꺼워지는 몰톤신경종(Molton’s neuroma)이 생기는 부위이기도 하다. 따라서,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40)에서 족저신경이 가장 많이 눌리는 중앙부위에 구멍을 형성하고, 탄성이 더 좋은 몰톤신경종 패드(60)를 삽입할 수 있다. 이 또한 통증의 정도에 따라, 몰톤신경종 패드(60)를 삽입하고 사용하거나, 몰톤신경종 패드(60)를 삽입하지 않고 구멍이 있는 대로 사용하여 신경이 덜 눌리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족저근막염 패드(50) 및 몰톤신경종 패드(60)는 각각 탄성이 다른 복수의 세트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탄성이 가장 작은 제 1 탄성의 세트, 탄성이 중간인 제 2 탄성의 세트, 탄성이 높은 제 3 탄성의 세트로 각각 구비되어, 치료 목적 및 통증 등의 증상에 따라 다양한 탄성의 패드들을 선택하여 삽입,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 삽입 부분의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와 같이 종골 부위 안창부(30) 및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4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패드 삽입 구멍(80)을 형성하고, 이 패드 삽입 구멍(80)에 족저근막염 패드(50) 또는 몰톤신경종 패드(60)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족저근막염 패드(50) 및 몰톤신경종 패드(60)는 동일한 탄성을 갖거나, 다른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족저근막염 패드(50) 및 몰톤신경종 패드(60)의 사이즈는 다를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사이즈를 동일하게 하여 교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족저근막염 패드(50) 및 몰톤신경종 패드(60)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 홈(70)이 구비되고, 패드 삽입 구멍(80)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 돌기(90)가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족저근막염 패드(50) 및 몰톤신경종 패드(60)의 적어도 하나의 패드 홈(70)은 패드(50, 60) 삽입 시 패드 돌기(90)와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패드 홈(70) 내에서 패드(50, 60)가 움직이거나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드 돌기(90) 및 패드 홈(70)의 수 및 간격은 패드 삽입 구멍(80) 내에서 맞물리도록 동일한 수 및 간격으로 구비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창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의 상측 그림들에서와 같이, 사람의 발은 평발처럼 장심부위가 평편한 경우도 있고, 요족처럼 장심이 바닥으로부터 높은 경우도 있는 등, 정상이라고 하여도 바닥에서 장심까지의 높이는 사람마다 다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구성에 추가로 사람에 따라 장심 받침부(100)의 높이를 최적화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서는, 안창의 장심 부위에 홈/틈을 만들고, 이 홈/틈에 적어도 하나의 장심 받침 패드를 넣을 수 있는 안창을 제안한다. 장심 받침 패드는 두께에 따라서 복수로 구비/삽입될 수 있으며, 도 3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장심 받침 패드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서, 장심 받침부(100)에는 제 1 장심 받침 패드(100) 및 제 2 장심 받침 패드(200)를 장심부의 홈에 삽입한 안창을 나타낸다. 장심 받침 패드는 빼거나 더 추가하여 임의의 장심 높이에 맞출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장심 받침 패드(110, 120)에는 장신 받침 패드 고리(130)를 구비하여, 패드 탈착시 특히 패드를 제거하는 경우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실용신안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종골
20: 중족지골관절
30: 종골 부위 쿠션 강화 안창부
40: 중족지골관절 부위 쿠션 강화 안창부
50: 족저근막염 패드
60: 몰톤신경종 패드
70: 패드 홈
80: 패드 삽입 구멍
90: 패드 돌기
100: 장심 받침부
110: 제 1 장심 받침 패드
120: 제 2 장심 받침 패드
130: 장심 받침 패드 고리

Claims (5)

  1. 신발 안창에 있어서,
    상기 안창 앞측에 구비되며 탄성이 주변 부분보다 높은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 및 상기 안창 후측에 구비되며 탄성이 주변 부분보다 높은 종골 부위 안창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는 다섯 중족지골관절의 위치에 따라서 안창이 두껍게 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장심 받침부에 구비되는 홈, 및 상기 장심 받침부의 홈에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심 받침 패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심 받침 패드는 장심 받침 패드 고리가 구비되는, 신발 안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골 부위 안창부의 중앙부에 패드 삽입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패드 삽입 구멍에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족저근막염 패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족저근막염 패드는 상기 종골 부위 안창부보다 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신발 안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의 중앙부는 패드 삽입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패드 삽입 구멍에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몰톤신경종 패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몰톤신경종 패드는 상기 중족지골관절 부위 안창부보다 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신발 안창.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족저근막염 패드는 또는 상기 몰톤 신경종 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패드 삽입 구멍에는 패드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패드홈 및 상기 패드 돌기는 상기 족저근막염 패드 및 상기 몰톤 신경종 패드가 상기 패드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경우 서로 맞물리도록 같은 위치에 구비되는, 신발 안창.
  5. 삭제
KR2020140009056U 2014-12-08 2014-12-08 족저근막염 및 몰톤 신경종 치료 및 예방용 안창 KR200480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056U KR200480509Y1 (ko) 2014-12-08 2014-12-08 족저근막염 및 몰톤 신경종 치료 및 예방용 안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056U KR200480509Y1 (ko) 2014-12-08 2014-12-08 족저근막염 및 몰톤 신경종 치료 및 예방용 안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509Y1 true KR200480509Y1 (ko) 2016-06-01

Family

ID=5613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056U KR200480509Y1 (ko) 2014-12-08 2014-12-08 족저근막염 및 몰톤 신경종 치료 및 예방용 안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6728A (ko) 2019-02-05 2020-08-13 조규남 류머티즘 통풍 환자용 신발 중창 및 깔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6728A (ko) 2019-02-05 2020-08-13 조규남 류머티즘 통풍 환자용 신발 중창 및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74756B (zh) 具有足部三维运动控制及足压分散的装置
KR101064031B1 (ko) 체형교정용 바지
WO2015112471A1 (en) Customizable component insole system
JP2015526251A (ja) バスケットボール・インソール
KR101770617B1 (ko)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JPWO2014203399A1 (ja) 靴用インソール
EP3533423A1 (en) High-arched foot orthosis
KR20120000447A (ko) 무릎 통증완화 및 예방을 위한 탈부착 내외측 웨지를 구비한 인솔
KR200480509Y1 (ko) 족저근막염 및 몰톤 신경종 치료 및 예방용 안창
US20090282699A1 (en) Total body insoles ˜ shoe inserts
KR101460045B1 (ko) 힐링용 워킹양말
US20190105187A1 (en) Foot supporting garments and methods
KR20160047901A (ko)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JP2019123952A (ja) 靴下型サポーター
TWM365165U (en) Insole structure
JP2011245007A (ja) O脚矯正履物用パッド
Mojica et al. Foot Biomechanics
CN204683856U (zh) 用于下肢内旋步态矫正的弹力带装置
KR10109176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KR10095777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CN204600816U (zh) 内增高矫形鞋
JP2011224180A (ja) 靴中敷き用ブロック並びに靴中敷き
US20210275870A1 (en) Apparatus reducing compensatory leg, ankle and foot movements during heel raise exercises in rehabilitation and fitness
CN207898020U (zh) 一种具有矫正功能的高足弓鞋垫
CN204969744U (zh) 一种矫正脚拇指和足弓的多功能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