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617B1 -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 Google Patents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0617B1 KR101770617B1 KR1020150159406A KR20150159406A KR101770617B1 KR 101770617 B1 KR101770617 B1 KR 101770617B1 KR 1020150159406 A KR1020150159406 A KR 1020150159406A KR 20150159406 A KR20150159406 A KR 20150159406A KR 101770617 B1 KR101770617 B1 KR 1017706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band
- sock
- band portion
- portions
- foot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10000000474 Heel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1361 Achilles Tendo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2334 Spandex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759 spande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1737 Ankle Join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3371 Toes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610 Foot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853 Toe Phalange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548 hind-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459 calcaneu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872 metatarsal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082 Fibul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255 Hallux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041 Ligament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303 Tibi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452 mid-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456 talus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930 Leg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38 T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6 orthost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A41B2300/22—Elastic inserts
Abstract
발등과 다리의 경계에 해당하는 부분, 및 발의 측면으로서 안쪽 복사뼈 및 바깥쪽 복사뼈를 포함하는 아래 부분들에 해당하는 부분들에 걸쳐 형성되고,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는 양말의 부분을 제외하고 양말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신축성 밴드부;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발뒤꿈치 위쪽에서 아킬레스건을 덮도록 형성되고,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는 양말의 부분을 제외하고 양말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신축성 밴드부;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발뒤꿈치 앞쪽에서 족궁(풋아치)이 시작되는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는 양말의 부분을 제외하고 양말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3 신축성 밴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양말은 양말을 신은 채로 야외 활동 등 활동을 할 때 양말이 뒤틀려 제자리에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착용자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 편의성 및 보행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말을 신은 채로 야외 활동 등 활동을 할 때 양말이 뒤틀려 제자리에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착용 편의성 및 보행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이다.
양말을 신을 때 양말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목이나 종아리 부근과 같은 양말의 상단 부근에 탄성밴드를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탄성밴드는 양말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강력한 탄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착용자의 발 또는 다리에 혈액순환을 방해할 정도로 강력한 압박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밴드는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성능이 떨어지는데, 양말의 수명이 다하기도 전에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허공개 제10-2004-0075918호(2004. 08. 30. 공개)는 발목지지대를 갖는 양말을 개시한다. 제안된 양말은 착용자의 발이나 다리에서 제자리에 단단히 유지되면서도 혈액순환을 방해하거나 불편함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복사뼈의 상향 경사면 위쪽에 해당하는 발목 부근에 탄성밴드를 두는 것이다. 착용자의 발목 부근은 양말이 흘러내리도록 경사져 있지 않으므로 혈액순환을 방해할 정도로 강력한 탄성을 가질 필요는 없게 된다.
특허등록 제10-1266547호(2013. 05. 15. 등록)는 스타킹, 양말 또는 팬티 스타킹 형상의 편물된 물건 형태의 하지용 압박 정형보조기구를 개시한다. 개시된 스타킹은 하지를 압박하여 치료효과를 얻으려는 의학용 스타킹인 탄력성 스타킹으로서, 발등 및 발저부 압박밴드부, 발목 압박밴드부 및 종아리 압박밴드부의 압박 압력을 특정하게 설정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48131호(2010. 03. 11. 등록)는 신축성 스트링을 구비한 양말을 개시한다. 개시된 양말은 발등과 아킬레스건 부위 등을 덮는 특정한 패턴의 스트링을 양말의 다른 부위보다 신축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발꿈치에서부터 발가락 부위까지 전체적인 압박을 균형적으로 제공하고 또한 아킬레스건을 보호하여 보행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들에 의하면, 양말의 종아리 부근, 발목 부근, 발등 부근 등에 신축성 밴드를 형성함으로써 양말이 흘러내리지 않게 하거나 치료적 목적을 달성하거나 착용 편의성 및 보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신축성 밴드가 너무 강한 압박을 착용자의 발 또는 다리에 제공하게 되면 혈액순환을 방해하게 되어 오히려 착용 편의성 및 보행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양말은 양말을 신은 채로 야외 활동 등 활동을 할 때 흘러내리는 현상과 더불어 양말이 뒤틀려 제자리에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양말의 뒤틀림 현상은 특히 양말의 착용 편의성 및 보행 편의성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신축성 밴드를 양말의 특정 부위에 적용하여 양말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면서 착용자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는 기능성 양말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각고의 노력을 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말을 신은 채로 야외 활동 등 활동을 할 때 양말이 뒤틀려 제자리에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착용 편의성 및 보행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양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은 일반적인 형태의 양말에 있어서, 발등과 다리의 경계에 해당하는 부분, 및 발의 측면으로서 안쪽 복사뼈 및 바깥쪽 복사뼈를 포함하는 아래 부분들에 해당하는 부분들에 걸쳐 형성되고,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는 양말의 부분을 제외하고 양말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신축성 밴드부;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발뒤꿈치 위쪽에서 아킬레스건을 덮도록 형성되고,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는 양말의 부분을 제외하고 양말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신축성 밴드부;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발뒤꿈치 앞쪽에서 족궁(풋아치)이 시작되는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는 양말의 부분을 제외하고 양말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3 신축성 밴드부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 및 상기 제2 신축성 밴드부는 서로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 및 상기 제3 신축성 밴드부는 서로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는 스판덱스사로 형성되거나, 폴리에스테르사 및 스판덱스사로 형성되거나, 폴리에스테르사 및 고무사로 형성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사, 스판덱스사 및 고무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에는 상기 양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우수한 고신축성 띠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에 형성된 상기 고신축성 띠는 고무사만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의 폭은 상기 제2 신축성 밴드부의 폭과 상기 제3 신축성 밴드부의 폭의 합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의 폭은 20~40 mm이고, 상기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의 폭은 10~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말은 발의 족궁에 해당하는 발바닥 부분 및 그에 대응하는 발등 부분을 둘러싸는 폐곡선의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4 신축성 밴드부 및 발의 복사뼈보다 위쪽에 있는 다리 부분을 둘러싸는 폐곡선의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5 신축성 밴드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양말은 양말을 신은 채로 야외 활동 등 활동을 할 때 양말이 뒤틀려 제자리에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착용자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 편의성 및 보행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발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발뼈와 하지의 뼈가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을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을 착용하기 전의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에 대한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2는 발뼈와 하지의 뼈가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을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을 착용하기 전의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에 대한 실제 제품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발뼈의 구조와 발뼈와 하지의 뼈가 연결되는 구조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한쪽 발은 26개의 뼈로 구성된다. 양 발의 뼈를 합치면 52개이다. 몸 전체의 뼈의 수가 206개인 점을 감안하면 발은 많은 뼈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26개의 뼈들은 3 부분(후족부, 중족부, 전족부)으로 정렬되어 있다. 후족부는 7개의 덩어리 뼈로 구성되고, 중족부는 5개의 길고 가는 뼈로 구성되며, 전족부는 14개의 매우 작은 발가락뼈들로 구성된다.
후족부 중에서 가장 큰 발뼈인 종골(발뒤꿈치뼈)는 지면에 접촉하여 보행시 체중의 최초 충격을 지탱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체중을 지탱하여 균형을 이루게 한다. 종골의 바로 앞 조금 위에 있는 거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지의 뼈들(경골 및 비골)과 연결하여 발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후족부의 나머지 5개의 뼈들(주상골, 입방골, 제1,2,3 설상골)은 조금 작지만 두껍다. 후족부의 7개의 뼈들은 서로 웅클인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족부에 있는 5개의 중족골들은 후족부와 발가락 뼈들인 전족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각각의 중족골은 전방의 머리 부분, 가운데 부분의 골간, 후방의 기저부로 구성되어 있다. 중족골 머리부분들은 문의 둥근 손잡이 형상을 하고 있다. 첫번째와 다섯번째 중족골의 머리부분은 손가락으로 감지할 수 있는데, 이것들은 각각 몸의 내측 및 외측의 체중을 지탱하는 부분이다.
전족부는 14개의 발가락뼈로 구성되어 있다. 엄지발가락은 2개의 발가락뼈로 구성되는 반면에 나머지 4개의 발가락은 3개의 발가락뼈로 구성된다. 엄지발가락은 가장 큰데, 그 이유는 발가락 중에서 이동시 또는 서 있을 때 가장 많은 힘을 받기 때문이다.
한편, 아킬레스건은 다리의 큰 장딴지 근육의 끝이 가늘어져 된 부분으로서 발뒤꿈치의 뒷부분에 부착되어 있는데, 인간의 이동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발에는 107개의 인대가 있는데, 이것은 사람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월등히 많은 것이다. 십자형의 인대들의 조직망이 발에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발이 그만큼 격렬한 긴장과 비틀림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대들은 발의 관절들을 결합시키는 강력한 띠모양이며 발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온전하게 유지시켜 준다.
발목은 발의 가장 크고 중요한 관절이다. 발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하지 뼈들인 경골과 비골의 아래부분과 거골의 윗부분으로 되어 있다. 거골 윗부분의 오목한 부분은 다리뼈들의 아래부분의 소켓부분과 꼭 맞게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발목은 발이 전방 및 후방으로 필요한 대로 흔들릴 수 있게 하는 매우 효율적인 경첩구조의 관절로 기능한다. 경골의 말단은 안쪽 복사뼈를 이루고 비골의 말단은 바깥쪽 복사뼈를 이룬다.
인간의 발은 아치를 형성한다. 발에 몇 개의 아치가 형성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해부학자에 따라 견해가 다르지만, 내측의 긴 아치에 대해서는 모든 해부학자가 동의한다. 이러한 내측 긴 아치는 발뒤꿈치뼈의 앞에서 엄지발가락 관절의 바로 뒤 제일 중족골의 기저부분까지 뻗어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양말(10)은 통상적인 양말과 동일하게, 발가락을 덮는 발가락부(100), 발등과 발바닥을 덮는 발등부(200), 하지의 일부를 덮는 다리부(300), 발뒤꿈치를 덮는 발뒤꿈치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양말(10)이 통상적인 양말과 다른 점은 특정 영역에 신축성 밴드부(500)를 가진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신축성 밴드부(500)는 제1 신축성 밴드부(510), 제2 신축성 밴드부(520)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30)로 구분된다.
제1 신축성 밴드부(510)는 발등과 다리의 경계에 해당하는 부분 그리고 발의 측면으로서 안쪽 복사뼈 및 바깥쪽 복사뼈를 포함하는 아래 부분들에 해당하는 부분들에 걸쳐 형성된다. 제1 신축성 밴드부(510)는 안쪽 복사뼈와 바깥쪽 복사뼈 사이에 있는 발등에 대응하는 발목 관절 부분에 해당한다.
제1 신축성 밴드부(510)는 안쪽 복사뼈(20) 및 바깥쪽 복사뼈(20')에 대응되는 부분을 완전히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안쪽 복사뼈 및 바깥쪽 복사뼈에 대응되는 부분의 일부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체적으로 안쪽 복사뼈(20) 및 바깥쪽 복사뼈(20')의 정점으로부터 아래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쪽 복사뼈 및 바깥쪽 복사뼈에 대응되는 부분을 전체적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 신축성 밴드부(510)가 너무 넓게 분포하게 되어 제1 신축성 밴드부(510)의 기능을 달성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으나 착용자의 발이 느끼는 감촉의 측면에서 만족도가 다소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안쪽 복사뼈 및 바깥쪽 복사뼈에 대응되는 부분을 전혀 포함하지 않도록 제1 신축성 밴드부(51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1 신축성 밴드부(510)의 폭이 너무 좁게 되어 제1 신축성 밴드부(510)의 기능을 달성하는데 부족함이 생길 수 있고, 아울러 제1 신축성 밴드부(510)와 연결되는 제2 신축성 밴드부(520)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30)의 폭이 너무 좁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제2 신축성 밴드부(520)는 제1 신축성 밴드부(510)로부터 연장되어 발뒤꿈치 위쪽에서 아킬레스건을 덮도록 형성된다. 제2 신축성 밴드부(520)는 안쪽 복사뼈(20)와 바깥쪽 복사뼈(20')의 정점들 사이보다 약간 아래쪽에 있는 발 뒤쪽, 즉 발등의 반대쪽에 대응하는 발목 관절 부분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면, 제2 신축성 밴드부(520)는 발 뒤쪽에서 안쪽 복사뼈와 바깥쪽 복사뼈의 정점들 사이에 있는 발 뒤쪽과 발뒤꿈치의 시작부분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3 신축성 밴드부(530)는 제1 신축성 밴드부(510)로부터 연장되어 발뒤꿈치 앞쪽에서 족궁(풋아치)이 시작되는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발뒤꿈치부(400)는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20 및 530)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된다.
여기에서,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는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는 양말의 부분, 즉 후술하는 제4, 제5 및 제6 신축성 밴드부(230, 310 및 320)를 제외하고 양말의 다른 부분(이하, '양말의 다른 부분'이라 함)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말을 정해진 치수에 대하여 마련된 표준 사이즈로 형성된 모형 발에 착용시켜서 테스트할 때,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의 압박 압력은 대체로 동일하거나 또는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20 및 530)의 압박 압력은 대체로 동일하고 제1 신축성 밴드부(510)의 압박 압력은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20 및 530)의 압박 압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전자의 경우에,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의 압박 압력은 해당 영역 중에서 가장 큰 압박 압력을 가지는 부분에서의 압박 압력이 3.75~6.25 mmHg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20 및 530)의 해당 압박 압력은 3.75~6.25 mmHg일 수 있고, 제1 신축성 밴드부(510)의 해당 압박 압력은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20 및 530)의 압박 압력보다 5~30% 정도 작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축성 밴드부(510)와 제2 신축성 밴드부(520)는 서로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고, 제1 신축성 밴드부(510)와 제3 신축성 밴드부(530)는 서로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는 스판덱스사로 형성되거나, 폴리에스테르사 및 스판덱스사로 형성되거나, 폴리에스테르사 및 고무사로 형성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사, 스판덱스사 및 고무사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양말의 다른 부분이 스판덱스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라면,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는 폴리에스테르사, 스판덱스사 및 고무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를 이루는 원료사의 조성비는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의 탄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 신축성 밴드부(510)는 제1 신축성 밴드부(510)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우수한 고신축성 띠(512)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신축성 띠(512)는 복수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고신축성이라 함은 외력을 가하여 잡아당겼을 때 다른 부분에 비하여 많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고신축성 띠(512)는 양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양말의 길이방향이라 함은 발에 대응하는 부분의 방향을 의미한다. 고신축성 띠(512)가 형성되는 방향은 반드시 양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학적인 의미에서 수직한 방향을 필요는 없으며, 양말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서 대체적으로 수직한 방향에 가까우면 족하다. 고신축성 띠(512)는 고무사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고무사라 함은 고무로 된 심사가 면사, 나일론사 등에 의하여 커버링된 실을 의미한다.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에 대하여, 제1 신축성 밴드부(510)의 폭은 제2 신축성 밴드부(520)의 폭과 제3 신축성 밴드부(530)의 폭의 합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신축성 밴드부(510)의 폭은 20~40 mm, 예를 들어 35 mm이고,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20 및 530)의 폭은 10~20 mm, 예를 들어 15 mm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양말(10)은 제1 신축성 밴드부(510) 및 제2 신축성 밴드부(520)에 의하여 큰 신축성을 발휘하게 된다. 특히 제1 신축성 밴드부(510)의 고신축성 띠(512)에 의하여 발목 관절에 대한 유연한 대응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말(10)은 착용자의 발목 관절의 자유로운 움직임에 잘 대응하게 된다. 즉, 착용자가 발목 관절을 사용하여 발을 자유롭게 움직이더라도 그러한 움직임으로 인하여 양말이 뒤틀려서 돌아가는 일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양말(10)은 또한 제2 신축성 밴드부(520)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30)에 의하여 발뒤꿈치부(400)가 둘러싸인 결과, 착용자가 아무리 격렬한 운동을 하더라도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본 발명의 양말(10)의 발뒤꿈치부(400)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게 된다.
제2 신축성 밴드부(520)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30)의 압박 압력이 제1 신축성 밴드부(510)의 압박 압력보다 큰 경우에는, 발뒤꿈치부(400)는 제2 신축성 밴드부(520)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30)에 의하여 둘러싸여 고정되는 효과를 가지면서, 발등에서의 발목 관절의 큰 움직임에 대해서도 제1 신축성 밴드부(510)는 상대적으로 더욱 자유로운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말(10)은 착용자가 아무리 격렬한 운동을 하더라도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에 의하여 뒤틀리는 것이 방지되고 항상 제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양말(10)은 착용의 편의성 및 보행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양말(10)은 통상적인 양말과 동일하게 양말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4 및 제5 신축성 밴드부(230 및 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및 제5 신축성 밴드부(230 및 310)는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된다.
제4 신축성 밴드부(230)는 발등부(200)에 형성된다. 제4 신축성 밴드부(230)는 발의 족궁에 해당하는 발바닥 부분 및 그에 대응하는 발등 부분을 둘러싸는 폐곡선의 영역으로 형성된다. 제4 신축성 밴드부(230)는 대체적으로 발의 족궁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다. 제5 신축성 밴드부(310)는 발의 복사뼈보다 위쪽에 있는 다리 부분을 둘러싸는 폐곡선의 영역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양말(10)은 제5 신축성 밴드부(310)보다 위쪽에 있는 양말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제6 신축성 밴드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신축성 밴드부(320)는 제4 및 제5 신축성 밴드부(230 및 310)보다는 신축성이 약하지만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510, 520 및 530)보다는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양말(1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발가락부(100)와 발뒤꿈치부(400)는 연사와 스판덱스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사라 함은 면사 3가닥을 꼬아서 만든 실을 의미한다. 연사에 사용되는 면사는 다른 부분에서 사용되는 면사보다 가는 실이다. 연사와 스판덱스사의 혼합 비율은 해당 부분의 탄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발등부(200) 중 발가락부 경계부(220)는 면사, 폴리에스테르사 및 스판덱스사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되는 구성 실들의 비율은 해당 부분의 탄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발등부(200)에 있는 제4 신축성 밴드부(230) 및 다리부(300)에 있는 제5 신축성 밴드부(310)는 면사, 스판덱스사 및 고무사로 형성될 수 있고, 발가락부 경계부(220)를 제외한 나머지 발등부(200) 및 다리부(300) 중에서 제4 및 제5 신축성 밴드부(230 및 310)를 제외한 부분은 면사 및 스판덱스사로 형성될 수 있다. 제6 신축성 밴드부(320)는 연사, 스판덱스사 및 고무사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되는 구성 실들의 비율은 해당 부분의 탄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10: 기능성 양말 20,20': 복사뼈
100: 발가락부 200: 발등부
210: 족궁 220: 발가락부 경계부
230: 제4 신축성 밴드부 300: 다리부
310: 제5 신축성 밴드부 320: 제6 신축성 밴드부
400: 발뒤꿈치부 500: 신축성 밴드부
510: 제1 신축성 밴드부 512: 고신축성 띠
520: 제2 신축성 밴드부 530: 제3 신축성 밴드부
100: 발가락부 200: 발등부
210: 족궁 220: 발가락부 경계부
230: 제4 신축성 밴드부 300: 다리부
310: 제5 신축성 밴드부 320: 제6 신축성 밴드부
400: 발뒤꿈치부 500: 신축성 밴드부
510: 제1 신축성 밴드부 512: 고신축성 띠
520: 제2 신축성 밴드부 530: 제3 신축성 밴드부
Claims (8)
- 발을 감싸는 양말에 있어서,
안쪽 복사뼈와 바깥쪽 복사뼈 사이에 있는 발등에 대응하는 발목 관절 부분에 해당하고,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는 양말의 부분을 제외하고 양말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신축성 밴드부;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발뒤꿈치 위쪽에서 아킬레스건을 덮도록 형성되고,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는 양말의 부분을 제외하고 양말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신축성 밴드부;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발뒤꿈치 앞쪽에서 족궁(풋아치)이 시작되는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는 양말의 부분을 제외하고 양말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3 신축성 밴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는 상기 안쪽 복사뼈 및 상기 바깥쪽 복사뼈에 대응되는 부분의 일부만을 포함하고, 상기 안쪽 복사뼈 및 상기 바깥쪽 복사뼈의 아래쪽 방향으로 폭이 20~40 mm로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는 폭은 10~20 mm로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 및 상기 제2 신축성 밴드부는 서로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 및 상기 제3 신축성 밴드부는 서로 연결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에는 상기 양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의 다른 부분보다 신축성이 우수한 고신축성 띠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는 스판덱스사로 형성되거나, 폴리에스테르사 및 스판덱스사로 형성되거나, 폴리에스테르사 및 고무사로 형성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사, 스판덱스사 및 고무사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에 형성된 상기 고신축성 띠는 고무사만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성 밴드부의 폭은 상기 제2 신축성 밴드부의 폭과 상기 제3 신축성 밴드부의 폭의 합과 일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 삭제
- 제1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은 발의 족궁에 해당하는 발바닥 부분 및 그에 대응하는 발등 부분을 둘러싸는 폐곡선의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4 신축성 밴드부 및 발의 복사뼈보다 위쪽에 있는 다리 부분을 둘러싸는 폐곡선의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신축성 밴드부보다 신축성이 강한 압박용 재질로 형성되는 제5 신축성 밴드부 중에서 최소한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틀림방지용 기능성 양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9406A KR101770617B1 (ko) | 2015-11-13 | 2015-11-13 |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9406A KR101770617B1 (ko) | 2015-11-13 | 2015-11-13 |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6153A KR20170056153A (ko) | 2017-05-23 |
KR101770617B1 true KR101770617B1 (ko) | 2017-08-23 |
Family
ID=5905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9406A KR101770617B1 (ko) | 2015-11-13 | 2015-11-13 |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06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6127A (ko) | 2020-12-30 | 2022-07-07 | 주식회사 하우쿨 | 기능성 양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986Y1 (ko) * | 2019-01-03 | 2020-02-03 | 한교춘 | 덧신 양말 |
KR102418614B1 (ko) | 2020-07-17 | 2022-07-06 | 민희선 | 기능성 양말 구조 |
KR102489812B1 (ko) * | 2022-06-16 | 2023-01-18 | 주식회사 동운하이테크 | 풋헬스케어 기능성 양말 |
KR102489813B1 (ko) * | 2022-06-16 | 2023-01-19 | 주식회사 동운하이테크 | 근육회복을 돕는 기능성 항균 양말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1749Y1 (ko) * | 2001-10-12 | 2002-01-24 | 이상훈 | 양말 |
KR200297768Y1 (ko) * | 2002-08-28 | 2002-12-11 | 이영희 | 발목 보호기능을 갖는 양말 |
-
2015
- 2015-11-13 KR KR1020150159406A patent/KR1017706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1749Y1 (ko) * | 2001-10-12 | 2002-01-24 | 이상훈 | 양말 |
KR200297768Y1 (ko) * | 2002-08-28 | 2002-12-11 | 이영희 | 발목 보호기능을 갖는 양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6127A (ko) | 2020-12-30 | 2022-07-07 | 주식회사 하우쿨 | 기능성 양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6153A (ko) | 2017-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0617B1 (ko) |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 |
US5617745A (en) | Support sock | |
JP4355364B1 (ja) | 足の変形を伴う疾患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サポーター構造体 | |
US9730489B2 (en) | High heel for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 |
HU9801345A2 (hu) | Gyógyászati zokni a fonal és a rugalmasság tekintetében eltérő kötött részekkel | |
US20140352170A1 (en) | Modern dance shoe | |
US20150230552A1 (en) | Compression sock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oot and ankle injuries | |
US20180021199A1 (en) | Garment for improved foot and leg alignment and improved circluation | |
TWI631912B (zh) | 著裝用具、鞋襪類 | |
US20110061664A1 (en) | Stocking for feet with bunions | |
WO2010004966A1 (ja) | 靴下類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110119807A1 (en) | Article for alleviating bunion deformity and pain | |
CA2883763A1 (en) | Barefoot orthotic sports sleeve | |
US9956108B2 (en) | Sock assembly for correcting toe deformation | |
KR101587899B1 (ko) | 발가락 교정구 | |
US20220322756A1 (en) | Therapeutic sock with one or more elastomeric bands | |
KR101460045B1 (ko) | 힐링용 워킹양말 | |
AU2011291428A1 (en) | Footwear for modern d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JP7217912B2 (ja) | 靴下型サポーター | |
KR101579926B1 (ko) |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 | |
US20210128338A1 (en) | Joint stabilization garments | |
JP6402044B2 (ja) | 足背アーチ調整バンド、足部アーチ調整バンド | |
JP2018178323A (ja) | 靴下 | |
JP2013076175A (ja) | 足趾トレーニング用靴下 | |
KR101956251B1 (ko) | 발바닥의 기치료 부위를 자극하는 양말 내장용 인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