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901A -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 Google Patents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901A
KR20160047901A KR1020140144422A KR20140144422A KR20160047901A KR 20160047901 A KR20160047901 A KR 20160047901A KR 1020140144422 A KR1020140144422 A KR 1020140144422A KR 20140144422 A KR20140144422 A KR 20140144422A KR 20160047901 A KR20160047901 A KR 2016004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ar
arch
supporting
support means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 올리비아
이근재
Original Assignee
강 올리비아
이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 올리비아, 이근재 filed Critical 강 올리비아
Priority to KR102014014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901A/ko
Publication of KR2016004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에 관한 것으로, 족저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측 종 아치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 족저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측 종 아치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 및 족저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중족골 아치를 지지하는 제3 지지수단을 구비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장 및 신발의 종류 및 착용 여부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나 발바닥의 내측 종 아치, 외측 종 아치 및 중족골 아치를 모두 지지함으로써, 족내반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고 잘못된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근육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SOCKS SUPPORTING FOOT ARCHES}
본 발명은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족저의 내측 종 아치, 외측 종 아치 및 세 개의 중족골 아치를 모두 지지하여 족내반을 예방하거나 평발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관절의 통증 및 자세 이상에 기인하는 각종 증상을 완화시키고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족저는 서 있을 경우 체중의 2배, 보행 시에는 체중의 4배, 달릴 경우에는 체중의 8배 내지 10배에 달하는 충격을 감당하고 있다. 이 때 족저에 존재하는 내측 종 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 외측 종 아치(Lateral Longitudial Arch) 및 세 개의 중족골 아치(Metatarsal Arch) 등 총 다섯 개의 족저 아치는 체중을 지지하고 족저에 가해지는 충격을 족저 전체에 분산시켜줌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족저 아치는 보행 시 발끝이 바닥을 차고 전진할 수 있도록 지렛대 역할을 함으로써 쉽게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족저의 내측 종 아치, 외측 종 아치 및 중족골 아치의 해부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종 아치는 발바닥의 내측 부위의 중족골과 족골에 걸쳐 존재하며 스프링 인대(spring ligament)라는 매우 단단한 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대가 약해지면 아치의 높이가 낮아져 아치가 무너지게 되며, 아치가 무너지는 경우 직립 시, 보행 시는 물론 달릴 경우 체중의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족저뿐 아니라 발목 및 무릎을 포함하는 각 관절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통증이 일어날 수 있고, 족내반(평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이로 인하여 다리뼈가 내회전을 일으키고 골반이 앞으로 기울게 되면서 몸이 한쪽으로 몸이 기우는 자세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골반이 한쪽으로 기우는 현상에 의하여 기우는 방향의 요추가 더 눌리게 되면서 디스크가 압박을 받아 추간판 돌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퇴행성 디스크로 진행되기도 한다. 외측 종 아치는 족저의 바깥쪽 부위에 존재하는 내측 종 아치보다 작은 아치이다. 외측 종 아치는 내측 종 아치보다 움직임이 적고 발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고정된 아치로서, 내측 종 아치가 바닥에 완전히 닿기 전에 먼저 바닥에 닿음으로써 족저에 전달되는 체중의 충격을 일차적으로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내측 종 아치와 마찬가지로 외측 종 아치 역시 무너질 경우 신체에 여러 이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때 인체의 자세에 변형을 일으키는 기전은 내측 종 아치가 무너지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족저의 앞부분에 횡측 방향으로 있는 세 개의 중족골 아치는 다섯 개의 중족골 중 가운데 세 개의 중족골 및 네 개의 족골로 이루어지며, 보행 시 발바닥이 바닥에 완전히 닿을 대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 및 특히 발이 바닥을 차고 나갈 때 족저에 가해지는 지면과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족골 아치가 무너질 경우 보행 시 발이 바닥을 차고 들어올려질 때 발가락이 과 신전되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족저 앞 중앙 부위에 굳은살이 생길 수 있다.
도 2는 족내반의 증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족저의 내측 종 아치가 무너져 발바닥이 내려 앉을 경우 평발이 발생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지가 내회전 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행 시 발뒤꿈치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아킬레스건이 한쪽으로 휘어지며, 한쪽 다리의 길이가 짧아지는 단족 증후군이 나타나고 몸이 비틀어지는 자세이상이 발생한다. 또한 족내반 증상이 심화되어 단족 증후군이 나타날 경우, 장족 측에서는 이상근 증후군, 좌골신경통, 장요근 경직, 무릎 내측의 퇴행성 관절염, 요추의 측만곡, 그리고 무릎 통증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반면에, 단족 측에서는 대퇴근막장근과 슬와부근의 경직, 무릎의 과신전, 아킬레스건의 만성 염좌, 무릎 외측의 퇴행성 관절염, 그리고 무릎 통증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족저의 아치를 지지하여 주는 기능을 하는 보조 기구를 족저에 착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신체 이상, 특히 족내반 증상을 예방하거나 족내반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통증 및 자세 이상을 비롯한 여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인솔 또는 깔창 등의 보조기구는 내측 종 아치, 외측 종 아치 및 중족골 아치 모두를 적절하게 지지함으로써 족내반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완화하는 기능이 미흡하며, 또한 대부분 신발 바닥에 부착하여 착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신발을 신었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고 실내에서 신발을 벗고 일상생활을 하는 경우 보조기구의 효과를 전혀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8023호(등록일: 2007.09.05., 발명의 명칭 : 완충 작용을 갖는 인솔 및 그의 제조방법, 청구범위 제1항)가 있다.
본 발명은, 족저의 내측 종 아치, 외측 종 아치 및 중족골 아치를 모두 지지하는 기능을 양말에 갖춤으로써 복장 및 신발에 종류 및 착용 여부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나 족내반을 예방하거나 족내반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통증을 완화시키고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은 족저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측 종 아치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 족저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측 종 아치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 및 족저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중족골 아치를 지지하는 제3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족저의 뒷꿈치 부분에 형성되어 종골 및 거골하관절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제4 지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수단은 상부에서 내려보았을때 양말의 족저 내측 경계를 긴 변으로 하는 둥글린 삼각형을 취하고, 상기 둥글린 삼각형의 상기 긴 변 중심 부분의 두께를 3 mm로 하여 상기 둥글린 삼각형의 각 꼭지점 및 족저 외측 방향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지지수단은 상부에서 내려보았을때 양말의 족저 외측 경계를 긴 변으로 하는 둥글린 삼각형을 취하고, 상기 둥글린 삼각형의 상기 긴 변 중심 부분의 두께를 2 mm로 하여 상기 둥글린 삼각형의 각 꼭지점 및 족저 내측 방향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지지수단은 중심부의 두께를 2 mm로 하여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가장 두꺼운 중심부로부터 상부 가장가지까지의 길이가 하부 가장자리까지의 길이의 비가 2:1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지지수단은 상부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원형 또는 전면부가 직선인 말발굽형을 취하고, 전체 두께가 균일하게 2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수단은 상기 양말의 족저 부분 바닥면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수단은 아스카 경도 8 내지 15의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 스폰지 및 에폭시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장 및 신발의 종류 및 착용 여부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나 발바닥의 내측 종 아치, 외측 종 아치 및 중족골 아치를 모두 지지함으로써, 족내반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고 잘못된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근육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족저의 내측 종 아치, 외측 종 아치 및 중족골 아치의 해부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족내반의 증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의 족저 부분에 부착된 제1 내지 제4 지지 수단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의 족저 부분에 부착된 제1 내지 제4 지지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1)은 족저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측 종 아치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10), 족저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측 종 아치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20) 및 족저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중족골 아치를 지지하는 제3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1)은 족저의 뒤꿈치 부분에 형성되어 종골 및 거골하관절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제4 지지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지지수단(10)은 상부에서 내려보았을 때 양말의 족저 내측 경계를 긴 변으로 하는 둥글린 삼각형을 취하고, 둥글린 삼각형의 긴 변 중심 부분의 두께를 3 mm로 하여 둥글린 삼각형의 각 꼭지점 및 족저 외측 방향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수단(10)은 사용자의 발 안쪽에 위치하여, 양말의 족저측 내부 면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족저 내측 종 아치를 지지하며, 내측 종 아치의 가장 높은 부분을 3mm 높이 만큼 지지하게 된다.
이 때 제1 내지 제4 지지수단(10 - 40)의 크기는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의 세가지 크기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대형, 중형, 소형의 세가지 크기를 주의 깊게 설정하면 거의 모든 사람의 족형에 맞추어 족저 아치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소형 제1 지지수단(10)의 크기는, 족저 전후 방향, 즉 긴 변 방향의 길이가 85mm를 기준으로, 족저 좌우 방향, 즉 삼각형의 긴 변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의 길이가 30mm를 기준으로 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상기 소형 제1 지지수단(10)의 크기를 10% 증가시킨 크기를 중형으로, 중형 제1지지수단(10)의 크기를 다시 10% 증가시킨 크기를 대형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수단(20)은 상부에서 내려보았을 때 양말의 족저 외측 경계를 긴 변으로 하는 둥글린 삼각형을 취하고, 둥글린 삼각형의 긴 변 중심 부분의 두께를 2 mm로 하여 둥글린 삼각형의 각 꼭지점 및 족저 내측 방향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수단(20)은 사용자의 발 바깥쪽에 위치하여, 양말의 족저측 내부 면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족저 외측 종 아치를 지지하며, 외측 종 아치의 가장 높은 부분을 2mm 높이만큼 지지하게 된다. 이 때, 소형 제2 지지수단(20)의 크기는, 족저 전후 방향, 즉 긴 변 방향의 길이가 65mm를 기준으로, 족저 좌우 방향, 즉 삼각형의 긴 변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의 길이가 20mm를 기준으로 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상기 소형 제2 지지수단(20)의 크기를 10% 증가시킨 크기를 중형으로, 중형 제2지지수단(20)의 크기를 다시 10% 증가시킨 크기를 대형으로 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수단(10, 20)은 내측 종 아치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미 높이가 낮아진 아치를 교정하고 평발을 보호함으로써 각 관절 및 근육 통증을 예방 및 해소할 수 있고, 근육의 피로도 또한 경감시키며, 다리 길이의 불일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각종 증상을 완화시키고 자세의 뒤틀림을 예방 및 교정할 수 있다.
한편, 제3 지지수단(30)은 중심부의 두께를 2 mm로 하여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으며, 심장, 위장 또는 신장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수단(30)은 가장 두꺼운 중심부로부터 상부 가장자리까지의 길이와 하부 가장자리까지의 길이의 비가 2:1를 취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지지수단(30)은 볼록한 폐곡선 형상을 취하여 족저 앞부분에 위치함으로써 그 중심부가 중족골 아치의 가장 높은 부분을 2mm 높이만큼 지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의 예에서 제3 지지수단(30)은 심장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때, 소형 제3 지지수단(30)의 크기는, 족저 전후 방향의 가장 긴 부위의 길이가 45mm를 기준으로, 족저 좌우 방향의 길이가 35mm를 기준으로 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상기 소형 제3 지지수단(30)의 크기를 10% 증가시킨 크기를 중형으로, 중형 제3 지지수단(30)의 크기를 다시 10% 증가시킨 크기를 대형으로 정할 수 있다. 제3 지지수단(30)은 중족골 아치의 지지수단으로서 보행 시 발이 바닥을 차고 나갈 때 발바닥의 전방 부위가 과신전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지지수단(30)이 양말(1)에 구비될 경우, 보행에서 발바닥이 착지 후 바닥을 차고 나아갈 때 시 족저 앞 부위에 발생하는 체중에 의한 충격을 6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지지수단(30)은 발의 앞부분에 위치한 세 개의 중족골 아치 중 적어도 둘 이상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제4 지지수단(40)은 상부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원형 또는 전면부가 직선인 말발굽형을 취하고, 전체 두께가 균일하게 2mm일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의 제4 지지수단(40)는 원형 또는 말발굽형을 취하여 족저 뒤꿈치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보행 시 발뒤꿈치가 바닥에 착지할 때 생기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켜 줄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예에서 제4 지지수단(30)은 말발굽형을 취하고 있다. 이 때 소형 제4 지지수단(30)의 크기는, 족저 전후 방향의 가장 긴 부위의 길이가 55mm를 기준으로, 족저 좌우 방향의 길이가 50mm를 기준으로 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상기 소형 제4 지지수단(40)의 크기를 10% 증가시킨 크기를 중형으로, 중형 제4지지수단(40)의 크기를 다시 10% 증가시킨 크기를 대형으로 정할 수 있다. 보행 시 발을 바닥에 디딜 때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은 경추까지 전달될 수 있으며, 이 때 거골이 거골하관절에서 내측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충격을 완화한다. 그러나 거골하관절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 발뒤꿈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때 제4 지지수단(40)은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발뒤꿈치로부터 발목, 무릎 및 척추에 이르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지지수단(10-40)은 양말(1)의 족저 부분의 안쪽 면에 부착될 수 있다. 각 지지수단(10-40)이 양말(1)의 바닥면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는 구두 또는 운동화 밑창에 까는 인솔 등과 달리 복장 및 신발 착용 여부와 무관하게 실내 등 어떠한 장소에도 구애 받지 않고, 내측 종 아치, 외측 종 아치 및 중족골 아치를 모두 지지하여 족내반을 예방하거나 족내반으로 인한 제 증상을 완화시키고 잘못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지 제4 지지수단(10-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족저 아치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보행 시 주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적절한 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4 지지수단(10-40)은 아스카 경도 8 내지 15의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 스폰지 및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장 및 신발의 종류 및 착용 여부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나 발바닥의 내측 종 아치, 외측 종 아치 및 중족골 아치를 모두 지지함으로써, 족내반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고 잘못된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근육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양말 10 : 제1 지지수단
20 : 제2 지지수단 30 : 제3 지지수단
40 : 제4 지지수단

Claims (8)

  1. 족저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측 종 아치를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
    족저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측 종 아치를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 및
    족저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중족골 아치를 지지하는 제3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2. 제 1항에 있어서,
    족저의 뒷꿈치 부분에 형성되어 종골 및 거골하관절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제4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수단은 상부에서 내려보았을때 양말의 족저 내측 경계를 긴 변으로 하는 둥글린 삼각형을 취하고, 상기 둥글린 삼각형의 상기 긴 변 중심 부분의 두께를 3 mm로 하여 상기 둥글린 삼각형의 각 꼭지점 및 족저 외측 방향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수단은 상부에서 내려보았을때 양말의 족저 외측 경계를 긴 변으로 하는 둥글린 삼각형을 취하고, 상기 둥글린 삼각형의 상기 긴 변 중심 부분의 두께를 2 mm로 하여 상기 둥글린 삼각형의 각 꼭지점 및 족저 내측 방향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수단은 중심부의 두께를 2 mm로 하여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가장 두꺼운 중심부로부터 상부 가장가지까지의 길이와 하부 가장자리까지의 길이의 비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지지수단은 상부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원형 또는 전면부가 직선인 말발굽형을 취하고, 전체 두께가 균일하게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수단은 상기 양말의 족저 부분 바닥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수단은 아스카 경도 8 내지 15의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고무, 스폰지 및 에폭시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KR1020140144422A 2014-10-23 2014-10-23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KR20160047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22A KR20160047901A (ko) 2014-10-23 2014-10-23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22A KR20160047901A (ko) 2014-10-23 2014-10-23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01A true KR20160047901A (ko) 2016-05-03

Family

ID=5602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422A KR20160047901A (ko) 2014-10-23 2014-10-23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79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0103A (ja) * 2017-02-27 2018-03-15 株式会社Restyle 靴下
KR20220002787A (ko) *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오성제화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KR20220004382A (ko) * 2020-07-03 2022-01-11 육관수 지지패드를 구비한 양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40103A (ja) * 2017-02-27 2018-03-15 株式会社Restyle 靴下
KR20220002787A (ko) *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오성제화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KR20220004382A (ko) * 2020-07-03 2022-01-11 육관수 지지패드를 구비한 양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27277A1 (en) Customizable Component Insole System
US11528957B2 (en) Energy return orthotic systems
JP2015526251A (ja) バスケットボール・インソール
US20170340052A1 (en) Orthotic Insert Device
JP5263880B2 (ja) 靴用中敷
KR102463611B1 (ko) 신발용 인솔
US11528956B2 (en) Energy return orthotic systems
KR20160047901A (ko) 족저 아치를 지지하는 양말
US11452329B2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JP2007175532A (ja) 履き物用中敷きおよび履き物
JP6467141B2 (ja) 後足部傾斜領域付インソール及び多層の後足部傾斜領域付インソール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JP2008029611A (ja) 矯正中敷きと該矯正中敷きを用いた矯正靴
US9867419B1 (en) Sandal
US9974355B2 (en) Padded foot support with a ball of foot depression
JP5959079B1 (ja) クッション付靴下
JP5970423B2 (ja) 足底用パッド
US11020263B2 (en) Reverse insole
TWM488219U (zh) 用於鞋之裝置
US11744317B2 (en) Sandal with heel strap
CN220255843U (zh) 一种足部畸形的矫正鞋垫和鞋
JP5190574B2 (ja) 履物用インソール
KR101668404B1 (ko) 교정신발 밑창용 충전재
JP6474214B2 (ja) 靴底
TW201914458A (zh) 鞋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