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022Y1 - 튜브형 에어 폴대 - Google Patents

튜브형 에어 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22Y1
KR200480022Y1 KR2020140007451U KR20140007451U KR200480022Y1 KR 200480022 Y1 KR200480022 Y1 KR 200480022Y1 KR 2020140007451 U KR2020140007451 U KR 2020140007451U KR 20140007451 U KR20140007451 U KR 20140007451U KR 200480022 Y1 KR200480022 Y1 KR 200480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ircular groove
main body
connecto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원
Original Assignee
정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원 filed Critical 정승원
Priority to KR2020140007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 설치시에 설치 및 해체를 짧은 시간 내에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튜브형 에어 폴대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각 측면에 배치된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내부의 중앙부로부터 각 공기주입구 내부의 단부까지 연장하는 에어 유로들이 형성되고, 본체 상면에 에어 유로들의 일단들을 노출하는 원형 홈 및 원형 홈과 연통하는 에어 공급 홀이 형성된 커넥터; 상기 에어 유로들의 일단에 대응하는 타단을 포함한 상기 커넥터의 각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며,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어 폴대 형상을 갖게 되는 튜브들;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원형 홈에 체결되며, 반시계 및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에어 유로를 통한 에어 주입과 배출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튜브형 에어 폴대{TUBE TYPE AIR POLE}
본 고안은 텐트용 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튜브형 에어 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내부 공간에 사용자가 들어가 침식을 할 수 있는 이동식 하우스로서,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갖도록 금속 재질의 폴대들을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폴대들의 외측에 방수 천을 덧씌우는 방식으로 설치하거나, 방수 천에 복수의 폴대들을 결합시켜 방수 천이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갖도록 만드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텐트는 주지된 바와 같이 레저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텐트는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폴대들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그 조립이 간단치 않고,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된 텐트를 해체하기 위하여 상술한 설치과정을 역으로 수행해야 하고, 해체된 텐트의 구조물을 다음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정리과정을 수행해야 하는바, 이 또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텐트는 일정한 형상 유지를 위해 폴대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일정 크기를 가지므로, 폴대 무게 및 크기로 인해 전체적인 무게와 부피가 크고, 이로 인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백패킹에 맞춰 장비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4826 등록특허공보 10-1279006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설치 및 해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튜브형 에어 폴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튜브형 에어 폴대를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튜브형 에어 폴대를 제공함에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각 측면에 배치된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내부의 중앙부로부터 각 공기주입구 내부의 단부까지 연장하는 에어 유로들이 형성되고, 본체 상면에 에어 유로들의 일단들을 노출하는 원형 홈 및 원형 홈과 연통하는 에어 공급 홀이 형성된 커넥터; 상기 에어 유로들의 일단에 대응하는 타단을 포함한 상기 커넥터의 각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며,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어 폴대 형상을 갖게 되는 튜브들;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원형 홈에 체결되며, 반시계 및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에어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에 있어서, 상기 에어 유로들은 상기 커넥터의 본체 중앙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각 측면에 배치된 공기주입구들로 두 개씩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각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는 각 튜브는 상기 두 개의 에어 유로들과 대응하게 두 개로 분기하여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외피; 상기 외피 내에 배치되며, 에어가 유입되는 내피; 및 상기 내피 내에 에어 배출을 위해 삽입되며, 양측면에 복수의 공기 출구를 구비한 납작한 빨대 모양을 갖는 에어 출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원형 홈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사용자가 상기 체결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 상면 측으로 체결부 상에 배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원형 홈의 저면과 맞닿은 체결부 면에 설치된 고무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폴대를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로 제작함으로써 종래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폴대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는 튜브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기 전, 그리고, 텐트 해체 후, 튜브를 돌돌 말아서 보관 및 운반하면 되기 때문에 무게 및 부피가 종래의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작아서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는 커넥터의 각 공기주입구에 튜브들을 결합한 상태에서, 에어만 주입하면 방수 천을 제외하고 폴대의 설치가 가능하고, 해체시에도 커넥터의 공기주입구들로부터 각 튜브들을 분리한 후 각 튜브에 주입된 에어만 빼내면 되므로, 폴대의 설치 및 해체를 포함한 텐트 설치 및 해체를 매우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부가해서,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는 각 튜브가 두 개로 분기하도록 마련함으로써, 만약, 분기된 어느 하나가 터지더라도 나머지 하나로 폴대 형상의 유지가 가능하므로 그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작은 구멍이 난 경우에는 스티커 등의 부착을 통해 수리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를 설명하기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튜브형 에어 폴대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에어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튜브형 에어 폴대의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캡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튜브형 에어 폴대의 에어 공급 홀에 에어 펌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구성요소가 제2구성요소 상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즉,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서의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를 설명하기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튜브형 에어 폴대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에어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튜브형 에어 폴대의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100)는 커넥터(10), 캡(20) 및 튜브(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100)는 커넥터(10)에 연결되는 에어 펌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100)에 있어서, 튜브들(30)은 커넥터(10)의 각 측면에 연결되며, 캡(20)은 커넥터(10)의 원형 홈(14)에 회전 결합된다.
자세하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본체(10a)와 상기 본체(10a)의 각 측면에 배치된 공기주입구(10b)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a) 및 공기주입구(10b)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내부 공간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커넥터(10)는, 예를 들어, 몰드 공정을 통해 합성수지, 즉,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커넥터(10)는 몰드 공정 이외에 다양한 방법들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제작 가능하다.
커넥터(10)는 그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가늘고 긴 복수의 에어 유로들(12)을 포함한다. 이때, 에어 유로(12)는 본체(10a)의 중앙부로부터 각 공기주입구(10b)의 단부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의 에어 유로(12)는 각 공기주입구들(10b)의 단부까지 두 개씩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여덟 개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에어 유로(12)는 본체(10a)의 중앙부로부터 각 공기주입구(10b)의 단부로 한 개씩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세 개씩 또는 네 개씩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10)는 그의 본체(10a) 상면에 에어 유로들(12)의 일단을 모두 노출하도록 형성된 원형 홈(14) 및 본체(10a) 상면의 일측 부분에 원형 홈(14)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에어 공급 홀(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원형 홈(14)의 깊이는 에어 유로(12)의 일단에 도달하는 깊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에어 유로들(12)은 그의 일단들이 원형 홈(14)의 저면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 홈(14)은 캡(20)과의 회전 체결을 위해 그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에어 공급 홀(16)의 경우, 그 형성 위치 및 구조가 제한되지 않으며,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형 홈(14)과 연통되는 범위에서 커넥터(12)의 상면에 다양한 위치 및 구조로 형성 가능하다. 아울러, 에어 공급 홀(16)은 그 형성 개수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에어 공급 홀(16)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커넥터(10)의 본체(10a)가 아닌, 캡(2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에어 공급 홀(16)이 캡(20)에 형성되는 경우, 캡(20)은 구조적으로 에어 주입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에어 배출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은 에어 유로들(12)을 통해 에어가 유입 및 배출되는 것을 개방 및 차폐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커넥터(10)의 원형 홈(14)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캡(20)은 커넥터(10)의 원형 홈(14)에 삽입되는 체결부(22) 및 사용자가 상기 체결부(2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커넥터(10)의 상면 측으로 체결부(22) 상에 배치되는 조작부(24)를 포함하며, 체결부(22) 및 조작부(24)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22)는 원형 홈(14)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면서 그 외측면에 원형 홈(14)의 내측면에 마련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20)은 에어 유로들(12)의 일단이 배열된 원형 홈(14)의 저면과 맞닿는 체결부(22) 면에 설치된 고무 패킹(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무 패킹(26)에 의해 원형 홈(14)의 저면에 체결부(22)가 완전 밀착되도록 만듦으로써 캡(20)에 의한 에어 유로들(12)의 일단이 완전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2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원형 홈(14)에 그의 체결부(22)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원형 홈(14)의 저면과 맞닿도록 함으로써 에어 유로(12)의 일단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에어 유로(12) 내부로의 에어 유입 및 튜브(30)를 포함한 커넥터(10) 외부로의 에어 배출을 차폐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은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원형 홈(14)의 저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됨으로써 에어 유로들(12)의 일단을 개방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에어 유로들(12)로의 에어 유입 및 에어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 유로들(12)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2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에어 유로들(12)의 개폐는 위에서 설명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튜브(30)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밀폐된 기다란 폴대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특히, 돌돌 말릴 수 있으면서 쉽게 터지지 않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튜브(30)는 커넥터(10)의 본체(10a) 측면에 배치된 각 공기주입구(10b)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각 공기주입구(10b)로 연장하는 두 개씩의 에어 유로들(12)의 타단들과 각각 연결되게 두 개로 분기된 형태를 갖는다. 즉, 튜브(30)는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폴대 형상을 갖되, 커넥터(10)의 공기주입구(10b)와 결합되는 연결부(32) 및 연결부(32)로부터 분기되어 연장하는 두 개의 분기부들(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2) 및 분기부들(34)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연결부(32)는 공기주입구(10b)의 일부분에 끼워지고, 분기부들(34)은 공기주입구(10b)의 단부까지 연장된 에어 유로들(12)의 타단들과 서로 대응하여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10)의 에어 공급 홀(16)을 통해 원형 홈(14) 내에 공급되는 에어는 각 에어 유로들(12)을 통해 대응하는 튜브(30)의 각 분기부(34)에 유입되며, 이를 통해, 커넥터(10)의 각 공기주입구(10b)에 연결된 튜브들(30)은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커넥터(10)의 각 측면들로부터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가 유입된 튜브(30)는 그 재질이 무엇이냐에 따라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자동차 타이어나 축구공과 같이 에어를 감싸는 재질이 고무 또는 피혁 등일 때, 튜브(30)는 큰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튜브형 에어 폴대(100)의 경우, 외피(30a)와 상기 외피(30a) 내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에어가 유입되는 내피(30b)로 구성하며, 외피(30a)의 경우는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고무 또는 피혁 등으로 구성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천 재질로 구성하고, 내부(30b)는 비닐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알루미늄 폴대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강도를 가지고 폴대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튜브(30)의 내피(30b)에 에어가 유입되는바, 그 부피가 팽창하다가 외피(30a)와 접하게 되면 더 이상 부피 팽창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100)에서의 튜브(30)는 과도한 에어 유입에 의한 터짐 불량은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10)의 각 측면에 배치된 공기주입구들(10b)로 두 개씩의 에어 유로들(12)이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튜브(30)는 두 개의 분기부(34)를 갖도록 형성되었지만, 에어 유로들(12)이 커넥터(10)의 각 측면으로 한 개씩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튜브(30)는 분기됨이 없이 하나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 유로들(12)이 커넥터(10)의 각 측면으로 세 개씩 또는 네 개씩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튜브(30) 또한 이에 대응하여 세 개 또는 네 개로 분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튜브(30)가 두 개로 분기됨에 따라, 분기된 어느 하나가 찢어질지라도 나머지 하나가 그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충분히 폴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튜브(30)는 그 내부에 에어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돌돌 말린 형상으로 보관하였다가, 그 내부에 에어 유입을 통해 폴대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튜브(30)는 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그 무게는 종래의 그것보다 현저하게 가벼우며, 특히, 에어 유입 전에는 돌돌 말린 형태로 보관 및 운반하였다가 에어 유입을 통해 폴대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그 부피를 종래의 그것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를 감싸는 튜브(30)의 재질을 적절하게 선택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튜브(30)가 폴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튜브(30)는 커넥터(10)와 분리되면, 그 내부에 유입된 에어가 그 밖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해변용 튜브들 및 응원용 막대 튜브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폴대용 튜브(30) 또한 그 내부에 유입된 에어가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일부 잔존함으로써, 돌돌 말게 되면, 그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보관상에 문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튜브(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2)를 포함한 각 분기부(34) 내에, 더욱 자세하게는, 튜브(30)의 내피(30b) 내에 에어 출대(36)를 삽입 배치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출대(36)는 납작하게 누른 빨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측면에 복수의 홀(h)들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튜브(30)의 내피(30b) 내에 에어 출대(36)를 삽입 배치하는 경우, 튜브(30) 내에 유입된 에어는 튜브(30)를 돌돌 마는 과정에서 에어 출대(36)의 홀(h)들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후, 개방된 단부쪽을 통해 튜브(30)의 밖으로 완전히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100)에 있어서의 튜브(30)는 그 내부에 유입된 에어를 완전히 빼낼 수 있으므로, 커넥터(10)와의 분리 후에 보관 및 운반을 위해 돌돌 마는 과정에서 에어로 인한 부피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100)는, 이후에 설명하겠지만, 커넥터(10)의 상면 일측에 마련된 에어 공급 홀(1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에어 펌프(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펌프(200)는 수동식 및 자동식으로 구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동식 에어 펌프는 자전거 바퀴에 에어를 공급하는 수동식 펌프, 또는, 손의 누름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수동식 펌프 등을 들 수 있으며, 자동식 에어 펌프는 CO2 가스 주입기나 에어 콤프레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에어 공급 홀(16)이 커텍터(10)의 상면 일측에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상기 에어 공급 홀(16)은 캡(20)에도 설치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캡(20)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에어 유입 및 배출이 차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고안의 튜브형 에어 폴대의 에어 공급 홀에 에어 펌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커넥터(10)의 원형 홈에 캡(20)의 일부만을 우선 체결한 상태에서, 커넥터(10)의 측면들에 배치된 각 공기주입구에 각각 튜브(30)를 연결한다. 이때, 튜브(30)의 연결부(32)를 공기주입구에 끼우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주입구의 단부로 연장된 에어 유로는 튜브(30)의 분기부와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캡(20)은 튜브(30)의 연결 전에 체결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 커넥터(10)의 에어 공급 홀에 에어 펌프(40)를 연결한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에어 펌프(40)를 손의 누름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수동식 에어 펌프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CO2 가스 또는 에어 콤프레서 등의 자동식 에어 펌프의 적용도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캡(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커넥터(10)의 내부에 마련된 에어 홀들의 일단을 개방해주고, 이 상태에서, 에어 펌프(40)의 조작을 통해 에어 유로들로 에어를 주입하며, 이를 통해, 커넥터(10)의 각 공기주입구에 연결된 튜브들(30)에 에어를 유입시킨다.
이 과정을 진행하여 각 튜브(30)에 충분한 양의 에어가 유입된 것으로 파악되면, 캡(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의 체결부에 설치된 고무 패킹이 커넥터(10)의 원형 홈의 저면, 즉, 에어 유로들의 일단과 맞닿도록 만들고, 이를 통해, 더 이상의 에어 유로들로의 에어 유입 및 에어 유로들 밖으로의 에어 배출이 차폐되도록 만든다.
그 다음, 커넥터(10)로부터 에어 펌프(40)를 제거한 상태에서, 커넥터(10)를 중심으로 에어 유입이 이루어진 튜브들(30)이 십자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물의 외측에 방수 천(110)을 씌운다. 이때, 방수 천(110)이 내부 공간을 갖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에어가 유입된 튜브들(30)은 방수 천(110)의 형상을 따라 약간 변형되며, 이 결과로서, 텐트가 설치된다.
이후, 텐트 사용이 완료되면, 대체로 전술한 설치 순서의 역순으로 커넥터(10)로부터 캡(20) 및 튜브(30)를 분리해낸 후, 튜브(30)에 유입된 에어를 완전히 빼냄과 동시에 돌돌 말아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에어 폴대(100)를 보관한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0: 커넥터 10a: 본체
10b: 공기주입구 12: 에어 유로
14: 원형 홈 16: 에어 공급 홀
20: 캡 22: 체결부
24: 조작부 26: 고무 패킹
30: 튜브 30a: 외피
36b: 내피 32: 연결부
34: 분기부 38: 에어 출대
40: 펌프 100: 튜브형 에어 폴대
110: 방수 천

Claims (5)

  1.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각 측면에 배치된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중앙부 내부로부터 공기주입구들 내부로 두 개씩 연장하도록 에어 유로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상면에는 상기 에어 유로들의 일단들을 노출하는 원형 홈과, 상기 원형 홈과 연통하는 에어 공급 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공기주입구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기되어 연장하는 두 개의 분기부들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주입구로부터 공급된 에어가 상기 분기부들의 내부에 주입되어 폴대 형상을 이루되, 외피와, 상기 외피 내에 배치되고 에어가 유입되는 내피와, 상기 내피 내에 에어 배출을 위해 삽입되고 측면에 복수의 홀을 구비한 납작한 빨대 모양을 갖는 에어 출대를 포함하는 다수의 튜브;
    상기 본체의 원형 홈에 체결되어 반시계 및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에어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되, 상기 본체의 원형 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사용자가 상기 체결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 측으로 체결부 상에 배치되는 조작부와, 상기 원형 홈의 저면과 맞닿은 체결부 면에 설치된 고무 패킹을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커넥터의 상면 일측에 마련된 에어 공급 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 를 포함하되,
    상기 외피는 고무, 피혁 또는 천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 내에 유입된 에어는 상기 튜브를 둘둘 마는 과정에서 상기 에어 출대의 홀들을 통해 상기 에어 출대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에어 출대의 개방된 단부쪽을 통해 상기 튜브의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에어 폴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7451U 2014-10-14 2014-10-14 튜브형 에어 폴대 KR200480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51U KR200480022Y1 (ko) 2014-10-14 2014-10-14 튜브형 에어 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51U KR200480022Y1 (ko) 2014-10-14 2014-10-14 튜브형 에어 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22Y1 true KR200480022Y1 (ko) 2016-04-04

Family

ID=5579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451U KR200480022Y1 (ko) 2014-10-14 2014-10-14 튜브형 에어 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94A (ko) * 2020-12-24 2022-07-01 김영하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WO2023171836A1 (ko) * 2022-03-10 2023-09-14 김영하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020B1 (ko) * 1996-09-21 1999-10-15 배찬원 공간 밀폐용 분할판이 있는 튜브 및 공기주입장치
KR200304826Y1 (ko) * 2002-11-14 2003-02-19 김종육 에어방식의 모기장 겸용 텐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020B1 (ko) * 1996-09-21 1999-10-15 배찬원 공간 밀폐용 분할판이 있는 튜브 및 공기주입장치
KR200304826Y1 (ko) * 2002-11-14 2003-02-19 김종육 에어방식의 모기장 겸용 텐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94A (ko) * 2020-12-24 2022-07-01 김영하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KR102515647B1 (ko) * 2020-12-24 2023-03-29 김영하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WO2023171836A1 (ko) * 2022-03-10 2023-09-14 김영하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4714B1 (en) Water shutoff and discharge control apparatus for sprinklers
BR102015028223A2 (pt) Cabeça de aspersão multifunção
US8695635B1 (en) Mixing valve device switchable to different outlet
KR200480022Y1 (ko) 튜브형 에어 폴대
JP2009505827A (ja) 逆浸透濾過システム保管タンク
CN103140635A (zh) 带净水功能的水龙头
US20080223449A1 (en) Valve for an inflatable product
US20180038127A1 (en) Protective Device, in Particular a Tent or Marquee, and Connection Device Therefor
US20060266416A1 (en) Self-locking inflation valve
CN108930142A (zh) 一种洗涤添加剂盒及洗衣机
KR20210031817A (ko) 자동차 타이어 밸브와 공기 압축기 호스 커넥터 결합의 분출 방지 구조
US20070029516A1 (en) Self locking air nozzle
KR100952995B1 (ko) 자동 공기주입장치
KR101279006B1 (ko) 에어 텐트
KR102371928B1 (ko) 차량용 공기 압축기의 직렬 연결 호스의 분출 방지 커넥터 구조
JP6559360B2 (ja) ボトル・キャップ及びボトル・キャップの使用方法
TWI632294B (zh) 具儲氣筒的打氣裝置
US20070275633A1 (en) Inflatable Toy
KR101299415B1 (ko) 유로 자동선택형 자전거 공기주입장치
KR20150114203A (ko) 서핑 보드의 강성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서핑 보드
US6626208B2 (en) Check valve for use in a pressure balance faucet
JP2008272028A (ja) ボール玩具
KR200481745Y1 (ko) 별도의 공기 배출부가 구비된 물놀이 튜브
US8936721B2 (en) Unitary filter tank and an underdrain for filtering a body of water
JP6929428B2 (ja) タイヤのエアーノズル及び空気圧縮機のフレキシブル管コネクタに結合される逆流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