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006B1 - 에어 텐트 - Google Patents

에어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006B1
KR101279006B1 KR1020130000556A KR20130000556A KR101279006B1 KR 101279006 B1 KR101279006 B1 KR 101279006B1 KR 1020130000556 A KR1020130000556 A KR 1020130000556A KR 20130000556 A KR20130000556 A KR 20130000556A KR 101279006 B1 KR101279006 B1 KR 101279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les
pole
reinforcement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아웃도어
이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아웃도어, 이석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아웃도어
Priority to KR102013000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1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with or without tent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를 지지하는 폴대를 에어 주입이 가능한 복수의 지주폴대와 복수의 보강폴대로 제작하여 적은 인원으로도 텐트의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복수의 지주폴대와 복수의 보강폴대 중 어느 한 곳의 파손으로 인해 텐트 전체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며, 텐트의 화재시에는 폴대에 주입된 에어에 의해 진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어 텐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텐트{AIR TENT}
본 발명은 에어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를 지지하는 폴대를 에어 주입이 가능한 복수의 지주폴대와 복수의 보강폴대로 제작하여 적은 인원으로도 텐트의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복수의 지주폴대와 복수의 보강폴대 중 어느 한 곳의 파손으로 인해 텐트 전체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며, 텐트의 화재시에는 폴대에 주입된 에어에 의해 진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어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방수성을 갖는 천을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한 다음 재봉 등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적절한 크기로 접을 수 있도록 하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공간에 사용자가 들어가 침식 등을 할 수 있도록 되는 이동식 하우스로서 특히 레저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텐트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텐트 구조물과 함께 이 텐트 구조물의 외부에 덧씌워지는 천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텐트는 텐트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폴대를 서로 연결하여 텐트를 형성함으로써 그 조립 및 취급이 매우 불편하고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된 텐트를 해체하기 위하여 상술한 설치과정을 역으로 수행하고, 해체된 텐트의 구조물을 다음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정리과정을 수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텐트는 천의 무게와 폴대 등의 무게로 인하여 전체적인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운반 및 보관에 많은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텐트를 지지하는 폴대를 에어 주입이 가능한 복수의 지주폴대와 복수의 보강폴대로 제작하여 적은 인원으로도 텐트의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복수의 지주폴대와 복수의 보강폴대 중 어느 한 곳의 파손으로 인해 텐트 전체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며, 텐트의 화재시에는 폴대에 주입된 에어에 의해 진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어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지주폴대와 복수의 보강폴대 중 어느 한 곳의 튜브 파손 시, 복수의 지주폴대 또는 복수의 보강폴대 전체를 교환할 필요 없이 외측커버 및 내측커버로부터 간편하게 파손된 튜브만을 분리한 후, 교체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어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펼쳐져 그 바닥부와의 사이로 공간부를 형성하며, 전,후면을 가지는 상층부를 포함하는 텐트부; 내측으로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상층부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며, 그 상층부의 전,후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폴대; 내측으로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상층부를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며, 서로 대향되는 상기 지주폴대와 지주폴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폴대; 및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와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 또는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측으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출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각각, 일단부가 상기 지주폴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강폴대에 연결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며, 그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지주폴대와 상기 보강폴대가 상호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주폴대 및 상기 보강폴대는, 에어가 저장되는 튜브;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잠금수단에 의해 내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튜브를 감싸는 내측커버; 및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잠금수단에 의해 내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커버를 감싸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어출입부는, 양단부가 개구되며, 상기 지주폴대 또는 상기 보강폴대와 연통되는 체결부재;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면에는 복수의 에어구멍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개구되고, 일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소켓; 개구된 상기 소켓의 타단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소켓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에어구멍을 막는 가림막을 포함하되, 상기 가림막은, 상기 소켓으로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텐트를 지지하는 폴대를 에어주입이 가능한 에어폴대로 제작함으로써 적은 인원으로도 텐트의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트를 지지하는 폴대의 어느 한 부분이 파손되더라도 텐트 전체가 무너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텐트의 화재시에는 폴대에 주입된 에어에 의해 진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지주폴대의 내,외측커버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보강폴대의 내,외측커버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지주폴대 및 보강폴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에어 출입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에어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지주폴대의 내,외측커버 및 보강폴대의 내,외측커버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지주폴대 및 보강폴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에어 출입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에서 에어공급부를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1)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로부터 상방향으로 펼쳐져 그 바닥부(11)와의 사이로 공간부(12)를 형성하며, 전,후면을 가지는 상층부(13)를 포함하는 텐트부(10), 내측으로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바닥부(11)로부터 상기 상층부(13)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폴대(20,21), 내측으로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상층부(13)를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며, 서로 대향되는 상기 지주폴대(20)와 지주폴대(2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폴대(30) 및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와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텐트부(1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11)는 상기 에어 텐트(1)가 설치되는 실외 지면이나, 실내 바닥 등에 안착되어 상기 공간부(11)의 바닥면을 이룬다.
상기 상층부(13)는 상기 바닥부(11)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결되어 그 바닥부(11)로부터 상방향으로 펼쳐져 상기 공간부(12)의 천장이나, 벽을 이룬다.
상기 상층부(13)에는 상기 공간부(12)로의 출입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전면에 출입구(14)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공기나, 빛 등이 상기 공간부(12)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충창(1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는 양단부가 상기 바닥부(11)의 양측에 위치되고 중앙부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마치 아치형태를 이루며, 상기 출입구(14)가 형성되는 상기 상층부(13)의 전면으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상기 상층부(13)의 전,후방부 및 중앙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는 상기 지주폴대(20)와 상기 지주폴대(21)가 상기 출입구(14)가 형성되는 상기 상층부(13)의 전면으로부터 그 상층부(13)의 후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는 지주폴대(20)와 지주폴대(21)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는 상기 상층부(13)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에 배치되어 그 지주폴대(20,21)와 교차되는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보강폴대(30)는 상기 상층부(13)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를 중심으로 그 중앙부의 양측에도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는 상기 상층부(13)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팽창되거나, 내부의 에어가 배출되어 수축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는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튜브(22,31), 상기 튜브(22,31)의 외측에 위치되어 그 튜브(22,31)를 보호하는 내측커버(23,32)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22,31)는 신축성을 가지는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내측커버(23,32)에 압착된다.
상기 내측커버(23,32)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 등의 잠금수단(70)에 의해 내부가 개폐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내측커버(23,32)는 상기 튜브(22,31)의 팽창을 차단하는 형태를 이루며, 신축성을 가지지 않거나, 신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에어 텐트(1)는 상기 내측커버(23,32)를 덮는 외측커버(2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커버(24,33)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내측커버(23,32)를 덮는 한편, 에어에 의해 팽창되는 상기 튜브(22,31)의 팽창을 상기 내측커버(23,32)와 함께 2중으로 차단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외측커버(24,33)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으로 상기 튜브(22,31) 및 상기 내측커버(23,32)가 수용되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 등의 잠금수단(70)에 의해 내부가 개폐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외측커버(24,33)는 봉제 등에 의해 상기 상층부(13)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텐트부(10)의 표면을 이루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연결부(40)는 각각 일단부가 상기 지주폴대(20,2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강폴대(30)에 연결되는 연결관(41) 및 상기 연결관(41)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지주폴대(20,21)와 상기 보강폴대(30)가 상호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밸브(4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41)은 상기 지주폴대(20,21)에 구비되는 튜브(22)와 상기 보강폴대(30)에 구비되는 튜브(31)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개폐밸브(42)는 일반적인 형태의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며, 상 지주폴대(20,21)와 상기 보강폴대(30)가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개폐밸브(42)는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와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로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에어의 공급이 더 이상 필요 없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밸브(42)를 잠금하여 지주폴대(20,21)와 보강폴대(30)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이는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와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 중 어느 한 곳의 파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와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에 주입된 에어가 동시에 배출되면서 상기 텐트부(10)가 무너져내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폐밸브(42)는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와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 중 어느 한 곳의 파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와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에 주입된 에어가 동시에 배출되면서 상기 텐트부(10)가 무너져내리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에어 텐트(1)는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와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 중 어느 한 곳이 파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곳에서는 에어가 배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텐트부(10)가 무너져내리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에어 텐트(1)는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와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 중 어느 한 곳의 튜브(21,31) 파손 시,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또는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 전체를 교환할 필요 없이 상기 외측커버(24,33) 및 상기 내측커버(23,32)로부터 간편하게 파손된 튜브(21,31)만을 분리한 후, 교체 설치할 수 있으므로 분리,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한편,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또는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측으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출입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출입부(50)는 상기 보강폴대(3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지주폴대(20,21)에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출입부(50)는 양단부가 개구되며, 상기 내,외측커버(23,24)를 관통하여 상기 튜브(22)의 내측과 연통되는 체결부재(51),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면에는 복수의 에어구멍(53)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개구되고 일단부가 상기 체결부재(51)와 나사결합되는 소켓(52), 개구된 상기 소켓(52)의 타단부를 개폐하는 뚜껑(54) 및 상기 소켓(52)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에어구멍(53)을 막는 가림막(55)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5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22) 및 상기 내,외측커버(23,24)에 고정된다.
상기 소켓(52)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51)와 분리 후, 외부로 이탈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별도의 다른 연결고리(56)에 의해 상기 상층부(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림막(55)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52)의 타단부로 공급되는 에어가 상기 복수의 에어구멍(53)을 통과하면서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로 더 이상의 에어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복수의 에어구멍(53)을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뚜껑(54)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부로 이탈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별도의 다른 연결부재(57)에 의해 상기 소켓(52)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에어텐트(1)는 상기 상층부(13)를 상방향으로 펼치는 경우, 상기 뚜껑(54)을 열어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상층부(13)를 하방향으로 가라앉히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51)로부터 상기 소켓(52)을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에 공급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에어 텐트(1)는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부(60)는 에어저장통(61)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작레버(62)를 구비하는 에어공급장치(6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는, 상기 에어공급부(60)는 상기 지주폴대(20,21)의 양측 하부 중 어느 한 곳에 위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저장통(61)에 저장되는 에어는 이산화탄소(CO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나,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로는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어 채워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에어저장통(61)은 상기 에어 텐트(1)의 설치시, 상기 조작레버(62)의 당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나,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로 에어를 공급하며, 1회 사용 후에는 다른 에어저장통으로 교체된다. 즉, 상기 에어저장통(61)은 상기 에어 텐트(1)의 설치에 사용된 후에는 재설치시 다른 에어저장통으로 교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에어 텐트(1)는 텐트 설치시, 상기 에어공급부(60)의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재설치시에는 상기 에어저장통(61)을 다른 에어저장통으로 교체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재시 복수의 지주폴대(20,21) 및 복수의 보강폴대(30)가 터지면서 그 내부에 수용된 이산화탄소(CO2)에 의해 진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에어 텐트(1)는 텐트 설치시, 상기 에어공급부(60)에 구비되는 조작레버(62)를 당겨 상기 에어저장통(61)에 저장된 에어가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나,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는, 상기 개폐밸브(42)는 개방된 상태 그리고, 상기 에어출입부(50)는 닫힌 상태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는 에어가 공급되면서 점진적으로 팽창되어 상기 상층부(13)를 상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며, 상기 텐트부(10)는 상기 상층부(13)가 상방향으로 펼쳐지면서 내측으로 상기 공간부(1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로 에어의 공급이 더 이상 필요 없는 경우 상기 개폐밸브(42)를 잠금하여 지주폴대(20,21)와 보강폴대(30)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에어 텐트(1)는 텐트 해체시, 상기 개폐밸브(42)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출입부(50)를 개방하여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20,21)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30)에 수용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로 인해, 상기 에어 텐트(1)는 텐트의 설치 및 해체를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텐트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 텐트 10 : 텐트부
11 : 바닥부 12 : 공간부
13 : 상층부 20,21 : 지주폴대
22 : 튜브 23 : 내측커버
24 : 외측커버 30 : 보강폴대
31 : 튜브 32 : 내측커버
33 : 외측커버 40 : 연결부
41 : 연결관 42 : 개폐밸브
50 : 에어출입부 51 : 체결부재
52 : 소켓 53 : 에어구멍
54 : 뚜껑 55 : 가림막
60 : 에어공급부 61 : 에어저장통
62 : 조작레버 63 : 에어공급장치
70 : 잠금수단

Claims (5)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펼쳐져 그 바닥부와의 사이로 공간부를 형성하며, 전,후면을 가지는 상층부를 포함하는 텐트부;
    내측으로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상층부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며, 그 상층부의 전,후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폴대;
    내측으로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상층부를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며, 서로 대향되는 상기 지주폴대와 지주폴대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폴대; 및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와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 또는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측으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공급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출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각각,
    일단부가 상기 지주폴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강폴대에 연결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며, 그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지주폴대와 상기 보강폴대가 상호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주폴대 및 상기 복수의 보강폴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텐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폴대 및 상기 보강폴대는,
    에어가 저장되는 튜브;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잠금수단에 의해 내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튜브를 감싸는 내측커버; 및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잠금수단에 의해 내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커버를 감싸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텐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출입부는,
    양단부가 개구되며, 상기 지주폴대 또는 상기 보강폴대와 연통되는 체결부재;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면에는 복수의 에어구멍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개구되고, 일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소켓;
    개구된 상기 소켓의 타단부를 개폐하는 뚜껑; 및
    상기 소켓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에어구멍을 막는 가림막을 포함하되,
    상기 가림막은,
    상기 소켓으로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텐트.
KR1020130000556A 2013-01-03 2013-01-03 에어 텐트 KR101279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556A KR101279006B1 (ko) 2013-01-03 2013-01-03 에어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556A KR101279006B1 (ko) 2013-01-03 2013-01-03 에어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006B1 true KR101279006B1 (ko) 2013-07-02

Family

ID=4899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556A KR101279006B1 (ko) 2013-01-03 2013-01-03 에어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0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6143A (zh) * 2015-02-11 2015-05-06 诸法 一种充气支撑件
GB2539726A (en) * 2015-06-23 2016-12-28 Yi Guo A tent and inflatable pipe frame
KR20190113328A (ko) * 2018-03-28 2019-10-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캠핑용 텐트
KR20200109936A (ko) * 2019-03-15 2020-09-23 권수현 다용도 에어돔 하우스용 에어기둥 및 커버체 결합 구조
KR20210002148A (ko) 2019-06-26 2021-01-07 이용원 에어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680A (ko) * 2005-08-08 2007-02-13 권광용 에어 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680A (ko) * 2005-08-08 2007-02-13 권광용 에어 텐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6143A (zh) * 2015-02-11 2015-05-06 诸法 一种充气支撑件
GB2539726A (en) * 2015-06-23 2016-12-28 Yi Guo A tent and inflatable pipe frame
KR20190113328A (ko) * 2018-03-28 2019-10-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캠핑용 텐트
KR102174620B1 (ko) * 2018-03-28 2020-11-05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캠핑용 텐트
KR20200109936A (ko) * 2019-03-15 2020-09-23 권수현 다용도 에어돔 하우스용 에어기둥 및 커버체 결합 구조
KR102188978B1 (ko) * 2019-03-15 2020-12-09 권수현 다용도 에어돔 하우스용 에어기둥 및 커버체 결합 구조
KR20210002148A (ko) 2019-06-26 2021-01-07 이용원 에어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006B1 (ko) 에어 텐트
US5007212A (en) Inflatable shelter
US8156952B2 (en) Portable tent
US6199572B1 (en) Collapsible shelter/tent with frame locking mechanism
KR20180056660A (ko) 공기 프레임 팽창가능 보호처
US4171595A (en) Inflatable hunting blind shelters
US7131236B2 (en) Portable decontamination system
US20020083653A1 (en) Rapidly deployable protective enclosure
US9458641B2 (en) Decontamination shelters with integrated ballast systems
JP2003184349A (ja) エアテント
US9528291B2 (en) Ephemeral architecture device
US8939164B2 (en) Solar shade
CA2784162C (en) Foldable tent
US4129139A (en) Baby gazebo
KR101860751B1 (ko) 에어 주입식 캠핑텐트
JP2020084756A (ja) テント
KR200402728Y1 (ko) 공기 주입식 텐트
AU2017228674A1 (en) Portable inflatable shelter
JP2013253401A (ja) 大規模テント
KR20170061998A (ko) 방한 텐트
KR102008391B1 (ko) 다기능 텐트형 모기장
CN219012135U (zh) 一种充气式帐篷
JP6697375B2 (ja) 収容器
KR200275224Y1 (ko) 자동으로 설치되는 에어텐트
KR20140024730A (ko) 대소 겸용 조립식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