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451Y1 - 공기주입식 물탱크 - Google Patents

공기주입식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451Y1
KR200286451Y1 KR2019990010110U KR19990010110U KR200286451Y1 KR 200286451 Y1 KR200286451 Y1 KR 200286451Y1 KR 2019990010110 U KR2019990010110 U KR 2019990010110U KR 19990010110 U KR19990010110 U KR 19990010110U KR 200286451 Y1 KR200286451 Y1 KR 200286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tank
water
valve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321U (ko
Inventor
이건
Original Assignee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공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0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451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451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설치가능하고 식수나 각종 용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특히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공기주입식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공기주입식 물탱크는 접을 수 있는 방수성 재질을 사용하여 통 모양의 바닥부(2)와 주벽부(3)를 형성하고 개구된 상단 가장자리에 물의 부력을 받도록 공기를 가둘 수 있고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되어 주벽부(3)를 일으켜 세우는 공기튜브(4)를 일체로 형성하여, 그 공기튜브(4)를 팽창시킨 후 물을 채우면 자동적으로 설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설치와 물채우는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많은 인력이 필요치 않으며 또한 별도의 지지기구가 불필요하여 이동이 용이하므로, 그 편리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야전용의 경우에 군 전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주입식 물탱크{AIR INSUFFLATION TYPE WATER TANK}
본 고안은 이동설치가능하고 식수나 각종 용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채워짐에 따라 탱크본체가 자동설치되도록 그 탱크본체의 개구 가장자리에 부력을 받아서 부상하는 공기튜브가 달려 있는 공기주입식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이동설치할 수 있는 물탱크로서 전쟁중이거나 전술 훈련시 군의 급수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야전용 물탱크가 잘 알려져 있다. 야전용 물탱크와 같은 이동설치가능한 물탱크는 군의 급수지원뿐 만 아니라 민생용, 예를 들면 급수시설이 없는 곳에서의 단체 야영을 위한 급수나 가뭄시 식수 또는 농업용수의 비상급수, 그리고 각종 생산공장이나 건설현장은 물론 임시 양어장 등 각종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용수를 저장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야전용 물탱크는 바닥에 깔판을 깔고서 그 위에 탱크본체를 설치한 후 물을 채우도록 되고, 또 탱크본체를 덮개로 씌우게 되어 있다. 탱크본체는 고무판 또는 고무코팅 직물을 사용하여 바닥부와 주벽부로 이루어지며 주벽부 상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이동을 위해 접을 수 있다. 주벽부는 일정간격마다 목지지대를 끼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는 주벽부가 그 목지지대들에 의해 똑바로 지탱되고, 로프(rope)와 펙(peg)을 이용하여 그 주벽부에 끼워진 목지지대들을 고정함으로써 쓰러지지 않게 한 것이다. 또한 주벽부 상단 개구에는 그설치상태에서 탱크본체의 개구가 찌그러져 기우는 일이 없도록 2개의 장간을 교차방향으로 연결하게끔 되어 있다. 한편 덮개는 별도의 로프와 펙을 이용하여 바람에 날려서 벗겨지지 않게 고정하는 것이다.
이동설치할 수 있는 물탱크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당연히 이동과 설치 및 해체의 편리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촉각을 다투어야 하는 야전용인 경우에 군 전력(戰力)의 상실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설치와 그 해체가 요구된다.
이동의 편리를 위해서는 접을 때의 부피가 가능한 작고 가벼워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야전용 물탱크는 그 설치를 위한 여러개의 목지지대와 장간, 로프와 펙 등 부속품이 많을 뿐 아니라, 주벽부가 목지지대를 끼울 수 있는 동시에 팽팽한 로프에 당겨지는 힘에 대항하는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도록 부분적으로 두텁게 제작되어야 하는 등, 이동시의 부피와 무게가 상당하여 그 이동에 용이하지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야전용 물탱크는 목지지대를 끼우고 로프와 펙으로 고정하므로 그 설치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고 그 작업이 매우 번거러워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설치후 사용중에도 로프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수시로 확인 및 조정해 주어야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야전용 물탱크는 설치가 완전히 끝나야만 비로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그 설치에서 물을 채우기까지의 시간은 물론, 그 해체에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목지지대와 로프 및 펙 등 별도의 지지기구의 사용을 배제하고, 그 대신 탱크본체의 개구에 공기튜브를 달아서 탱크본체를 바닥에펼쳐 놓은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한 후 물을 채우면 수위가 높아지는데 따라서 공기튜브가 부상하고 이에 의해 주벽부를 세워지면서 자동적으로 설치되어 많은 인력이 필요치 않으며, 보다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공기주입식 물탱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주입식 물탱크를 설치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주입식 물탱크의 설치 및 사용상태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주입식 물탱크의 설치 및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주입식 물탱크에 형성된 공기튜브를 다실로 구획하고 거기에 맞은 다실 제어형 공기주입밸브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주입밸브의 주요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물탱크 2 : 바닥부
3 : 주벽부 4 : 공기튜브
4a,4b : 기실 8 : 덮개
11,11' : 펌프식 공기주입밸브 12 : 압력식 공기주입밸브
14 : 취수호스 15 : 호스고정끈
17 : 부낭 19 : 깔판
20 : 격벽 21 : 공기관
22 : 다실제어형 공기주입밸브 23 : 밸브몸체
24 : 내측밸브 25 : 외측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접을 수 있는 방수성 재질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통 모양으로 상단이 개구된 바닥부와 주벽부로 이루어지고, 개구된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물의 부력을 받도록 공기를 가둘 수 있게 되고 바닥부와 주벽부 내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되어 그 주벽부를 일으켜 세우게 된 공기튜브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물탱크를 구성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탱크본체의 개구를 덮기 위해 씌우는 덮개를 고정하는 데에도 별도의 로프나 펙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탱크본체와 그 덮개의 가장자리에 연결끈 및 연결고리를 일체로 달아서 직접 연결고정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덮개 위에 물이 고이거나 이물질이 쌓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그 내측면 가운데에 공기주머니를 달아주거나 일체로 형성하여 그 공기주머니가 내부에 채워진 물에 부상하여 덮개의 가운데 부분이 위로 볼록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기튜브의 내부를 적당한 간격으로 구획하여 각기 독립적으로 공기를 가둘 수 있는 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함으로써 어느 한 영역이 구멍난 경우에도 그 설치 또는 사용을 중단하지 않고 그 설치 또는 사용 상태를 유지하면서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물탱크 전체가 그 설치과정이나 설치완료후에 잘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안정감을 높이기 위해 개구 및 공기튜브를 환형으로 하고 바닥부를 그 개구보다 넓게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주입식 물탱크는 탱크본체를 바닥에 펼쳐놓은 상태에서 공기튜브에 공기를 주입한 다음에, 또는 그와 동시에 물을 채우면 채워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공기가 주입된 공기튜브가 부상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벽부가 기립되어 자동설치되어진다. 즉, 탱크본체를 펼치고 공기를 주입하는 일 외에 주벽부를 세워주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작업이 간단하여 많은 인력이 필요치 않은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주입식 물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설치(사용)상태에서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주입식 물탱크를 설치상태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덮개를 포함한 그 설치 및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그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물탱크 전체를 가리킨다. 물탱크(1)는 위생처리된 고무코팅 직물로 제작한 것으로, 바닥부(2)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바닥부(2)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주벽부(3)를 일체적으로 연장시켜서 그 주벽부(3)가 도 2에서와 같이 기립된 상태에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원통 모양을 이루도록 하는 한편, 주벽부(3)의 상단에는 공기(또는 가스)를 주입시 그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서 대체로 환형으로 팽창되어 저장된 물(부호 생략됨)에 부력을 받도록 한 공기튜브(4)를 일체로 형성하여 그 공기튜브(4)가 저장된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부상하게 되는데 따라서 주벽부(3)를 기립되어 물탱크의 자세를 갖출 수 있게 하였다. 한편, 물탱크(1)의 전체적인 안정감을 위하여 바닥부(2)를 개구측 공기튜브(4)의 직경보다 크게 하고 주벽부(3)가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하였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1)의 설치과정은, 먼저 물탱크(1)를 설치할 장소의 땅바닥에 깔판(19)을 깔고, 그 위에 물탱크(1)의 바닥부(2)를 넓게 펼쳐놓는다. 그런 다음, 공기튜브(4)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켜놓고, 물탱크(1)에 물을 채우는 것이다. 그러면 팽창된 공기튜브(4)는 그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력을 받아서 점차 상승되어지며, 이때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튜브(4)가 물에 부상되어 상승하는데 따라서 물탱크(1)의 주벽부(3)가 서서히 기립하게 된다. 물이 다 채워지면 도 3에 실선도시와 같이 주벽부(3)가 완전히 기립하게 되어 그 설치가 자동적으로 완료된다. 즉, 물탱크(1)의 설치작업과 동시에 물을 채울 수 있어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물탱크의 설치 및 사용환경을 감안하여 그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물탱크(1)의 바닥부(2)에는 설치 초기에 펼치기 좋게 잡아당길 수 있고 또 그 펼치기 전후에 위치를 옮기고자 할 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5)를 사방에 달아주고, 그 바닥부(2)와 주벽부(3)가 접하는 부분의 한 곳 또는 두 곳에 저장된 물의 급수를 위한 급수호스(6)를 연결하거나 또는 해체시 배수시킬 수 있게 개폐할 수 있는 급수구(7)를 양방향으로 두 개 설치하며, 물탱크(1) 주벽부(3)의 개구측 외주면에는 그 위에 씌워지는 덮개(8)를 걸어서 연결할 수 있는연결고리(9)를 일정간격으로 달아주고, 그 일측에 설치와 해체시 필요한 공구나 응급조치를 위한 접착제 등의 소모품을 보관하여 필요시 꺼내 쓸 수 있게 한 공구주머니(10)를 일체로 부착하였다. 그리고 물탱크(1)의 공기튜브(4)에는 별도의 공기펌프를 연결할 수 있는 펌프식 공기주입밸브(11)와 함께 공기나 가스(예: CO2)가 압축저장된 가스통을 연결하여 간단히 공기나 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 압력식 공기주입밸브(12)를 설치하여 편리하고 및 신속하게 공기나 가스를 주입하고 배기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 공기나 가스 주입시의 과다팽창을 방지하기 위해 그 압력을 조절하는 안전밸브(13)를 설치하였다. 또한 물 저장을 위해 도시하지 않은 양수기 등 물 공급원으로부터 배관되는 취수호스(14)를 탈락되지 않게 묶어서 고정시켜 놓을 수 있는 호스고정끈(15)을 달아주었다.
물탱크(1)에 씌워진 덮개(8)는 비닐 또는 방수코팅된 직물을 사용한 것으로 공기튜브(4)가 공기주입에 의해 팽창되었을 때 그 내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하였으며, 바람에 날려 벗겨지는 일이 없도록 그 가장자리에 상기 연결고리(9)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걸쇠(16)을 달아주었다. 그리고 덮개(8) 내측에는 물탱크(1)에 저장된 물 위에 떠서 덮개(8)를 우산형으로 받쳐주기 위해 공기가 주입되는 부낭(17)을 설치하였다. 즉,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물탱크(1)의 공기튜브(4)가 오르락 내리락하더라도 덮개(8)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덮개(8)를 위로 볼록한 우산형으로 받쳐줌으로써 그 위에 떨어지는 물이 고이거나 이물질이 쌓이고 물탱크(1) 내부로 유입되어 물이 오염되는 일이 없게끔 한 것이다. 부낭(17)은 펌프식 공기밸브(11')를 달아서 설치시 공기를 주입하고 휴대 및 보관시 배기할 수 있게 하였으며, 고정줄(18)을 이용하여 덮개(8)에 매달았다.
상기 물탱크(1)의 각부와 공기튜브(4) 및 덮개(8)에 부속된 각 부품들은 통상적인 것을 사용하거나 구조가 간단한 것들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다음, 물탱크(1)의 주벽부(3) 개구 상단에 형성되는 공기튜브(4)의 바람직한 구조로서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공기튜브(4) 내면에 격벽(20)을 둘 또는 그 이상을 간격을 두고 기밀하게 접착하여 그 내부를 두개의 기실(4a,4b)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하여 그 둘 이상의 기실(4a,4b) 각각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물탱크를 설치하거나 사용하는 도중에 어느 한 기실에 펑크(puncture)가 나더라도 나머지 기실로 그 설치 또는 사용 상태를 유지하면서 응급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두 개의 기실(4a,4b) 사이를 가로막는 격벽(20)에는 일측 기실(4a)로부터 타측 기실(4b)로 공기관(21)을 기밀하게 관통시키고 그 일측 기실(4a)에 다실 제어형 공기주입밸브(22)를 설치하여 공기관(21)과 연결함으로써 양측 기실(4a,4b)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하였다.
다실 제어형 공기주입밸브(22)는 도 3에 함께 도시된 종단면도와 도 4에 도시된 횡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밸브몸체(23)와 내측밸브(24) 및 외측밸브(25)로 이루어진다.
밸브몸체(23)는 공기튜브(4)의 일측 기실(4a) 벽면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여 그 내측면에 접하는 플랜지부(23a)와 이 플랜지부(23a) 위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나사부(23b)가 형성되어 있어 플랜지부(23a)와의 사이에 공기튜브(4)의일측 기실(4a) 벽부를 사이에 두고 체결되는 고정너트(31)와 와셔(32)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며, 기실(4a)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두 개의 공기주입구(23c,23d) 및 그중 한 공기주입구(23d)에 형성되어 타측 기실(4b)로 향하는 공기관(21)이 연결되는 노즐(23e)을 가진다.
내측밸브(24)는 밸브몸체(23) 내에 삽입된 채 회전가능한 것으로, 스터드볼트(33)와 스프링(34)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으면서 그 회전이 가능하고 또 기밀한 상태로 밸브몸체(23)와 결합되고, 또한 그 상단에 회전조작을 위한 핸들(35)과 결합되며, 밸브몸체(23)의 공기주입구(23c,23d)와 대응하는 위치에 뚫린 통기구(24a,24b) 및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4c)를 가진다.
외측밸브(25)는 내측밸브(24)의 암나사부(24c)에 체결되는 수나사부(25a)와 밸브마개(28)용 수나사부(25b) 및 내측에 형성된 밸브시이트(25c)를 가지며, 이 밸브시이트(25c)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압력을 받아서 배기되지 않게 차단하는 흡기막(26)을 보유한다. 그리고 흡기막(26)에는 조립시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용 핀(27)이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미설명된 부호 29는 밸브마개(31)를 도망못가게 매달은 연결끈이고, 36은 내측밸브(24)에 결합된 핸들(35)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링, 37은 내외측밸브(24,25)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패킹링, 38은 외측밸브(25)와 밸브마개(28)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개스킷, 그리고 39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끼워지는 어댑터(40)와의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패킹링이다.
상기와 같은 다실 제어형 공기주입밸브(22)에 있어서, 밸브몸체(23)의 공기주입구(23c,23d)와 이에 대응하는 내측밸브(24)의 통기구(24a,24b)는 120°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양측 기실(4a,4b)을 동시에 공기주입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핸들(35) 조작에 의한 내측밸브(24)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양측 기실(4a,4b)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또 모두 폐쇄시킬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공기튜브(4)의 기실(4a,4b)은 원주방향으로 구획되어 있으나 수직방향으로도 구분될 수 있으며, 그에 설치되는 공기주입밸브(22)로서 공기튜브(4)의 양측 기실(4a,4b)에 맞게 2개의 공기주입구(23c,23d)를 갖는 2실 제어형이 예시되었으나 이는 공기튜브(4)의 기실 수에 따라서 그 이상의 공기주입구를 더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야전용 물탱크 등 이동설치가능한 물탱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개구 상단에 공기튜브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목지지대와 로프 및 펙 등의 지지기구의 사용을 배제하고 특히 설치와 물채우는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물탱크를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많은 인력이 필요치 않으며 또한 별도의 지지기구가 불필요하여 이동이 용이하므로, 그 편리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특히 야전용의 경우에 군 전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0)

  1. 접을 수 있는 방수성 재질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통 모양으로 상단이 개구된 바닥부와 주벽부로 이루어지고, 개구된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물의 부력을 받도록 공기를 가둘 수 있게 되고 바닥부와 주벽부 내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되어 그 주벽부를 일으켜 세우게 됨과 아울러 그 내부가 격벽에 의해 각기 공기를 가둘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기실로 구분된 공기튜브와, 이 공기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고 배기할 수 있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주입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물탱크.
  2. 삭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튜브 내부의 기실 수와 같은 적어도 2개의 공기주입구를 가지고 있고 그 적어도 2개의 공기주입구를 개폐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실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공기주입하기 위한 다실 제어형 공기주입밸브와, 이 다실 제어형 공기주입밸브의 2개의 공기주입구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실중 한쪽 기실로부터 상기 격벽을 기밀하게 관통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설치된 공기관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물탱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실 제어형 공기주입밸브가, 상기 공기튜브의 한쪽 기실 벽면을 관통하여 고정설치되고 그 기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기주입구를 가지는 밸브몸체, 이 밸브몸체 내에 회전조작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공기주입구들에 대응하여 각각 통하도록 뚫린 적어도 두 개의 통기구를 가지는 내측밸브, 그리고 그 내측밸브에 연결설치되고 내부에 형성된 밸브시이트를 가지며 그 밸브시이트를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압력을 받아서 배기되지 않게 차단하면서 외부의 공기펌프 호스나 압축가스통 노즐을 끼워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그 밸브시이트를 개방하게 되는 흡기막을 보유하는 외측밸브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물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부에 일체로 달려서 공구나 소모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구주머니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물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개구를 덮을 수 있는 덮개와, 이 덮개를 상기 주벽부나 공기튜브상에 연결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물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상기 공기튜브와 같이 부상되어 덮개를 받쳐주도록 공기가 주입되는 부낭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물탱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잡아당기거나 운반을 위해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물탱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튜브 위에 취수용 호스를 고정할 수 있는 호스고정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물탱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가 상단의 개구보다 넓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물탱크.
KR2019990010110U 1999-06-08 1999-06-08 공기주입식 물탱크 KR200286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110U KR200286451Y1 (ko) 1999-06-08 1999-06-08 공기주입식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110U KR200286451Y1 (ko) 1999-06-08 1999-06-08 공기주입식 물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21U KR20010000321U (ko) 2001-01-05
KR200286451Y1 true KR200286451Y1 (ko) 2002-08-21

Family

ID=5476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110U KR200286451Y1 (ko) 1999-06-08 1999-06-08 공기주입식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4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905B1 (ko) * 2019-12-17 2021-12-20 대한민국 유회수 저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21U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7212A (en) Inflatable shelter
KR970004249B1 (ko) 지상설치식 휴대용 풀장 조립체
US6061969A (en) Inflatable greenhouse
AU2003288156B2 (en) Covering device
US2990837A (en) Inflatable structure
US4295302A (en) Inflatable tent
KR20150001959U (ko) 교차연통되는 텐트지지용 공기주입 파이프
KR200286451Y1 (ko) 공기주입식 물탱크
KR101279006B1 (ko) 에어 텐트
US3120902A (en) Floating cover structures
US3706206A (en) Lightweight readily portable underwater habitation and method of assembly and emplacement
US3170472A (en) Non-mechanical tie-down means for inflatable tents or shelters
US5302029A (en) Large flexible container with replaceable inner liner
KR102143224B1 (ko) 자립식 수목관수용 물통
CN204663136U (zh) 一种方便收支的含有连通装置的充气帐篷
CN218604233U (zh) 一种充气大棚
GB2172026A (en) Inflatable enclosure
JP3780552B2 (ja) タンクの解体方法
US20230286735A1 (en) An Inflatable Storage Container
CN218634871U (zh) 一种充气大棚的多仓体结构
JP2007321376A (ja) エアテントシステム
US7021008B2 (en) Inflatable structure with inflatable interior frame
CN108952310A (zh) 一种充气墙
CN211767745U (zh) 一种软体贮水罐
KR200316237Y1 (ko) 승강식 소화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