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998A - 방한 텐트 - Google Patents

방한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998A
KR20170061998A KR1020150167288A KR20150167288A KR20170061998A KR 20170061998 A KR20170061998 A KR 20170061998A KR 1020150167288 A KR1020150167288 A KR 1020150167288A KR 20150167288 A KR20150167288 A KR 20150167288A KR 20170061998 A KR20170061998 A KR 20170061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opening
stand
surface portion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102015016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1998A/ko
Publication of KR2017006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형상을 가지며,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 고리가 형성되는 상면부;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지 않도록 상기 상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상면부와 함께 사각의 박스 타입(box type)을 형성하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다수의 측면부; 상기 다수의 측면부 중에서 적어도 2곳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측면부의 전체 사이즈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 상기 투명창의 경계라인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부에 대하여 상기 투명창을 개폐하는 투명창 개폐용 지퍼; 및 상기 측면부의 외곽라인보다는 안쪽에 배치되되 상기 투명창 개폐용 지퍼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투명창보다는 넓은 영역으로 상기 측면부의 일부를 개폐하는 측면부 개폐용 지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한 텐트{TENT}
본 발명은, 방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돔형이나 반달형 텐트보다 실질적인 내부공간이 넓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외면에 개폐 가능한 투명창이 적용됨으로써 내부에서도 외부의 관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출입도 가능한 방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텐트(TENT)는 산, 들, 물가 따위에서 야영을 할 때, 눈, 비, 바람 따위를 막거나 볕을 가리기 위하여 기둥을 세우거나 말뚝을 박고 포장 천으로 막처럼 지어 놓은 것을 의미한다. 천막이라 불리기도 한다.
여가활동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근래에는 종전과 달리 가족끼리 또는 동료나 친구들끼리 야외에서 즐기는 캠핑문화가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따라서 텐트의 기능 역시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사이즈와 재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텐트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텐트들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8152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3397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5284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2778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다양한 종류의 텐트들 중에서 실내 사용이 가능한 방한 텐트의 경우, 그 형태가 돔형이나 반달형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종래의 텐트는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라서 외형에 비해 실질적으로 내부공간이 비좁으며, 내부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외부 관찰이 불가능한 등 기능성면에서도 많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더욱 진보된 형태의 방한 텐트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8152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3397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5284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277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돔형이나 반달형 텐트보다 실질적인 내부공간이 넓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외면에 개폐 가능한 투명창이 적용됨으로써 내부에서도 외부의 관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출입도 가능하며, 특히 벽면을 이용해서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립형 스탠드를 이용해서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등 다기능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한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각 형상을 가지며,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 고리가 형성되는 상면부;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지 않도록 상기 상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상면부와 함께 사각의 박스 타입(box type)을 형성하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다수의 측면부; 상기 다수의 측면부 중에서 적어도 2곳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측면부의 전체 사이즈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 상기 투명창의 경계라인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부에 대하여 상기 투명창을 개폐하는 투명창 개폐용 지퍼; 및 상기 측면부의 외곽라인보다는 안쪽에 배치되되 상기 투명창 개폐용 지퍼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투명창보다는 넓은 영역으로 상기 측면부의 일부를 개폐하는 측면부 개폐용 지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텐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 각각 접이식으로 배치되며, 설치면에 설치 시 상기 설치면에 나란하게 포개짐으로써 외기의 유입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 다수 개 배치되는 더미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와 상기 측면부가 상기 사각의 박스 타입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자립형 골조를 형성하는 자립형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립형 스탠드는, 상기 상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사각의 박스 타입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다수의 파이프 커넥터; 및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사각 형상을 가지며,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 고리가 형성되는 상면부;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지 않도록 상기 상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상면부와 함께 사각의 박스 타입(box type)을 형성하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방충용 내피; 상기 방충용 내피들에 각각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차양용 외피; 상기 차양용 외피에 접철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튼; 상기 방충용 내피와 상기 차양용 외피의 외곽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방충용 내피와 상기 차양용 외피를 상호간 탈부착시키는 라인 지퍼; 상기 방충용 내피의 하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 로커; 상기 차양용 외피의 하단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고정 로커에 선택적으로 포개지는 가동 로커; 상기 방충용 내피의 단부에 각각 접이식으로 배치되며, 설치면에 설치 시 상기 설치면에 나란하게 포개짐으로써 외기의 유입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방충용 내피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사각의 박스 타입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와,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다수의 파이프 커넥터와,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면부와 상기 방충용 내피가 상기 사각의 박스 타입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자립형 골조를 형성하는 자립형 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텐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투명창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투명창의 개도를 조절하되 불투명이 아닌 반투명 색상 또는 칼라풀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개도 조절용 슬라이딩 도어가 마련되며, 상기 개도 조절용 슬라이딩 도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에는 상기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가 바람에 의해 펄럭이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설치면에 진공 압축 방식으로 흡착되는 다수의 진공식 흡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돔형이나 반달형 텐트보다 실질적인 내부공간이 넓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외면에 개폐 가능한 투명창이 적용됨으로써 내부에서도 외부의 관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출입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벽면을 이용해서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립형 스탠드를 이용해서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등 다기능으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100)는 기존의 돔형이나 반달형 텐트보다 실질적인 내부공간이 넓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외면에 개폐 가능한 투명창(141,142)이 적용됨으로써 내부에서도 외부의 관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출입도 가능하며, 특히 벽면을 이용해서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립형 스탠드(180)를 이용해서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등 다기능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각의 박스 타입(box type)을 형성하는 상면부(110) 및 다수의 측면부(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110)는 사각 형상을 가지며, 방한 텐트(100)의 상면을 이룬다. 상면부(110)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 고리(111)가 형성된다. 고정 고리(111)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100)를 천장이나 벽면에 매달아 고정시킬 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면부(110)의 일측에는 환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환풍구는 결로 방지의 역할과 더불어 텐트 내에서의 실내 취침 시 질식사를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수의 측면부(120,130)는 상면부(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면부(11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면부(110)와 함께 사각의 박스 타입(box type)을 형성한다.
상면부(110)가 사각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다수의 측면부(120,130)는 4개가 된다. 이때, 4개의 측면부(120,130)들의 사이즈는 다르다. 즉 측면부(120,130)들은 2개씩 그 사이즈가 같다.
본 실시예처럼 상면부(110)와 다수의 측면부(120,130)가 사각의 박스 타입을 형성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100)는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다수의 측면부(120,130) 중에서 적어도 2곳 이상에는 투명창(141,14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투명창(141,142)은 다수의 측면부(120,130) 중에서 적어도 2곳 이상, 예컨대 3곳에 형성되며, 측면부(120,130)의 전체 사이즈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투명창(141,142)을 통해서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다. 즉 방한 텐트(100)의 실내에 들어간 사람이 측면부(120,130)를 열지 않더라도 투명창(141,142)을 통해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투명창(141,142)의 경계라인에는 측면부(120,130)에 대하여 투명창(141,142)을 개폐하는 투명창 개폐용 지퍼(151)가 마련될 수 있다. 투명창(141,142)이 측면부(120,130)보다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투명창(141,142)만 개방하더라도 출입구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부피가 큰 물건이나 혹은 어른들이 실내로 출입할 때는 좁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좀 더 넓은 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측면부 개폐용 지퍼(152)가 마련된다.
이때, 측면부 개폐용 지퍼(152)는 측면부(120,130)의 외곽라인보다는 안쪽에 배치되되 투명창 개폐용 지퍼(151)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투명창(141,142)보다는 넓은 영역으로 측면부(120,130)의 일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부(120,130)의 단부에는 다수의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170)가 마련된다. 다수의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170)는 측면부(120,130)의 단부에 각각 접이식으로 배치되며, 설치면에 설치 시 설치면에 나란하게 포개짐으로써 외기의 유입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170)들은 서로가 분리된 상태를 취한다.
측면부(120,130)와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170)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는 더미 고리(175)가 다수 개 배치된다. 더미 고리(17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100)를 로프 등으로 당겨 지지하고자 할 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상면부(110) 및 다수의 측면부(120,130)의 구조만으로도 텐트의 사용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100)에는 자립형 스탠드(180)가 더 마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자립형 스탠드(180)는 상면부(110)와 측면부(120,130)가 사각의 박스 타입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자립형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자립형 스탠드(180)가 사용도리 경우, 좀 더 견고한 상태로 방한 텐트(100)를 세울 수 있다.
이러한 자립형 스탠드(180)는 상면부(110)와 측면부(120,1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의 박스 타입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181)와,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181)를 서로 연결하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다수의 파이프 커넥터(182)와,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181)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181)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18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보강부재(183)는 단위 스탠드 파이프(181)의 상부에 배치되어 단위 스탠드 파이프(181)를 보강할 수 있다.
이때, 파이프 커넥터(182)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질보다 바닥 등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 스탠드 파이프(181)가 쉽게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파이프 커넥터(182)가 설치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돔형이나 반달형 텐트보다 실질적인 내부공간이 넓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외면에 개폐 가능한 투명창(141,142)이 적용됨으로써 내부에서도 외부의 관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출입도 가능하며, 특히 벽면을 이용해서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립형 스탠드(180)를 이용해서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등 다기능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동작 상태도, 도 7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200) 역시, 사각의 박스 타입(box type)을 형성하는 상면부(210) 및 다수의 방충용 내피(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210)에는 전술한 것처럼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 고리(21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방충용 내피(220)는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지 않도록 상면부(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면부(210)와 연결되되 상면부(210)와 함께 사각의 박스 타입(box type)을 형성한다. 이때, 방충용 내피(220)의 중앙에는 개구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21)에는 비닐천 등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200)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차양용 외피(230)가 더 사용된다. 차양용 외피(230)는 방충용 내피(220)들에 각각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차양용 외피(230)에는 개구부(221)와 연통되어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240)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차양용 외피(230)에는 접철 가능하게 커튼(245)이 부착된다. 따라서 도 8처럼 차양용 외피(230)를 펼칠 경우, 커튼(245)이 아래로 늘어뜨려짐으로써, 빛을 가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방충용 내피(220)와 차양용 외피(230)의 외곽 라인에는 방충용 내피(220)와 차양용 외피(230)를 상호간 탈부착시키는 라인 지퍼(250)가 마련된다. 따라서 차양용 외피(230)를 펼치고자 할 때는 라인 지퍼(250)를 먼저 연 후에 차양용 외피(230)를 펼치면 된다.
방충용 내피(220)의 하단부에 둘레 방향에는 다수의 고정 로커(261)가 마련되며, 차양용 외피(230)의 하단부 둘레 방향에는 다수의 가동 로커(262)가 마련된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 로커(261)들과 가동 로커(262)이 서로 포개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200)를 로프 등으로 당겨 지지하고자 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방충용 내피(220)의 단부에도 접이식으로 배치되며, 설치면에 설치 시 설치면에 나란하게 포개짐으로써 외기의 유입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270)가 마련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상면부(210) 및 다수의 방충용 내피(220)의 구조만으로도 텐트의 사용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200)에는 자립형 스탠드(280)가 더 마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자립형 스탠드(280)는 상면부(210) 및 다수의 방충용 내피(220)가 사각의 박스 타입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자립형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자립형 스탠드(280)가 사용도리 경우, 좀 더 견고한 상태로 방한 텐트(200)를 세울 수 있다.
이러한 자립형 스탠드(280)는 상면부(210)와 방충용 내피(22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의 박스 타입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281)와,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281)를 서로 연결하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다수의 파이프 커넥터(282)와,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281)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281)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283)를 포함할 수 있다. 자립형 스탠드(280)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그 기능이 동일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의 돔형이나 반달형 텐트보다 실질적인 내부공간이 넓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외면에 개폐 가능한 투명창(240)이 적용됨으로써 내부에서도 외부의 관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출입도 가능하며, 특히 벽면을 이용해서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립형 스탠드(280)를 이용해서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등 다기능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300) 역시, 사각의 박스 타입(box type)을 형성하는 상면부(310), 다수의 방충용 내피(미도시) 및 다수의 차양용 외피(3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양용 외피(330)들에는 외부 관찰이 가능한 투명창(34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명창(340)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되면서 투명창(340)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용 슬라이딩 도어(3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개도 조절용 슬라이딩 도어(350)는 불투명이 아닌 반투명 색상 또는 칼라풀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개도 조절용 슬라이딩 도어(350)가 불투명이 아닌 반투명 색상 또는 칼라풀한 색상으로 형성될 경우, 개도 조절용 슬라이딩 도어(350)를 닫으면 투명창(340)이 반투명한 색상으로 바뀐 것처럼 보이거나 혹은 노란색, 붉은색, 파란색 등의 칼라풀한 색상으로 바뀐 것처럼 보일 수 있어서 색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개도 조절용 슬라이딩 도어(3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투명창(340)이 외곽 라인에는 슬라이딩 레일(35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도 조절용 슬라이딩 도어(350)에는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손잡이(351)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 텐트(300)의 경우,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370)에는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370)가 바람에 의해 펄럭이는 것이 저지되도록 설치면에 진공 압축 방식으로 흡착되는 다수의 진공식 흡착부재(360)가 마련될 수 있다.
진공식 흡착부재(360)들을 설치면에 가압해서 진공으로 압축시킬 경우,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370)가 마치 설치면에 달라붙은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설치면과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370) 사이가 밀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의 돔형이나 반달형 텐트보다 실질적인 내부공간이 넓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외면에 개폐 가능한 투명창(340)이 적용됨으로써 내부에서도 외부의 관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출입도 가능하며, 특히 벽면을 이용해서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립형 스탠드(미도시)를 이용해서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등 다기능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방한 텐트 110 : 상면부
111 : 고정 고리 120,130 : 측면부
141,142 : 투명창 151 : 투명창 개폐용 지퍼
152 : 측면부 개폐용 지퍼 170 :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
175 : 더미 고리 180 : 자립형 스탠드
181 : 단위 스탠드 파이프 182 : 파이프 커넥터
183 : 보강부재

Claims (6)

  1. 사각 형상을 가지며,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 고리가 형성되는 상면부;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지 않도록 상기 상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상면부와 함께 사각의 박스 타입(box type)을 형성하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다수의 측면부;
    상기 다수의 측면부 중에서 적어도 2곳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측면부의 전체 사이즈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
    상기 투명창의 경계라인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부에 대하여 상기 투명창을 개폐하는 투명창 개폐용 지퍼; 및
    상기 측면부의 외곽라인보다는 안쪽에 배치되되 상기 투명창 개폐용 지퍼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투명창보다는 넓은 영역으로 상기 측면부의 일부를 개폐하는 측면부 개폐용 지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단부에 각각 접이식으로 배치되며, 설치면에 설치 시 상기 설치면에 나란하게 포개짐으로써 외기의 유입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 사이의 모서리 영역에 다수 개 배치되는 더미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텐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측면부가 상기 사각의 박스 타입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자립형 골조를 형성하는 자립형 스탠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립형 스탠드는,
    상기 상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사각의 박스 타입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다수의 파이프 커넥터; 및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텐트.
  5. 사각 형상을 가지며,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 고리가 형성되는 상면부;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지 않도록 상기 상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상면부와 함께 사각의 박스 타입(box type)을 형성하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방충용 내피;
    상기 방충용 내피들에 각각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차양용 외피;
    상기 차양용 외피에 접철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튼;
    상기 방충용 내피와 상기 차양용 외피의 외곽 라인에 마련되어 상기 방충용 내피와 상기 차양용 외피를 상호간 탈부착시키는 라인 지퍼;
    상기 방충용 내피의 하단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 로커;
    상기 차양용 외피의 하단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고정 로커에 선택적으로 포개지는 가동 로커;
    상기 방충용 내피의 단부에 각각 접이식으로 배치되며, 설치면에 설치 시 상기 설치면에 나란하게 포개짐으로써 외기의 유입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방충용 내피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사각의 박스 타입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와,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다수의 파이프 커넥터와,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단위 스탠드 파이프를 보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면부와 상기 방충용 내피가 상기 사각의 박스 타입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자립형 골조를 형성하는 자립형 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투명창의 개도를 조절하되 불투명이 아닌 반투명 색상 또는 칼라풀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개도 조절용 슬라이딩 도어가 마련되며,
    상기 개도 조절용 슬라이딩 도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에는 상기 외기 유입 저지용 스커트가 바람에 의해 펄럭이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설치면에 진공 압축 방식으로 흡착되는 다수의 진공식 흡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방한 텐트.
KR1020150167288A 2015-11-27 2015-11-27 방한 텐트 KR20170061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288A KR20170061998A (ko) 2015-11-27 2015-11-27 방한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288A KR20170061998A (ko) 2015-11-27 2015-11-27 방한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998A true KR20170061998A (ko) 2017-06-07

Family

ID=5922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288A KR20170061998A (ko) 2015-11-27 2015-11-27 방한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19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182A (ko)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탭코리아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누액방지장치
KR102363455B1 (ko) * 2020-11-19 2022-02-15 주식회사 아이두젠 원터치형 방풍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182A (ko)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탭코리아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누액방지장치
KR102363455B1 (ko) * 2020-11-19 2022-02-15 주식회사 아이두젠 원터치형 방풍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3178A1 (en) Collapsible enclosure
US9528291B2 (en) Ephemeral architecture device
KR20170061998A (ko) 방한 텐트
KR101868133B1 (ko) 차량용 텐트 및 이를 갖춘 차량
KR101168239B1 (ko) 낚시텐트의 플라이
KR200272729Y1 (ko) 텐트용 환기창의 개폐장치
GB2403487A (en) A tent with openings at top and bottom of weather resistant outer to vary ventilation
US20170335594A1 (en) Vent control system for tent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KR20180046238A (ko) 에어 주입식 캠핑텐트
KR101900687B1 (ko) 신속하고 조용한 개폐가 가능한 실내용 텐트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1258509B1 (ko) 사이즈 가변형 실내 텐트
KR20210136747A (ko) 파라솔텐트
KR20200081118A (ko) 타프 설치식 텐트
CN215291775U (zh) 一种透气性良好的充气支撑帐篷
CN212957960U (zh) 一种快速搭建的充气型帐篷
CN209179615U (zh) 一种充气式屏蔽帐篷
KR200392044Y1 (ko) 낚시용 그늘막 텐트
US20230320499A1 (en) Convertible play pen
KR20060120858A (ko) 낚시용 그늘막 텐트
US10791863B2 (en) Cordless covering for sliding glass doors and large windows
JP2005155062A (ja) 屋内設置室
KR20200029846A (ko) 슬라이딩 커튼 식 텐트
KR101846261B1 (ko) 클램핑용 텐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