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261B1 - 클램핑용 텐트구조 - Google Patents

클램핑용 텐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261B1
KR101846261B1 KR1020160090746A KR20160090746A KR101846261B1 KR 101846261 B1 KR101846261 B1 KR 101846261B1 KR 1020160090746 A KR1020160090746 A KR 1020160090746A KR 20160090746 A KR20160090746 A KR 20160090746A KR 101846261 B1 KR101846261 B1 KR 101846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tent
pop
roof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177A (ko
Inventor
신영환
진희
Original Assignee
(주)한일티앤에이치
(주)엠파크캠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일티앤에이치, (주)엠파크캠핑 filed Critical (주)한일티앤에이치
Priority to KR102016009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2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팝업공간, 리빙공간, 이너공간으로 이루어진 클램핑용 텐트 중 리빙공간은 상부를 공기가 순환 가능하도록 구비한 후 그 상부에 이동 가능한 이동형 지붕을 설치하여 조리 등을 할 때는 이동형 지붕을 이너공간의 상부로 이동시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에는 이동형 지붕을 이동시켜 비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실외공간인 이너공간의 상부도 이동형 지붕으로 지붕을 형성함으로써 실내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클램핑용 텐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취침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너공간,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리빙공간, 휴식 및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팝업공간으로 이루어진 텐트 본체(100)와;
텐트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너공간과 팝업공간을 주행하며 리빙공간 및 팝업공간의 지붕역할을 하는 이동형 지붕(300)과;
팝업공간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파업공간을 실내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외벽(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램핑용 텐트구조{Tent structure for clamping}
본 발명은 클램핑용 텐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팝업공간, 리빙공간, 이너공간으로 이루어진 클램핑용 텐트 중 리빙공간은 상부를 공기가 순환 가능하도록 구비한 후 그 상부에 이동 가능한 이동형 지붕을 설치하여 조리 등을 할 때는 이동형 지붕을 이너공간의 상부로 이동시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에는 이동형 지붕을 이동시켜 비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실외공간인 이너공간의 상부도 이동형 지붕으로 지붕을 형성함으로써 실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클램핑용 텐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에서 임시거처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야외에서 등산, 낚시, 캠핑과 같은 레저 생활이나 기타 활동을 위해서 설치 사용되며, 이러한 텐트는 1인용, 2인용, 4인용 등과 같이 사용 용도 및 인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텐트는 텐트의 뼈대를 구축하는 골조와 텐트천으로 대별 구성되는데, 종래에는 다수의 골조와 텐트 천을 조립 구축함에 따른 작업성이 매우 저하되어 설치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절첩식과 같이 간단하게 설치, 휴대함은 물론 원터치 설치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텐트가 알려지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종래의 텐트는 텐트 외부의 자연환경으로부터 텐트의 내부에 있는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상기 텐트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고, 대형 텐트에 여러 가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형 텐트는 크기만 커지고 그 기능이 미흡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기 어렵고, 텐트가 커지다 보면 그 형상유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우천시 지붕이 처지게 되는 현상이 생겨 외관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텐트는 그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연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어렵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고, 텐트 내부의 환기가 어려워 텐트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11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팝업공간, 리빙공간, 이너공간으로 이루어진 클램핑용 텐트 중 리빙공간은 상부를 공기가 순환 가능하도록 구비한 후 그 상부에 이동 가능한 이동형 지붕을 설치하여 조리 등을 할 때는 이동형 지붕을 이너공간의 상부로 이동시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에는 이동형 지붕을 이동시켜 비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실외공간인 이너공간의 상부도 이동형 지붕으로 지붕을 형성함으로써 실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클램핑용 텐트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클램핑용 텐트구조는
취침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너공간(110),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리빙공간(130), 휴식 및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팝업공간(150)으로 이루어진 텐트 본체(100)와;
텐트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너공간과 팝업공간을 주행하며 리빙공간 및 팝업공간의 지붕역할을 하는 이동형 지붕(300)과;
팝업공간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파업공간을 실내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외벽(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텐트 본체(100)의 이너공간(110)은 취침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간으로, 양측벽면은 공기를 순환할 수 있도록 방충망이 부착된 방충창(101)을 구비하였으며, 간이침대 및 간이욕실이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리빙공간(130)은 이너공간(110)의 일측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간으로, 지붕과 세벽면에 공기를 순환할 수 있도록 방충창(131)을 구비되고, 상부에는 우천 시 또는 야간에 지붕역할을 하는 이동형 지붕(300)이 설치되며;
팝업공간(150)은 리빙공간(130) 일측에 휴식 및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여유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간으로, 방충망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외벽(5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동형 지붕(300)은 텐트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너공간과 팝업공간을 주행하며 리빙공간 및 팝업공간의 지붕역할을 하는 것으로, 텐트를 이루며 가이드 역할을 하는 프레임(310)과;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어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330)와;
바퀴의 일측에 구비되며 체인(350)으로 연결된 모터(370)의 회전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기어(3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외벽(500)은 팝업공간(150)의 프레임(151)의 하부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파업공간을 실내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151)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510)와;
이동부재에 체결되어 외벽역할을 하는 천막(5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클램핑용 텐트구조는 팝업공간, 리빙공간, 이너공간으로 이루어진 클램핑용 텐트 중 리빙공간은 상부를 공기가 순환 가능하도록 구비한 후 그 상부에 이동 가능한 이동형 지붕을 설치하여 조리 등을 할 때는 이동형 지붕을 이너공간의 상부로 이동시켜 리빙공간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크램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우천시에는 이동형 지붕을 이동시켜 비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공간인 이너공간의 상부도 이동형 지붕으로 지붕을 형성함으로써 실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용 텐트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용 텐트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용 텐트구조 중 이동형 지붕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용 텐트구조 중 팝업공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용 텐트구조 중 이동형 지붕의 작용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용 텐트구조 중 팝업공간의 작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용 텐트구조 중 이동형 지붕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침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너공간(110),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리빙공간(130), 휴식 및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팝업공간(150)으로 이루어진 텐트 본체(100)와; 텐트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너공간과 팝업공간을 주행하며 리빙공간 및 팝업공간의 지붕역할을 하는 이동형 지붕(300)과; 팝업공간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파업공간을 실내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외벽(500)을 포함한다.
텐트 본체(100)의 이너공간(110)은 취침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간으로, 양측벽면은 공기를 순환할 수 있도록 방충망이 부착된 방충창(101)을 구비하였으며, 간이침대 및 간이욕실이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리빙공간(130)은 이너공간(110)의 일측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간으로, 지붕과 세벽면에 공기를 순환할 수 있도록 방충창(131)을 구비되고, 상부에는 우천 시 또는 야간에 지붕역할을 하는 이동형 지붕(300)이 설치된다.
그리고 팝업공간(150)은 리빙공간(130) 일측에 휴식 및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여유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간으로, 방충망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외벽(500)이 구비된다.
이동형 지붕(300)은 텐트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너공간과 팝업공간을 주행하며 리빙공간 및 팝업공간의 지붕역할을 하는 것으로, 텐트를 이루며 가이드 역할을 하는 프레임(310)과;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어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330)와; 바퀴의 일측에 구비되며 체인(350)으로 연결된 모터(370)의 회전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기어(390)와; 바퀴의 상부에 체결프레임(410)에 의해 체결되는 지붕천막(4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붕천막(400)을 개방함에 있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개방하는 것 이외에 따른 예로써 체결프레임(410)에 경첩(430)을 이용하여 지붕천막을 체결한 후 경첩을 모터로 지붕천막(400)을 회전시켜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개방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 외벽(500)은 팝업공간(150)의 프레임(151)의 하부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파업공간을 실내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151)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510)와; 이동부재에 체결되어 외벽역할을 하는 천막(53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빙공간에서 조리를 할 때는 모터를 구동시키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체인이 기어 및 바퀴를 회전시켜 바퀴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지붕천막을 이너공간 또는 팝업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조리중 발생하는 연기 및 열기가 리빙공간 상부에 구비되 있는 방충창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우천시 또는 야간에 취침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는 반대로 지붕천막을 리빙공간으로 이동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외벽을 팝업공간의 외측에 설치하면 팡업공간도 별도의 실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텐트 본체 110 : 이너공간
130 : 리빙공간 150 : 팝업공간
300 : 이동형 지붕 500 : 슬라이딩 외벽

Claims (5)

  1. 취침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너공간(110),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리빙공간(130), 휴식 및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팝업공간(150)으로 이루어진 텐트 본체(100)와, 텐트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너공간과 팝업공간을 주행하며 리빙공간 및 팝업공간의 지붕역할을 하는 이동형 지붕(300)과, 팝업공간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파업공간을 실내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외벽(500)으로 구성된 클램핑용 텐트구조에 있어서,
    텐트 본체(100)의 이너공간(110)은 취침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간으로, 양측벽면은 공기를 순환할 수 있도록 방충망이 부착된 방충창(101)을 구비하였으며, 간이침대 및 간이욕실이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리빙공간(130)은 이너공간(110)의 일측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간으로, 지붕과 세벽면에 공기를 순환할 수 있도록 방충창(131)을 구비되고, 상부에는 우천 시 또는 야간에 지붕역할을 하는 이동형 지붕(300)이 설치되며;
    팝업공간(150)은 리빙공간(130) 일측에 휴식 및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여유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간으로, 방충망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외벽(5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용 텐트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형 지붕(300)은 텐트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너공간과 팝업공간을 주행하며 리빙공간 및 팝업공간의 지붕역할을 하는 것으로, 텐트를 이루며 가이드 역할을 하는 프레임(310)과;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어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330)와;
    바퀴의 일측에 구비되며 체인(350)으로 연결된 모터(370)의 회전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기어(390)와;
    바퀴의 상부에 체결프레임(410)에 의해 체결되는 지붕천막(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용 텐트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지붕천막(400)을 개방함에 있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개방하는 것 이외에 따른 예로써 체결프레임(410)에 경첩(430)을 이용하여 지붕천막을 체결한 후 경첩을 모터로 회전시켜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용 텐트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외벽(500)은 팝업공간(150)의 프레임(151)의 하부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파업공간을 실내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151)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510)와;
    이동부재에 체결되어 외벽역할을 하는 천막(5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용 텐트구조.

KR1020160090746A 2016-07-18 2016-07-18 클램핑용 텐트구조 KR101846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46A KR101846261B1 (ko) 2016-07-18 2016-07-18 클램핑용 텐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46A KR101846261B1 (ko) 2016-07-18 2016-07-18 클램핑용 텐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77A KR20180009177A (ko) 2018-01-26
KR101846261B1 true KR101846261B1 (ko) 2018-04-09

Family

ID=6102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746A KR101846261B1 (ko) 2016-07-18 2016-07-18 클램핑용 텐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2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099A (ja) * 2000-06-08 2001-12-21 Taiyo Kogyo Corp 開閉式膜構造物
KR200269790Y1 (ko) * 2001-12-18 2002-03-27 박은미 지붕의 개폐장치
KR101280410B1 (ko) * 2011-12-22 2013-07-01 주식회사 스판코리아 슬라이드방식의 지붕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099A (ja) * 2000-06-08 2001-12-21 Taiyo Kogyo Corp 開閉式膜構造物
KR200269790Y1 (ko) * 2001-12-18 2002-03-27 박은미 지붕의 개폐장치
KR101280410B1 (ko) * 2011-12-22 2013-07-01 주식회사 스판코리아 슬라이드방식의 지붕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77A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948B2 (en) Portable shelter's modular shell including displaceable/connectable walls
US6752164B1 (en) Room tent
CN205976935U (zh) 折叠式落地窗
US5027566A (en) Window with reflective enclosure
US20120186618A1 (en) Multi-Use Disaster Relief Tent
US11530551B2 (en) Expandable tent with adjustable height and internal volume
US9416558B2 (en) Hunting blind shelter
CN203835154U (zh) 一种安全、密封、易清洁的文化窗
KR101846261B1 (ko) 클램핑용 텐트구조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US9784010B2 (en) Moveable cover assembly for shelter structures
KR101660338B1 (ko) 캠핑 쉘터용 탈부착형 투명창 타프
KR20030011381A (ko) 카 텐트
KR20090003664U (ko) 캐빈텐트의 확장용 보조텐트
CN201428265Y (zh) 一种下围透气圆顶帐篷
CN208329710U (zh) 简易房屋
CN204139709U (zh) 通风型帐篷
Jacobson et al. Patterns of home
CN104213750B (zh) 通风型帐篷
KR102233435B1 (ko) 텐트
CN216240046U (zh) 一种屋形帐篷
CN205805115U (zh) 一种户外休闲帐篷
CN107989464A (zh) 一种水上充气和通风效果好的帐篷
US20240164984A1 (en) Insulated sauna tent for therapeutic use
CN202706649U (zh) 一种单双层相结合的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