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647B1 -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 Google Patents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647B1
KR102515647B1 KR1020200183509A KR20200183509A KR102515647B1 KR 102515647 B1 KR102515647 B1 KR 102515647B1 KR 1020200183509 A KR1020200183509 A KR 1020200183509A KR 20200183509 A KR20200183509 A KR 20200183509A KR 102515647 B1 KR102515647 B1 KR 102515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mat
folding
air
fold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2094A (ko
Inventor
김영하
Original Assignee
김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하 filed Critical 김영하
Priority to KR102020018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6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vertible, e.g. from one type tent to another type tent, from tent to canopy or from tent cover into divers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r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는 보관 패키지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에 비해 텐트의 설치 및 철거를 더욱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보관 패키지의 분실 우려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 패키지를 텐트의 주변 바닥 매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 구비에 따른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텐트의 접이구조도 개선하여 철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개선된 보관 패키지에 신속하고 쉽게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텐트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텐트의 설치와 철거가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 및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CAP SHAPED TENT AND MOSQUITO NET}
본 발명은 텐트 및 모기장에 관한 것으로, 보관 패키지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에 비해 텐트의 설치 및 철거가 더욱 용이하도록 하고 분실 우려도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텐트의 부가기능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기술분야이다.
더불어 텐트의 접이구조도 개선하여 철거가 신속하고 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보관패키지에 신속하고 쉽게 넣어 보관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분야이다.
그리고 텐트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텐트의 설치 및 철거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여 외력에 의한 불필요한 형상변형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기술분야이다.
최근 캠핑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되고 있고 캠핑용품의 가장 기본 장비중 하나인 텐트에 대한 기능 개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인 텐트는 설치 및 철거 방식에 따라 크게 조립형 텐트와 일체형 텐트로 구분되는데,
조립형 텐트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텐트로서, 텐트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인 텐트 천과 폴대가 분리 구비되어 조립 시 폴대를 텐트천에 결합시켜 텐트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철거 시 폴대를 텐트천으로부터 분리킨 후 텐트천을 접어 폴대와 함게 보관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조립형 텐트는 여러개의 폴대를 결합시켜 텐트뼈대를 구현하는 형태이므로 후술할 일체형 텐트에 비해 구조가 견고한 장점이 있지만, 각 폴대 간 조립/분리와 폴대와 텐트 천 간의 조립/분리의 과정이 번거롭고 어렵기 때문에 텐트의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폴대가 텐트천과 분리되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 과정에서 분실의 우려가 크고 파손의 가능성이 큰 단점도 있다.
또한 조립형 텐트는 철거 후 보관 시 별도의 보관 패키지 내에 수납되는데, 기존에는 보관 패키지가 오로지 텐트 보관 용도로만 사용될 뿐 텐트 사용 관련 부가 기능 발휘 용도로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보관 패키지는 텐트 사용 시 항시 별개로 보관되어야 하므로, 분실 가능성도 크다.
일체형 텐트는 조립형 텐트의 폴대에 해당하는 지지프레임이 텐트천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되, 지지프레임은 자체적으로 외력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 지는 반면 탄성력에 의해 쉽게 형상복귀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텐트의 설치 및 철거 과정이 일명 '원터치 방식'으로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일체형 텐트는 지지프레임의 휨과 복귀가 너무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력이 크지 않아 텐트 전체가 바람에 의해 너무 쉽게 흔들리고, 이로 인해 대형 텐트에는 적용이 어렵고 소형 구조로만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들 외에 기존의 조립형 텐트와 일체형 텐트는 공통적으로 텐트 주변, 특히 출입구 앞에 별도 돗자리와 같은 매트를 펼쳐 출입 시 신발이나 발의 오염을 줄이는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데, 기존 매트는 텐트와는 별개로 구비해야 하므로 구비 및 사용이 번거롭다.
뿐만 아니라 매트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분실우려도 크며 단순히 지면 상에 펼쳐 놓는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밟는 과정에서 위치가 이동되거나 접히는 등의 불편함도 있다.
그리고 기존의 매트는 매트의 기본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발휘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 구비의 동기가 약하고, 결국 비 구비에 의한 편리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존 텐트들이 갖는 개별적 문제점들과 공통적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보관 패키지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에 비해 텐트의 설치 및 철거를 더욱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보관 패키지의 분실 우려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 패키지를 텐트의 주변 바닥 매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 구비에 따른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텐트의 접이구조도 개선하여 철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개선된 보관 패키지에 신속하고 쉽게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텐트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텐트의 설치와 철거가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 및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편리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중앙의 사용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고 측부에는 상기 사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출입구 및 개폐문이 형성되어 있는 텐트본체, 바아 형태이고 상기 텐트본체의 표면에 접촉되어 텐트본체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지지 골조를 포함하는 텐트에 있어서, 상기 텐트본체의 출입구 외부 지면 상에 펼쳐진 형태로 위치하고 일측부가 상기 텐트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형 보관 패키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트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매트형 보관 패키지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매트형 보관 패키지는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본체, 상기 매트본체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본체와 상기 텐트본체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매트 연결부재,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형 보관 패키지는 상기 매트본체 일부를 접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텐트본체 중 상기 매트본체와 연결되는 지점은 외부를 향해 볼록하게 튀어나오도록 볼록 곡면부를 이루고, 상기 매트형 보관 패키지는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 중 상기 텐트본체의 볼록 곡면부와 연결되는 지점에 상기 볼록 곡면부를 따라 밀착되도록 오목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 곡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의 제1 매트 접이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매트본체 상부면 중 상기 제1 매트 접이라인을 기준으로 텐트본체를 향하는 쪽 구간이 상기 제1 매트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반대쪽을 향해 접혀지는 손잡이부 형성구간이 되며, 상기 매트본체 상부면 중 상기 제1 매트 접이라인과 상기 오목 곡면부 간의 양 교차지점으로부터 제1 매트 접이라인과 수직방향으로 제2 매트 접이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매트본체 상부면 중 상기 양 제2 매트 접이라인 사이 구간이 수납부 형성구간이 되며, 상기 매트본체의 손잡이부 형성구간 중 상기 오목 곡면부의 양측 단부지점 상부면에는 제1탈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매트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손잡이부 형성구간이 상기 제1 매트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접혀졌을 때 상기 제1탈착부재와 마주하는 지점에는 상기 제1탈착부재와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탈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제1체결부재와 각 제2체결부재가 상호 체결되었을 때 상기 각 손잡이부 형성구간은 고리 형태의 2개의 손잡이부가 되고 상기 매트본체가 상기 각 제2접이라인을 중심으로 서로를 향해 회동하여 접혀졌을 때 상기 양 제2 매트 접이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수납부 형성구간이 상기 수납부가 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 중 상기 수납부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트본체 중 상기 매트본체와 연결되는 지점은 외부를 향해 볼록하게 튀어나오도록 볼록 곡면부를 이루고, 상기 볼록 곡면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 표면에는 제1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트형 보관 패키지는,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 중 상기 텐트본체의 볼록 곡면부와 연결되는 지점에 상기 볼록 곡면부를 따라 밀착되도록 오목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 곡면부 중 상기 텐트본체를 향하는 쪽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결합부재, 상기 매트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양 제2결합부재 쪽과 반대되는 쪽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가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는 제3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트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제2결합부재와 제3결합부재 중간 지점에는 상기 오목곡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가상의 매트 접이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재가 상기 제1결합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본체 상부면 중 상기 매트 접이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텐트본체를 향하는 쪽 지점이 상기 접이라인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혀져 제3결합부재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매트본체 상부면 중 상기 제2결합부재와 제3결합부재 사이 구간이 고리 형태의 손잡이부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텐트본체의 중앙 상단부에 위치하고 테두리면에는 체결부가 사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중앙 골조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골조는 상기 텐트본체의 측면부와 상면부에 동시에 연결되어 지지하면서 상단부가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의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를 중심으로 사방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는 일측에 메인 공기 주입/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메인 공기 주입/배출구와 연통되어 있는 공기분배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공기분배공간과 연통되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노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지지 골조는 내부에 공기 충진공간이 형성된 공기튜브 형태이며 상단부에 형성된 공기유입홀이 상기 체결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 공기 주입/배출구를 통해 공급된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분배공간과 체결부 및 공기유입홀을 통해 상기 각 지지 골조로 공급되어 상기 각 지지 골조의 부피가 팽창되어 텐트본체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 골조의 측부에는 상기 공기 충진공간으로 직접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개별 공기 주입/배출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골조는 내부에 제1공기 충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의 체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튜브, 상기 제1튜브를 둘러싸고 있고 내부에 제2공기 충진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의 체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튜브를 포함하는 다중 튜브 형태일 수 있고, 이때 상기 공기유입홀은 상기 제1튜브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의 체결부와 연결되는 제1공기유입홀 및 상기 제2튜브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의 체결부와 연결되는 제2공기유입홀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텐트본체는 상단 중앙지점부터 일측 및 타측 하단부까지 제1 텐트 접이라인과 제3 텐트 접이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텐트 접이라인 및 상기 제3 텐트 접이라인과 좌우 대칭되는 지점에 제2 텐트 접이라인과 제4 텐트 접이라인이 상호 교차되는 형태에서 일측 및 타측 하단부까지 형성되며,
상기 텐트본체의 외부면 중 상기 제1 텐트 접이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1 접이 고정부재 및 제2 접이 고정부재, 상기 텐트본체의 외부면 중 상기 제2 텐트 접이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3 접이 고정부재 및 제4 접이 고정부재, 상기 텐트본체의 외부면 중 상기 제3 텐트 접이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5 접이 고정부재 및 제6 접이 고정부재, 상기 텐트본체의 외부면 중 상기 제4 텐트 접이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7 접이 고정부재 및 제8 접이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삭제
상기 텐트본체가 상기 제1 텐트 접이라인과 제2 텐트 접이라인, 제3 텐트 접이라인 및 제4 텐트 접이라인을 각각 기준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제1 접이 고정부재 내지 제8 접이 고정부재가 상호 체결되고, 상기 텐트본체 전체를 하단부로부터 상단부 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접은 후 상기 매트형 보관 패키지의 수납공간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철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텐트의 보관 패키지가 텐트 사용 과정에서 연결부재를 통해 텐트본체와 일체로 연결되어 출입구 외부 바닥 매트로 활용될 수 있고, 텐트의 철거 시 바로 다시 보관 패키지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매트와 포장 패키지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됨에 따른 번거로움과 분실 우려 등이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매트형 보관 패키지가 오목 곡면부와 제1, 2 매트 접이라인, 제1, 2탈착부재를 통해 단순 접이 방식으로 수납부와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가방 형태로 변형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더 커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지지 골조가 텐트본체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 골조결합부와 체결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지지 골조를 비롯한 텐트 전체의 설치 과정이 단순해져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 지지 골조가 공기튜브 형태로 구현될 경우, 단순히 공기의 주입과 배출에 팽창과 수축만으로 텐트의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조립형 텐트에 비해 설치 및 철거가 훨씬 용이해지고 무게도 경량화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일체형 텐트에 비해 견고성도 커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지지 골조를 공기튜브 형태로 구현하였을 경우, 중앙 골조결합부를 공기의 분배 공급 용도 및 배출 용도로 활용함에 따라, 각 지지 골조의 공기공급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텐트 설치 과정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중앙 골조결합부 외에 각 지지 골조마다 별개의 공기 주입/배출구가 형성됨에 따라, 각 지지 골조로의 공기주입과 공기배출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 골조결합부가 파손되더라도 원활한 공기주입 및 배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 지지 골조를 다중튜브 형태로 구현하였을 경우, 제1튜브가 파손되어 제1공기 충진공간 내 공기가 유실되더라도 내부 제2튜브에 의해 텐트의 지지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지지 골조가 공기튜브 형태로 구현되더라도 파손에 의한 지지 골조 기능상실 등의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텐트본체에 제1 내지 제4 텐트 접이라인과 제1 내지 제8 접이 고정부재를 형성시킴으로써, 텐트의 철거 시 사용자가 단순히 각 접이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접고 각 접이 고정부재로 체결하여 텐트본체의 접이식 철거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존 조립식 텐트에 비해 철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1 내지 도9는 제1 실시 예에 관한 도면으로,
도1은 텐트본체와 매트형 보관 패키지 간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결합 사시도
도3은 각 개폐문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측면도
도5a는 매트형 보관 패키지의 사시도
도5b는 매트형 보관 패키지의 상하 높이조절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5의 측단면도
도7은 도5의 평면도
도8 및 도9는 매트형 보관 패키지를 가방 형태로 변형시키는 접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10 및 도11은 제2 실시 예에 관한 도면으로,
도10은 중앙 골조결합부가 적용된 정단면도
도11은 중앙 골조결합부와 지지골조 간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12 내지 도14는 제3 실시 예에 관한 도면으로,
도12는 전체 단면도
도13은 중앙 골조결합부와 각 지지골조 간 결합구조 및 공기공급 과정을 나타낸 일부 평단면도
도14는 각 지지골조에 공기가 충진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일부 평단면도
도15는 제4 실시 예에 관한 도면으로,
각 지지골조가 다중튜브 형태로 구현된 상태에서 중앙 골조결합부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16 내지 도19는 제5 실시 예 에 관한 도면으로,
도16은 텐트본체에 각 텐트접이라인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17은 도16의 평면개략도
도18은 텐트본체를 각 텐트접이라인을 기준으로 접어 넣은 상태의 평면 개략도
도19는 도18 상태에서 텐트본체를 지면상에 눕힌 상태에서 반으로 접은 상태의 측면 개략도
도20은 텐트본체가 방충망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21은 텐트본체 표면에 로고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 예>
본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텐트본체(100)와 지지 골조(200) 및 매트형 보관 패키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텐트본체(100)는 실질적인 텐트의 기능인 사용자의 실내공간 제공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야외용 텐트에 사용되는 방수재질의 텐트천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텐트본체(100)의 재질은 특정 재질로 한정되지 않고 단순 가림막 기능이나 외부로부터의 텐트본체 내부를 보호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를 매쉬(Mesh)구조, 즉 방충망과 같은 형태를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을 모기장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텐트본체(100)는 후술하는 지지 골조(200)를 통해 돔(Dome)과 같은 특정 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사용공간(110)이 형성되는데, 이렇게 특정 형상을 이루면서 설치된 텐트본체(100)는 내부에 사용자의 거주를 위한 사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측면부에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20)가 형성되며 각 출입구(120)에는 개폐문(130)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때 텐트본체(100)의 측면부는 외부를 향해 볼록하게 튀어나온 볼록 곡면부(140)가 형성되고 볼록 곡면부(140)에는 후술하는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와의 연결을 위한 매트 연결부재(150)가 스냅단추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의 형태로 형성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출입구 및 개폐문이 본체의 전/후/좌/우측부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출입구와 개폐문의 형성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러한 텐트본체(100)에는 별도의 지지 골조(200)가 연결 설치되는데,
지지 골조(200)는 텐트본체(100)의 형상을 형성 및 유지시키는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바아(Bar) 형태이고 텐트본체(100)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연결 설치되어서 텐트본체(100)의 형상을 지탱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 골조(200)는 텐트본체(100)와 분리 위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연결고리 등을 통해 텐트본체와 연결될 수 있고, 텐트본체(100) 내부에 삽입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 골조(200)는 텐트본체(100)의 상부면과 측면을 가로지르되 상단 중앙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배치되어 텐트본체(100) 전체적으로 지지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지지 골조 구조는 특정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기존의 조립형 텐트에 사용되는 폴대 형태나 일체형 텐트에 사용되는 지지프레임 형태 등 텐트본체(1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본 실시 예에서는 별도의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가 추가로 구비된다.
본 실시 예 에서의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는 철거한 텐트본체(100)를 수용시켜 보관 및 운반할 때 사용하는 패키지(package) 기능과 더불어, 텐트가 설치되었을 때 텐트본체(100) 주변에 설치되어 돗자리와 같은 외부 매트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는 다시 매트본체(310)와 제1탈착부재(320) 및 개폐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매트본체(310)는 실제 매트 기능과 더불어 수납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면적을 갖고 텐트본체(100)와 유사 또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매트(Mat) 형태로 이루어지고 텐트본체(100)의 외부 중 출입구(120) 주변 지면 상에 펼쳐진 상태로 위치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텐트본체(100)의 전측면부에 형성된 출입구 앞쪽에만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매트본체(31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텐트본체(100)의 각 출입구 주변 마다 설치되는 등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매트형 보관 패키지가 전측면부의 출입구 앞쪽에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렇게 위치된 매트본체(310) 중 텐트본체(100)를 향하는 쪽 단부에는 텐트본체(100)의 볼록 곡면부(140)와 유사 또는 동일한 곡률로 텐트본체(100) 반대쪽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오목 곡면부(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매트본체(310)는 낱장의 천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일측 테두리 구간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철거한 텐트본체(100)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313)이 형성된다.
개폐부재(330)는 매트본체(310)의 수납공간(313) 개폐를 위한 것으로, 매트본체(310)의 전측 테두리 중 수납공간(313)의 입구에 해당하는 개방지점을 따라 형성되는데, 슬라이드 파스너(Slide fastener)나 단추, 벨크로 테이프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개폐부재의 형성위치는 매트본체의 전측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수납공간(313)의 형성 구조에 따라 좌우 측부 또는 후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313)의 높이가 조절되어 부피가 확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텐트본체(100)의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b]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313)의 높이 부분에는 확장 가능한 복수 단 지퍼(ex 2단 지퍼 등) 등을 포함하여 높이 부분의 폭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는 여행용 캐리어를 확장하는 방식과 유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납공간의 부피 확장을 위한 구조는, 이러한 지퍼 형태 외에도 단순히 매티형 보관 패키지(300) 테두리면을 접이 형태나, 주름 진 형태 등으로 적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제1탈착부재(320)는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 전체를 텐트본체(100)와 일체로 결합시기 위한 요소로서, 매트본체(310)의 오목 곡면부(312) 중 텐트본체(100)를 향하는 쪽의 좌우 양측 단부에 형성된다.
참고로 제1탈착부재(320)는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텐트본체(100)의 매트 연결부재(150) 형태에 맞게 스냅단추나, 벨크로 테이프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실시 예 에서의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는 전체적으로 얇은 파우치(Pouch) 형태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매트본체(310)는 오목 곡면부(312)가 텐트본체(100)의 볼록 곡면부(140)에 밀착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제1탈착부재(320)가 매트 연결부재(150)에 결합됨에 따라, 텐트본체(100)와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매트본체(310)와 텐트본체(100) 간의 경계지점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일체감을 높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 과정에서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의 분실 우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는 철거된 텐트본체(100)를 접어 수납 보관할 때 운반이 용이하도록 가방구조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먼저 매트본체(310)의 상부면에는 후술하는 손잡이부(318) 형성을 위한 제1 매트 접이라인(314)이 오목 곡면부(312)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매트본체(310) 중 제1 매트 접이라인을 기준으로 후측, 즉 텐트본체(100)를 향하는 쪽 구간이 추후 손잡이부(318) 형성을 위한 손잡이부 형성구간(315)이 된다.
이렇게 형성된 손잡이부 형성구간(315)은 추후 손잡이부(318) 형성 과정에서 제1 매트 접이라인(314)을 중심으로 전측, 즉 텐트본체(100)와 반대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혀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매트본체 상부면 중 제1 매트 접이라인(314)과 오목 곡면부(312) 간의 각 교차지점으로부터 전측을 향해, 즉 제1 매트 접이라인(314)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제2 매트 접이라인(316)이 형성된다.
즉 양 제2 매트 접이라인(316)은 오목 곡면부(312)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상호 대칭 지점에 수평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매트본체(310) 중 오목 곡면부(312)와 양 제2 매트 접이라인(316) 사이 구간이 추후 가방 형태로 변형되었을 때 실질적인 수납부(319)를 이루게 되는 수납부 형성구간(317)이 된다.
이렇게 형성된 수납부 형성구간(317)은 매트본체(310)가 추후 가방 형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매트본체(310)의 좌우 양측을 양 제2 매트 접이라인(316)을 기준으로 서로를 향해 회동하여 접혀짐에 따라 실질적인 수납부(319)로 변형된다.
그리고 매트본체(310) 상부면 중 손잡이부 형성구간(315)이 제1 매트 접이라인(31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혀졌을 때 제1탈착부재(320)가 안착되는 지점에는 제1탈착부재(320)와의 체결되어 손잡이부(318)가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제2탈착부재(340)가 형성된다.
제2탈착부재(340)는 제1탈착부재(3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체결구조를 갖도록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 설명한 본 실시 예에 대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설치된 텐트본체(100)의 전측 출입구(120) 앞쪽 지면 상에 매트본체(310)를 펼쳐 놓고 매트본체(310)의 양 제1탈착부재(320)를 텐트본체(100)의 양 매트 연결부재(150)에 체결시키게 됨에 따라,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가 텐트본체(100)와 일체화 된 상태로 야외 매트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매트본체(310)의 오목 곡면부(312)가 텐트본체(100)의 볼록 곡면부(140)와 동일한 곡률로 밀착되기 때문에 매트본체(310)와 텐트본체(100) 간 경계지점이 주름지거나 틈새가 벌어지는 현상도 최소화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텐트를 철거할 경우에는, 먼저 제1탈착부재(320)와 매트 연결부재(150) 간 체결을 해제시켜 매트본체(310)를 텐트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텐트본체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 시킨다.
이 후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본체(310)의 개폐부재(330)를 통해 수납공간을 개방시킨 뒤 손잡이부 형성구간(315)을 접어 제1탈착부재(320)가 제2탈착부재(340)에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고리 형태의 손잡이부(318)가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본체(310) 중 좌우 양측 구간을 양 제2 매트 접이라인(316)을 중심으로 접어 세워 올리면, 양 제2 매트 접이라인(316) 사이 지점에 실질적으로 텐트본체(100)가 수납될 수납부(319)가 형성된다.
이 상태로 텐트본체(100)를 수납부 내 수납공간(313)으로 집어넣은 후 개폐부재로 수납부(319) 입구를 닫은 뒤, 양 손잡이부(318)를 동시에 잡게 되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 전체가 하나의 가방 형태를 갖게 되어 운반 및 보관이 훨씬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도 9d]에 도시된 것처럼 양 손잡이부(319)가 형성된 양쪽 구간을 양 제2 매트 접이라인(316) 기준으로 서로를 향해 완전히 접으면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의 부피가 최소화 된 형태가 된다.
참고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텐트본체(100)과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 간의 연결구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모자 형태를 띠는데, 이 상태에서 [도 21]과 같이 텐트본체(100) 표면에 모자와 연관된 각종 로고(예 : 야구모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야구 구단 로고)나 문자 등이 표시되도록 하여 텐트 의 외관이 더욱 부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최근 국내/외 프로야구나 프로농구, 프로축구 등의 인기가 증가되고 있고, 특히 각 구단 입장에서는 구단과 소속리그의 홍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므로,
본 발명과 같이 사용 연령대가 넓고 활동적인 성향의 소비자가 사용하는 제품에 구단로고나 소속 리그의 로고 등이 인쇄된다면, 홍보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본 발명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촉매역할도 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본 실시 예는 매트형 보관 패키지를 적용하는 개술적 개념과 구성은 위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골조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텐트 설치 및 철거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점에 차이가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텐트본체(100)에 지지 골조(200)가 설치되고 텐트본체(100)에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가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이에 더해 중앙 골조결합부(400)가 더 추가로 구비된다.
중앙 골조결합부(400)는 각 지지 골조(200)들을 동시에 상호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여 전체적인 지지 골조(200) 설치 및 철거 과정이 간소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중앙 골조결합부(400)는 전체적으로 원형 블록 형태이고 둘레면에는 각 지지 골조(200)와의 동시 결합을 위한 홈 형태의 체결부(410)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중앙 골조결합부(400)는 텐트본체(100)의 상단부 중앙에 위치하여 텐트본체와 일체로 연결 설치된다.
이때 중앙 골조결합부(400)는 텐트본체(100)를 상하 관통한 형태로 연결 설치되거나 텐트본체(100)의 상부면 상에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중앙 골조결합부(400)의 설치 구조는 지지 골조(200)가 텐트본체(100) 외부에 위치되거나 내부에 위치되는 형태에 따라 선택 적용된다.
참고로 중앙 골조결합부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원형 블록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체결부가 형성되어 각 지지 골조(200)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지지 골조(200)는 전체적으로 기다란 바아 형태이고 텐트본체(100)의 내부면에 밀착되거나 내부 삽입되는 등의 형태로 위치되고, 중앙 골조결합부(400)를 중심으로 사방을 향해 간격을 두고 복수개 원형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각 지지 골조(200)는 텐트본체(100)의 상단 중앙에서부터 일측부를 거쳐 하단부까지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각 지지 골조(200)의 지지력이 텐트본체(100)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다.
즉 각 지지 골조(200)들은 상단부가 중앙 골조결합부(400)를 중심으로 원형배열된 형태로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각 지지 골조(200)의 상단부는 중앙 골조결합부(400)의 각 체결부(410)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각 지지 골조(200)들은 하나의 중앙 골조결합부(400)를 통해 텐트본체(100) 상단 중앙에서 동시에 상호 연결되고, 이로 인해 본 실시 예에 의한 텐트는 지지골조에 의한 지지력이 중앙 골조결합부(400)를 중심으로 텐트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 지지 골조(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각 지지골조가 단순히 하나의 중앙 골조결합부(400)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 만으로 상호 간의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텐트의 설치과정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텐트를 철거하는 과정에서도 단순히 각 지지골조를 중앙 골조결합부(4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만으로 각 지지 골조(200) 간의 연결이 해제 되므로, 철거과정도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중앙 골조결합부(400)의 체결부가 단순 홈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체결부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지지 골조(200)와의 동시 체결분리가 가능한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제3 실시 예>
본 실시 예는 매트형 보관 패키지를 적용하는 제1 실시 예 및 이와 더불어 중 앙 골조결합부를 추가 적용한 제2실시 예와 기술적 개념은 동일한 반면,[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골조의 자체 구조를 개선하여 텐트의 설치 및 철거의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철거 후 보관시 부피절감효과도 얻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중앙 골조결합부(400)는 제2 실시 예처럼 각 지지 골조(200)의 동시결합 기능과 더불어 후술하는 튜브 형태의 각 지지 골조(200)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중앙 골조결합부는 제2 실시 예처럼 원형 블록 형태이고 둘레면에는 각 지지 골조(200)와의 동시 결합을 위한 홈 형태의 체결부(410)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텐트본체(100)의 상단부 중앙 지점에 위치된다.
이때 중앙 골조결합부(400)는 내부에 공기분배공간(420)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외부공기를 공기분배공간(420) 내부로 공급하거나 빼내기 위한 메인 공기 주입/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체결부(410) 내부에는 공기분배공간(420) 내 공기를 후술하는 지지 골조(200) 내부로 공급하거나 지지 골조(200) 내 공기를 공기분배공간(420)으로 빼내기 위한 공기노즐(440)이 공기분배공간(420)과 연통된 형태로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지지 골조(2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아 형태이고 고무나 비닐 등의 합성수지 재질이며 내부에는 공기 충진공간(210)이 형성된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지지 골조(200)는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텐트본체(100)의 내부면에 밀착되거나 내부 삽입되는 등의 형태로 위치되고 상단부가 중앙 골조결합부(400)의 각 체결부(410)와 마주하는 상태에서 중앙 골조결합부(400)를 중심으로 사방을 향해 간격을 두고 복수개 원형 배치된다.
이때 각 지지 골조(200)의 상단부에는 중앙 골조결합부(400)가 관통될 수 있는 공기유입홀(220)이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각 지지 골조(200)의 상단부는 중앙 골조결합부(400)의 각 체결부(410)에 삽입됨과 동시에 각 체결부(410) 내 공기노즐(440)이 각 지지 골조(200)의 공기유입홀(220)에 관통삽입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텐트를 설치하기 전에는 각 지지 골조(200) 내 공기 충진공간(210)에 공기가 충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지지 골조(200)는 정형화된 바아 형태를 띠지 않고 마치 비닐이 구겨진 형태로 위치된다.
따라서 지지 골조(200)를 텐트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라도 텐트본체(100)를 쉽게 접어 철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부피가 커지지 않게 되므로, 기존에 지지 골조(200)를 별개로 사용하는 조립형 텐트에 비해 보관 시 공간소모율이 훨씬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텐트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공기주입 펌프(1)를 중앙 골조결합부(400)의 메인 공기 주입/배출구(430)에 결합시켜 공기를 공급하면 공급된 공기는 공기분배공간(420)에 수용된 상태에서 각 체결부(410) 내 공기노즐(440)을 통해 각 지지 골조(200) 의 공기 충진공간(210)으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각 지지 골조(200)는 동시에 부피가 팽창되어 바아 형태를 갖추게 됨과 동시에 지지력이 작용된다.
이처럼 지지 골조(200)가 텐트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단순히 공기주입만을 통해 각 지지골조의 역할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기존 조립형 텐트에 비해 설치과정이 훨씬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지지 골조(200)마다 내부 공기압력에 의해 팽팽하게 팽창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일체형 텐트에 비해 지지골조의 지지력이 높아지게 된다.
즉 지지골조를 공기튜브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기존 조립형 텐트에 비해 텐트의 설치와 철거가 훨씬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관 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고, 기존 일체형 텐트에 비해 높은 지지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지지 골조(200)마다 별개의 개별 공기 주입/배출구를 형성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중앙 골조결합부(400)를 통한 공기주입과 더불어 각 개별 공기 주입/배출구를 통해 추가 주입할 수 있으므로 공기충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골조결합부(400)가 훼손되어 공기공급 기능을 발휘할 수 없더라도 각 개별 공기 주입/배출구를 통해 공기주입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중앙 골조결합부(400)의 메인 공기 주입/배출구(430)와 지지 골조(200)의 개별 공기 주입/배출구(250)는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모두 가능한 노즐 형태로, 일반적인 공기튜브에 적용되는 공지의 노즐이 적용될 수 있다.
<제4 실시 예>
본 실시예는 제3 실시 예처럼 지지 골조(200)를 공기튜브 형태로 적용하되 다중튜브 형태로 구현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 예의 지지 골조(200)는 제1튜브(230)와 제2튜브(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먼저 제1튜브(230)는 지지 골조(200)의 내부골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제1공기 충진공간(232)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1공기유입홀(234)이 형성된 형태이다.
그리고 제2튜브(240)는 전체적으로 제1튜브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이고 내부에는 제1튜브(230)가 수용되어 있는 제2공기 충진공간(2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제2공기유입홀(2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지지 골조(200)의 상단부가 중앙 골조결합부(400)의 각 체결부(410) 안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중앙 골조결합부(400)의 각 체결부(410)내 공기노즐(440)은 두개씩 구비되어 각 지지 골조(200)의 제1공기유입홀(234)과 제2공기유입홀(244)에 개별적으로 관통 연결된다.
이로 인해 중앙 골조결합부(400)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각 지지 골조(200)의 제1튜브(230)와 제2튜브(240)에 개별적으로 공급되어 충진된다.
이렇게 지지골조가 다중튜브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사용이나 보관 과정에서 불필요한 접촉 등에 의해 바깥쪽 제1튜브(230)가 파손되어 공기가 유실되더라도 제2튜브(240)가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5 실시 예>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에서 텐트본체의 접이구조를 적용하여 텐트본체의 철거 과정에서 텐트본체를 쉽고 신속하게 매트형 보관 패키지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텐트본체(100)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 예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텐트본체(100)의 상단 중앙지점부터 일측 및 타측 하단부까지 제1 텐트 접이라인(100a)과 제3 텐트 접이라인(100g)이 좌우 대칭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텐트 접이라인(100a) 및 상기 제3 텐트 접이라인(100g)과 좌우 대칭되는 지점에 제2 텐트 접이라인(100d)과 제4 텐트 접이라인(100j)이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일측 및 타측 하단부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텐트본체(100)의 외부면 중 제1 텐트 접이라인(100a)을 사이에 두고 양측 대칭되는 지점에는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1 접이 고정부재(100b)와 제2접이 고정부재(100c)가 형성된다.
참고로 제1 접이 고정부재(100b)와 제2 접이 고정부재(100c)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스냅단추 형태로 구현되거나 벨크로 테이프 등 상호 체결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라면 선택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텐트본체(100)의 외부면 중 제2 텐트 접이라인(100d)을 사이에 두고 양측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1 접이 고정부재(100b) 및 제4 접이 고정부재(100f)와 동일한 형태이고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3 접이 고정부재(100e)와 제4 접이 고정부재(100f)가 형성된다.
또한 텐트본체(100)의 외부면 중 제3 텐트 접이라인(100g)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3 접이 고정부재(100e) 및 제4 접이 고정부재(100f)와 동일한 형태이고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5 접이 고정부재(100h) 및 제6 접이 고정부재(100i)가 형성된다.
더불어 텐트본체의 외부면 중 제4 텐트 접이라인(100j)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5 접이 고정부재(100h) 및 제6 접이 고정부재(100i)와 동일한 형태이고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7 접이 고정부재(100k) 및 제8 접이 고정부재(100l)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텐트를 철거하는 과정에서,
먼저 텐트본체(100) 중 제1 텐트 접이라인(100a) 형성 지점을 텐트본체 중앙 쪽을 향해 밀면서 제1 텐트 접이라인(100a) 기준 양측 지점을 서로를 향해 접은 후 제1 접이 고정부재(100b)와 제2 접이 고정부재(100c)가 상호 체결됨에 따라 해당 지점의 접이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텐트본체(100) 중 제2 텐트 접이라인(100d) 형성 지점을 텐트본체 중앙 쪽을 향해 밀면서 제2 텐트 접이라인(100d) 기준 양측 지점을 서로를 향해 접은 후 제3 접이 고정부재(100e)와 제4 접이 고정부재(100f)가 상호 체결됨에 따라 해당 지점의 접이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텐트본체(100) 중 제3 텐트 접이라인(100g) 형성 지점을 텐트본체(100) 중앙 쪽을 향해 밀면서 제3 텐트 접이라인(100g) 기준 양측 지점을 서로를 향해 접은 후 제5 접이 고정부재와 제6 접이 고정부재(100i)가 상호 체결됨에 따라 해당 지점의 접이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텐트본체(100) 중 제4 텐트 접이라인(100j) 형성 지점을 텐트본체(100) 중앙 쪽을 향해 밀면서 제4 텐트 접이라인(100j) 기준 양측 지점을 서로를 향해 접은 후 제7 접이 고정부재(100k)와 제8 접이 고정부재(100l)가 상호 체결됨에 따라 해당 지점의 접이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면과 같이 텐트본체(100) 전체를 바닥에 눕혀 놓은 상태에서 텐트본체(100)를 뒤에서부터 앞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접은 후 매트형 보관 패키지(300) 내부로 넣어 수납하게 된다.
본 실시 예는 텐트본체(100)에 각 접이라인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텐트본체의 접이방법을 쉽게 알 수 있게 되므로 텐트의 철거가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4개의 접이라인으로 나타내었으나, 경우에 따라서 6개 또는 다른 개수의 접이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텐트형 보관 패키지에 바로 넣어 수납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및 보관 과정이 훨씬 용이해지게 된다.
100 : 텐트본체 100a : 제1 텐트 접이라인
100b : 제1 접이 고정부재 100c : 제2 접이 고정부재
100d : 제2 텐트 접이라인 100e : 제3 접이 고정부재
100f : 제4 접이 고정부재 100g : 제3 텐트 접이라인
100h : 제5 접이 고정부재 100i : 제6 접이 고정부재
100j : 제4 텐트 접이라인 100k : 제7 접이 고정부재
100l : 제8 접이 고정부재 110 : 사용공간
120 : 출입구 130 : 개폐문
140 : 볼록 곡면부 150 : 매트 연결부재
200 : 지지 골조 210 : 공기 충진공간
220 : 공기유입홀 230 : 제1튜브
232 : 제1공기 충진공간 234 : 제1공기유입홀
240 : 제2튜브 242 : 제2공기 충진공간
244 : 제2공기유입홀 300 : 매트형 보관 패키지
310 : 매트본체 312 : 오목 곡면부
313 : 수납공간 314 : 제1 매트 접이라인
315 : 손잡이부 형성구간 316 : 제2 매트 접이라인
317 : 수납부 형성구간 318 : 손잡이부
319 : 수납부 320 : 제1탈착부재
330 : 개폐부재 340 : 제2탈착부재
400 : 중앙 골조결합부 410 : 체결부
420 : 공기분배공간 430 : 메인 공기 주입/배출구
440 : 공기노즐

Claims (9)

  1. 중앙의 사용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고 측부에는 상기 사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출입구 및 개폐문이 형성되어 있는 텐트본체,
    바아 형태이고 상기 텐트본체의 표면에 접촉되어 텐트본체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지지 골조를 포함하는 텐트에 있어서,
    상기 텐트본체의 출입구 외부 지면 상에 펼쳐진 형태로 위치하고 일측부가 상기 텐트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형 보관 패키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트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매트형 보관 패키지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텐트본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매트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트형 보관 패키지는,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본체,
    상기 매트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매트 연결부재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탈착부재,
    상기 매트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형 보관 패키지는,
    상기 매트본체 일부를 접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로 구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본체의 중앙 상단부에 위치하고 테두리면에는 체결부가 사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중앙 골조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골조는,
    상기 텐트본체의 측면부와 상면부에 동시에 연결되어 지지하면서 상단부가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의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를 중심으로 사방을 향해 연장된 형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6. 제5항에서,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는 일측에 메인 공기 주입/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메인 공기 주입/배출구와 연통되어 있는 공기분배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공기분배공간과 연통되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노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지지 골조는 내부에 공기 충진공간이 형성된 공기튜브 형태이며 상단부에 형성된 공기유입홀이 상기 체결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 공기 주입/배출구를 통해 공급된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분배공간과 체결부 및 공기유입홀을 통해 상기 각 지지 골조로 공급되어 상기 각 지지 골조의 부피가 팽창되어 텐트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7. 제6항에서,
    상기 각 지지 골조의 측부에는 상기 공기 충진공간으로 직접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개별 공기 주입/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8. 제6항에서,
    상기 지지 골조는,
    내부에 제1공기 충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의 체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튜브,
    상기 제1튜브를 둘러싸고 있고 내부에 제2공기 충진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의 체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튜브
    를 포함하는 다중 튜브 형태이고,
    상기 공기유입홀은 상기 제1튜브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의 체결부와 연결되는 제1공기유입홀 및 상기 제2튜브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 골조결합부의 체결부와 연결되는 제2공기유입홀로 나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9. 제1항 있어서,
    상기 텐트본체는 상단 중앙지점부터 일측 및 타측 하단부까지 제1 텐트 접이라인과 제3 텐트 접이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텐트 접이라인 및 상기 제3 텐트 접이라인과 좌우 대칭되는 지점에 제2 텐트 접이라인과 제4 텐트 접이라인이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일측 및 타측 하단부까지 형성되며,
    상기 텐트본체의 외부면 중 상기 제1 텐트 접이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1 접이 고정부재 및 제2 접이 고정부재,
    상기 텐트본체의 외부면 중 상기 제2 텐트 접이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3 접이 고정부재 및 제4 접이 고정부재,
    상기 텐트본체의 외부면 중 상기 제3 텐트 접이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5 접이 고정부재 및 제6 접이 고정부재,
    상기 텐트본체의 외부면 중 상기 제4 텐트 접이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제7 접이 고정부재 및 제8 접이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텐트본체가 상기 제1 텐트 접이라인과 제2 텐트 접이라인, 제3 텐트 접이라인 및 제4 텐트 접이라인을 각각 기준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제1 접이 고정부재 내지 제8 접이 고정부재가 상호 체결되며,
    상기 텐트본체 전체를 하단부로부터 상단부 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접은 후 상기 매트형 보관 패키지의 수납공간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철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KR1020200183509A 2020-12-24 2020-12-24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KR10251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509A KR102515647B1 (ko) 2020-12-24 2020-12-24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509A KR102515647B1 (ko) 2020-12-24 2020-12-24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094A KR20220092094A (ko) 2022-07-01
KR102515647B1 true KR102515647B1 (ko) 2023-03-29

Family

ID=8239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509A KR102515647B1 (ko) 2020-12-24 2020-12-24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1836A1 (ko) * 2022-03-10 2023-09-14 김영하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29B1 (ko) * 2014-08-20 2015-03-20 이권봉 강화된 에어골격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에어텐트
KR200480022Y1 (ko) * 2014-10-14 2016-04-04 정승원 튜브형 에어 폴대
JP2018021447A (ja) * 2017-08-04 2018-02-08 株式会社ベガコーポレーション テン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222U (ja) * 1992-04-10 1993-11-12 ライフガード工業株式会社 折畳み式一人用立交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29B1 (ko) * 2014-08-20 2015-03-20 이권봉 강화된 에어골격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에어텐트
KR200480022Y1 (ko) * 2014-10-14 2016-04-04 정승원 튜브형 에어 폴대
JP2018021447A (ja) * 2017-08-04 2018-02-08 株式会社ベガコーポレーション テ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094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7822A (en) Inflatable tent
US5135018A (en) Portable umbrella shelter
CN206576641U (zh) 儿童收容装置
US4862906A (en) Multiform convertible tent and hammock
US5570544A (en) Inflatable structure
US5642538A (en) Self-erecting play yard structure
US5099866A (en) Protective play enclosure
EP3967832B1 (en) Collapsible enclosure
US20120012801A1 (en) Play yard with removable enclosure
US20060289047A1 (en) Collapsible structures
US92591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ground covering
US6986178B2 (en) Portable bivouac shelter
KR102515647B1 (ko) 모자 형태의 텐트 및 모기장
US20180042397A1 (en) Portable bed with attachable tent
US20030209396A1 (en) Soft-sided carrying case
KR100616075B1 (ko) 폴대를 결속시키기 위한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조립식골프 네트장치
CN110984682A (zh) 一种适用于复杂地形的户外帐篷
WO2023174234A1 (zh) 一种可扩展宠物包
KR20180046238A (ko) 에어 주입식 캠핑텐트
US9631395B1 (en) Multifunctional outdoor shelter system with variably attachable hooded garment floor and canopy
US11317723B2 (en) Under-seat enclosure
US5014728A (en) Tent
US201601203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Ground Covering
US20040050413A1 (en) Cabana structure
US6315116B1 (en) Golf bag with sea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