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965Y1 - 회전형 절삭공구 - Google Patents

회전형 절삭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965Y1
KR200479965Y1 KR2020150005971U KR20150005971U KR200479965Y1 KR 200479965 Y1 KR200479965 Y1 KR 200479965Y1 KR 2020150005971 U KR2020150005971 U KR 2020150005971U KR 20150005971 U KR20150005971 U KR 20150005971U KR 200479965 Y1 KR200479965 Y1 KR 200479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utting
tool
winding
too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식
사희숙
Original Assignee
박용식
사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식, 사희숙 filed Critical 박용식
Priority to KR2020150005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9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9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06Details of the milling cutt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03Milling-cutters with vibration sup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03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thermal effects on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isolating vibrations in parts of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0Number of cutting edges
    • B23C2210/203Number of cutting edges f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형 절삭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절삭공구가 공구모터에 의하여 벨트구동됨에 있어 회전 축심이 유지되어 회전 축심의 편심으로 인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회전형 절삭공구에 있어서, 공구몸체의 선단에 3 개 내지 4 개의 절삭비트를 구비하고, 공구몸체의 후단 측에 편심에 의한 진동이 방지되게 2 개 내지 20 개 이내의 벨트홈으로 이루어진 벨트권취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공구몸체의 후단 측에 2 개 내지 20 개 이내의 벨트홈으로 이루어진 벨트권취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회전축심이 공구몸체의 중심에 형성되어 공구모터에 의한 벨트구동됨에 있어 회전축심이 유지되어 회전 축심의 편심으로 인한 진동을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형 절삭공구{Rotary cutting tool}
본 고안은 회전형 절삭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형 절삭공구에 있어서, 공구몸체의 전단에 3 개 내지 4 개의 절삭비트를 구비하고, 공구몸체의 후단 측에 편심에 의한 진동이 방지되게 2 개 내지 20 개 이내의 벨트홈으로 이루어진 벨트권취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절삭공구가 공구모터에 의하여 벨트구동됨에 있어 회전 축심이 유지되어 회전 축심의 편심으로 인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권취부의 후단 면의 외주면에서 절삭비트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게 천공형성된 권취냉각유입부와 상기 벨트권취부의 절삭비트 측 단부 측에 공구몸체의 외면에서 직경방향으로 천공되어 권취냉각유입부와 관통되는 권취냉각배출부로 구성하여서, 절삭공부의 절삭과정에 발생하는 미세한 슬립에 의한 벨트권취부의 과열을 방지하여 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형 절삭공구는 봉상의 이루어진 공구몸체가 회전하면서 공구뭄체의 하단에 구비된 절삭비트가 가공대상물의 면 또는 면의 모서리를 절삭 가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회전형 절삭공구는 봉상으로 이루어진 공구몸체와 상기 공구몸체의 하단에 등 간격을 이루게 구비된 절삭비트 및 상기 공구몸체의 상부에 결합 벨트풀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형 절삭공구는 공구몸체가 공구홀더에 결속되어서 공구모터가 구비된 가공장치에 결합되어서 상기 공구모터에 의하여 견인 회전되는 벨트가 공구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벨트풀리에 권취되어서 공구몸체를 회전시킴으로 가공대상물의 면 또는 모서리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형 절삭공구는 측면에서 체결되는 셋트스크류에 의하여 벨트풀리가 공구몸체에 결속되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 셋트스크류의 체결력에 의하여 벨트풀리의 중심과 공구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회전축심이 편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절삭공구의 회전축심이 편심되게 되면, 절삭공구의 미세한 진동을 유발시켜 가공대상물의 가공정밀도가 저하되고 절삭비트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회전형 절삭공구는 절삭비트가 120° 각도를 이루게 3개만 구비되어 있어 각 절삭비트에 절삭로드가 과도하게 걸리고 절삭충격이 120°마다 발생되어 절삭진동이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2-0043746호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회전형 절삭공구는 셋트스크류에 의하여 벨트풀리가 공구몸체에 결속되게 구성되어 있어 벨트풀리의 중심과 공구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회전축심이 편심되는 문제점과, 상기 절삭공구의 회전축심의 편심으로 인하여 절삭공구의 미세한 진동을 유발시켜 가공대상물의 가공정밀도가 저하되고 절삭비트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 및 절삭비트가 120° 각도를 이루게 3개만 구비되어 있어 각 절삭비트에 절삭로드가 과도하게 걸리고 절삭충격이 120°마다 발생되어 절삭진동이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회전형 절삭공구에 있어서, 공구몸체의 선단에 3 개 내지 4 개의 절삭비트를 구비하고, 공구몸체의 후단 측에 편심에 의한 진동이 방지되게 2 개 내지 20 개 이내의 벨트홈으로 이루어진 벨트권취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공구몸체의 전단에 구비되는 절삭비트를 90°의 등간격으로 구비되게 4 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벨트권취부의 후단 면의 외주면에서 절삭비트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게 천공형성된 권취냉각유입부와 상기 벨트권취부의 절삭비트 측 단부 측에 공구몸체의 외면에서 직경방향으로 천공되어 권취냉각유입부와 관통되는 권취냉각배출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공구몸체의 후단 측에 2 개 내지 20 개 이내의 벨트홈으로 이루어진 벨트권취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회전축심이 공구몸체의 중심에 형성되어 공구모터에 의한 벨트구동됨에 있어 회전축심이 유지되어 회전 축심의 편심으로 인한 진동을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벨트권취부의 후단 면의 외주면에서 절삭비트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게 천공형성된 권취냉각유입부와 상기 벨트권취부의 절삭비트 측 단부 측에 공구몸체의 외면에서 직경방향으로 천공되어 권취냉각유입부와 관통되는 권취냉각배출부로 구성함으로써, 절삭공부의 절삭과정에 발생하는 미세한 슬립에 의한 벨트권취부의 과열을 방지하여 벨트의 손상을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예시 사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절삭비트부 상세 사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벨트권취부의 상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벨트 권취부의 측 단면 예시도.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벨트 권취부의 측면 예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벨트 권취부의 측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회전형 절삭공구의 회전축심을 유지되게 하여 절삭공구의 절삭과정에 진동을 방지하여 가공대상물의 절삭정밀도을 향상시키고 절삭비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고안은 봉상으로 이루어진 공구몸체(10)와 상기 공구몸체(10)의 하단에 등 간격을 이루게 구비된 절삭비트(20)로 구성되는 회전형 절삭공구에 있어서, 공구몸체(10)의 선단에 3 개 내지 4 개의 공구비트(20)를 구비하고, 공구몸체(10)의 후단 측에 편심에 의한 진동이 방지되게 2 개 내지 20 개 이내의 벨트홈으로 이루어진 벨트권취부(30)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벨트권취부(30)를 구성하는 벨트홈의 표면에 권취되는 벨트(120)의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샌드브러쉬 가공된 요철면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벨트홈의 저면에 연속하여 권취되는 벨트(120)와의 접촉과정에 벨트홈으로 가압 압축되는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벨트압축공기배기통로(31)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벨트압축공기배기통로(31)는 반구형 또는 사각형의 홈으로 형성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삭비트(20)의 중앙에는 회전중심을 유지할 수 있게 볼트결속되는 파일럿베어링(4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벨트권취부(30)의 후단 면의 외주면에서 절삭비트(20)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게 천공형성된 권취냉각유입부(51)와 상기 벨트권취부(30)의 절삭비트(20) 측 단부 측에 공구몸체(10)의 외면에서 직경방향으로 천공되어 권취냉각유입부(51)와 관통되는 권취냉각배출부(52)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권취냉각배출부(52)는 배출되는 냉각공기에 함유된 기름 성분의 이물질이 벨트권취부(30)로 유입되지 않게 공구몸체(10)의 절삭비트(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적용실시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형 절삭공구에 있어서, 공구몸체(10)의 선단에 3 개 내지 4 개의 절삭비트(20)를 구비하고, 공구몸체(10)의 후단 측에 편심에 의한 진동이 방지되게 2 개 내지 20 개 이내의 벨트홈으로 이루어진 벨트권취부(30)를 일체로 형성한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회전축심이 공구몸체(10)의 중심에 형성되어 공구모터(110)에 의한 벨트(120)구동됨에 있어 회전축심이 유지되어 회전 축심의 편심으로 인한 진동을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회전축심이 유지되어 절삭공구의 진동이 방지되면 절삭비트(20)에 의하여 가공되는 가공대상물의 표면이 정밀도가 향상되고 공구의 절삭비트(20)의 진동으로 인한 충격이 방지되어 절삭비트(20)의 수명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벨트권취부(30)를 구성하는 벨트홈의 표면에 권취되는 벨트(120)의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샌드브러쉬 가공된 요철면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벨트권취부(30)에 권취되는 벨트(120)의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절삭공구의 절삭력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벨트홈의 저면에 벨트압축공기배기통로(31)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연속하여 권취되는 벨트(120)에 의하여 벨트홈으로 가압되는 공기가 벨트홈에 가압 압축되지 않고 벨트압축공기배기통로(31)로 배출되어 벨트(120)의 벨트권취부(30) 접촉이 명확하게 이루어져 절삭공구의 절삭력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절삭비트(20)의 중앙에 파일럿베어링(40)을 구비하게 되면, 절삭공구의 회전중심이 유지되어 절삭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 벨트권취부(30)의 후단 면의 외주면에서 절삭비트(20)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게 천공형성된 권취냉각유입부(51)와 상기 벨트권취부(30)의 절삭비트(20) 측 단부 측에 공구몸체(10)의 외면에서 직경방향으로 천공되어 권취냉각유입부(51)와 관통되는 권취냉각배출부(52)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절사공구의 절삭과정에 있어 권취냉각배출부(52)로 공기가 원심배출되면서 상기 권취냉각유입부(51)로 공기가 유입되어 벨트권취부(30)가 형성된 공구몸체(10)를 냉각시켜 줌으로써 절삭공구의 동작과정에 벨트(120)의 과열로 인한 슬립 또는 벨트(120)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권취냉각배출부(52)가 절삭비트(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벨트권취부(30) 유입되는 기름등의 이물질이 권취냉각유입부(51)를 통하여 권취냉각배출부(52)로 배출되어 기름등의 이물질이 벨트권취부(30)로 유입됨으로 인한 벨트(120)의 슬립이 방지되는 것이다.
10 : 공구몸체
20 : 절삭비트
30 : 벨트권취부 31 : 벨트압축공기배기통로
40 : 파일럿베어링
51 : 권취냉각유입부 52 : 권취냉각배출부
110 : 공구모터 120 : 벨트

Claims (6)

  1. 회전형 절삭공구에 있어서;
    공구몸체(10)의 선단에 3 개 내지 4 개의 절삭비트(20)를 구비하고, 공구몸체(10)의 후단 측에 편심에 의한 진동이 방지되게 2 개 내지 20 개 이내의 벨트홈으로 이루어진 벨트권취부(3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벨트권취부(30)를 구성하는 벨트홈의 표면에 권취되는 벨트(120)의 미끄러짐이 방지되게 샌드브러쉬 가공된 요철면을 형성하며,
    벨트홈의 저면에 연속하여 권취되는 벨트(120)와의 접촉과정에 벨트홈으로 가압 압축되는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벨트압축공기배기통로(31)를 형성하고,
    상기 절삭비트(20)의 중앙에는 회전중심을 유지할 수 있게 볼트결속되는 파일럿베어링(40)을 구비하며,
    벨트권취부(30)의 후단 면의 외주면에서 절삭비트(20)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게 천공형성된 권취냉각유입부(51)와 상기 벨트권취부(30)의 절삭비트(20) 측 단부 측에 공구몸체(10)의 외면에서 직경방향으로 천공되어 권취냉각유입부(51)와 관통되는 권취냉각배출부(52)로 구성하고,
    상기 권취냉각배출부(52)는 배출되는 냉각공기에 함유된 기름 성분의 이물질이 벨트권취부(30)로 유입되지 않게 공구몸체(10)의 절삭비트(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절삭공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50005971U 2015-09-08 2015-09-08 회전형 절삭공구 KR200479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971U KR200479965Y1 (ko) 2015-09-08 2015-09-08 회전형 절삭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971U KR200479965Y1 (ko) 2015-09-08 2015-09-08 회전형 절삭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965Y1 true KR200479965Y1 (ko) 2016-03-25

Family

ID=55645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971U KR200479965Y1 (ko) 2015-09-08 2015-09-08 회전형 절삭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96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952A (ja) 2003-07-15 2005-02-10 Honda Motor Co Ltd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クラッキング溝の加工装置
JP2015044252A (ja) 2013-08-27 2015-03-1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切削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952A (ja) 2003-07-15 2005-02-10 Honda Motor Co Ltd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クラッキング溝の加工装置
JP2015044252A (ja) 2013-08-27 2015-03-1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切削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8164B2 (ja) テーパーリーマ
JP2010521328A (ja) 工具
US20160128461A1 (en) Polishing brush and polishing method
US9555485B2 (en) Diamond plated grinding endmill for advanced hardened ceramics machining
JP2015000473A (ja) 応力緩和部を備えたミリングカッター
JP2018134729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壁の加工装置
SE534651C2 (sv) Skär, verktygsdel, förfarande jämte verktygsmaskin för spånskärande metallbearbetning
JP5239963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6618357B2 (ja) シャフトを穴あけするため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ヘッド
US20170234367A1 (en) Rolling bearing
JP6432989B2 (ja) らせん状のとがった刃および排出溝を有する面取りカッター
JP7128549B2 (ja) 手持型空気圧駆動医療機器
RU2572945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установленным на хвостовике регулировочным кольцом
US3365773A (en) Deburring tool
JP6201730B2 (ja) 深穴加工装置および深穴加工方法
KR200479965Y1 (ko) 회전형 절삭공구
JP6968093B2 (ja) 穴のバリ取りのためのチップ除去工具
KR20150109310A (ko) 회전형 절삭공구
US9067265B2 (en) Cutting method
JP2015208794A (ja) ホーニングヘッド
KR101083014B1 (ko) 석재가공용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JP4524312B2 (ja) すり潰しローラ
JP2015208835A (ja) 刃先交換式正面フラ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05532A (ko) 면취기
KR20140101704A (ko) 면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