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949Y1 -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949Y1
KR200479949Y1 KR2020120006441U KR20120006441U KR200479949Y1 KR 200479949 Y1 KR200479949 Y1 KR 200479949Y1 KR 2020120006441 U KR2020120006441 U KR 2020120006441U KR 20120006441 U KR20120006441 U KR 20120006441U KR 200479949 Y1 KR200479949 Y1 KR 200479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ir
beams
flat display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628U (ko
Inventor
황혁주
Original Assignee
(주)한국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랩 filed Critical (주)한국랩
Priority to KR2020120006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94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9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빔(beam)과, 상기 복수의 빔의 양 단을 지지하고 벽에 부착되는 한 쌍의 벽 고정 부재를 구비한 벽걸이 유닛, 및 복수의 빔에 체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bracket)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체결되어 이를 지지하며, 하나씩 한 쌍의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틸팅(tilting)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 쌍의 암(arm)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지지 유닛을 구비한다. 한 쌍의 벽 고정 부재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빔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상기 벽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다르게 배치된 복수의 빔 체결 통공이 형성된다. 한 쌍의 브라켓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빔의 위에서 아래로 브라켓을 내리면 복수의 빔에 빠지지 않게 걸리고, 다시 위로 올릴 때에만 복수의 빔에서 빠지는 복수의 후크(hook)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Device for mounting flat display on wall}
본 고안은 평면 디스플레이를 벽에 부착하여 시청 가능하게 하는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평면 디스플레이는 LCD, PDP, OLED 와 같은 평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로서, TV와 모니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평면 디스플레이는 편평한 바닥에 스탠드(stand)를 이용하여 시청 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으나, 근래에는 벽걸이형 지지대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하는 방식도 적용되고 있다.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는 시청자에게 편안한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벽에 안정적으로 부착 지지하는 것을 우선하여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벽에 너무 가깝게 근접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상하 방향의 틸팅 가능 각도가 과도하게 제한되었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뒷면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를 벽에 고정된 프레임(frame)에 체결할 때 체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바, 설치와 분리시에 불편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상하 방향의 틸팅 각도(tilting angle)의 한계를 확장할 수 있는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평면 디스플레이의 부착과 분리가 용이하고 설치 후 안전성이 높은 평면 디스플레지 지지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빔(beam)과, 상기 복수의 빔의 양 단을 지지하고 벽에 부착되는 한 쌍의 벽 고정 부재를 구비한 벽걸이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빔에 체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bracket)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체결되어 이를 지지하며, 하나씩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틸팅(tilting)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 쌍의 암(arm)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지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벽 고정 부재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빔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상기 벽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다르게 배치된 복수의 빔 체결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빔의 위에서 아래로 상기 브라켓을 내리면 상기 복수의 빔에 빠지지 않게 걸리고, 다시 위로 올릴 때에만 상기 복수의 빔에서 빠지는 복수의 후크(hook)가 구비되는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제공한다.
상기 브라켓 각각에는 원호(圓弧)를 따라 연장된 제1 원호 슬롯(slot)이 형성되고, 상기 암 각각에는 상기 제1 원호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핀(pin)이 구비된 브라켓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암이 상기 제1 원호 슬롯의 중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틸팅(tilting)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연결부에는 상기 제1 원호 슬롯과 동심(同心)인 원호를 따라 연장된 제2 원호 슬롯(slot)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원호 슬롯을 통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틸팅 고정 볼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틸팅 고정 볼트의 헤드(head)에 의해 상기 브라켓 연결부가 상기 브라켓에 밀착되어 상기 암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볼트(bolt) 체결에 의해 상기 암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암의 상측 및 하측에 서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된 복수의 상측 볼트 통공 및 복수의 하측 볼트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측 볼트 통공 및 복수의 하측 볼트 통공 중 하나는 상하로 연장된 슬롯(slot)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에 의하면 횡방향 빔(beam)이 벽으로부너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평면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암(arm)의 상하 방향의 틸팅 각도(tilting angle)의 한계를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 디스플레이의 설치 장소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후크(hook)에 의해 평면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빔에 거는 것만으로 평면 디스플레이를 벽에 지지할 수 있고, 의도적인 분리 행위가 아닌 한 이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이 높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평면 디스플레이의 무게중심이 암(arm)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평면 디스플레이를 암에 고정하면 암이 평면 디스플레이의 무게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적은 힘으로 정확하게 틸팅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평면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암(arm)의 상부와 하부에 복수의 고정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규격의 평면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와 이에 고정되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분리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A-A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와 이에 고정되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분리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A-A에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10)는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3)을 구비하는 평면 디스플레이(1)를 건물 내부의 벽 또는 구조물의 벽에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스틸(steel)과 같은 금속 소재의 벽걸이 유닛(11) 및 상기 벽걸이 유닛(11)에 체결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지지 유닛(25)을 구비한다.
벽걸이 유닛(11)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 빔(beam)(20, 22)과, 제1 및 제2 빔(20, 22)의 양 단을 지지하고 벽에 부착되는 한 쌍의 벽 고정 부재(12)를 구비한다. 한 쌍의 벽 고정 부재(12)는 각각 벽에 고정되는 벽 고정부(13)와, 상기 벽 고정부(13)에서 직각으로 절곡 돌출된 빔 지지부(16)를 구비한다. 벽 고정부(13)는 복수의 체결 볼트(미도시)에 의해 벽에 고정되고, 벽 고정부(13)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 가능하도록 복수의 벽 고정 통공(14)이 형성된다.
빔 지지부(16)에는 제1 빔(20)이 체결되는 제1 빔 체결 통공(17a, 17b, 17c)과, 제2 빔이 체결되는 제2 빔 체결 통공(18a, 18b, 18c)이 형성된다. 제1 빔 체결 통공(17a, 17b, 17c)과 제2 빔 체결 통공(18a, 18b, 18c)은 각각 벽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다르게 배치된 세 쌍의 체결 통공이 구비된다. 제1 타입의 제1 빔 체결 통공(17a)과 제2 빔 체결 통공(18a)은 벽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가장 멀어서 제1 빔(20)의 양 단부와 제2 빔(22)의 양 단부가 각각 제1 타입의 제1 빔 체결 통공(17a)과 제2 빔 체결 통공(18a)에 체결되면 제1 빔(20)과 제2 빔(22)이 벽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다. 제2 타입의 제1 빔 체결 통공(17b)과 제2 빔 체결 통공(18b)은 벽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제1 타입의 그것들(17a, 18a)보다는 가깝고 제3 타입의 그것들(17c, 18c)보다는 멀다. 제3 타입의 제1 빔 체결 통공(17c)과 제3 빔 체결 통공(18c)은 벽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가장 가깝다. 제1 빔(20)과 제2 빔(22)의 양 단부는 연결 볼트(미도시)에 의해 제1 빔 체결 통공(17a, 17b, 17c)과 제2 빔 체결 통공(18a, 18b, 18c)에 체결된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지지 유닛(25)은 각각 제1 빔(20) 및 제2 빔(22)에 체결되는 브라켓(bracket)(26)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브라켓(26)에 상하 방향으로 틸팅(tilting) 가능하게 체결되는 암(arm)(40)을 구비한다. 암(40)은 평면 디스플레이(1)의 배면 하우징(5)에 연결 볼트(48, 49)에 의해 체결되어 평면 디스플레이(1)를 지지한다.
각 브라켓(26)에는 제1 빔(20)에 걸려 체결되는 제1 후크(hook)(34)와, 제2 빔(22)에 걸려 체결되는 제2 후크(36)가 구비된다. 제1 후크(34) 및 제2 후크(36)는 병따개와 유사한 형상으로 아래로 돌출되어 있다. 브라켓(26)을 제1 빔(20)과 제2 빔(22)에 근접시키고 위에서 아래로 내려 제1 후크(34) 및 제2 후크(36)를 제1 빔(20) 및 제2 빔(22)의 위에서 아래로 내리면, 제1 후크(34)가 제1 빔(20)에 걸리고 제2 후크(36)가 제2 빔(22)에 걸린다. 이때, 브라켓(26)은 앞으로 당겨지거나 아래로 내려도 제1 빔(20) 및 제2 빔(22)에서 빠지지 않는다. 다만, 브라켓(26)은 제1 빔(20) 및 제2 빔(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옆으로 슬라이딩(sliding)될 수는 있다. 제1 후크(34) 및 제2 후크(36)는 위로 들어올려지는 경우에만 제1 빔(20) 및 제2 빔(22)에서 빠질 수 있다. 따라서, 벽걸이 유닛(11)에 체결된 브라켓(26)은 위로 들어올려 제1 빔(20) 및 제2 빔(22)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의도하지 않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는 브라켓(26)이 벽걸이 유닛(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각 브라켓(26)에는 브라켓(26) 전방의 일 점을 중심(C)으로 하는 원호(圓弧)를 따라 연장된 제1 원호 슬롯(slot)(28)이 형성된다. 한편, 각 암(40)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는 브라켓(26)에 연결되는 브라켓 연결부(45)가 형성된다. 브라켓 연결부(45)에는 제1 원호 슬롯(28)을 관통하여 제1 원호 슬롯(28) 내에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도록 브라켓 연결부(45)에 양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핀(pin)(3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암(40)에 고정 체결된 평면 디스플레이(1)를 잡고 위 또는 아래로 기울이면 상하로 기울이면 각 암(40)의 한 쌍의 핀(30)이 제1 원호 슬롯(28) 내에서 이동하게 되어, 한 쌍의 암(40)의 제1 원호 슬롯(28)의 중심(C)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틸팅(tilting)된다.
상기 중심(C)은 한 쌍의 암(40)에 고정되는 평면 디스플레이(1)의 내부에 위치한다. 암(40)에 대한 평면 디스플레이(1)의 높이를 적절히 조정하여 평면 디스플레이(1)을 암(40)에 고정하면 평면 디스플레이(1)의 무게중심과 상기 제1 원호 슬롯(28)의 중심(C)이 일치하거나 매우 근접하게 될 수 있으므로 적은 힘으로 쉽고 정확한 각도로 암(40)을 기울일 수 있다.
상기 암(40)을 위로 기울일 때의 최대 틸팅 각도(AN1)와 아래로 기울일 때의 최대 틸팅 각도(AN2), 즉 틸팅 한계는 제1 원호 슬롯(28)의 길이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암(40)의 상단 또는 하단이 벽걸이 유닛(11)이 지지되는 벽에 부딪쳐 제한되는 경우가 더욱 빈번하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제1 타입 내지 제3 타입의 제1 빔 체결 통공(17a, 17b, 17c)과, 제1 타입 내지 제3 타입의 제2 빔 체결 통공(18a, 18b, 18c)에 의해 제1 빔(20)과 제2 빔(22)이 벽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 거리를 크게 하면 암(40)의 최대 틸팅 각도(AN1, AN2)를 크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격 거리를 작게 하면 벽으로부터 최소한으로 돌출되게 평면 디스플레이(1)를 설치할 수 있어 슬림(slim)하게 보여진다.
한편, 각 암(40)의 브라켓 연결부(45)에는 제1 원호 슬롯(28)과 동심(同心), 즉 C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연장된 제2 원호 슬롯(46)이 형성된다. 틸팅 고정 볼트(50)는 제2 원호 슬롯(46)을 통하여 브라켓(26)에 형성된 볼트 연결 통공(32)에 삽입되어 브라켓(26)에 체결된다. 암(40)의 틸팅 각도를 확정하고, 틸팅 고정 볼트(50)를 볼트 연결 통공(32)에 삽입 체결하면 틸팅 고정 볼트의 헤드(head)에 의해 브라켓 연결부(45)가 브라켓(26)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암(40)이 브라켓(26)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브라켓 연결부(45)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는 서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된 복수의 상측 볼트 통공(42) 및 복수의 하측 볼트 통공(44)이 형성된다. 복수의 상측 볼트 통공(42) 중의 하나를 상측 체결 볼트(48)로 관통하여 평면 디스플레이(1)의 배면 하우징(5)에 체결하고, 복수의 하측 볼트 통공(44) 중의 하나를 하측 체결 볼트(49)로 관통하여 평면 디스플레이(1)의 배면 하우징(5)에 체결함으로써 암(40)을 평면 디스플레이(1)에 부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평면 디스플레이(1)의 규격에 따라 적절한 상측 볼트 통공(42) 및 하측 볼트 통공(44)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측 볼트 통공(42)은 상하로 연장된 슬롯(slot)이어서 배면 하우징(5)에 형성된 상측 체결 볼트(48)과 하측 체결 볼트(49)용 통공이 세로 방향의 일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기만 하면 그 높이에 무관하게 상측 체결 볼트(48)와 하측 체결 볼트(49)를 상측 볼트 통공(42)과 하측 볼트 통공(44)을 관통하여 평면 디스플레이(1)에 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평면 디스플레이 10: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11: 벽걸이 유닛 12: 벽 고정 부재
20, 22: 제1, 제2 빔 25: 디스플레이 지지 유닛
26: 브라켓(bracket) 34, 36: 제1, 제2 후크
40: 암(arm) 50: 틸팅 고정 볼트

Claims (5)

  1.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빔(beam)과, 상기 복수의 빔의 양 단을 지지하고 벽에 부착되는 한 쌍의 벽 고정 부재를 구비한 벽걸이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빔에 체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bracket)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면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체결되어 이를 지지하며, 하나씩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 상하 방향으로 틸팅(tilting)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 쌍의 암(arm)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지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벽 고정 부재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빔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상기 벽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다르게 배치된 복수의 빔 체결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빔의 위에서 아래로 상기 브라켓을 내리면 상기 복수의 빔에 빠지지 않게 걸리고, 다시 위로 올릴 때에만 상기 복수의 빔에서 빠지는 복수의 후크(hook)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각각에는 원호(圓弧)를 따라 연장된 제1 원호 슬롯(slot)이 형성되고,
    상기 암 각각에는 상기 제1 원호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핀(pin)이 구비된 브라켓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암이 상기 제1 원호 슬롯의 중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틸팅(tilting)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연결부에는 상기 제1 원호 슬롯과 동심(同心)인 원호를 따라 연장된 제2 원호 슬롯(slot)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원호 슬롯을 통해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틸팅 고정 볼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틸팅 고정 볼트의 헤드(head)에 의해 상기 브라켓 연결부가 상기 브라켓에 밀착되어 상기 암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볼트(bolt) 체결에 의해 상기 암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암의 상측 및 하측에 서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된 복수의 상측 볼트 통공 및 복수의 하측 볼트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측 볼트 통공 및 복수의 하측 볼트 통공 중 하나는 상하로 연장된 슬롯(sl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KR2020120006441U 2012-07-19 2012-07-19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KR200479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41U KR200479949Y1 (ko) 2012-07-19 2012-07-19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41U KR200479949Y1 (ko) 2012-07-19 2012-07-19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28U KR20140000628U (ko) 2014-01-29
KR200479949Y1 true KR200479949Y1 (ko) 2016-03-25

Family

ID=5244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441U KR200479949Y1 (ko) 2012-07-19 2012-07-19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9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2691A (zh) * 2017-12-21 2018-06-08 重庆天杰科技有限公司 显示屏支撑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477B1 (ko) * 2017-11-10 2019-02-18 (주)세아메카닉스 평면 디스플레이용 벽걸이 장치
KR101949476B1 (ko) * 2017-11-10 2019-02-18 (주)세아메카닉스 평면 디스플레이용 벽걸이 장치
KR102068726B1 (ko) * 2019-04-17 2020-01-21 (주)스틸브로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
KR102297187B1 (ko) * 2019-12-20 2021-09-02 (주)스틸브로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
KR102469814B1 (ko) * 2022-05-31 2022-11-23 주식회사 다우리가전 벽걸이 텔레비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968B1 (ko) 2007-10-17 2008-10-22 주식회사 이피텍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968B1 (ko) 2007-10-17 2008-10-22 주식회사 이피텍 디스플레이장치용 벽걸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2691A (zh) * 2017-12-21 2018-06-08 重庆天杰科技有限公司 显示屏支撑设备
CN108132691B (zh) * 2017-12-21 2019-10-01 重庆天杰科技有限公司 显示屏支撑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28U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949Y1 (ko)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지지대
CA2801691C (en) Swing arm,tilt positionable mount for electronic display
US8746639B2 (en) Flat panel wall mount
KR20090040752A (ko)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장치의 벽걸이용 지지장치
US20070023599A1 (en) Adjustable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KR100868260B1 (ko)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월 마운트
US20070023375A1 (en)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CA2788537A1 (en) Shelf bracket for a television wall mount
US11297944B2 (en) Wine rack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6018089A (ja) スタンド
EP3081841B1 (en) Display apparatus
CN201875393U (zh) 防脱壁挂装置
KR10135651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월마운트시스템
US10619789B1 (en) Height-adjustable stand for a flat-screen television
JP2008299002A (ja) スタンド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KR1012477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월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US8411433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JP2013130600A (ja) 薄型表示装置
JP2018152689A (ja) テレビ及び高さ調整スタンド
KR100672329B1 (ko) 영상 표시 장치의 벽걸이 어셈블리
KR200335198Y1 (ko) 피디피 텔레비전용 받침대
WO2012023898A1 (en) Display mount
KR100956899B1 (ko) 대형 평판 모니터의 고정장치
KR20140067770A (ko) 디스플레이 지지스탠드용 스탠드 풋 안전지지대
KR20240002446A (ko) 벽걸이 거치대 설치용 무천공 벽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