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909Y1 - 성체이식용 네트 - Google Patents

성체이식용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909Y1
KR200479909Y1 KR2020140002762U KR20140002762U KR200479909Y1 KR 200479909 Y1 KR200479909 Y1 KR 200479909Y1 KR 2020140002762 U KR2020140002762 U KR 2020140002762U KR 20140002762 U KR20140002762 U KR 20140002762U KR 200479909 Y1 KR200479909 Y1 KR 200479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ult
rope
net
present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754U (ko
Inventor
곽철우
이순이
Original Assignee
곽철우
이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철우, 이순이 filed Critical 곽철우
Priority to KR2020140002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90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9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씨드뱅크(seed bank) 조성을 위해 성체 이식이 필요한 로프에 성체를 이식함에 있어 로프에 대한 성체의 용이한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이식 후 바다속 환경에 대응하여 고정된 성체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생장 내지 번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성체이식용 네트에 관한 것으로,
격자형상의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와 연결되어 성체가 수용되는 수용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체이식용 네트{NET FOR TRANSPLANTING ADULT}
본 고안은 백화현상 등으로 황폐화된 연안 어장에 인위적으로 다 자란 성체를 이식하기 위한 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씨드뱅크(seed bank) 조성을 위해 성체 이식이 필요한 로프에 성체를 이식함에 있어 로프에 대한 성체의 용이한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이식 후 바다속 환경에 대응하여 고정된 성체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생장 내지 번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성체이식용 네트에 관한 것이다.
해중림, 즉 바다숲은 해양 수중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해양 환경을 정호하며, 각종 어패류의 산란장과 성육장을 제공하여 해양 생태계의 일차 생산자로서 그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 연안 어장에서 무성했던 미역, 다시마, 감태, 모자반 의 다년생 해조류 군락이 고수온, 저염분, 해양오염, 조식성 동물의 과다 섭생 등으로 생태계가 파괴되어 갯녹음 현상(즉, 백화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그 피해면적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나친 해안선 개발, 항만 공사, 레저 활동, 수중 관람 등으로 인한 해조 군란의 훼손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갯녹음 현상(즉, 백화현상)이 발생된 해역에서는 수산자원의 고갈을 물론 부영양화도 촉진되어 이를 인위적으로 회복시키려는 노력 없이는 자연적인 치유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위적으로 바다숲을 조성하여 복원하려는 기술들이 검토되고 있는 실정인데,
본 고안의 고안자 역시 과거 여러 기술들을 고안해서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080239호(2011.10.31)『해조류이식체 및 상기 해조류이식체를 이용한 바다숲조성방법』, 등록특허 제10-1213463호(2012.12.12)『포자 보호가 강화된 바다숲 조성장치』, 등록특허 제10-1161782호(2012.06.26)『바다숲 조성을 위한 포자이식장치』등을 들 수 있다.
우선 등록특허 제10-1080239호는 50입방센티미터의 사면체 내부에 포함되는 크기로서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와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포자의 안정된 정착을 위하여 상기 중심부와 다리부의 표면은 다공성(多孔性)으로 이루어지고, 포자의 생장점 노출을 피하면서 종사줄 고정을 위한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이식체를 제안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10-1213463호는 포자가 이식되는 포자줄과, 해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포자줄을 상기 고정블럭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포자줄을 통해 일정 강도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면 끊어져 해당 포자줄을 고정블럭에서 분리시키는 절단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숲조 조성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10-1161782호는 포자가 이식되는 연승줄과, 상기 연승줄 곳곳을 감싸며 수중 구조물에 부착되는 콘크리트블럭과, 상기 콘크리트블럭을 감싸며 하중을 가하여 콘크리트블럭이 경화되어 수중 구조물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웨이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자 이식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참고로 바다숲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씨(협의 개념의 포자)를 바다숲에 뿌려 발아가 이루어져 성장하여 성체가 되면서 바다숲을 조성시키는 방법과, 바다숲에 처음부터 다 자란 성체를 이식시켜 성체(成體)에서부터 포자방출을 유도하여 바다숲을 조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작업성이나 효과면에서는 후자가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성체를 이식해 옴에 있어 제10-1080239호와 같이 성체 이식을 위한 이식체를 별도 마련하여 마련된 이식체에 성체를 이식한 후 이를 바다에 투하하여 바다숲을 조성할 수 있고, 또는 등록특허 제10-1213463호나 등록특허 제10-1161782호와 같이 성체 이식을 위한 이식체를 별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로프에 성체를 고정시킴으로써 성체를 이식시켜 바다숲을 조성할 수 있다.
물론, 작업성이나 효과면에서는 후자가 더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되는 본 고안의 경우 후자 방식을 이용하여 성체 이식을 통한 바다숲 조성을 꾀하고자 하기 위함인데, 등록특허 제10-1213463호나 등록특허 제10-1161782호에 개시된 성체를 고정하는 방식은 역시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로프에 성체이식을 위해 손쉽게 행하고 있는 방식이 도 1에 개시된 방식이다. 즉, 기존의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서 로프에 성체를 묶는 방식인데 이 방식은 앞서 설명된 등록특허 제10-1213463호나 등록특허 제10-1161782호보다는 작업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정된 성체가 오래 버티지 못하고 해류에 휩쓸려 순식간에 유실되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로 인해 바다숲 조성의 성공률이 당연히 효과를 보지 못한다.
본 고안은 바다숲을 조성함에 있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로프에 포자를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해류 등의 외력에도 고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성체 이식용 네트를 제공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물론, 상기한 성체이식용 네트를 제공함에 있어 간단한 구조로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도 전술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성체 이식용 네트를 제공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친환경적이고, 이식된 성체의 뿌리가 성장함에 있어 뿌리 손상 없이 지속적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성체 이식용 네트를 제공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성체이식용 네트는,
격자형상의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와 연결되어 성체가 수용되는 수용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판은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종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판의 저면에는 이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성체이식용 네트에 의하면, 기존 케이블 티이로 성체 뿌리를 감아 고정시키는 것에 비해서 보다 안정적으로 성체를 로프에 고정시킬 수 있고 성체 뿌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이후 유속 등에 의해 성체가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바다숲 조성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생분해성 재질로 제조함에 따라 바다 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비용 역시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체판을 종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함으로써 로프 체결시 작업성을 높였다는 효과를 가지며, 뿐만 아니라 본체판 저면에 로프가 일정 이격 간격 유지를 위한 돌기를 추가 형성하여 성체 뿌리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뿌리의 원활한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도 1은 로프에 성체를 고정시키는 종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성체 이식용 네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성체 이식용 네트로 작업한 이식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성체 이식용 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성체 이식용 네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1은 로프(R)에 성체를 고정시키는 종래 방식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로프(R)에 성체를 근접시킨 후 케이블 타이(T)를 이용하여 성체 뿌리를 눌러 줌으로써 로프에 성체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도면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고정시키는 경우 성체 뿌리 전체가 커버되는 것이 아니어서 바닷속에서 유속 등이 빨라지는 경우 더 이상 케이블 타이에 지지되지 못하고 뿌리가 절단되어 성체 자체가 유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고정형태는 성체 뿌리에 날카로운 케이블 타이를 직접 접촉하는 경우이기에 성체 뿌리가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여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형태의 성체 이식용 네트가 고안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설명함에 있어 언급되는 성체(成體)는 해조류 즉, 미역, 다시마, 감태, 모자반 등의 해양식물이 모두 자란 상태를 일컫는 것으로, 이러한 성체 자체를 바다속에 이식을 하면, 이식된 성체에서 포장 방출이 이루어져 바다숲 조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성체이식용 네트는,
격자형상의 본체판(10)과, 상기 본체판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유입로(20)와, 그리고 상기 유입로와 연결되어 성체가 수용되는 수용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판(10)은 소위 그물형상을 연상케하는 짜임이 있는 것으로 성체의 뿌리를 감싸는 경우 뿌리 전체를 안정적으로 감싸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입로(20)는 성체를 본체판(10)에 삽입하는 경우 성체가 본체판 내측에 위치하기 위한 이동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판 일단에서 내측으로 일부분을 절개시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보다 간단하게는 선 형태로 절개시켜 유입로(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유입로(20)가 절개된 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성체 뿌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유입로(20) 형성 후 형성된 유입로 말단에는 성체 수용을 위한 수용공(30)이 형성된다. 즉, 유입로(20)를 통해 본체 내측으로 성체를 이동시킨 후 수용공(30)에 성체를 위치시킨 후 이와 같이 성체가 위치된 네트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의 특정 지점에 위치시키고 본체판(10)으로 로프(R)를 감싸면서 성체를 로프에 안착시킨다.
이후 로프(R)로부터 본체판 즉, 네트가 떨어지지 않도록 케이블 타이(T)로 네트 여러 곳을 감아주면서 네트를 로프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판(10)은 평평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로프에 감는 작업 내지 로프에 감겨진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판(10)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는데 금형을 통해 만곡진 형태로 성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판(10)은 플라스틱 재질이되 생분해성 재질로 하여 추후 100%로 모두 분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체판(10)의 저면에 이격돌기(40)가 형성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체판 저면에 이격돌기(40)를 형성함으로써 로프와의 결합시 로프 표면과 본체판 저면간의 공간이 이격돌기의 높이 만큼 형성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성체 뿌리가 성장하여 뻗어나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이격돌기(40)가 없는 경우 로프에 본체판(10)을 체결하게 되면 로프(R)와 본체판(10)이 접촉하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성체 뿌리 역시 일정 부분 눌리게 되고 뿌리 성장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뿌리가 성장하여 자유롭게 뻗어나갈 수 있는 공간을 이격돌기를 통해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성체 이식용 네트의 경우 이미 로프 형상에 맞는 만곡지게 형성이 되어 있어, 유입로(20) 사이로 성체를 집어넣어 수용공(30)에 위치시킨 후 이 상태의 본체판(10)을 로프(R)에 감고 케이블 타이(T)로 고정시키면 되기에,
기존 복잡한 구성의 이식체들을 이용했던 경우나 또는 단순히 케이블 타이로 성체 뿌리를 감아주었던 경우에 비해 작업성을 높이면서도 이후 성체 유실 가능성을 낮추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성체 이식용 네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R: 로프 T: 케이블 타이
10: 본체판 20: 유입로
30: 수용공 40: 이격돌기

Claims (4)

  1. 격자형상의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유입로와,
    성체 수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유입로와 연결되어 유입로 말단에서 형성되는 수용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판의 저면에는 이격돌기가 형성되어 로프와의 결합시 공간을 형성하여 성체 뿌리가 성장하여 뻗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판은 생분해성 재질로 로프에 감길 수 있게 종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체이식용 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2762U 2014-04-04 2014-04-04 성체이식용 네트 KR200479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62U KR200479909Y1 (ko) 2014-04-04 2014-04-04 성체이식용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62U KR200479909Y1 (ko) 2014-04-04 2014-04-04 성체이식용 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54U KR20150003754U (ko) 2015-10-14
KR200479909Y1 true KR200479909Y1 (ko) 2016-03-21

Family

ID=5434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762U KR200479909Y1 (ko) 2014-04-04 2014-04-04 성체이식용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90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803B1 (ko) 2009-11-17 2010-04-21 박관순 잘피 이식용 구조물
KR101069721B1 (ko) 2011-04-14 2011-10-05 이순이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시킨 해조류 및 산호 수중 이식방법
KR101199306B1 (ko) 2012-02-06 2012-11-19 주식회사 마린에코텍 잘피 이식용 바이오 네트
KR101370692B1 (ko) 2012-09-12 2014-03-14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생분해성 재료를 이용한 해중림 수중환경 조성을 위한 해초 이식방법 및 해초 이식용 고정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803B1 (ko) 2009-11-17 2010-04-21 박관순 잘피 이식용 구조물
KR101069721B1 (ko) 2011-04-14 2011-10-05 이순이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시킨 해조류 및 산호 수중 이식방법
KR101199306B1 (ko) 2012-02-06 2012-11-19 주식회사 마린에코텍 잘피 이식용 바이오 네트
KR101370692B1 (ko) 2012-09-12 2014-03-14 주식회사 수중생태기술연구소 생분해성 재료를 이용한 해중림 수중환경 조성을 위한 해초 이식방법 및 해초 이식용 고정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54U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803B1 (ko) 잘피 이식용 구조물
KR101199306B1 (ko) 잘피 이식용 바이오 네트
JP2008061509A (ja) 藻場造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藻場造成方法
KR101701341B1 (ko) 해조류 이식용 바
KR102468951B1 (ko) 해조류 이식부를 갖는 해조류 이식장치
KR101001828B1 (ko) 해중림 조성용 기둥형 해중림초
KR100996624B1 (ko) 해중림 조성용 인공 어초
KR101080239B1 (ko) 해조류이식체 및 상기 해조류이식체를 이용한 바다숲조성방법
KR101722386B1 (ko) 에이치형 해조류 이식 플레이트
KR100998034B1 (ko) 해중림 조성용 인공 암초 구조물
KR200479909Y1 (ko) 성체이식용 네트
KR101974404B1 (ko) 천연 해조장 조성 및 확대를 위한 해조류 이식방법
KR102533222B1 (ko) 부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바다숲 조성장치
JP2007259790A (ja) 植栽基盤および植栽方法
KR101812733B1 (ko) 점토와 한지를 활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KR102487941B1 (ko) 해조류 이식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2487938B1 (ko)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KR200484611Y1 (ko) 전복양식용 가두리
KR101208099B1 (ko) 매트식 잘피 이식장치
KR101739342B1 (ko)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KR200448974Y1 (ko) 인공어초용 영양블럭 고정장치
KR101840602B1 (ko) 해조초류의 이식,생육 및 치어,치패의 중간 생육서식지를 겸한 현무암 생육블록
KR101662774B1 (ko) 황마대 이식판, 황토벽돌 및 이식로프를 이용한 바다녹화 구조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1346681B1 (ko) 해초류 이식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생태계 복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