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761Y1 - 운동용샌드백 - Google Patents

운동용샌드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761Y1
KR200479761Y1 KR2020140009727U KR20140009727U KR200479761Y1 KR 200479761 Y1 KR200479761 Y1 KR 200479761Y1 KR 2020140009727 U KR2020140009727 U KR 2020140009727U KR 20140009727 U KR20140009727 U KR 20140009727U KR 200479761 Y1 KR200479761 Y1 KR 200479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p
character
sensor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석 filed Critical 이종석
Priority to KR2020140009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7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3B69/203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3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with indic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을 충전하여 실내에서 운동이 가능토록 되는 샌드백에 관한 것으로, 튜브체의 내부에 물을 충전하여 손이나 발로 차면서 운동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샌드백을 충격을 가할 경우에만 멜로디를 발생토록 하고, 이러한 멜로디를 샌드백의 형상을 캐릭터화하여 캐릭터의 형상에 구현토록 함으로서 제작의 용이성과 경제성 및 놀이성을 구현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캐릭터의 형상을 손이나 발로 가격되는 타격면과 타격면 이외의 돌출되어지는 캐릭터로 선정하고, 돌출되는 부분이 충격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 크기로 되면서 타격면을 갖는 샌드백 본체와 격리토록 함은 물론 샌드백 본체와 격리되는 부분에 보호테두리를 형성함으로서 디자인적인 부분을 강조하면서도 격리되어지는 부분을 보강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용샌드백{sandbag}
본 고안은 물을 충전하여 실내에서 운동이 가능토록 되는 샌드백에 관한 것으로, 튜브체의 내부에 물을 충전하여 손이나 발로 차면서 운동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샌드백을 충격을 가할 경우에만 멜로디를 발생토록 하고, 이러한 멜로디를 샌드백의 형상을 캐릭터화하여 캐릭터의 형상에 구현토록 함으로서 제작의 용이성과 경제성 및 놀이성을 구현토록 한 것이다.
현재 충격을 가하면 소리를 발생토록 하는 것으로는 펀치볼의 상단에 또 다른 구체를 장착토록 한 후 상기 또 다른 구체에 센서를 장착하여 충격에 의하여 기울어질 경우에 소리를 발생토록 하는 것이 제안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펀치볼을 제작할 경우에 비닐지를 고주파 접착등에 의하여 장방형의 펀치볼 본체의 형태이외에 또 다른 구체를 펀치볼 본체의 상단에 장착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펀치볼 본체의 상단에 또 다른 구체의 장착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구체가 디자인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펀치볼 본체의 형태와 직경이나 부피등의 크기가 동일하게 제작됨으로 센서의 장착이라든지 또는 멜로디를 발생토록 하는 수단의 장착공간이 넓게 형성된다 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센서 또는 멜로디발생수단의 고정을 위한 또 다른 충진제를 구체의 내부에 사용하여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펀치볼 본체가 대부분 공기주입에 의한 팽창으로 직립되는 것이고, 충진제를 사용한 구체는 공기주입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사용할 경우에 무게중심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펀치볼의 본체의 하단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직립토록 하기 위하여는 무게추를 크게 사용해야 한다라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게추의 사용에 따른 운반이나 포장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센서 등이 내장되는 또 다른 구체의 내부에 충진제의 사용에 따른 운반이나 포장 또는 사용후의 보관시 공기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보관시 비닐지의 찢어짐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 등으로 실질적인 생산판매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물이 채워지는 샌드백 본체를 타격면을 갖게 되면서 돌출되어지는 캐릭터의 형상으로 선정하여 사용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캐릭터의 형상을 손이나 발로 가격되는 타격면과 타격면 이외의 돌출되어지는 캐릭터로 선정하고, 돌출되는 부분이 충격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 크기로 되면서 타격면을 갖는 샌드백 본체와 격리토록 함은 물론 샌드백 본체와 격리되는 부분에 보호테두리를 형성함으로서 디자인적인 부분을 강조하면서도 격리되어지는 부분을 보강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샌드백을 구현함에 있어서 타격면이외에 충격센서가 장착될 수 있는 캐릭터로 선정함으로서 실질적인 제조의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충격센서의 장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견고한 장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돌출부에 센서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돌출부에 센서가 장착된 상태에서 샌드백 본체와 격리되어지는 부분에 보호테두리가 형성된 상태의 확대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마개의 탈착상태도.
도6은 종래의 펀치볼의 외관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샌드백 본체에 타격면과 센서의 장착을 위하여 돌출부를 구비한 특별하게 선정된 캐릭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이러한 돌출부에 센서가 긴밀하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하단에 물이 충전되어지는 물 충전부(10)와 그 상단에 타격면을 형성하는 공기가 충전되는 공기충전부(20)와 상기 공기충전부(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캐릭터의 특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30)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30)에는 센서(40)가 장착되면서 센서에 의하여 발광되거나 소리를 발생토록 하는 반응수단(41)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충전되는 물 충전부(10)는 캐릭터 본체가 사용을 위하여 바닥면에 직립될 경우에 직립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마개(11)의 탈착을 위한 내입부(12)를 갖는 캡(13)이 형성되고, 내입부(12)의 중앙에는 마개(11)의 탈착과 물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주입구(14)가 돌출되며 주입구(14)에는 충전된 물이 새어나옴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캡(15)이 장착되어지고, 이때 실링캡(15)은 주입구(14)의 상단(14a)에 위치되는 후렌지(15a)가 형성되어 마개(11)로 주입구와 나사조임에 의하여 탈착할 경우에 강한 조임가압에 의하여 실링캡이 가압되면서 물이 새오나오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내입부(12)의 깊이는 주입구에 마개(11)가 장착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놓여질 경우에 마개(12)가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내입부(12)의 폭은 마개(11)의 탈착을 위한 조작의 용이성을 감암하여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물 충전부(10)와 공기충전부(20)는 분리시트(3)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이고, 분리시트(3)를 형성할 경우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본체(1)의 바닥면(2)과 분리시트(3)를 중첩토록 한 후 본체의 바닥면(2)에 접착라인(4)을 형성하여 분리토록 함으로서 물이 물충전부(10)에 충전된 상태에서 충격에 의하여도 접착라인(4)의 터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터짐방지는 본체(1)의 바닥면(2)에 형성된 접착라인(4)의 외측으로 또 다른 테두리접착라인(5)을 형성토록 한 후 테두리접착라인(5)에서 직상부로 타격면을 형성하는 공기충전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공기충전부(20)에는 수직으로 수직접착라인(6)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충전부(20)는 아이들이 서있는 상태에서의 높이를 감안하여 적정한 높이로 제작되어지고 공기충전부(20)에 공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공기주입구(21)는 가능하면 타격면을 피하면서 하단이나 상단에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충격이 대부분 놀이자의 상체에서 발생되는 점을 감안하면 공기주입구는 하단에 위치함이 좋은 것이다.
또한 캐릭터 본체(1)의 상단에 형성되는 돌출부(30)는 캐릭터의 형상에 따른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캐릭터를 선정하여 제작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30)는 타격면의 충격에 의하여 돌출부(30)가 상단에서 심하게 전후로 흔들리는 점을 감안하여 돌출부(30)와 공기충전부(20)가 분리되게 수평접착라인(8)에 의하여 분리막(7)을 형성토록 한 후 분리막이 형성된 부분에 보강테두리(31)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30)의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40) 및 센서에 의하여 발광이나 멜로디를 발생하는 반응수단(41)은 그 외경이 가능하면 돌출부(3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서 장착된 상태에서 빡빡하게 끼움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끼움후에 충격에 의하여도 유동이 방지되도록 핫멜트 등을 사용하여 접착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1:캐릭터 본체 2:바닥면
3:분리시트 4:접착라인
5:테두리접착라인 6:수직접착라인
7:분리막 8:수평접착라인
10:물 충전부 11:마개
12:내입부 13:캡
14:주입구 15:실링캡
20:공기충전부 21:공기주입구
30:돌출부 31:보강테두리
40:센서 41:반응수단

Claims (6)

  1. 하단에 물이 충전되어지는 물 충전부(10)와 그 상단에 타격면을 형성하는 공기가 충전되는 공기충전부(20)와 상기 공기충전부(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캐릭터의 특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30)와 상기 돌출부(30)에는 센서(40)가 장착되면서 센서에 의하여 발광되거나 소리를 발생토록 하는 반응수단(41)이 구비되는 운동용샌드백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본체(1)의 상단에 형성되는 돌출부(30)는 선정된 캐릭터의 형상에 구비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돌출부(30)는 타격면의 충격에 의하여 돌출부(30)가 상단에서 심하게 전후로 흔들리는 점을 감안하여 돌출부(30)와 공기충전부(20)가 분리되게 수평접착라인(8)에 의하여 분리막(7)을 형성토록 한 후 분리막이 형성된 부분에 보강테두리(31)를 형성토록 한 운동용샌드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 충전되는 물 충전부(10)는 마개(11)의 탈착을 위한 내입부(12)를 갖는 캡(13)과 상기 캡의 내입부(12)의 중앙에는 마개(11)의 탈착과 물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돌출된 주입구(14)와 상기 주입구(14)에는 충전된 물이 새어나옴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캡(15)이 캐릭터 본체의 바닥면에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는 운동용샌드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15)은 주입구(14)의 내부로 내입되면서 상단(14a)에 위치되는 후렌지(15a)가 형성되어 마개(11)로 주입구와 나사조임에 의하여 탈착할 경우에 강한 조임가압에 의하여 실링캡이 가압되면서 수압의 분산과 물이 새오나오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운동용샌드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충전부(10)와 공기충전부(20)는 분리시트(3)에 의하여 분리되고, 상기 분리시트(3)를 형성할 경우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본체(1)의 바닥면(2)과 분리시트(3)를 중첩토록 한 후 본체의 바닥면(2)에 접착라인(4)을 형성하여 분리토록 하는 운동용샌드백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0)의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40) 및 센서에 의하여 발광이나 멜로디를 발생하는 반응수단(41)은 그 외경이 돌출부(3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빡빡하게 끼움토록 한후 핫멜트를 사용하여 접착고정토록 하는 운동용샌드백
KR2020140009727U 2014-12-31 2014-12-31 운동용샌드백 KR200479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727U KR200479761Y1 (ko) 2014-12-31 2014-12-31 운동용샌드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727U KR200479761Y1 (ko) 2014-12-31 2014-12-31 운동용샌드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761Y1 true KR200479761Y1 (ko) 2016-03-04

Family

ID=5553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727U KR200479761Y1 (ko) 2014-12-31 2014-12-31 운동용샌드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7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3132A (zh) * 2019-02-15 2019-04-12 王剑飞 一种不倒翁式沙袋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326A (ja) 1998-10-07 2000-04-18 Nakajima Corporation:Kk 遊戯用空気袋とその製造方法
KR200298874Y1 (ko) 2002-09-03 2002-12-31 권태영 펀치볼
JP3113540U (ja) 2005-06-10 2005-09-08 株式会社ミカサ 球技用障害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326A (ja) 1998-10-07 2000-04-18 Nakajima Corporation:Kk 遊戯用空気袋とその製造方法
KR200298874Y1 (ko) 2002-09-03 2002-12-31 권태영 펀치볼
JP3113540U (ja) 2005-06-10 2005-09-08 株式会社ミカサ 球技用障害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3132A (zh) * 2019-02-15 2019-04-12 王剑飞 一种不倒翁式沙袋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35005T3 (es) Recipiente de aerosol
US7766799B1 (en) Boxing training device
ES2234954T3 (es) Contenedor con tapadera para cerrar el contenedor bajo vacio parcial.
US20140226919A1 (en) Extra-long air-water sandbag
CN107042947A (zh) 一种物流箱结构
JP5893130B2 (ja) 液体で容器を満たす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206900997U (zh) 一种物流箱结构
JP2006240651A (ja) 自立性軟包装袋
US20160137409A1 (en) Inflatable Refuse Containers and Methods of Use
KR200479761Y1 (ko) 운동용샌드백
CN107512488B (zh) 一种显示设备的包装结构
KR20130123695A (ko)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JP2017505739A (ja) ペースト状製品を包装及び吐出する装置
GB2439723A (en) Inflatable punch bag
JP4870345B2 (ja) 気胞包装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CN107856846B (zh) 无人机
ES2907001T3 (es) Revestimiento interior
ES2612525B1 (es) Envase dispensador y método de llenado del envase
KR20160003952U (ko) 공기주입샌드백
KR101914760B1 (ko) 에어셀시트를 내장한 부구 제조방법
KR101693975B1 (ko) 상자 내부에 부착되는 충격방지 봉투 및 충격방지 봉투가 부착된 상자
TW201446599A (zh) 保護容器的方法及以此方式保護的容器
US20110281696A1 (en) Hydrostrike speed bag platform
CN204937950U (zh) 一种硒鼓包装装置
CN205387296U (zh) 一种集装箱内衬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