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80Y1 -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80Y1
KR200478880Y1 KR2020140005591U KR20140005591U KR200478880Y1 KR 200478880 Y1 KR200478880 Y1 KR 200478880Y1 KR 2020140005591 U KR2020140005591 U KR 2020140005591U KR 20140005591 U KR20140005591 U KR 20140005591U KR 200478880 Y1 KR200478880 Y1 KR 200478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rod
locking
screen door
hol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옥
유현종
Original Assignee
안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옥 filed Critical 안정옥
Priority to KR2020140005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 등의 플랫폼에 설치되는 스크린 도어에서 양측 도어의 닫힌 상태를 고정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잠금장치만으로 양측의 도어를 동시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여 안전문의 개폐가 이루어져 스크린 도어의 작동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잠금장치의 제조 용이성 확보 및 내구성 향상과 함께, 잠금장치의 제조 단가 절감을 통한 스크린 도어의 설치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는 수평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양측 도어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며, 작동수단을 갖는 브래킷 본체;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브래킷 본체에서 승하강되는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에서 인출입되고 양측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홀 각각에 삽입되는 한 쌍의 잠금편을 갖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SCREEN DOOR}
본 고안은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 등의 플랫폼에 설치되는 스크린 도어에서 양측 도어의 닫힌 상태를 고정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잠금장치만으로 양측의 도어를 동시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여 안전문의 개폐가 이루어져 스크린 도어의 작동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잠금장치의 제조 용이성 확보 및 내구성 향상과 함께, 잠금장치의 제조 단가 절감을 통한 스크린 도어의 설치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승강장 등은 승객들이 전동차에 탑승할 수 있도록 선로측이 개방된 상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바, 출퇴근 시간과 같이 많은 사람이 붐비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전동차를 기다리던 승객이 선로내로 추락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새로 시공되는 모든 지하철 역사는 승강장에 전동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열차 대기 중 또는 탑승과 하차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하철 승강장과 선로 사이를 차단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Platform Screen Door; PSD)가 모두 설치되고 있으며, 기존에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지 않았던 지하철 승강장에도 점차적으로 스크린 도어의 의무 설치가 강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는 승강장측에 선로와 격리되는 보호벽(스크린) 및 자동 안전문을 설치하고 전동차가 정차된 경우에만 전동차의 출입문과 안전문이 연동하여 개폐되는 승강장의 안전장치로, 승객의 안전 확보는 물론 승강장 내의 강풍 및 각종 먼지가 승객이 대기하는 승강장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공기 공조 효과를 증대시켜 승강장을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승강장 스크린 도어는 지하철 역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밀폐형 및 난간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밀폐형 스크린 도어는 바닥과 천정을 완전 차단하는 구조로 선로측의 먼지가 승강장 내로 유입되는 것과, 소음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으나, 제작 및 설치 시공에 대한 어려움과 과다한 비용 지출이 소용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난간형 스크린 도어는 바닥과 천정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상부측이 오픈되어 있는 형태로, 선로측의 먼지 및 소음을 완전히 차단할 수는 없지만 제작 및 설치가 밀폐형 스크린도어에 비해 간편하고, 제작 및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를 설명하면, 우선 전동차가 주행하는 선로와 인접한 승강장에 보호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호벽은 승강장 위로부터 천정까지 연장되는 형태(밀폐형)이거나 승강장 위로부터 일정한 높이까지 연장되는 형태(난간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벽은 일반적으로 강화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고, 상기 보호벽 중 승강장에 정차하는 전동차의 출입문과 동일 위치의 부분에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이 출입구를 개폐하는 안전문이 보호벽에서 슬라이딩 개폐 되도록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안전문은 전동차의 출입문과 마찬가지로 좌, 우측에서 슬라이딩 개폐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전동차가 승강장에 완전 정차한 경우에만 열리고 그 이외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폐쇄(닫힘)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강제되어 승객이 승, 하차 시 외에 선로쪽으로 접근, 추락하는 것을 차단,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호벽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상부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안전문의 개폐 상태를 알려주는 개폐 표시등이 설치되며, 전동차 정차 시를 제외하고 안전문의 닫힌 상태가 상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7459호(2014.05.14.)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스크린 도어와 인접한 보호벽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내장되어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후진 작동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동작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와 연결되어 스크린 도어의 개폐 시 작동함으로써 스크린 도어가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도어락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등록특허의 잠금장치는 출입구 양측 보호벽에 설치되어 안전문이 개방되었을 때 작동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인 바, 스크린 도어의 목적이 출입구를 폐쇄시켜 승객이 선로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잠금장치로써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일반적으로 스크린 도어가 양측 한 쌍의 안전문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것을 감안할 때 상기 등록특허의 잠금장치는 도어마다 잠금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므로(즉 하나의 출입구당 두 개의 잠금장치가 필요하므로) 스크린 도어의 제작 및 설치 시공비용이 증가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잠금장치만으로 양측의 도어가 동시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면서 안전문의 개폐가 이루어져 스크린 도어의 작동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잠금장치의 제조 용이성 확보 및 내구성 향상과 함께, 잠금장치의 제조 단가 절감을 통한 스크린 도어의 설치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수펑 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래킷 본체의 작동수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잠금부재를 도입함과 아울러, 양측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부재에 구비된 한 쌍의 잠금편이 안전문의 잠금홀 각각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하나의 작동수단을 통해 승하강 작동되는 잠금부재가 회전하게 되어 한 쌍의 잠금편이 잠금홀 각각의 정위치에서 이탈됨에 따라 잠금장치가 미작동되거나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수단과 잠금부재를 연결하는 승강로드의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잠금장치의 안전한 작동 및 이와 연계되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작동 안정성 향상과 함께 승객들의 불편함 또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로드의 일측에서 승강로드의 승하강을 감지하는 광센서부를 포함하고,
광센서부의 오작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잠금장치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광센서부로써, 발광부와 수광부로 각각 구성되는 상승 감지 센서 및 하강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 각각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서 승하강되어 광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돌기가 구비된 승강로드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잠금부재와 승강로드가 안정적으로 승하강됨과 동시에, 작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승강로드가 관통하여 안내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는
수평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양측 도어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며, 작동수단을 갖는 브래킷 본체;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브래킷 본체에서 승하강되는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에서 인출입되고 양측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홀 각각에 삽입되는 한 쌍의 잠금편을 갖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승강로드의 일측에서 상기 승강로드의 승하강를 감지하는 광센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서 상기 광센서부는 상하 서로 이격 설치된 상승 감지 센서와, 하강 감지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상승 감지 센서와 상기 하강 감지 센서는 각각 광신호를 발신하는 발광부와,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상승 감지 센서와 상기 하강 감지 센서 각각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서 승하강되어 광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상기 승강로드가 관통하여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승강로드와의 마찰 계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는 하나의 작동수단을 통해 작동하는 한 쌍의 잠금편을 갖는 잠금부재를 도입하여, 하나의 잠금장치만으로 양측 도어를 동시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면서 안전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스크린 도어의 작동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동수단과 잠금부재를 연결하는 승강로드의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제작되어 의도치 않은 회전에 의하여 잠금편이 잠금홀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잠금장치의 파손 또는 고장을 방지하고 작동 안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는 잠금장치 자체의 제조 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출입구 하나당 두 개의 도어에 대하여 하나의 잠금장치만으로 동시 잠금 기능이 구현되므로 스크린 도어의 설치 시공비용을 절감하여 스크린 도어의 확대 시공에 따른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 후 유지 보수 역시 쉽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는 광센서부를 통해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가 감지되므로 작동이 정확하고 안정적이며, 센서 부담 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특히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된 상승 감지 센서 및 하강 감지 센서를 도입하고, 상기 센서들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서 승하강을 하는 차단돌기를 통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가 감지되므로 오작동에 따른 고장 또는 안전사고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는 마찰 계수가 적은 합성수지 재질의 안내부재를 도입하여 승강로드가 상기 안내부재를 관통하면서 승하강됨에 따라 안정적인 승하강 작동을 보장함과 동시에,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여 승객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가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서 광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의 원내 확대 정면도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이를 기준으로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도어(S)의 안전문은 지하철 역사의 승강장에 전동차가 오게 되면,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상기 안전문은 좌, 우 한 쌍의 도어(D1)(D2)로 구성되고, 보호벽(S1) 상부를 연결하는 프레임(F)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데, 전동차가 승강장에 정차한 때가 아니면 상시적으로 닫힌 상태가 고정, 즉 잠금 상태가 유지되어 승객이 안전문을 임의로 개방하여 선로에 접근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스크린 도어에 설치되어 안전문의 잠금상태가 임의적으로 해제 되지 않도록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L)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스크린 도어(S)의 상부 수평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 본체(10)와, 상기 브래킷 본체(10)의 작동수단(12)을 통해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승강로드(20) 및 상기 승강로드(20)와 결합되어 안전문의 잠금홀(H1, H2; 도 1의 원내 확대도 참고.)에 삽입되거나 이탈됨에 따라 안전문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부재(30)로 구성된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 본체(10)는 프레임(F) 내부에 볼트 결합되기 위한 설치공(10a)이 후면판(10A)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작동수단(12)이 장착되는 장착부 하우징(11) 및 상기 작동수단(12)에 따른 잠금부재(30)의 위치를 확인하여 메인 콘트롤에 신호를 보내기 위한 검출부재(13)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부재(13)는 상기 브래킷 본체(10) 일측에 구비되는 기판 형태의 부재로써, 위치 검출을 위한 각종 소자를 포함하고, 스크린 도어(S)의 메인 콘트롤부(미도시)와 연동되어 작동되며, 잠금부재(30)의 위치가 잠금 위치에 있는지 해제 위치에 있는지를 메인 콘트롤부에 전달하여 제어명령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작동수단(12)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플런저(12A)가 몸체에서 인출입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써, 전동 실린더, 솔레노이드 밸브 등과 같은 공지의 승하강 플런저(12A)를 구비한 작동수단(12)이면 족하다.
상기 작동수단(12)은 브래킷 본체(10)에 결합되는 별도의 장착부 하우징(11)에 내장되면서 결합되며, 상기 검출부재(13)와 전선(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부재(13)의 명령신호(또는 전원 인가 등)에 따라 플런저(12A)가 작동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플런저(12A)의 하측 단부에는 승강로드(20)의 수결합부(20a)가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는 암결합부(12a)가 구비되며, 상기 암결합부(12a)의 플렌지(12b)와 장착부 하우징(11)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2c)이 구비되어 작동수단(12)의 작동 제어와 별개로 플런저(12A)가 상시적으로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플런저(12A)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연결되는 승강로드(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봉형 부재로써, 하측 단부에 잠금부재(30)가 결합되어 플런저(12A)와 함께 잠금부재(30)의 승하강, 즉 안전문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승강로드(20)는 외주면이 다각 형상(20A)으로 이루어진 봉형 부재로 이루어져, 승하강 시 승강로드(20)가 브래킷 본체(10)의 하면판(10B)에 형성된 통과홀(미지칭) 상에서 회전하여 후술하는 잠금편(31)이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서는 대표적으로 외주면이 사각 형태로 각진 봉형 부재로 구성된 승강로드(20)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승강로드(20)란 의미는 승강로드의 외주면이 원형이 아닌 각진 형태로 구성되어 통과홀 상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의미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실린더 작동을 하는 작동수단(12)의 경우 대부분 외주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봉형의 플런저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플런저의 인출입 승하강과 별개로 몸체에서 자유 회전되도록 제작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플런저에 잠금부재(30)가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연결될 경우 승하강 작동시 플런저가 회전하게 되면 잠금부재(30) 역시 동반하여 회전되면서 한 쌍의 잠금편(31)이 돌아가게 되어 안전문에 대한 잠금 기능이 구현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나아가 상기 승강로드(20)의 하측 끝단부에 구비된 체결부(20b)는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각 체결부(20b)가 삽입되는 상기 잠금부재(30)의 체결홀(32) 역시 체결부(20b)에 상응하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잠금부재(30)가 승강로드(20)와 별개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승강로드(20)와 상기 잠금부재(30)의 결합 구조가 볼트가 잠금부재(30)를 관통하여 승강로드(20)의 볼트 결합공에 체결되는 일반적인 볼트 결합 구조를 갖게 될 경우, 잠금부재(30)가 상기 승강로드(20)와 별개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승강로드(20)의 체결부(20b)와, 잠금부재(30)의 체결홀(32) 역시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승강로드(20)의 체결부(20b)가 상기 잠금부재(30)의 체결홀(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와셔부재(미지칭) 등을 통해 볼트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 잠금장치의 고정 위치에 따라 잠금부재(30)의 좌, 우 수평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각 체결홀(32)은 좌우측 연장공간을 포함하고, 연장공간의 양측 단부 역시 다각 형상(도면에서는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20)에는 하강 높이를 제한하며 완충작용을 하는 스토퍼(21)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21)는 원형의 부재로써, 승강로드(20)의 상부 전, 후면에 구비되는데, 특히 상기 스토퍼(21)의 상측 일부가 상기 암결합부(12a)를 덮도록 구비된다.
즉, 본 고안은 전후 방향으로 천공된 암결합부(12a)와, 상기 암결합부에 삽입되는 수결합부(20a)를 통해 플런저(12A)와 승강로드(20)가 결합되고, 암, 수결합부를 볼트부재(미지칭)가 관통하면서 고정되는데, 이 경우 승하강 작동 시 볼트부재를 축으로 상기 승강로드(20)가 접힐 수 있으므로, 접히는 방향의 암결합부(12) 양측을 한 쌍의 스토퍼(21)가 덮도록 구비되어 승강로드(2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함과 동시에, 접힘 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승강로드(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잠금부재(30)는 몸체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한 쌍의 잠금편(31)이 구비되고, 작동수단(12)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잠금편(31)이 수평 프레임(F) 하부로 인출입 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잠금부재(30)가 하강될 때 상기 잠금편(31)들 각각이 양측 도어(D1)(D2)의 상부에 구비된 잠금홀(H1)(H2) 각각에 삽입되어 안전문이 동시에 잠겨서 닫힌 상태가 고정되도록 한다.
즉, 종래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의 경우 좌, 우측 도어 각각에 개별적인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안전문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구현되었는데,
본 고안은 한 쌍의 잠금편(31)을 구비한 잠금부재(30)를 이용하여 좌, 우측 도어(D1)(D2)를 동시에 잠그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잠금장치의 올바른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부재(30)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부(14)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검출부재(13)의 좌측면도로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승강로드(20)를 생략하고 차단돌기(22)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브래킷 본체(10)에 구비되는 광센서부(14)는 상기 승강로드(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로드(20)의 승하강 작동을 감지함으로써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광센서부(14)의 전원 공급 및 승하강 감지에 따른 신호 전달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광센서부(14)는 상기 검출부재(13)를 구성하는 기판 상에 실장되어 구비된다.
본 고안은 종래 잠금장치들에서 사용되는 일반 리드 스위치 또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센서가 아닌 광센서를 도입함으로써, 작동 신뢰성 보장 및 장기간 사용에 따른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광센서부(14)는 상하 서로 이격 설치된 상승 감지 센서(15)와, 하강 감지 센서(16)로 구성되어 승강로드(20)의 차단돌기(22)가 상기 각 센서에 의하여 감지됨에 따라 잠금부재(30)의 승하강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상기 상승 감지 센서(15) 및 하강 감지 센서(16)는 각각 광신호를 발신하는 발광부(15A)(16A)와,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15B)(16B)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로드(20)는 상기 상승 감지 센서(15)와 상기 하강 감지 센서(16) 각각의 발광부(15A)(16A)와 수광부(15B)(16B) 사이에서 승하강되어 광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돌기(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검출부재(13)를 구성하는 기판 상에 상승 감지 센서(15)로써, 동일 높이에 제1 발광부(15A)와 제1 수광부(15B)가 구비되고,
상기 상승 감지 센서(15) 하측으로 승강로드(20)의 승하강 거리만큼 이격된 높이에 하강 감지 센서(16)로써, 동일 높이에 제2 발광부(16A)와, 제2 수광부(16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드(20)는 상기 발광부(15A)(16A)들과 상기 수광부(15B)(16B)들 사이로 형성되는 이격 공간인 승강로(14a)(14b)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돌기(2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로드(20)의 차단돌기(22)는 승하강 작동 시 승강로(14a)(14b)를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져, 상승 또는 하강 높이에서 해당 높이에 배치된 감지 센서의 발광부(15A)(16A)와 수광부(15B)(16B)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발광부(15A)(16A)에서 발신되는 광신호가 수광부(15B)(16B)에 수신되지 못하도록 하여 승강로드(20)의 승하강 상태를 메인 콘트롤부가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수광부(15B)에 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서 제2 수광부(16B)에 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검출부재(13)는 승강로드(20)가 상승, 즉 잠금부재(30)가 상승하여 안전문이 잠금 해제 상태임을 인식하고,
제2 수광부(16B)에서 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서 제1 수광부(15B)에 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검출부재(13)는 잠금부재(30)가 하강하여 안전문이 잠금 상태임을 인식하고,
제1, 제2 수광부(15B)(16B) 모두에 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검출부재(13)는 잠금부재(30)의 승하강이 작동이 진행 중 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잠금장치가 리드 스위치 또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고가의 센서 장비를 사용되는 것에 비하여,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광센서부(14)를 채택함에 따라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신호 차단을 통해 잠금부재(30)의 승하강 상태가 감지되므로, 리드 스위치 또는 리미트 스위치의 스위치부와 같은 부품의 고장, 파손, 오작동 등의 발생 염려가 적어 잠금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보다 견고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승강로드(20)가 브래킷 본체(10)의 하면판(10B)의 통과홀(미지칭)을 통해 하측으로 승하강되므로 상기 통과홀 역시 승강로드(20)의 외주면과 같은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브래킷 본체(10)와 승강로드(20)는 내구성 등의 이유로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따라서 승강로드(20)와 통과홀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 또는 소음이 발생할 여지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과홀의 너비를 상기 승강로드(20)의 직경(여기서 말하는 직경은 원의 단면의 지름이 아닌, 다각형의 단면의 전후, 좌우 너비를 말함.)보다 크게 할 경우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나, 승강로드(20)와 통과홀 사이에 틈이 발생함에 따라 승강로드(20)의 반복된 승하강 운동 시 안정된 직선 승하강 운동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 승강로드(20)의 직선 승하강 운동을 안정적으로 보장, 안내하기 위해선 상기 통과홀이 소정 높이 이상 형성(흡사 터널과 같이)되거나, 두 개 이상의 통과홀이 소정 높이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제조 단가 절감 및 제조 용이성 관점에서 매우 불합리한 구성이다.
이에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 본체(10)에 상기 승강로드(20)를 안내하면서 마찰을 해소할 수 있는 안내부재(17)를 도입하였다.
상기 브래킷 본체(10)에 구비되는 안내부재(17)는 브래킷 본체(10)의 하면판(10B) 상측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승강로드(20)가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17A)이 소정 높이 이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승강로드(20)가 상기 관통홀(17A) 및 통과홀을 모두 관통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17)는 상기 승강로드(20)와의 마찰 계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 대표적으로 아세탈 수지(acetal resin)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어, 승강로드(20)의 승하강 시 마찰에 의한 마모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을 통해 금속 재질로 제작된 하면판(10B)의 통과홀의 너비를 승강로드(20)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하고,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안내부재(17)의 관통홀(17A)의 너비를 승강로드(20)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제작하게 되면,
금속 재질을 갖는 구성 부재들 간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금속 재질과 합성수지 재질을 갖는 구성 부재들 간의 마찰만이 발생하게 되므로, 부품의 마모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승강로드(20)가 안정적으로 직선 승하강 운동하게 되어 잠금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동차의 출입문과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전기적인 연결방식 등의 구체 구성은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징과는 연관성이 적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스크린 도어 F : 수평 프레임
D1, D2 : 도어 H1, H2 : 잠금홀
L :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10 : 브래킷 본체 11 : 장착부 하우징
12 : 작동수단 12A : 플런저
13 : 검출부재 14 : 광센서부
15 : 상승 감지 센서 16 : 하강 감지 센서
15A, 16A : 발광부 15B, 16B : 수광부
17 : 안내부재
20 : 승강로드 21 : 스토퍼
22 : 차단돌기
30 : 잠금부재 31 : 잠금편

Claims (4)

  1. 수평 프레임(F)을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양측 도어(D1, D2)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F)에 설치되며, 작동수단(12)을 갖는 브래킷 본체(10);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수단(12)에 의해 상기 브래킷 본체(10)에서 승하강되는 승강로드(20); 및
    상기 승강로드(20)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F)에서 인출입되고 양측 도어(D1, D2)가 닫힌 상태에서 양측 도어(D1, D2)에 구비된 잠금홀(H1, H2) 각각에 삽입되는 한 쌍의 잠금편(31)을 갖는 잠금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수단(12)의 플런저(12A)는 하측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천공된 암결합부(12a)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로드(20)는 상기 암결합부(12a)에 삽입되는 수결합부(20a)를 구비하여, 상기 암, 수결합부(12a)(20a)를 볼트부재가 관통하면서 승강로드(20)와 잠금부재(30)가 고정되며,
    상기 승강로드(20)는 상부 전, 후면에 구비되는 스토퍼(21)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21)의 상측 일부가 상기 암결합부(12a)를 덮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21)는 상기 승강로드(2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며 완충작용을 함과 동시에, 상기 암결합부(12a)에서 승강로드(20)가 볼트부재를 축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10)는 상기 승강로드(20)의 일측에서 상기 승강로드(20)의 승하강를 감지하는 광센서부(14)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광센서부(14)는 상하 서로 이격 설치된 상승 감지 센서(15)와, 하강 감지 센서(16)로 구성되고,
    상기 상승 감지 센서(15)와 상기 하강 감지 센서(16)는 각각 광신호를 발신하는 발광부(15A)(16A)와,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15B)(16B)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로드(20)는 상기 상승 감지 센서(15)와 상기 하강 감지 센서(16) 각각의 발광부(15A)(16A)와 수광부(15B)(16B) 사이에서 승하강되어 광신호를 차단하는 차단돌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20)는 하측 끝단부에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부(20b)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부재(30)는 상기 체결부(20b)에 상응하는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홀(32)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부(20b)가 상기 체결홀(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와셔부재를 통해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체결홀(32)은 상기 체결부(20b)의 좌우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측 연장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10)는 통과홀을 구비한 하면판(10B)과, 상기 하면판 상측에 결합되며 관통홀(17A)을 구비한 안내부재(17)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로드(20)는 상기 하면판(10B)의 통과홀 및 상기 안내부재(17)의 관통홀(17A)을 관통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지되,
    상기 하면판(10B)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재(17)는 상기 승강로드(20)와의 마찰 계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아세탈 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통과홀의 너비는 상기 승강로드(20)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관통홀(17A)의 너비는 승강로드(20)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KR2020140005591U 2014-07-25 2014-07-25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78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91U KR200478880Y1 (ko) 2014-07-25 2014-07-25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91U KR200478880Y1 (ko) 2014-07-25 2014-07-25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880Y1 true KR200478880Y1 (ko) 2015-11-25

Family

ID=5486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591U KR200478880Y1 (ko) 2014-07-25 2014-07-25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8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748B1 (ko) * 2017-04-13 2018-04-24 주식회사 우리기술 스크린 도어용 잠금 기구
KR101871674B1 (ko) * 2017-10-31 2018-06-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KR101871672B1 (ko) * 2017-10-31 2018-06-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KR101936513B1 (ko) * 2017-07-05 2019-01-11 노준형 도어 잠금 장치
KR20230011098A (ko) * 2021-07-13 2023-01-20 (주)에이.티.아이 승강장안전문 전기정 제어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748B1 (ko) * 2017-04-13 2018-04-24 주식회사 우리기술 스크린 도어용 잠금 기구
KR101936513B1 (ko) * 2017-07-05 2019-01-11 노준형 도어 잠금 장치
KR101871674B1 (ko) * 2017-10-31 2018-06-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KR101871672B1 (ko) * 2017-10-31 2018-06-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KR20230011098A (ko) * 2021-07-13 2023-01-20 (주)에이.티.아이 승강장안전문 전기정 제어시스템
KR102531624B1 (ko) 2021-07-13 2023-05-10 (주)에이.티.아이 승강장안전문 전기정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880Y1 (ko)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ES2353054T3 (es) Ascensor con un foso de poca profundidad y/o con poco espacio libre superior.
KR100984073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US10221044B2 (en) Hoistway door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elevator shaft
KR101738308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 도어 구동장치
JP2019510148A (ja) 両開きのスライディングプラグドアシステム
EP3461780B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KR100987965B1 (ko) 승강장스크린도어시스템
CN103395667A (zh) 电梯轿厢意外移动安全防护机构
KR101761160B1 (ko)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CN113213312A (zh) 带有移动紧急停止装置的电梯轿厢
KR100789706B1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용 승하강수단
JP6381401B2 (ja) 可動柵
KR101871674B1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CN105692409A (zh) 轿厢开门自动锁止轿厢的电梯
KR102313613B1 (ko) 스크린도어의 승강장안전문 비상 개폐장치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1372577B1 (ko) 리프트 창문용 호차 어셈블리
CN110088030B (zh) 用于对竖井门解除闩锁的装置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EP272787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to prevent uncontrolled movement of a lift car
KR200481777Y1 (ko)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 무빙잠금장치
KR101397459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KR20100093841A (ko) 엘리베이터의 보조 안전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