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50Y1 -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 Google Patents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50Y1
KR200478850Y1 KR2020150005612U KR20150005612U KR200478850Y1 KR 200478850 Y1 KR200478850 Y1 KR 200478850Y1 KR 2020150005612 U KR2020150005612 U KR 2020150005612U KR 20150005612 U KR20150005612 U KR 20150005612U KR 200478850 Y1 KR200478850 Y1 KR 200478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nding
rounding
vehicl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조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호 filed Critical 조영호
Priority to KR2020150005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29C47/003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은, 연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접합된 필름층;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본체와 차량의 표면을 접착하는 접착층; 상기 본체의 내측면 일 측에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절곡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에 의하면, 본체의 내측면에 절곡홈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굴곡면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호환성을 높일 수 있고, 본체의 가장자리에 필름층이 접합하지 않은 노출부가 구비되어, 필름층 접합 중 접합부위가 바깥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FLEXIBLE MOLDING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차량 내외부의 보호 및 장식 기능을 하는 몰딩의 내측면에 이중압출 성형된 절곡홈을 형성하여, 다양한 차량에 대한 호환성 및 부착성이 크게 향상된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몰딩이라 함은 자동차 외관의 손상 방지 및 미관을 향상하기 위해 차량에 부착하는 제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도어의 중간이나 하단 또는 범퍼에 붙이는 길쭉하거나 넓은 플라스틱, 크롬 재질의 장식물로 긁힘과 훼손을 방지하고, 차량의 디자인을 한층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즉, 몰딩은 액자의 테두리와 같은 것으로 장식뿐 아니라 이음새를 덮고, 손과 손가락의 보호, 다른 부품과의 시각적인 균형을 이루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몰딩에는 부착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상부 차체 프레임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서라운드 몰딩,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자동차 도어에 결합되는 사이드 몰딩 및 자동차 범퍼에 결합되는 범퍼 몰딩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전술한 차량용 몰딩과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기술들이 게시되어 있는데, 한국 실용신안 제 20-0467005호 "차량용 외장 몰딩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프레임"은 외장 몰딩을 구성하는 몰딩플레이트에 싱크 마크가 형성되지 않도록, 사출금형에 의해 만들어지는 몰딩플레이트와; 상기 몰딩플레이트의 내면에 별도로 부착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의 프레임본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립을 포함한다.
한국 특허 제 10-0823993호 "차량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은 몰딩의 형상으로 가공되는 스테인레스 코일과,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의 내측에 결합되는 수지성형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스테인레스 코일과 수지성형물은 스테인레스 코일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접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몰딩의 수지성형물에 보스체결공을 형성하고 여러 형태로 별도 성형된 보스 중 차량의 차체와 체결되는 클립과 이에 맞는 보스를 선택하여 상기 수지성형물의 보스체결공에 나사결합하여 몰딩을 차체에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든 다양한 형태의 클립을 본 발명의 몰딩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고 게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기술들에 의하면, 몰딩 내부에 별도의 구조인 장착플레이트나 수지성형물이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외부로 돌출되어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립이 차체의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차량에도 이에 상응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므로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클립 구조 등을 사용하지 않아 제품 부착 부위의 돌출을 최대한 줄여 내구성을 높이고, 더불어 차량의 복잡한 굴곡면에 맞게 변형이 용이하도록 제작하여 호환성이 향상된 신규하고 진보한 차량용 몰딩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내측면에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절곡홈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차체의 다양한 굴곡면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차량용 몰딩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부착하는 부위의 돌출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인 접착층을 형성하여 본 고안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장변 가장자리에 필름층이 접합되지 않은 노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생산과정 중 생길 수 있는 접합부위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은, 연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접합된 필름층;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본체와 차량의 표면을 접착하는 접착층; 상기 본체의 내측면 일 측에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절곡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장변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필름층이 일정 부분 접합되지 않아 상기 본체가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절곡홈을 기준으로 상단에 일정 면적만큼 구비된 상단 접착부와, 상기 절곡홈을 기준으로 하단에 상기 상단 접착부보다 넓은 면적으로 구비된 하단 접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 장변 모서리를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하여 깎아 처리한 라운딩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 장변 모서리를 경사지게 깎아 처리한 챔퍼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 장변 모서리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한 라운딩 처리부와, 상기 라운딩 처리부를 수평하게 깎아 처리한 수평부로 이루어진 복합 커팅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절곡홈을 중심으로 벤딩 처리된 벤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벤딩부는, 벤딩 처리가 시작되는 각각의 제 1 변곡점에서 주변보다 곡률이 크게 연장된 제 1 곡률 연장부와, 상기 제 1 곡률 연장부의 단부인 각각의 제 2 변곡점에서 상기 제 1 곡률 연장부보다 큰 곡률로 연장된 제 2 곡률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홈은, 상기 절곡홈의 함입이 시작되는 부위와 주변 부위에 발생되는 각을 깎아 처리한 필렛부와, 상기 필렛부에서 변곡부에 이르기까지 내측 방향으로 함입되는 것으로,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라운딩지게 함입 연장된 상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 및, 상기 변곡부에서 내측 단에 이르기까지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라운딩지게 함입 연장된 하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와, 상기 상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와 상기 하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가 접하여 각각의 라운딩 연장 형상이 변화되는 지점인 변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와 상기 절곡홈 사이에, 탄성재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블록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에 의하면,
1) 본체의 내측면에 절곡홈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굴곡면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호환성을 높일 수 있고,
2) 본체의 가장자리에 필름층이 접합하지 않은 노출부가 구비되어, 필름층 접합 중 접합부위가 바깥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3) 본체 모서리의 다양한 변형 구조 및 절곡홈의 변형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부착의 용이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4) 충격 흡수 블록과 벤딩부를 구비하여 몰딩의 내구성을 담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도.
도 2은 본 고안의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의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본체 모서리의 제 1, 2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본체 모서리의 제 3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절곡홈 주위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본 고안에서 의미하는 차량용 몰딩은 서라운드 몰딩, 사이드 몰딩, 범퍼 몰딩 등 차량 외부에 부착하는 몰딩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 부착하는 몰딩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특정 부위에 부착하는 차량용 몰딩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부위에 부착 가능한 차량용 몰딩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은 크게 본체(10)와 필름층(20), 접착층(30) 및 절곡홈(40)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본 고안의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짧은 단변과 일정 길이로 길게 연장된 장변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는 연질 플라스틱의 재질로 구성되는데, 연질 플라스틱은 유연성이 있어 구부러지는 플라스틱으로 깨지거나 부러지지 않고 가벼운 특징이 있다. 이러한 연질 플라스틱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연질 PVC 재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PVC(Poly Vinyl Chloride)라 함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수지'라고도 하며 PVC로 약칭하며, 그 중에서도 PVC에 가소제를 넣어 부드럽게 한 것이 연질 PVC에 해당한다. 본 고안에서는 연질 PVC 재질을 적용함으로써 유연성이 있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변형이 용이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필름층(20)은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접합된 층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장식적인 악세서리의 효과, 즉 미관을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체(10)의 외측면이라 함은 본 고안이 차량과 접착되는 면의 반대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에 부착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필름층(20)의 구성 재료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차량 장식물의 재질로 많이 쓰이며 광택이 나는 크롬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층(20)은 크롬 필름이나 알루미늄 필름의 형태로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접합하게 되는데, 접합 방식은 라미네이팅의 코팅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라미네이팅은 대상이 되는 물체에 1겹 이상의 얇은 레이어를 덧씌워 표면을 보호하고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본 고안처럼 얇은 크롬 필름이나 알루미늄 필름을 부착하기에 적합하다.
더불어 상기 필름층(20)의 상부에는 소유성 코팅층(미도시)을 추가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데, 소유성(疏油性: Oleophobic) 코팅층은 소유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팅 물질을 통하여 상기 필름층(20)의 상면을 코팅한 층으로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필름층(20)의 표면에 지문 등 이물질이 남는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자동차의 도어 등에 설치된 몰딩처럼 부착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가 많은 경우, 이때 생길 수 있는 사용자의 지문 흔적 등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유성 코팅층은 공지된 친수성 계면 활성제의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접착층(30)은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10)와 차량의 표면을 접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착층(3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지만, 추후 때어내는 것이 자유롭도록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면 테이프로 구성하는 경우 누구나 쉽게 별도의 도구 없이도 차량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부착 과정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접착층(30)은 후술할 절곡홈(40)을 기준으로 상단 접착부(31)와 하단 접착부(32)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상단 접착부(31)는 절곡홈(40)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일정 면적만큼 구비된 접착층(30)을 말하며, 하단 접착부(32)는 절곡홈(40)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상기 상단 접착부(31)보다 넓은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접착층(30)을 말한다. 상기 상단 접착부(31)와 하단 접착부(32)의 면적 비율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1 대 1.5 내지 3의 비율 내에서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단 접착부(31)와 하단 접착부(32)를 면적을 기준으로 구분해, 본 고안의 상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부착이 가능함과 동시에, 외관상으로도 안정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절곡홈(40)은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일 측에 일정 깊이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 즉, 장변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 홈을 말한다. 여기서 일 측이라 함은 상기 본체(10)의 상단 끝에서 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을 의미한다. 상기 절곡홈(40)은 본 고안의 제작과정에서 이중압출 성형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홈(40)은 차량 표면에 부착의 용이성을 제공해 주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홈(40)을 기준으로 본 고안은 ㄱ자 형태로 쉽게 변형될 수 있고, 이러한 ㄱ자 형태는 일반적인 |자 형태일 때 보다 차량의 다양한 굴곡면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해준다. 즉, 절곡홈(40)이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차종 및 부착부위에 부착성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 및 3을 다시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10)에는 노출부(1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노출부(11)는 상기 본체(10)의 장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필름층(20)이 접합되지 않고 본체(1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을 말한다. 즉 본체(10)의 외측면 상단과 하단의 일정 부분이 필름층(20)과 결합되지 않고 본체(10)만으로 구성된 층을 말한다. 이러한 노출부(11)는 본 고안의 생산과정 중 크롬 필름이나 알루미늄 필름의 접합 단계에서 접합 부위가 바깥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노출부(11)가 존재하지 않고 필름층(20)이 끝까지 코팅되는 경우는, 생산과정 중 열을 가하는 단계에서 본체(10)의 형상 변형이 생겨 바깥쪽으로 말려 나가게 되는 것이다. 노출부(11)는 이러한 변형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본체 모서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와 도4(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본체(10)에는 라운딩부(13)와 챔퍼부(14)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라운딩부(13)는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장변 모서리를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하여 깎아 처리한 것이며, 챔퍼부(14)는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장변 모서리를 경사지게 깎아 처리한 부분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위치한 상단과 하단의 90도 각도의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거나, 챔퍼 처리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부착되는 부위는 다양한 굴곡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체(10)의 내측면 모서리를 굴곡지거나 경사지게 처리함으로써 부착 시 기존보다 차량의 굴곡면에 더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본체(10)에는 복합 커팅부(15)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복합 커팅부(15)는 라운딩 처리부(16)와 수평부(17)로 구성된다. 라운딩 처리부(16)는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장변 모서리가 시작되는 지점을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한 부분이며, 수평부(17)는 상기 라운딩 처리부(16)를 수평하게 깎아 처리한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라운딩부(13)와 챔퍼부(14)의 장점을 더해 더욱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서리 끝부분의 라운딩부(13)는 다양한 굴곡면에 대응될 수 있게 굴곡있는 구성을 가지며, 안쪽의 수평부(17)는 편평한 접착면을 일정 부분 제공하여 밀착성 있게 차량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절곡홈 주위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본체(10)에는 벤딩부(1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18)는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절곡홈(40)을 기준으로 벤딩 처리된 부분을 말하며, 상기 절곡홈(40)이 존재함으로써 구조상 내구성이 약해 질 수 있는 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절곡홈(40)이 존재하여 그 부위가 다른 주변 부위보다 얇은 구조를 갖게 되고 휘거나 꺾임 등의 외력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커지는데, 상기 벤딩부(18)의 구조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벤딩부(18)는 벤딩 처리가 시작되는 각각의 제 1 변곡점(18a)에서 주변보다 곡률이 크게, 즉 곡선의 휨 정도가 크게 연장되는 제 1 곡률 연장부(18c)와, 상기 제 1 곡률 연장부(18c)의 단부인 각각의 제 2 변곡점(18b)에서 상기 제 1 곡률 연장부(18c)보다 큰 곡률로 연장되는 제 2 곡률 연장부(18d)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주변보다 중앙으로 갈수록 점점 큰 곡률을 갖도록 함으로써 기존보다 상기 절곡홈(40) 주변의 단면적, 즉 체적이 늘어날 수 있고 절곡홈(40)으로 인해 얇아진 구조를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홈(40)은 필렛부(41)와 상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42), 하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43) 및 변곡부(44)를 포함한다. 필렛부(41)는 상기 절곡홈(40)의 함입이 시작되는 부분과 그 주변 부위에 발생되는 각을 깎아 처리한 것을 말하며, 상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42)는 상기 필렛부(41)에서 후술할 변곡부(44)에 이르기까지 내측 방향으로 함입되는 것으로,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라운딩지게 함입 연장된 부분이다. 하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43)는 후술할 변곡부(44)에서 내측 단에 이르기까지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라운딩지게 함입 연장된 부분을 말하며, 상기 상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42)와 상기 하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43)가 접하여 각각의 라운딩 연장 형상이 변화되는 지점인 변곡부(44)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절곡홈(40)을 구성함으로써 기존보다 휘어짐이 자유로워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홈(40)은 굴곡지게 함입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항아리의 모양을 띄고 있는데, 각진 절곡홈(40)을 가질 때보다 사용자의 힘, 즉 외력이 더 잘 가해질 수 있으며, 차량의 다양한 굴곡에 더 잘 대응될 수 있는 신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벤딩부(18)와 상기 절곡홈(40) 사이에는 충격 흡수 블록(1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자세하게는 상기 절곡홈(40)에서 본체(10)의 내측, 즉 중심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된 중공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충격 흡수 블록(12)의 재질은 탄성재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벤딩부(18)와 상기 절곡홈(40)은 구조적으로 얇은 부위로서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는데, 탄성 재질의 외력을 흡수 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블록(12)을 구비함으로써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재질로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제공함으로 전술한 벤딩부(18)의 효과를 더욱 보강해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본체 11: 노출부
12: 충격 흡수 블록 13: 라운딩부
14: 챔퍼부 15: 복합 커팅부
16: 라운딩 처리부 17: 수평부
18: 벤딩부 18a: 제 1 변곡점
18b: 제 2 변곡점 18c: 제 1 곡률 연장부
18d: 제 2 곡률 연장부 20: 필름층
30: 접착층 31: 상단 접착부
32: 하단 접착부 40: 절곡홈
41: 필렛부 42: 상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
43: 하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 44: 변곡부

Claims (6)

  1. 차량용 플렉시블 사이드 몰딩으로서,
    연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접합된 필름층;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본체와 차량의 표면을 접착하는 접착층;
    상기 본체의 내측면 일 측에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절곡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절곡홈을 중심으로 벤딩 처리된 벤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벤딩부는,
    벤딩 처리가 시작되는 각각의 제 1 변곡점에서 주변보다 곡률이 크게 연장된 제 1 곡률 연장부와,
    상기 제 1 곡률 연장부의 단부인 각각의 제 2 변곡점에서 상기 제 1 곡률 연장부보다 큰 곡률로 연장된 제 2 곡률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홈은,
    상기 절곡홈의 함입이 시작되는 부위와 주변 부위에 발생되는 각을 깎아 처리한 필렛부와,
    상기 필렛부에서 변곡부에 이르기까지 내측 방향으로 함입되는 것으로,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라운딩지게 함입 연장된 상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 및,
    상기 변곡부에서 내측 단에 이르기까지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라운딩지게 함입 연장된 하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와,
    상기 상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와 상기 하향 오목 라운딩 테이퍼부가 접하여 각각의 라운딩 연장 형상이 변화되는 지점인 변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와 상기 절곡홈 사이에,
    탄성재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블록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장변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필름층이 일정 부분 접합되지 않아 상기 본체가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절곡홈을 기준으로 상단에 일정 면적만큼 구비된 상단 접착부와,
    상기 절곡홈을 기준으로 하단에 상기 상단 접착부보다 넓은 면적으로 구비된 하단 접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 장변 모서리를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하여 깎아 처리한 라운딩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 장변 모서리를 경사지게 깎아 처리한 챔퍼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 장변 모서리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한 라운딩 처리부와,
    상기 라운딩 처리부를 수평하게 깎아 처리한 수평부로 이루어진 복합 커팅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6. 삭제
KR2020150005612U 2015-08-21 2015-08-21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KR200478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12U KR200478850Y1 (ko) 2015-08-21 2015-08-21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12U KR200478850Y1 (ko) 2015-08-21 2015-08-21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850Y1 true KR200478850Y1 (ko) 2015-11-23

Family

ID=5486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612U KR200478850Y1 (ko) 2015-08-21 2015-08-21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352B1 (ko) * 2021-05-31 2022-08-24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외장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720Y1 (ko) * 2007-02-13 2008-03-03 권보헌 휠 하우스 아치 몰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720Y1 (ko) * 2007-02-13 2008-03-03 권보헌 휠 하우스 아치 몰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352B1 (ko) * 2021-05-31 2022-08-24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외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6799B1 (en) Cold formed glass applique
US10363886B2 (en) Thick molded tape pad
US6168742B1 (en) Method of insert molding auto and truck bumper, rocker panel and chin spoiler parts
US10723284B2 (en) Trim part
MX2012003890A (es) Metodo para fijar una pieza adicional a un vidriado o a un borde perfilado, dispositivo de fijacion para fijar esa pieza, y vidriado que se obtiene con este metodo.
KR102455191B1 (ko) 압출된 시일부, 트림, 및 코어를 갖는 글레이징 및 상기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
US20080135166A1 (en) Method for Producing Steering Wheel Decorative Covers and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CN104476855A (zh) 一种带孔的夹层玻璃
WO2003013886A1 (en) Window trim molding
KR200478850Y1 (ko) 차량용 플렉시블 몰딩
BRPI1107092A2 (pt) conjunto de emblema, e, mÉtodo para formar um conjunto de emblema
US8585122B2 (en) Vehicle door lining
JP2003320904A (ja) 自動車用ピラーフィニッシャー
US10752095B2 (en) Window
KR200436637Y1 (ko) 칼라 모서리 보호대
CN211892795U (zh) 汽车三角窗
CN103459174B (zh) 带框体的窗用板材及带框体的窗用板材的制造方法
EP1582412B1 (en) A protective element for the bodies of commercial vehicles
JP6399343B2 (ja) 風呂蓋
CN111421745A (zh) 车辆装饰件、车窗玻璃总成及其制备方法
JP6090177B2 (ja) 樹脂成形品
RU2769380C1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деталь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узел оконного стек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форм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го
US20230094469A1 (en) Vehicle window assembly with bonded perimeter frame
JP3929904B2 (ja) 装飾フィルムが貼着された車両用装飾成形品
JPS5833002Y2 (ja) バンパモ−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