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49Y1 - 산도 검출 클램프 - Google Patents

산도 검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49Y1
KR200478849Y1 KR2020140000414U KR20140000414U KR200478849Y1 KR 200478849 Y1 KR200478849 Y1 KR 200478849Y1 KR 2020140000414 U KR2020140000414 U KR 2020140000414U KR 20140000414 U KR20140000414 U KR 20140000414U KR 200478849 Y1 KR200478849 Y1 KR 200478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clamp body
detection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990U (ko
Inventor
제만호
지현우
Original Assignee
(주)피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에스엘 filed Critical (주)피에스엘
Publication of KR20140005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산도 검출 클램프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산도 검출 클램프는 개방된 입구가 벌려져서 검출 대상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는 클램프 몸체; 상기 배관을 감싼 상태의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기 입구가 닫히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기 입구 부분을 연결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배관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기 입구가 닫히도록 연결될 때 상기 배관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배관을 밀착시키는 배관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에서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 밀착부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배관이 밀착되어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가 검출 불가능한 데드 존(dead zone) 형성이 방지되고, 상기 배관에서 누설되어 상기 클램프 몸체로 유입된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부에서 상기 배관과 맞닿는 부분은 상기 배관에서 누설된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산도 검출 클램프에 의하면, 배관에서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면서도, 산도 검출 클램프를 배관에 간단히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으며, 배관 밀착부에 의해 결합부와 배관이 밀착되어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가 검출 불가능한 데드 존 형성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도 검출 클램프{pH detecting clamp}
본 고안은 리트머스 약액을 이용한 화공약품 및 가스누출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반도체(Semiconductor) 장치나 TFT, OLED 제조라인(Manufacture Line) 및 일반 케미컬산업(Chemical Industry) 분야에서 화공약품(Chemecal)과 가스(toxigas)의 노출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출하여 인명피해를 적극적으로 방지하고 시스템의 불가동 사태를 예방하기 위한 리트머스 약액을 이용한 산도 검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화공약품과 가스는 특수한 배관 또는 금속배관을 이용해 각 제조설비에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화공약품이나 가스 중 인체에 치명적인 위험이 있는 것들이 매우 많다. 또한 이러한 화공약품 및 가스 중 무색, 무취의 특성을 가진 것으로서 사람의 육안식별이 불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체 및 유체 이송용 배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체 및 유체 저장 탱크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는 일반적인 파이프 및 가스배관의 액체 및 기체조인트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기체 및 액체가 누출 발생 시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되어야만 설비나 제조라인 바닥에 설치되는 감지기를 통해 검출하게 된다.
더욱이, 실제 반도체제도 현장 및 생산라인에서는 수많은 배관이 설치되어 있어 정확한 누출 포인트 식별이 어려워, 가스 또는 액체가 누출된 경우에도 이의 정확한 위치를 찾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인체에 치명적인 약액이나 기체에 노출되는 문제가 다수 발생되었다.
이러한 화공약품과 가스를 제조설비에 공급시 파이프나 금속배관이 연결되는 플렌지 혹은 조인트(joint) 부분에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액체, 기체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인체에 치명적인 화공약품과 가스들은 무색 무취로 인해 작업자가 실수로 만지거나 흡입하게 되면, 중화상이나 사망에까지 이르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실제로 반도체제조 공정의 현장에서는 액체, 기체의 누출을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단순한 구조의 누출 감지기(leak detector)가 설치되어 액체 또는 기체를 감지(sensing)한 후 경고(warning) 메세지를 발생한다.
더욱이, 이러한 누출감지기도 무색 무취한 유해가스를 검출하였다는 신호만 보내 주게 되며, 정확한 누출포인트(leak point)를 찾기가 매우 어렵고, 일일이 점검하여 찾아내야만 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매우 불편함이 존재하며, 실제로 누출위치를 찾기까지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해 가스 및 액체의 누출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지 못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고 인명을 위험하게 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공개특허 제 10-2004-0044580호, 공개일자: 2004년05월31일, 발명의 명칭: 반도체 제조설비의 배관파열 감지장치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화공약품 성분과 가스가 누출되는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산도 검출 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미량 유출시 친수성인 본 산도 검출 클램프는 자체 흡수를 통해 화공약품과 가스성분이 누출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노출에 따른 인명사고를 방지하고, 공정 가동시간의 중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산현장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하고 생산성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산도 검출 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산도 검출 클램프 설치 시 검출이 되지 않는 데드 존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산도 검출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는 개방된 입구가 벌려져서 검출 대상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는 클램프 몸체; 상기 배관을 감싼 상태의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기 입구가 닫히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기 입구 부분을 연결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배관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기 입구가 닫히도록 연결될 때 상기 배관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배관을 밀착시키는 배관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에서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 밀착부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배관이 밀착되어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가 검출 불가능한 데드 존(dead zone) 형성이 방지되고,
상기 배관에서 누설되어 상기 클램프 몸체로 유입된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부에서 상기 배관과 맞닿는 부분은 상기 배관에서 누설된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에 의하면, 배관에서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면서도, 산도 검출 클램프를 배관에 간단히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으며, 배관 밀착부에 의해 결합부와 배관이 밀착되어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가 검출 불가능한 데드 존 형성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에 의하면, 반도체, TFT, OLED 제조라인 및 화학약품을 사용하고, 생산하는 산업 전 분야에 본 산도 검출 클램프 및 시트를 적용함으로써 액체 및 기체 누출시 사전 검출을 통해 대량 확산 누출 피해를 조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반도체(semiconductor)나 TFT,OLED 제조라인(manufacture line) 및 일반 화학산업 (chemistry industry) 분야에 사용되는 케미칼과 독성가스 누출로 인한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기존설비에 부착설치함으로써 케미칼(chemical)과 독성가스(toxigas) 누출(leak)로 인한 중요 생산 장비의
피해를 줄여 생산피해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안전 측면에서 인적(human), 물적(material) 사고에 대한 예방조치(precaution)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기체 및 유체 이송용 배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체 및 유체 저장 탱크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유체 이송 배관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시트가 유체 및 기체 저장탱크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유체 이송 배관에 적용되어 결합 부재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유체 이송 배관에 적용되어 결합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를 보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기 전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때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된 후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기 전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2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때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3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기 전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4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때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5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기 전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6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때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7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를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친수성(Hydrophilic) 특성을 가진 공극 클램프(Porous clamp) 및 시트(sheet)형태의 산도 검출 클램프 및 시트를 구성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이 실시 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 및 시트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유체 이송 배관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시트가 유체 및 기체 저장탱크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는 친수성(Hydrophilic) 및 공극(Porous) 특성 재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산성, 중성, 알칼리성의 액체(Liquid) 그리고 산화 기체(Acidic gas)를 운송 및 저장하는 배관(Pipe), 화학물 용기(Chemical Vessel), 저장 탱크(Storage Tank)의 각종플랜지(Flange) 및 이음새(Joint) 부분에 설치하며, 액체 및 기체 등의 유체의 누출 성분을 시각적으로 검출(Visual Chemical Leakage Detection)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 이송 배관 산도 검출 클램프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10, 20, 30, 40, 5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클램프를 제작하여,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pipe)의 외관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하여 간편하게 끼울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해 및 독극 물질을 배송하는 배관에서 누출되는 것을 변색작용을 통해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소량이 누출되는 경우에도 이를 즉각적으로 식별하여 해당 지역 및 관리부(센터)에 통지함으로써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초기에 해당 지역의 장비 및 배관을 점검함으로써 대량누출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고, 이에 따른 공장 라인의 가동중지를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산도 검출 시트(sheet)는 반도체, LCD, LED 웨이퍼 생산 공정 중 화학물 사용 장비의 내부 및 외부 바닥면에 부착하여 누출 성분을 시각적으로 검출(Visual Chemical Leakage Detection)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기 설치된 장비에도 시트(12, 22)를 간단한 구성으로 부착함으로써 액체 및 기체의 누출을 조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산, 알칼리 겸용 누액 검출 페인트는 산,알칼리 사용 및 생산하는 중화학 공장의 실내실외부 배관, 밸브에 부착하여 누출 성분을 시각적으로 검출(Visual Chemical Leakage Detection)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체 또는 기체의 공급용 배관의 외부에 산성 및 알카리성 액체 및 기체가 접할 때 변색하는 페인트를 도포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그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실제 생산현장의 화공약품 및 가스의 누출은 극소량의 누출로 비롯하여 대량 누출로 이어지게 되는데, 극소량 누출 시 친수성(Hydrophilic)의 특성이 없으면 검출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친수성 특성을 지닌 공극성(Porous) 소재를 클램프 형태로 구현시켜 이 클램프에 수소이온(H+)의 농도에 따른 표면색상 변화를 가져오는 특성을 부여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sheet)제품 또한 친수성 특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극소량에도 빠른 흡수를 통해 산도(ph)를 검출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배관 연결부 및 극소량 유출이 의심되는 부분에, 자켓 형태의 클램프를 체결해 누출되는 케미컬(Chemical) 또는 가스(Gas)의 수소이온과 즉시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색(Color) 변화를 발생하여, 점검자가 바로 인지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본 고안은 배관 이음새 부분이외, 케미컬(Chemical) 성분을 대량으로 보관하는 탱크의 용접부에 친수성(hydrophilic)의 산도 검출시트(sheet)를 부착해 극소량 누출 시 빠른 흡수로 즉시 반응을 발생시켜, 누출 위치를 알려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유체 이송 배관에 적용되어 결합 부재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유체 이송 배관에 적용되어 결합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기 전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때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된 후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100)는 클램프 몸체(110)와, 결합부(120)와, 배관 밀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몸체(110)는 내부(113)가 빈 원형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120)를 이루는 일 측이 절단된 형태를 이루어 개방된 입구(125)를 이룬다. 개방된 상기 입구(125)가 작업자의 외력 등에 의해 벌려져서 검출 대상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10)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내부(113)에 상기 배관(10)이 삽입된다.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상부에서 상기 배관(10)과 맞닿는 부분(111)은 상기 배관(10)에서 누설된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원주를 따라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를 이룬다. 그러면, 상기 배관(10)에서 누설되어 상기 클램프 몸체(110)로 흘러내려 유입된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111)에 수용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클램프 몸체(110)에는 상기 클램프 몸체(110)를 보강하는 보강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115)는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일부, 여기서는 상기 입구(125)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램프 몸체(110)에서 일정 길이로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보강부(11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입구(125)가 강제로 벌려질 때, 상기 보강부(115)가 형성된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데, 이러한 응력 집중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보강부(1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파쇄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115)는 상기 클램프 몸체(110)와 함께 누설된 상기 검출 대상 유체를 일정 부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몸체(110) 전체에 리트머스 약액이 도포되는 등의 형태로 산도 검출이 가능할 수 있다.
도면 번호 112는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외곽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몰되면서 띠 형태로 형성되는 함몰 홀로, 와이어 형태 등의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고, 그러한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클램프 몸체(110) 쪽으로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누설되는 경우 상기 센서가 그러한 누설을 감지하여 원격지에 있는 제어부(미도시)에 그러한 누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배관(10)을 감싼 상태의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상기 입구(125)가 닫히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상기 입구(125) 부분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상기 입구(125) 부분이 각각 외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형태를 이룬 것으로, 관통 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121)에 볼트 등의 결합 부재(122)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부(12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상기 입구(125)를 닫게 된다.
상기 배관 밀착부(130)는 상기 결합부(120)에서 상기 배관(10)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20)에 의해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상기 입구(125)가 닫히도록 연결될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0)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기 결합부(120)와 상기 배관(10)을 밀착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배관 밀착부(130)는 상기 결합부(120)의 일 측부에서 상기 배관(10)에 맞닿는 내측 부분이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 밀착 함몰 홀(131)과, 상기 결합부(120)의 타 측부에서 상기 배관(10)에 맞닿는 내측 부분이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밀착 돌기(13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20)가 상기 입구(125)를 닫으면서 상기 클램프 몸체(110)를 연결시킬 때, 상기 밀착 돌기(132)가 상기 밀착 함몰 홀(131)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10)에 의해 눌리면서 변형됨으로써, 상기 배관 밀착부(130)가 상기 결합부(120)와 상기 배관(10)을 밀착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클램프 몸체(110)가 상기 배관(10)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클램프 몸체(110)를 설치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상기 입구(125) 부분에서의 상기 클램프 몸체(110)와 상기 배관(10) 사이의 틈 형성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면, 그러한 틈에 의해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과,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제대로 검출되지 않는 데드 존(dead zone) 형성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배관(10)에서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산도 검출 클램프(100)를 상기 배관(10)에 간단히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 밀착부(130)에 의해 상기 결합부(120)와 상기 배관(10)이 밀착되어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가 검출 불가능한 데드 존 형성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기 전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때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 밀착부(230)를 구성하는 밀착 돌기(232)가 동일한 폭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부분(234)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 함몰 홀(231)은 상기 밀착 돌기(2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 돌기(232)의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부분(234)의 폭에 대응되는 깊이와 길이로 형성되는 부분(23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배관 밀착부(230)가 조여질 때 상기 밀착 돌기(232)가 상기 밀착 함몰 홀(231)에 일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눌릴 수 있으므로, 상기 배관 밀착부(230)에서의 누설 방지 및 데드 존 형성 방지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기 전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때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밀착 돌기(332)에는 산도 검출 클램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외향 돌기(336)가 형성되고, 밀착 함몰 홀(331)에는 상기 외향 돌기(33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산도 검출 클램프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외향 함몰 홀(335)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 돌기(332)가 상기 밀착 함몰 홀(331)에 삽입될 때, 상기 외향 돌기(336)도 상기 외향 함몰 홀(335)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외향 돌기(336)가 상기 외향 함몰 홀(335)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배관 밀착부(330)에서의 누설 방지 및 데드 존 형성 방지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되기 전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가 결합 부재에 의해 결합될 때의 산도 검출 클램프의 일부에 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 밀착부(430)가 결합부(420)의 일 측부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420)의 일 측부에 밀착 함몰 홀(431)과 함께 형성되는 추가 돌기(434)와, 상기 결합부(420)의 타 측부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결합부(420)의 타 측부에 상기 밀착 돌기(432)와 함께 형성되는 추가 함몰 홀(433)을 포함한다.
즉, 상기 결합부(420)의 일 측부에 상기 밀착 함몰 홀(431)과 상기 추가 돌기(434)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20)의 타 측부에 상기 밀착 돌기(432)와 상기 추가 함몰 홀(43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밀착 돌기(432)가 상기 밀착 함몰 홀(431)에 삽입될 때, 상기 추가 돌기(434)도 상기 추가 함몰 홀(43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배관 밀착부(430)에서의 누설 방지 및 데드 존 형성 방지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산도 검출 클램프(500)가 클램프 몸체(510)에서 배관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에서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누설 검출부(541)와, 상기 누설 검출부(541)와 연결되면서 상기 클램프 몸체(510)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외부 표시부(542)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설 검출부(541)와 상기 외부 표시부(542)에만 리트머스 약액이 도포되고, 상기 클램프 몸체(510)의 다른 부분에는 도포되지 아니한다.
상기 누설 검출부(541)는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홀 주변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외부 표시부(542)는 띠 형태로 외부와 상기 누설 검출부(541)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누설 검출부(541)에서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이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표시부(542)가 변색될 수 있으므로, 상기 클램프 몸체(510) 전체에 리트머스 약액을 도포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산도 검출 클램프에 의하면, 배관에서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면서도, 산도 검출 클램프를 배관에 간단히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으며, 배관 밀착부에 의해 결합부와 배관이 밀착되어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가 검출 불가능한 데드 존 형성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8)

  1. 개방된 입구가 벌려져서 검출 대상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는 클램프 몸체;
    상기 배관을 감싼 상태의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기 입구가 닫히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기 입구 부분을 연결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배관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기 입구가 닫히도록 연결될 때 상기 배관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배관을 밀착시키는 배관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에서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 밀착부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배관이 밀착되어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가 검출 불가능한 데드 존(dead zone) 형성이 방지되고,
    상기 배관에서 누설되어 상기 클램프 몸체로 유입된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의 상부에서 상기 배관과 맞닿는 부분은 상기 배관에서 누설된 상기 검출 대상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도 검출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밀착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 측부에서 상기 배관에 맞닿는 부분이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된 밀착 함몰 홀과,
    상기 결합부의 타 측부에서 상기 배관에 맞닿는 부분이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밀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클램프 몸체를 연결시킬 때 상기 밀착 돌기가 상기 밀착 함몰 홀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에 의해 눌리면서 변형됨으로써, 상기 배관 밀착부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배관을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도 검출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눌릴 수 있도록, 상기 밀착 돌기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 함몰 홀은 상기 밀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 돌기의 폭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도 검출 클램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돌기에는 상기 산도 검출 클램프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외향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 함몰 홀에는 상기 외향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산도 검출 클램프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외향 함몰 홀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 돌기가 상기 밀착 함몰 홀에 삽입될 때, 상기 외향 돌기도 상기 외향 함몰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도 검출 클램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밀착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 측부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의 일 측부에 상기 밀착 함몰 홀과 함께 형성되는 추가 돌기와,
    상기 결합부의 타 측부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결합부의 타 측부에 상기 밀착 돌기와 함께 형성되는 추가 함몰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 돌기가 상기 밀착 함몰 홀에 삽입될 때, 상기 추가 돌기도 상기 추가 함몰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도 검출 클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도 검출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몸체에서 상기 배관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에서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누설 검출부; 및
    상기 누설 검출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클램프 몸체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외부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설 검출부에서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검출 대상 유체의 누설이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표시부가 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도 검출 클램프.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몸체의 입구가 벌려질 때 상기 클램프 몸체의 파쇄가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에는 상기 클램프 몸체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도 검출 클램프.
KR2020140000414U 2013-05-21 2014-01-18 산도 검출 클램프 KR20047884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979 2013-05-21
KR20130003979 2013-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90U KR20140005990U (ko) 2014-12-01
KR200478849Y1 true KR200478849Y1 (ko) 2015-11-24

Family

ID=5245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414U KR200478849Y1 (ko) 2013-05-21 2014-01-18 산도 검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4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2002A (ja) * 2008-02-15 2009-08-27 Toyota Auto Body Co Ltd 結束対象物用のクランプ
JP2013247760A (ja) * 2012-05-25 2013-12-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2002A (ja) * 2008-02-15 2009-08-27 Toyota Auto Body Co Ltd 結束対象物用のクランプ
JP2013247760A (ja) * 2012-05-25 2013-12-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90U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538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US8851099B2 (en) Pip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040237632A1 (en) Pipe joint safety inspection device
KR102444480B1 (ko) 센서 부착 이음새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JP2010281359A (ja) 管継手
KR101553573B1 (ko) 가스 누출 차단 장비
KR200478849Y1 (ko) 산도 검출 클램프
KR102541108B1 (ko) 플랜지 어셈블리
KR101747656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JP2012037400A (ja) 配管の施工確認方法
KR20150000286U (ko) 하이드로 테스트시 파이프 플랜지의 리크 예방장치
US20170082517A1 (en) Leak detection system
CN203616064U (zh) 一种耐酸碱手套泄漏检测装置
CN105787852A (zh) 一种埋地管道泄漏事故的应急处理系统及方法
US11326978B2 (en) Leak indicating clamp
JP2011053080A (ja) 漏洩検査器具
CN102007333B (zh) 管道连接装置
KR102280990B1 (ko)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CN104729805A (zh) 一种耐酸碱手套泄漏检测装置
KR20220155821A (ko) 누설감지기능을 갖는 유체배관 실링용 클램프장치
KR20130005163U (ko) 배관 기밀 시험용 지그
KR101707553B1 (ko) 탱크 수위 측정용 센서를 위한 센서 브라켓
KR101944887B1 (ko) 가연성 유체 기밀방지구조 및 누설용 탐지장치가 내설된 볼밸브
KR20230039833A (ko) 수소누설 감지센서가 장착된 수소배관용 피팅블록
JP2016020729A (ja) 配管継手カバー,配管継手カバーの取付方法,及び配管継手部の流体飛散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