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566Y1 - 혈당측정기 - Google Patents

혈당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566Y1
KR200478566Y1 KR2020140000329U KR20140000329U KR200478566Y1 KR 200478566 Y1 KR200478566 Y1 KR 200478566Y1 KR 2020140000329 U KR2020140000329 U KR 2020140000329U KR 20140000329 U KR20140000329 U KR 20140000329U KR 200478566 Y1 KR200478566 Y1 KR 200478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astening member
unit
termin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884U (ko
Inventor
장용상
Original Assignee
장용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상 filed Critical 장용상
Priority to KR2020140000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566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5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측정부를 외부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자부, 상기 측정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방향 이동 시 상기 단자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방향 이동 시 상기 단자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혈당측정기{APPARATUS FOR MEASURING BLOOD SUGAR}
본 고안은 혈당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혈당측정기는 당뇨병 환자와 같은 인위적인 혈당조절이 요구되는 환자들이 손쉽게 자신의 혈액 중 혈당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기이다. 여기서, 혈당측정기는 초기 모델로서 혈액에서 혈구와 혈장을 분리한 뒤 병원 등에 실장된 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기술의 발달로 인해 그 발전된 형태로 혈액을 닦아내거나, 혈구를 제거할 필요가 없는 보다 손쉬운 혈당측정기가 차세대 기술로 현재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혈당측정기는 광도 측정법과 전기화학적 측정법에 의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기로 구분되며, 통칭 스트립이라고 지칭되는 측정부재가 사용된다. 여기서, 스트립이라 함은 광도 측정법에 사용되는 측정부재만을 일컬으며, 전기화학적 측정법에 사용되는 스트립은 바이오 센서라고 지칭된다. 여기서, 광도 측정법은 당산화효소와 과산화효소에 의한 당의 산화반응을 기본적인 원리로 이용한 것이며, 반응하는 지시약의 색깔변화를 분석하여 혈당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반응지의 표면에 혈액을 묻힌 다음, 소정의 반응시간 경과 후 이 상태에서 반응지의 저면에 빛의 반사를 위한 불투명 방사판을 위치시키고, 반응지 하단에 설치된 발광수단으로부터 소정량의 빛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의 반사량을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전기화학적 측정법은 색소원을 사용하는 대신 전자전달 매개체를 이용하여 글루코스의 산화효소와 전극이 반응한 전자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측정용 센서로 사용되는 측정스트립의 반응층에 혈액 샘플이 도포되면 혈액 중의 혈당이 혈당산화효소에 의해 산화되고, 혈당산화효소는 환원된다. 이때, 전자수용체는 혈당산화효소를 산화시킨 후 자신은 환원되며, 이로 인해 환원된 전자수용체는 일정 전압이 가해진 전자 표면에서 전자를 잃고, 전기화학적으로 다시 산화되며, 여기서 발생되는 전류량이 혈액 내의 글루코스 농도와 비례하므로 이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써 혈당의 농도를 측정하는 원리이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2929호(2007.09.21 등록, 다중접속 3분할 혈당측정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에 결합된 단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측정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갖추어 단자의 외부 노출을 제어할 수 있는 혈당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측정부를 외부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자부, 상기 측정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방향 이동 시 상기 단자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방향 이동 시 상기 단자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단자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방향 이동 시, 상기 단자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측정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는, 상기 커버부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커버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측정부의 일면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체결홈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커버부의 상하이동 시, 상기 수용홈과 상기 체결홈까지 상기 체결부재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수용홈 및 상기 체결홈과 연결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체결홈에 체결 가능하도록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측정부에 대해 분리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측정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방향 이동 시,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및 상기 커버부의 상방향 이동 시,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부에 결합된 커버부를 통하여 측정부에 결합된 단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는 측정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단자의 외부노출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의 커버부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의 커버부를 분리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의 커버부의 내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의 커버부 내측면에서 체결부재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에 따른 혈당측정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의 커버부가 하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의 커버부를 분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의 커버부의 내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기의 커버부 내측면에서 체결부재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측정부(100)는 혈액으로부터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혈당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요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혈당측정기는 디스플레이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갖춘 외부기기, 예를 들면, 핸드폰 등에 혈당측정기를 연결하여,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혈당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혈당측정기는 측정부(100)를 디스플레이를 갖춘 외부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자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자부(200)는 측정부(100)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부기기의 연결부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혈당측정기의 단자부(200)는 이어폰 잭 형상으로 형성되어 핸드폰의 이어폰 홀에 삽입되어 측정된 혈당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부(200)가 외부에 노출시 휴대가 불편하고, 단자부(200)의 파손 위험이 있으며, 이물에 의하여 단자부(200)가 오염될 염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혈당측정기는 단자부(200)를 보호하고, 돌출되게 형성된 단자부(200)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미관을 좋게하며, 휴대성이 향상되도록 단자부(200)를 커버하는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커버부(300)는 측정부(10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하방향으로 이동 시 단자부(200)가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기기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방향으로 이동 시 단자부(200)를 커버하여 단자부(200)를 보호하게 된다. 도 1은 단자부(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단자부(200)가 커버부(300)에 의하여 커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말해, 혈당측정기를 외부기기와 연결하지 않고 보관 또는 휴대하는 경우, 단자부(2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부(3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단자부(200)를 보호하는 것이다.
도 3은 혈당측정기를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단자부(200)를 외부로 노출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말해, 커버부(300)에는 상기 단자부(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300)의 상방향 이동 시, 상기 단자부(200)가 상기 개구부(310)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커버부(30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단자부(200)가 커버부(300)의 개구부(3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갖춘 외부기기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혈당측정기는 커버부(300)가 측정부(100)와 결합되어 있다. 즉, 커버부(300)가 측정부(100)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커버부(300)가 탈착가능하도록 측정부(100)에 결합하게 되면, 커버부(300)를 분실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커버부(300)가 단자부(200)를 커버하되, 측정부(100)에 결합되어 있어, 커버부(300)가 단자부(200)를 보호함과 동시에 커버부(300)의 분실을 방지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혈당측정기는 측정부(100)와 커버부(300) 사이에는, 상기 커버부(300)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하방향으로 이동된 커버부(300)를, 커버부(300)가 단자부(200)를 커버하기 위하여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탄성부재(400)의 일단은 측정부(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탄성부재(400)의 타단은 커버부(300)의 내측 상부와 결합하게 된다. 커버부(300)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재(400)는 수축되어 탄성력을 갖게 되고, 이러한 탄성력은 후에 커버부(300)를 상방향으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하방향으로 이동된 커버부(300)를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커버부(300)의 하방향 이동 및 상방향 복귀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혈당측정기는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커버부(3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측정부(100)의 일면에는 체결부재(500)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3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500)와 체결되는 체결홈(320)이 형성된다. 즉 외부로부터의 하방향 압력에 의하여 커버부(30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커버부(300)는 측정부(100)에 형성된 체결부재(500)가 커버부(300)에 형성된 체결홈(320)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커버부(300)의 내측면에는, 체결부재(500)를 수용하도록 상기 체결홈(320)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수용홈(330)과 커버부(300)의 상하이동 시, 수용홈(330)과 체결홈(320)까지 체결부재(500)를 가이드하도록, 수용홈(330) 및 체결홈(320)과 연결되는 가이드부(340)가 형성된다.
또한, 체결부재(5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은 체결홈(320)에 체결가능하도록 벤딩되어 있으며, 타단은 측정부(100)의 일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체결부재(500)의 자유단이 좌우 이동시에도 타단은 고정되어 자유단의 이동을 지지하게 된다. 체결부재(500)의 일단이 벤딩되어 수용홈(330) 또는 체결홈(320)과 만나 체결됨으로써, 탄성부재(400)에 의한 커버부(300)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340)는 커버부(300)의 하방향 이동 시, 체결부재(500)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341)와 커버부(300)의 상방향 이동 시, 체결부재(500)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342)를 포함한다. 즉, 커버부(300)가 하방향으로 이동시 체결부재(500)의 자유단은 제1 가이드(34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500)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자유단은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타단은 측정부(100)에 고정되어 자유단의 이동을 지지하게 된다.
도 6은 커버부(30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것과 커버부(3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커버부(30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단자부(200)를 커버하고 있는 경우에는, 체결부재(500)는 커버부(300)에 형성된 수용홈(330)과 만나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부(30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도 6의 가이드부(340)에 표시된 화살표는 체결부재(500)의 자유단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커버부(30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체결부재(500)의 자유단은 커버부(300)에 형성된 가이드부(3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커버부(300)가 하강시 체결부재(500)의 자유단은 제1 가이드(34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커버부(300)가 하강시 체결부재(500)의 자유단은 수용홈(330)으로부터 체결홈(320)까지 제1 가이드(341)를 따라 이동한다.
하방향으로 이동된 체결부재(500)는 체결부재(500)는 커버부(300)에 형성된 체결홈(320)과 만나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부(30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커버부(300)가 상승시 체결부재(500)의 자유단은 제2 가이드(34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커버부(300)가 상승시 체결부재(500)의 자유단은 체결홈(320)으로부터 수용홈(330)까지 제2 가이드(34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다시말해, 체결홈(320)은 수용홈(330)을 따라 형성된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으로 약간 치우치게 형성됨으로써, 하방향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체결부재(500)의 자유단과 체결홈(320)의 체결이 해제되고, 체결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체결부재(500)의 자유단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체결부재(500)의 자유단은 제1 가이드(341)가 아닌 제2 가이드(342)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커버부(300)가 단자부(2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이동시 체결부재(500)는 수용홈(330)과 체결되어 탄성부재(400)에 의한 커버부(300)의 더 이상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커버부(300)가 단자부(200)의 외부 노출을 위하여 하방향으로 이동시 체결부재(500)는 체결홈(320)과 체결되어 탄성부재(400)에 의한 커버부(300)의 더 이상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를 갖춘 외부기기와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100)를 연결하는 단자부(20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커버부(300)가 측정부(10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커버부(3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부(200)가 외부에 노출시 문제될 수 있는 휴대의 불편성, 파손의 위험성 및 이물에 의한 단자부(200) 오염 등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부(300)에 가해지는 하방향 압력에 의하여 간단히 커버부(300)가 단자부(200)를 보호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외부기기와 연결을 위하여 단자부(200)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측정부
200: 단자부
300: 커버부
310: 개구부
320: 체결홈
330: 수용홈
340: 가이드부
341: 제1 가이드
342: 제2 가이드
400: 탄성부재
500: 체결부재

Claims (9)

  1.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측정부를 외부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자부;
    상기 측정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방향 이동 시 상기 단자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방향 이동 시 상기 단자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커버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측정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단자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방향 이동 시, 상기 단자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는, 상기 커버부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체결홈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커버부의 상하이동 시, 상기 수용홈과 상기 체결홈까지 상기 체결부재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수용홈 및 상기 체결홈과 연결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체결홈에 체결 가능하도록 벤딩(ben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측정부에 대해 분리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측정부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의 하방향 이동 시,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및
    상기 커버부의 상방향 이동 시,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기.
KR2020140000329U 2014-01-15 2014-01-15 혈당측정기 KR200478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29U KR200478566Y1 (ko) 2014-01-15 2014-01-15 혈당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29U KR200478566Y1 (ko) 2014-01-15 2014-01-15 혈당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84U KR20150002884U (ko) 2015-07-23
KR200478566Y1 true KR200478566Y1 (ko) 2015-10-20

Family

ID=5387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329U KR200478566Y1 (ko) 2014-01-15 2014-01-15 혈당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5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77B1 (ko) 2019-12-12 2020-05-12 김영직 혈당측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451A (ja) 2005-10-12 2007-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血液センサ、血液検査装置、及び血液検査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451A (ja) 2005-10-12 2007-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血液センサ、血液検査装置、及び血液検査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77B1 (ko) 2019-12-12 2020-05-12 김영직 혈당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84U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3678B2 (ja) 生体液の光学的読み出し、視覚化、および分析のための表皮感知システム
JP5203395B2 (ja) 電気化学的バイオセンサ測定システム
KR102068949B1 (ko) 2차 출력 신호를 포함하는 기울기-기반 보상
Smith et al. Robust dipstick urinalysis using a low-cost, micro-volume slipping manifold and mobile phone platform
KR101013184B1 (ko) 바이오센서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JPWO2006035830A1 (ja) 分析装置
JP6562924B2 (ja) 検査ストリップコネクタの接触保護
CA2934270A1 (en) Test strip insertion drive mechanism for analyte meter
CN108350482A (zh) 用于侧流测试条固定器的系统和方法
KR200478566Y1 (ko) 혈당측정기
US20150014162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io-sensor and measuring instrument thereof
KR20100032130A (ko) 분리식 혈당측정기
JP2020535394A5 (ko)
US9285380B2 (en) Measurement system, measurement metho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program
CN101936898A (zh) 折射计
KR20140147730A (ko) 배향 독립형 측정기
US9562909B2 (en) Sensor used for measuring biological information on user
US20230333050A1 (en) Biosensor chip and biosensor cartridges having the same
TW201632883A (zh) 通用條埠連接器
US10088412B2 (en) Apparatus for analyzing bio-material
KR101149818B1 (ko)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 및 이의 측정기
US20220365020A1 (en) Sensor unit and cell culture analysis device comprising same
EP3366765B1 (en) Electrochemical measurement system
WO2023084980A1 (ja) 電気化学的センサ及び測定装置
JP2004357721A (ja) 光導波路型侵襲装置、侵襲誘導装置及び光導波路型侵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