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097Y1 -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097Y1
KR200478097Y1 KR2020130009691U KR20130009691U KR200478097Y1 KR 200478097 Y1 KR200478097 Y1 KR 200478097Y1 KR 2020130009691 U KR2020130009691 U KR 2020130009691U KR 20130009691 U KR20130009691 U KR 20130009691U KR 200478097 Y1 KR200478097 Y1 KR 200478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case
release paper
gea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100U (ko
Inventor
김현수
류한국
정영호
Original Assignee
김현수
류한국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류한국, 정영호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2020130009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09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0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72Packaging of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46Medication patches, e.g. transcutaneo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가 감겨지는 제1 톱니바퀴(230)와, 제1 톱니바퀴(230)의 회전에 의해 풀려지는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로부터 이형지(302)를 분리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분리대(220)와, 상기 제1 톱니바퀴(230)와 맞물려 회전하며, 제1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이형지가 분리된 파스(301)가 외부로 공급됨에 따라, 파스와 분리된 이형지(302)가 회수되어 감겨지는 제2 톱니바퀴(240)를 포함하는 조립체(200); 및 상기 조립체(200)가 내부에 장착되고, 이형지와 분리된 파스(301)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에 의하면, 파스를 필요한 만큼만 인출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인출된 파스의 절단시 별도의 컷팅수단이 필요없고, 사용 후 남은 부분은 약효를 유지시키면서 장시간 밀폐하여 보관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DEVICE FOR WITHDRAWING ROLL TYPE PAIN RELIEF PATCH}
본 고안은 파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스를 필요한 만큼만 인출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사용 후 남은 부분은 약효를 유지시키면서 장시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스는 소염 진통제 등의 의약이 도포된 플라스타제로서 환부에 부착시 도포된 의약이 피부에 자극을 주어서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보조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파스는 소정 크기로 재단된 여러 장의 파스가 하나의 포장으로 밀봉되어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한 장의 파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일단 포장을 개봉하게 되면, 남은 여러 장의 파스도 동시에 외기에 노출되므로 장시간 후의 사용시 약효가 떨어져 치료효과가 보장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분실하거나 하는 등의 보관상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0287443호에서는 파스를 두루마리 형태로 만들어 케이스에 수용함으로써 필요한 만큼 배출하여 사용하고 다 쓴 후에 되감아 보관하도록 함과 동시에 파스의 재충전이 용이한 두루마리형 파스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두루마리형 파스의 경우, 필요한 만큼 배출된 파스를 절단하기 위하여 가위 등 별도의 컷팅수단이 필요하며, 잘라서 쓰고 남은 파스는 다시 두루마리에 되감아 넣은 후 지퍼로 밀봉해야 하는 등 사용 및 보관의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수정테이프의 원리를 이용하여 컷팅수단이 별도로 필요없고, 파스를 필요한 만큼 인출 및 절단하여 사용한 후에는 보관 또한 용이한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스를 필요한 만큼만 인출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사용 후 남은 부분은 약효를 유지시키면서 장시간 보관하는 것이 용이한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는,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가 감겨지는 제1 톱니바퀴와, 제1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풀려지는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로부터 이형지를 분리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분리대와, 상기 제1 톱니바퀴와 맞물려 회전하며, 제1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이형지가 분리된 파스가 외부로 공급됨에 따라, 파스와 분리된 이형지가 회수되어 감겨지는 제2 톱니바퀴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상기 조립체가 내부에 장착되고, 이형지와 분리된 파스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에서, 상기 제1 톱니바퀴는 중심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로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가 감겨지고, 상기 제2 톱니바퀴는 중심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로 파스와 분리된 이형지가 감겨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체에는 상기 제1 톱니바퀴로부터 풀려지는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를 상기 분리대로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는 일측 가장자리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힌지 결합 부위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구성으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상부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와의 일측 접촉 경계면 상에 마련된 절단부를 구비하며, 하부케이스에서 상기 절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사선형 칼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사용시 피부와의 접촉부위에는 완충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힌지 결합부위 반대측에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닫혀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은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양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역 U자 형상의 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스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절취선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토출부에서는 별도의 절단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이형지와 분리된 파스를 상기 절취선에 따라 커팅하여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깥쪽 밑면에 긴 막대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에 의하면, 파스를 필요한 만큼만 인출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인출된 파스의 절단시 별도의 컷팅수단이 필요없고, 사용 후 남은 부분은 약효를 유지시키면서 장시간 밀폐하여 보관하는 것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에서,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에 사용되는 롤형 파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조립체가 장착되고, 케이스가 닫혀진 상태의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A부분의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닫혀진 상태의 측면도.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가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반대측의 절단부(112)에서 롤형 파스를 절단하여 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롤형 파스를 케이스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매커니즘을 구비하는 롤형 파스의 조립체가 내장되는데, 도 2에 그 조립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배경기술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는 일반적으로 필기구로 적힌 글씨 등을 지우거나 수정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수정테이프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롤형 파스의 조립체는 일반적인 수정테이프와 개략적인 구조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조립체(200)는,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가 감겨지는 제1 톱니바퀴(230)와, 상기 제1 톱니바퀴(230)와 맞물려 회전하며 파스가 외부로 공급됨에 따라, 파스와 분리된 이형지(302)가 회수되어 감겨지는 제2 톱니바퀴(240)를 구비하고, 제1 톱니바퀴(230)의 회전에 의해 풀려지는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로부터 이형지(302)를 분리하여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분리대(220)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립체(200)에는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를 제1 톱니바퀴(230)로부터 상기 분리대(220)로 안내하는 한편, 상기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가 이형지(302)가 감겨진 제2 톱니바퀴(240)와 만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2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체(200)에서 제1 톱니바퀴(230)는 파스의 너비 이상의 길이로 돌출된 회전축(231)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의 둘레로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가 권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톱니바퀴(240)는 파스의 너비 이상의 길이로 돌출된 회전축(241)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의 둘레로 파스와 분리된 이형지(302)가 권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조립체(200)는 롤형 파스를 토출하기 위하여, 제1 톱니바퀴(230), 제2 톱니바퀴(240), 분리대(220), 가이드 돌기(210) 등의 각 구성요소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립판(점선 부분) 상에 끼움 고정되거나 그 조립판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각 구성요소가 조립된 상태로 상기 조립판의 상면에 덮개를 구비시켜, 파스의 토출 매커니즘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케이싱 내에 수납된 형태로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케이싱을 이루는 조립판과 덮개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여 육안으로 내부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에 사용되는 롤형 파스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롤형 파스는 뒷면(301a)에는 환부에의 부착을 위해 의약품 및 점착물질이 도포되며, 상기 뒷면(301a)에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302)가 부착된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도 3(b)에 본 고안에 의한 조립체에 장착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파스가 롤형으로 감겨진 구조(300)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는 롤형 파스(300)를 제작함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파스의 일정 간격마다 절취선을 형성해 두어, 절단부와 같은 별도의 컷팅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절단부(112)를 구비하지 않고, 그 대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사이 부분으로 이형지와 분리된 파스가 토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조립체(200)가 케이스(110, 120)에 장착되어, 케이스가 닫혀진 상태의 구조를 도 4의 측단면도에 나타내었다.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조립체(200)가 케이스(110, 120)에 장착되기 위하여 하부 케이스(120)의 안쪽 면과 조립체(200)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서로 결합하여 조립체(200)를 하부 케이스(120)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는 일측에서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결합 부위의 반대측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접촉 경계면에는 파스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 결합 부위의 힌지축에는 스프링(130)이 개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이형지가 분리된 파스(301)의 절단 동작시에는, 마치 한 손으로 집게를 눌렀다 폈다 하는 동작과 유사하게,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대략 중앙부를 눌러줌으로써 절단부(112)를 파스(301)에 접촉시켜 파스를 절단하고, 파스가 절단된 후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눌렀던 힘을 빼주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벌어져서 절단부(112)가 파스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절단부(112)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의 A부분의 확대 정면도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단부(112)는 상부 케이스(110)에 장착된 칼날 또는 톱날로 이루어지며, 하부 케이스(120)의 상기 절단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절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1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파스의 절단 동작시에 절단부(112)가 들어가는 홈(121)으로 칼날이 삽입되면서 파스가 고정됨과 동시에 절단부의 수직이동으로 파스가 유효하게 커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의 형상을 사선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이형지가 분리된 파스(301)가 보다 부드럽게 절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120)에 마련된 상기 홈(1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부와 함께 파스를 유효하게 절단하기 위한 구성임과 동시에, 본 고안의 파스 인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날카로운 절단부(112)를 수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구성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파스 인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절단부(112)를 홈(121)에 수용하기 위해서는, 스프링(13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가 서로 마주하여 접촉되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힌지 결합부위 반대측에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닫혀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6에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고정수단의 예시로서, 상부 케이스(110)에 양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역 U자 형상의 고리(111)를 나타내었다. 상기 역 U자 형상의 고리(111)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그 고정부위로부터 하부 케이스의 바깥쪽 밑면을 향해 회동시킴으로써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닫혀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며, 이로써 상기 절단부(112)를 홈(121)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고정수단을 통해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를(120) 닫혀진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장기간 보관시 파스의 약효를 보존하기 위한 밀폐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고정수단으로서 상부 케이스에 양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역 U자 형상의 고리를 예로 나타내었지만, 고정수단의 구성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어서 롤형 파스가 조립된 조립체(200) 및 케이스(110, 120)의 내부를 외기와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의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를 직접 피부에 대고 파스를 부착하게 되는 경우, 파스 인출장치, 즉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피부와의 접촉부위에는 스펀지와 같은 완충제를 부착하여 사용시 촉감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20)의 바깥쪽 밑면에 긴 막대를 부착함으로써 손이 닿지 않는 부분에 파스를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절단부 근처에서 파스(301)를 소정 힘으로 잡아당기면, 케이스 내의 조립체에서 제1 톱니바퀴(230)가 회전하면서 그에 권취된 이형지와 결합된 롤형 파스(300)가 풀려지면서 분리대(220)로 안내되어 이형지(302)가 분리되고 파스(301)만 케이스의 절단부(112)를 통해 절단 배출되는 한편, 분리된 이형지(302)는 분리대(220)를 거쳐 제2 톱니바퀴(240)로 회수되면서 감겨지도록 동작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상부 케이스 120 하부 케이스
111 역 U자형 고리 112 절단부
121 홈 130 스프링
230 제1 톱니바퀴 240 제2 톱니바퀴
220 분리대 210 가이드 돌기
300 롤형 파스 301 이형지가 분리된 파스
302 이형지

Claims (11)

  1.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로서,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가 감겨지는 제1 톱니바퀴(230)와,
    제1 톱니바퀴(230)의 회전에 의해 풀려지는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로부터 이형지(302)를 분리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분리대(220)와,
    상기 제1 톱니바퀴(230)와 맞물려 회전하며, 제1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이형지가 분리된 파스(301)가 외부로 공급됨에 따라, 파스와 분리된 이형지(302)가 회수되어 감겨지는 제2 톱니바퀴(240)를 포함하는 조립체(200); 및
    상기 조립체(200)가 내부에 장착되고, 이형지와 분리된 파스(301)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일측 가장자리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힌지 결합 부위에는 스프링(130)이 개재되고,
    상기 토출부는 상부 케이스(110)의 하부 케이스(120)와의 일측 접촉 경계면 상에 마련된 절단부(112)를 구비하며,
    하부 케이스(120)에서 상기 절단부(112)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121)이 구비되고,
    상기 절단부(112)는 사선형 칼날이고,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사용시 피부와의 접촉 부위에는 완충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톱니바퀴(230)는 중심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231)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로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가 감겨지고,
    상기 제2 톱니바퀴(240)는 중심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241)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의 둘레로 파스와 분리된 이형지(302)가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파스의 인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200)는 상기 제1 톱니바퀴(230)로부터 풀려지는 이형지와 결합된 파스(300)를 상기 분리대(220)로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21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힌지 결합부위 반대측에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닫혀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부 케이스(110) 또는 하부 케이스(120)에 양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역 U자 형상의 고리(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스(301)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절취선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부에서는 이형지와 분리된 파스(301)를 상기 절취선에 따라 커팅하여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20)의 바깥쪽 밑면에 긴 막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KR2020130009691U 2013-11-26 2013-11-26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KR200478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91U KR200478097Y1 (ko) 2013-11-26 2013-11-26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91U KR200478097Y1 (ko) 2013-11-26 2013-11-26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00U KR20150002100U (ko) 2015-06-03
KR200478097Y1 true KR200478097Y1 (ko) 2015-08-28

Family

ID=5351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691U KR200478097Y1 (ko) 2013-11-26 2013-11-26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09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33Y1 (ko) 2004-11-05 2005-01-21 (주)케이비피 가식성필름 자동 디스펜서
KR100883884B1 (ko) 2007-11-15 2009-02-17 (주) 모아랩 의료용 점착밴드 인출기
JP2009127143A (ja) 2007-11-21 2009-06-11 Satoru Baba ロール状脱脂綿からカット綿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ロール状脱脂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33Y1 (ko) 2004-11-05 2005-01-21 (주)케이비피 가식성필름 자동 디스펜서
KR100883884B1 (ko) 2007-11-15 2009-02-17 (주) 모아랩 의료용 점착밴드 인출기
JP2009127143A (ja) 2007-11-21 2009-06-11 Satoru Baba ロール状脱脂綿からカット綿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ロール状脱脂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00U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284B2 (en) Adhesive bandage dispensing arrangements
US6755321B2 (en) Dispenser for adhesive-backed articles
US20030140760A1 (en) Film cutter
JP6389819B2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JP2004514623A (ja) ハンドヘルド型粘着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JP6424228B2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US20030085250A1 (en) Hand held tape dispenser
WO2010133741A1 (es) Dispensador de papel de fumar
KR101572955B1 (ko) 반창고용 디스펜서
JP2007169043A (ja) テープカッター装置
KR200478097Y1 (ko)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CN205555091U (zh) 一种保鲜膜包装盒
JP2004042258A (ja) テープ容器及びカッター装置
JP3200050U (ja) マスク保持具
KR101358419B1 (ko) 보조지가 구비된 박스 포장용 컷터기
JP5806055B2 (ja) ラップフィルムケース
KR102198717B1 (ko) 접착테이프 커팅장치
KR200409752Y1 (ko) 테이프 부착기
JP2006347760A (ja) 粘着テープカッタ
KR20130043140A (ko) 담배케이스에 적용되는 라이터 수납 밴드
KR200493566Y1 (ko) 절단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포츠테이프 케이스
KR100986645B1 (ko) 두루말이 휴지 걸이
JP2017108793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JPH0948553A (ja) 容器入巻テ−プ
KR200387862Y1 (ko) 롤 테이프 자동 절단기용 테이프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