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955B1 - 반창고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반창고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955B1
KR101572955B1 KR1020140041063A KR20140041063A KR101572955B1 KR 101572955 B1 KR101572955 B1 KR 101572955B1 KR 1020140041063 A KR1020140041063 A KR 1020140041063A KR 20140041063 A KR20140041063 A KR 20140041063A KR 101572955 B1 KR101572955 B1 KR 10157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nd
bandage
aid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495A (ko
Inventor
김태희
이승희
이해혁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95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61F15/002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dispensers for web or tape like band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는, 내부에 롤형식 반창고가 수용되며 일측으로 반창고가 인출되는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폐시키며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커버부 및 상기 회전커버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인출되는 반창고를 커팅시키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창고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Plaster}
본 발명은 반창고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강화한 반창고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착반창고는 종이나 기타 물품 등을 붙이는데 사용되는 다용도 반창고의 1종으로서 롤 형태로 감겨져 있으며, 이러한 접착반창고를 수납하는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접착반창고의 남아 있는 량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착반창고용 케이스의 수납부는 롤 형태의 접착반창고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된 상태에서 둥글게 만곡된 통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는 롤 형태의 접착반창고가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원통형의 걸이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의 개구된 일측면은 종이 재질의 덮개로 막아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의 수납부 일측에는 접착반창고 선단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선단에는 일출시키는 접착반창고의 소정부위를 인위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의 앞쪽에는 다수의 날카로운 톱니돌기가 일렬로 돌설된 절단부가 돌설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착반창고용 수납케이스는 접착반창고를 사용할 때마다 안착부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반창고의 선단을 안착부로 부터 일일이 떼어낸 다음 떼어낸 반창고의 선단을 손으로 잡고 잡아 당겨야만 걸이부에 끼워져 걸려 있는 롤 형태의 접착반창고가 회전되면서 풀려 인출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소정 길이로 인출된 접착반창고를 절단하는 과정도 일일이 인출된 접착반창고의 소정부위를 안착부에 부착시킨 다음 손으로 잡고 있는 접착반창고의 선단을 아래로 힘주어 당겨야만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접착반창고가 절단되는 등 수작업에 의해서만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접착반창고 인출 및 절단시 접착반창고의 선단을 손으로 잡고 당겨야 하므로 접착반창고의 접착면에 손가락 지문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게되어 접착력이 약해지고, 절단시 톱니형 절단부에 의해 절단 부위가 톱니형태로 잘라지게 되므로 반창고 접착시 외관이 깨끗하지 못하면서 매우 지저분하게 보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가 간편한 반창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둘째, 휴대 시 사용자가 커터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셋째, 반창고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롤형식 반창고가 수용되며 일측으로 반창고가 인출되는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폐시키며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커버부 및 상기 회전커버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인출되는 반창고를 커팅시키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반창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수용된 반창고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투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부는 내부 수용된 반창고의 기 설정된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지시선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부는 타단부에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커버부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커버부 측으로 여유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만곡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반창고용 디스펜서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가 콤팩트하여 사용자가 주머니 등에 넣은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주머니 등에 넣어 휴대 시에도 반창고가 오염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커팅부가 회전커버부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커터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투명부에 의해 반창고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의 개방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의 회전커버부에 의해 개방부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투명부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롤형식 반창고의 잔량을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100)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10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100)는 하우징(110)과, 회전커버부(120)와, 커팅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롤형식 반창고(10)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상기 반창고(10)가 인출되는 개방부(11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서로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몸체(111) 및 제2몸체(112)을 포함하며, 롤형식 반창고(10)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는 회전거치부(105)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반창고(10)는 상기 회전거치부(105)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거치부(105)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커버부(120)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개방부(11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부(12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반창고(10)가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반창고(10)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커버부(120)의 일단부 양측에는 회전축돌기(12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돌기(125)는 상기 회전축돌기(125)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연장부(118)에 연결된다. 상기 연장부(118)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돌기(125)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부(120)는 상기 회전축돌기(125)를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커버부(120)의 타단부에는 돌기부(127)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돌기부(127)에 대응하는 고정홈(117)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27)는 상기 회전커버부(120) 상기 개방부(113)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117)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부(120)는 상기 개방부(113)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부(127)는 상기 회전커버부(120) 타단부의 양측에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홈(117)역시 한 쌍이 형성되어 하나는 제1몸체(111)에, 다른 하나는 제2몸체(112)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몸체(112)에는 투명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117)은 투명부(16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투명부(160)는 하우징(11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반창고(10)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외부에서도 상기 반창고(10)의 잔량을 확인하여 교체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부(160)는 내부 수용된 반창고(10)의 기 설정된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지시선(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시선(170)은 반창고(10)의 잔량이 일정 이하가 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부(160)의 소정 위치에 표시된 형태를 가지고, 사용자는 상기 반창고(10)의 표면 둘레가 상기 지시선(170)을 통과하는 것을 기준으로 반창고(10)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130)는 상기 회전커버부(120)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3)를 통하여 인출되는 반창고(10)를 커팅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커팅부(130)는 상기 회전커버부(120)의 타단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회전커버부(120)가 상기 개방부(113)를 폐쇄시킨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반창고용 디스펜서(100)를 휴대 또는 사용 시 상기 커팅부(130)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커버부(1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커팅부(13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122)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회전커버부(120) 측으로 여유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만곡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반창고(10)가 회전커버부(1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부(120)를 회전시켜 상기 개방부(113)를 폐쇄할 경우, 상기 반창고(10)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휘어질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으로 여유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반창고(10)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하측 접착액이 묻은 부분에 서로 중첩 결합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여유공간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100)의 회전커버부(120)가 회전되어 개방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100)의 회전커버부(120)에 의해 개방부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창고(10)는 회전커버부(120)의 타단부에 구비된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부(120)에 접착된 상태를 가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회전커버부(120)를 회전시켜 개방부를 폐쇄시킨 경우, 반창고(10)가 연장될 여유 공간이 협소해지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 상부에 형성된 여유공간부(110a)에 의해 반창고(10)가 휘어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유공간부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반창고(10)가 하부로 휘어져 다른 부분에 접착되는 등 사용 시 불편함이 유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창고용 디스펜서(100)에 있어서, 투명부(160)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롤형식 반창고(10)의 잔량을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투명부(160)는 개방부의 일부분을 이루고 회전커버부()의 일부분과 중첩된다. 투명부(160)는 적어도 2개의 면을 갖는다(도 2참조) 투명부(160)의 2개의 면에 의해 롤 형식 반창고(10) 여유공간부에 위치한 반창고 상태를 하우징 외부에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명부(160)를 통해서 반창고(10)의 전체 두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부(160)로 반창고(1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투명부(160)에 형성된 지시선(170)을 기준으로 반창고(10)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시선(170)은 상기 반창고(10)의 소진까지 불과 수 회전이 남았다는 경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시선(170)의 위치는 생산자가 임의로 별도의 마킹펜을 이용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부의 재질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롤형식 반창고 100: 반창고용 디스펜서
105: 회전거치부 110: 하우징
111: 제1몸체 112: 제2몸체
113: 개방부 117: 고정홈
118: 연장부 120: 회전커버부
122: 안착면 125: 회전축돌기
127: 돌기부 130: 커팅부
160: 투명부 170: 지시선

Claims (5)

  1. 내부에 롤형식 반창고가 수용되며 일측으로 반창고가 인출되는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개폐시키며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커버부 및
    상기 회전커버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인출되는 반창고를 커팅시키는 커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롤형식 반창고는 풀리어 상기 회전커버부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커버부의 타측과 이웃한 상기 하우징 부분은 만곡된 상태로 돌출되어 내부에 폐쇄된 여유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반창고가 상기 회전커버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부를 회전시켜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면, 상기 반창고의 풀린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 휘어져 상기 여유공간에 위치하고 휘어진 상기 반창고의 접착액 부분이 겹치지 않는
    반창고용 디스펜서.
  2.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은,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 부분에는 상기 개방부의 일부분을 이루고 상기 회전커버부와 일부분이 중첩되는 투명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부는 적어도 2개의 면을 가지며, 상기 2개의 면에 의해 상기 롤형식 반창고와 상기 여유공간에서 휘어진 상기 반창고 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반창고용 디스펜서.
  3. 제2항에서,
    상기 투명부는,
    내부 수용된 반창고의 기 설정된 잔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지시선이 형성되어 있는 반창고용 디스펜서.
  4. 제1항에서,
    상기 회전커버부는 타단부에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고정홈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커버부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반창고용 디스펜서.
  5. 삭제
KR1020140041063A 2014-04-07 2014-04-07 반창고용 디스펜서 KR10157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063A KR101572955B1 (ko) 2014-04-07 2014-04-07 반창고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063A KR101572955B1 (ko) 2014-04-07 2014-04-07 반창고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495A KR20150116495A (ko) 2015-10-16
KR101572955B1 true KR101572955B1 (ko) 2015-12-01

Family

ID=5436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063A KR101572955B1 (ko) 2014-04-07 2014-04-07 반창고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265A (ko) * 2021-02-08 2022-08-17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소독지 케이스
KR20230057584A (ko) 2021-10-22 2023-05-02 이종훈 반창고 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431A (ko) 2019-08-18 2021-02-26 최미정 롤형식의 종이밴드
KR102298002B1 (ko) * 2019-11-29 2021-09-06 정성철 롤 타입 밴드를 보관할 수 있는 장신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542A (ja) * 2002-02-22 2003-09-02 Kokuyo Co Ltd テープカッター
KR200345291Y1 (ko) * 2003-12-30 2004-03-18 문경선 접착테이프 케이스의 테이프 인출장치
JP2013544732A (ja) * 2010-12-09 2013-12-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テープディスペン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542A (ja) * 2002-02-22 2003-09-02 Kokuyo Co Ltd テープカッター
KR200345291Y1 (ko) * 2003-12-30 2004-03-18 문경선 접착테이프 케이스의 테이프 인출장치
JP2013544732A (ja) * 2010-12-09 2013-12-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テープディスペン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265A (ko) * 2021-02-08 2022-08-17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소독지 케이스
KR102489010B1 (ko) * 2021-02-08 2023-01-17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소독지 케이스
KR20230057584A (ko) 2021-10-22 2023-05-02 이종훈 반창고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495A (ko)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55B1 (ko) 반창고용 디스펜서
CN104661577B (zh) 带式清洁器
KR101323666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150009228A (ko) 테이프 클리너
US20170291762A1 (en) Waste deposition device for right and left hand use
CN101484038A (zh) 用于具有显示屏的电子设备的容纳装置
KR100926378B1 (ko) 의료용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JP2016536237A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KR101245651B1 (ko) 점안 보조장치
KR20210044541A (ko) 방독면
US2909277A (en) Dental floss and dispenser
KR20180024977A (ko) 휴대용 비닐롤 수납장치
KR101996365B1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접착테이프 케이스
CN210293502U (zh) 一种检测桥体部件的应力检测装置
JP2005075560A (ja) 粘着テープカッタ
KR20150019452A (ko) 롤테이프의 교환이 간편한 테이프크리너
US6454086B1 (en) Cleaning and storing device for a prophylactic
KR101405336B1 (ko)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반창고 세트
KR200488430Y1 (ko) 헤어 미용용 얼굴 가리개 키트
KR200478097Y1 (ko) 롤형 파스의 인출장치
US3125262A (en) Goodwin
US20120234889A1 (en) Dental floss casing
KR102664961B1 (ko) 반창고 절단장치
JP2014138727A (ja) 医療器具
JP3164943U (ja) 紙めくり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