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794Y1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794Y1
KR200477794Y1 KR2020130010382U KR20130010382U KR200477794Y1 KR 200477794 Y1 KR200477794 Y1 KR 200477794Y1 KR 2020130010382 U KR2020130010382 U KR 2020130010382U KR 20130010382 U KR20130010382 U KR 20130010382U KR 200477794 Y1 KR200477794 Y1 KR 200477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bile phone
case
case body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413U (ko
Inventor
이지태
Original Assignee
(주)한보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보이앤씨 filed Critical (주)한보이앤씨
Priority to KR2020130010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79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7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이 장착되는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본체의 후면에 접착되어 케이스본체를 감싸면서 덮개로 사용할 수 있는 커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와 측면커버로 이루어지고,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는 접힘이 가능한 다수개의 구획면으로 구성되고, 후면커버의 구획면 중 측면커버와 인접하지 않은 구획면이 케이스본체의 후면에 접착되며, 후면커버의 구획면 중 측면커버와 인접한 구획면이 벌어짐 가능케 형성되어 전면커버의 구획면의 일부가 후면커버와 케이스본체의 사이로 삽입되어 케이스본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가 커버체에 의하여 보호되도록 하면서도 커버체를 다수개의 마디로 구성하여 커버체의 접힘에 의하여 휴대폰을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고,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적절하게 휴대폰 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over}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이 커버체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하면서도 커버체를 이용하여 휴대폰 케이스를 일정한 각도로 세워서 기울일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으로 동영상이나 DMB 등을 시청할 때 휴대폰을 지면에 거치한 상태로 보다 편하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휴대폰이 단순히 전화통화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나, 근래에 출시되는 휴대폰은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부터 휴대폰 메모리에 동영상이나 음악을 저장하여 감상하거나, 또는 DMB나 웹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폰은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통하여 다양한 멀티 기능을 구현하게 되면서 가격 또한 고가(高價)로 책정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사용한다.
휴대폰 케이스의 초기 모델은 연질의 러버 재질로 스마트폰 외관을 감싸주는 이른바 젤리 혹은 실리콘 케이스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휴대폰 액정을 보호하기 위하여 덮개가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를 많이 사용한다.
즉, 휴대폰을 끼워서 장착하는 케이스본체에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일체로 형성된 별도의 커버체를 부착하여 전면커버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전면커버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세워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케이스본체와 커버체로 이루어지는 구조의 경우 케이스본체의 기울기가 특정되지 않고 대부분 단순히 사용자가 적당한 기울기만큼 휴대폰을 기울여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휴대폰 거치상태가 매우 불안정하다.
즉, 작은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케이스본체의 거치된 상태가 미끄러지거나 뒤로 넘어가게 되는 등 사용상 주의를 매우 요하게 된다.
또한, 휴대폰 액정의 경우 시야각에 따라서 화면식별력이 매우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거치한 상태에서는 적절한 각도가 유지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거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경우에는 거치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고, 반면에 거치상태가 안정적인 구조의 경우에는 거치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1246081호(2013.03.1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1257295호(2013.04.1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1319255호(2013.10.1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 케이스가 커버체에 의하여 보호되도록 하면서도 커버체를 다수개의 마디로 구성하여 커버체의 접힘에 의하여 휴대폰을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고,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적절하게 휴대폰 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휴대폰 거치를 위한 빈번한 절첩 동작에도 구부러짐이나 휨과 같은 변형의 염려가 없이 장기간 사용가능하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휴대폰이 장착되는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본체의 후면에 접착되어 케이스본체를 감싸면서 덮개로 사용할 수 있는 커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와 측면커버로 이루어지고,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는 접힘이 가능한 다수개의 구획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구획면 중 측면커버와 인접하지 않은 구획면이 케이스본체의 후면에 접착되며, 후면커버의 구획면 중 측면커버와 인접한 구획면이 벌어짐 가능케 형성되어 전면커버의 구획면의 일부가 후면커버와 케이스본체의 사이로 삽입되어 케이스본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구획면이 두 개의 구획면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면서 각각의 구획면이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구획면이 다른 하나의 구획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휴대폰의 기울기 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내면에 논슬립면이 형성되어 휴대폰 케이스를 세워 고정할 때 논슬립면이 서로 마주하게 끼워져 긴밀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의하면, 커버체를 접어서 끼움으로써 휴대폰을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되고, 휴대폰케이스를 놓는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각도로 설정하여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동영상 감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휴대폰 거치구조가 분할되어 구성되는 구획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빈번한 절첩 동작에도 변형의 염려가 없이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단가를 낮춰 상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논슬립패드에 의하여 휴대폰 액정의 손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전면커버가 끼움된 상태에서 논슬립패드가 서로 마주보게 긴밀히 고정되므로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를 거치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접이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9는 도 8의 배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와 도 5는 휴대폰을 거치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는 휴대폰(100)을 삽입하여 장착하는 케이스본체(10)와,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접착되면서 케이스본체(10)의 전,후면을 감싸도록 되어 덮개로 사용할 수 있는 커버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버체(20)는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와 측면커버(23)로 이루어지면서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는 다수개의 구획면(21a,22a)으로 구성되어 접힘이 가능하고, 후면커버(22)는 다수개의 구획면(22a) 중 어느 일부만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본체(10)는 휴대폰(100)의 테두리를 감싸는 테두리면(10a)과 휴대폰(100)의 뒷면을 감싸는 배면판(10b)으로 이루지고, 테두리면(10a)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휴대폰(100)이 강제 끼움으로 삽입된다.
케이스본체(10)의 재질은 연질체로 성형 제작하여 휴대폰 외관을 감싸주는 젤리 케이스 또는 실리콘 케이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의 외관 디자인과 유사한 형태로 경질의 PC(Polycarbonate)재질로 성형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커버체(20)는 휴대폰(100)의 전면을 덮으면서 보호하는 전면커버(21),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커버(22),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를 연결하면서 휴대폰(100)의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커버(23)로 구성된다.
전면커버(21)는 휴대폰(100)의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액정과 대응되는 판상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면커버(21) 내측면에는 부드러운 재질이 덧대어 있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액정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후면커버(22)는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부착되어 케이스본체(10)와 커버체(20)가 하나의 휴대폰 케이스(1)를 구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후면커버(22)의 형상은 전면커버(21)와 대응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는 측면커버(23)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측면커버(23)에 의하여 커버체(20)의 절첩이 이루어지게 되며, 후면커버(22)가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면커버(21)를 절첩하여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액정을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한편,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는 구획면(21a,22a)으로 구성되어 접힘이 가능하게 되며, 후면커버(22)에 형성된 복수의 구획면(22a) 중 일부가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접착된다.
즉, 후면커버(22)의 구획면 중 측면커버(23)와 인접하지 않은 타측 구획면이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접착되어 케이스본체(10)의 측변 모서리부분과 후면커버(22)의 말단부 측변 모서리부분이 서로 부착된다.
이때, 후면커버(22)와 케이스본체(10)의 접착은 도 2와 같이 후면커버(22)의 내면에 접착면(22c)을 형성하여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접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후면커버(22)와 케이스본체(10)의 접착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식의 접착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22)가 케이스본체(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후면커버(22)의 구획면 중 측면커버(23)와 인접한 구획면이 케이스본체(10)로부터 벌어지게 되며, 그 벌어진 부분에 전면커버(21)의 말단부에 형성된 구획면(21a)을 끼우면 구획면(21a)이 후면커버(22)와 케이스본체(10)의 사이로 삽입되고, 사용자가 케이스본체를 바닥면에 세워 기울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의 구획면(21a,22a)이 두 개 이상의 복수개의 구획면(21a,22a)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의 구획면(21a,22a)이 각각 두 개의 구획면(21a,22a)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의 끼움구조가 대략적인 삼각형의 형태로 끼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면커버(21)를 구성하는 두 개의 구획면(21a)이 삼각형의 양변을 이루도록 되고 후면커버(22)를 구성하는 두 개의 구획면 중 하나의 구획면이 삼각형의 나머지 한 변을 이루도록 되므로 대략적인 삼각형의 형태로 끼워 고정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1)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의 구획면(21a,22a)을 두 개의 구획면으로 분할할 경우, 분할되는 두 개의 구획면을 동일한 폭으로 분할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면(21a,22a)의 폭이 서로 다른 폭을 갖도록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와 측면커버(23)의 높이도 각각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면커버(21)는 휴대폰의 전면 디스플레이 액정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후면커버(22)와 측면커버(23)는 전면커버(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후면커버(22)의 크기와 대응되게 내입면을 형성하면 후면커버(22)가 내입면에 삽입되면서 휴대폰 케이스의 두께를 더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커버(21)가 케이스본체(10)와 후면커버(22)의 사이로 삽입될 때 내입면에 형성된 단턱에 의하여 전면커버(21)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임의로 빠지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체(20)는 두 개 이상의 복수의 시트(20a)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커버체(20)의 의 재질은 합성필름이나 피혁 등 자체적으로 인장력을 갖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체(20)가 두 개 이상의 복수의 시트(20a)를 접착제로 접착되므로 시트가 접착된 상태에서 구부러짐에 의한 장력에 의하여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와 측면커버(23)가 펼쳐짐 되게 복원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분할되는 폭을 조절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의 기울기 각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의 제작과정에서 휴대폰 종류나 사용자의 용도 등에 맞추어서 휴대폰의 기울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체(20)를 구성하는 시트(20a) 중 내면에 노출되는 시트(20a)를 마찰력이 높은 벨벳 재질 등으로 제작하여 논슬립면(21b,22b)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면은 복수의 시트(20a) 사이에 경질체로 이루어지는 패드체(20b)를 삽입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케이스본체(10)와 커버체(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휴대폰 케이스(1)의 케이스본체(10)에 휴대폰을 강제 끼움으로 끼워서 삽입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케이스본체(10)는 다양한 휴대폰 기종을 끼울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고, 케이스본체(10)에 형성되는 버튼 노출부 또는 카메라렌즈 노출부 등은 휴대폰 모델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에 맞는 휴대폰 케이스(1)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휴대폰(100)이 케이스본체(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커버체(20)의 전면커버(21)를 도 1과 같이 펼쳐서 사용하거나, 또는 도 3과 같이 닫아서 보관한다.
그리고 휴대폰(100)을 동영상 감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20)의 전면커버(21)를 개방한 후, 전면커버(21)의 말단부에 위치한 구획면(21a)을 후면커버(22)와 케이스본체(10)의 사이로 끼워서 대략적인 삼각형의 형태로 지지대가 형성되도록 하며 지면에 세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감상하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서 기울어짐 각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세워서 거치하고, 기울어짐 각도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눕혀서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눈높이에 따라서 원하는 각도로 기울어짐 각도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에 논슬립면(21b,22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휴대폰 거치를 위하여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를 끼울 때 논슬립면이 서로 마주하게 끼워져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사용자가 외력을 주어 빼지 않는 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면서 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체(20)에 의한 지지구조가, 휴대폰(100)을 거치할 경우에는 휴대폰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케이스본체(10)가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반면에 거치상태를 해제하고 전면커버(21)를 분리하면 복수의 시트(20a)가 접착제에 의하여 중첩되게 접착된 상태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절첩될 경우 타측 방향으로 복원되는 힘을 갖게 되므로 복원력에 의하여 커버체(20)가 펼쳐지면서 원상태로 복원되며, 이에 따라 커버체를 열고 닫기가 매우 쉽고 편리하다.
또한, 커버체(20)에는 패드체(20b)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 및 측면커버(23)를 접어서 거치하는 경우, 패드체(20b)가 삽입된 부분에서는 절첩이 이루어지지 않고 패드체가 삽입된 부분의 사이, 즉 패드체와 패드체의 경계부분에서 절첩이 이루어지게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다.
1: 휴대폰 케이스
10: 케이스본체 10a: 테두리면
10b: 배면판
20: 커버체 20a: 시트
20b: 패드체
21; 전면커버 21a: 구획면
21b: 논슬립면
22: 후면커버 22a: 구획면
22b: 논슬립면 22c: 접착면
23: 측면커버

Claims (5)

  1. 휴대폰(100)이 장착되는 케이스본체(10)와,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접착되어 케이스본체(10)를 감싸면서 덮개로 사용할 수 있는 커버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20)는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와 측면커버(23)로 이루어지고,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는 각각 접힘이 가능한 두 개의 구획면(21a,22a)으로 분할되며,
    상기 후면커버(22)의 구획면 중 측면커버(23)와 인접하지 않은 구획면이 케이스본체(10)의 후면에 접착되어 측면커버(23)와 인접한 타측의 구획면이 케이스본체(10)로부터 벌어짐 가능케 형성되어 전면커버(21)의 구획면(21a)이 후면커버(22)와 케이스본체(10)의 사이로 삽입되어
    후면커버(22)의 구획면 중 측면커버(23)와 인접한 구획면과 전면커버(21)를 구성하는 두 개의 구획면(21a)이 대략적인 삼각형의 형태로 끼워 고정되어 케이스본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는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의 구획면(21a,22a)은 동일한 폭으로 분할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의 구획면(21a,22a)은 어느 하나의 구획면이 다른 하나의 구획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는 내면에 논슬립면(21b,22b)이 형성되어 논슬립면이 서로 마주하게 끼워져 거치상태를 지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20130010382U 2013-12-12 2013-12-12 휴대폰 케이스 KR200477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82U KR200477794Y1 (ko) 2013-12-12 2013-12-12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82U KR200477794Y1 (ko) 2013-12-12 2013-12-12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413U KR20150002413U (ko) 2015-06-22
KR200477794Y1 true KR200477794Y1 (ko) 2015-07-22

Family

ID=5351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382U KR200477794Y1 (ko) 2013-12-12 2013-12-12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7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919B1 (ko) 2016-02-25 2018-06-21 주식회사 스토리너스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989U (ja) * 2011-03-09 2011-05-26 張明哲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専用レザーカバー
KR200466058Y1 (ko) * 2013-01-03 2013-04-03 (주)폭스자일코리아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989U (ja) * 2011-03-09 2011-05-26 張明哲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専用レザーカバー
KR200466058Y1 (ko) * 2013-01-03 2013-04-03 (주)폭스자일코리아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413U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4558U (ja) 多機能保護ケース
CN204906449U (zh) 便携式电子设备用保护件
US9326587B2 (en) Spring loaded holster for electronic device
US20140216971A1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40021528A (ko) 신축자재한 스탠드를 구비한 전자 기기 케이스
KR101243217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20150338635A1 (en) Mobile Optical Magnifier
US20150014188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ims and a material
US20130284866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72033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KR200477794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7120Y1 (ko) 거치대로 사용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161859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0476557Y1 (ko) 충격완화 및 부착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102273503B1 (ko)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
JP6124941B2 (ja) 携帯式電子機器のスタンド構造、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保持方法
KR102290791B1 (ko) 폴더블 폰 케이스
KR101491077B1 (ko) 휴대용 스마트 기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