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721Y1 -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 Google Patents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721Y1
KR200477721Y1 KR2020130007744U KR20130007744U KR200477721Y1 KR 200477721 Y1 KR200477721 Y1 KR 200477721Y1 KR 2020130007744 U KR2020130007744 U KR 2020130007744U KR 20130007744 U KR20130007744 U KR 20130007744U KR 200477721 Y1 KR200477721 Y1 KR 200477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dible
absorbing member
soil
bulbous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237U (ko
Inventor
영 성 왕
영 성 왕
Original Assignee
영 성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성 왕 filed Critical 영 성 왕
Priority to KR2020130007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721Y1/ko
Priority to CN201480044081.3A priority patent/CN105431037A/zh
Priority to JP2016534539A priority patent/JP2016532449A/ja
Priority to US14/911,731 priority patent/US10225998B2/en
Priority to PCT/KR2014/007605 priority patent/WO2015023158A1/ko
Publication of KR20150001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2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7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수조화분에 수분흡수부재를 50%정도 채우고 그 위에 혼합용토(배양토에 선택적으로 고형비료 포함 또는 유기농발효혼합용토)를 상층부까지 충진하고 수분흡수부재와 혼합용토 간에 격리시키는 격리부재를 마련하므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발근 및 착근시키고 휴면가능 온도로 저온처리하여 40%~50%정도의 항시 담액상태에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안정적으로 생육시키도록 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는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여 식용식물에 해당하는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에게 수분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휴가토 또는 난석으로 구성된 수분흡수부재가 충진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가 발근되면 40%~60% 정도의 물을 수용하도록 수위를 조절하는 유출공과 마개가 형성되어 있는 수조화분과; 상기 수분흡수부재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조화분에 상부까지 혼합용토(배양토와 고형비료 등)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식재하여 근권부를 착근시키고, 안정적인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생육용토부재와; 상기 수분흡수부재와 생육용토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격리하며, 상기 수조화분의 담액상태의 수분을 상기 식재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전달하고, 상기 수분흡수부재로부터 수분을 함침하기 위한 부직포, 펄프소재, 면소재, 광목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보습소재로 이루어진 격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cultivation apparatus grow perennial root plant for food}
본 고안은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수조화분에 수분흡수부재를 50%정도 채우고 그 위에 혼합용토(배양토에 선택적으로 고형비료 포함 또는 유기농발효 혼합용토)로 구성된 생육용토부재를 상층부까지 충진하고 수분흡수부재와 생육용토부재 간에 격리시키는 격리부재를 마련하므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발근 및 착근시키고 휴면가능 온도로 저온처리하여 40%~50%정도의 항시 담액상태에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안정적으로 생육시키도록 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숙근 초화류는 뿌리나 줄기가 여러해 동안 살아 남아서 매년 봄이 되면 싹이 돋아나는 꽃을 피우는 식물로서 번식은 삽목에 의해 이루어진다. 식용의 숙근 초화류에 속하는 식물은 대표적으로 미나리, 식용 아스파라거스 등이다.
또한, 구근류는 식물기관의 일부인 줄기 또는 뿌리의 일부분이 비대해져서 알뿌리모양으로 변형된 것으로 식재하는 시기에 따라서 봄이 식재하는 춘식구근과 추식구근이 있다. 상기 춘식구근은 봄에 식재하여 여름에서 가을까지 꽃을 피우고, 상기 추식구근은 가을에 식재하여 겨울동안 저온처리를 받아 휴면상태가 되고, 이후 휴면이 타파되어 봄에 꽃을 피운다. 식용의 구근류에 속하는 식물은 고사리, 근대, 달래, 쑥, 죽순, 미나리, 고추 오이 등 식용의 엽채와 근채 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일반 농가에서는 노지에서 삽목 등의 방법으로 식재하여 발근하고, 이를 일정한 시간동안 생육시키면 파종하여 식용의 상품성을 갖추게 된다.
특히, 미나리(또는 돌미나리)의 경우에는 농가에서 가을에 삽목(마디삽을 뿌려서 발근시키는 것)을 통하여 식재하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미나리가 노지에 발근되면서 생육을 시작한다. 이 때, 삽목을 통한 번식은 노지가 물에 조금 잠겨 습지를 형성한 상태에서 발근되면서 이루어진다.
이어, 상기 미나리(또는 돌미나리)는 겨울을 넘기면서 저온처리과정을 거치게 되고, 그 기간동안에 알뿌리에 양분을 저장하면서 휴면에 들어가고, 다시 봄이 되면 정상적인 생육을 시작하여 꽃을 피우게 된다. 완전생육을 하게 되면 이를 수확하여 식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재배는 삽목 과정을 위하여 노지를 물이 조금 잠길 정도의 웅덩이로 만들고, 발근(또는 착근)이 되면 양수기를 이용하여 이를 다시 배수시킬 수 있어야 하고, 웅덩이가 형성될 수 있는 특정한 장소 즉 노지가 필요하지만,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지가 거의 찾기 어려워 인공적으로 노지에 웅덩이를 만들어야 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양수기를 상시 배치하여 우천시에 그 양수기를 이용하여 물을 배출시켜야 하고, 온도관리를 위하여 하우스를 형성하여야 하고, 자연상태에서 생육을 시키므로 촉성재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을과 겨울(저온처리) 및 봄으로 이어지는 계절적 요인으로 생육을 이어가기 때문에 1년에 수확할 수 있는 횟수가 제한되어 있어 가을과 여름에는 수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이동 가능한 수조화분에 수분흡수부재를 40%~60%정도 채우고 그 위에 혼합용토(배양토에 선택적으로 고형비료 포함 또는 유기농발효혼합용토)로 구성된 생육용토부재를 상층부까지 충진하고 수분흡수부재와 생육용토부재 간에 격리시키는 격리부재를 마련하여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발근 및 착근시키고 휴면가능 온도로 저온처리 후 40%~60%정도의 항시 담액상태에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안정적으로 생육시키도록 하므로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요인에 제약받지 않으며,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식용 숙근 초화류와 구근류 즉 미나리(돌미나리), 식용 아스파라거스 등을 신속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조화분에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식재하여 이동성을 확보하므로 저온처리가 가능하여 비수기인 가을과 여름에도 재배 및 수확이 가능하도록 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조화분에 40%~60%정도의 물을 항상 잔존시키므로 보습소재인 격리부재에 의해서 식용식물(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의 미생물의 생존확률을 극대화시키고, 식용식물이 요구하는 적절한 영양비료를 제공하므로 생육속도를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유기농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에 따라,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생육하기 위한 재배관리기에 있어서;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여 식용식물에 해당하는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수분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수분을 흡수하는 펄라이트와 난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분흡수부재가 충진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 해당하는 삽목이 발근되면 40%~60% 정도의 물을 수용하여 상기 수분흡수부재만 잠기도록 수위를 조절하는 유출공과 마개가 형성되어 있는 수조화분과; 상기 수분흡수부재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조화분에 상부까지 혼합용토 또는 고형비료가 혼합된 배양토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식재하여 근권부를 착근시키고, 안정적인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생육용토부재와; 상기 수분흡수부재와 생육용토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격리하며, 상기 수조화분의 담액상태의 수분을 상기 식재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전달하고, 상기 수분흡수부재로부터 수분을 함침하기 위한 부직포, 펄프소재, 면소재, 광목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보습소재로 이루어진 격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목이 발근되기 이전에 상기 수조화분의 혼합용토 또는 배양토 위에 안착한 삽목이 물에 잠겨져 수분이 공급되도록 한 수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생육하기 위한 재배관리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의 다른 분야에 따라,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생육하기 위한 재배관리기에 있어서;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여 식용식물에 해당하는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수분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수분을 흡수하는 펄라이트와 난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분흡수부재가 충진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 해당하는 삽목이 발근되면 40%~60% 정도의 물을 수용하여 상기 수분흡수부재만 잠기도록 수위를 조절하는 유출공과 마개가 형성되어 있는 수조화분과; 상기 수분흡수부재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조화분에 상부까지 혼합용토 또는 고형비료가 혼합된 배양토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식재하여 근권부를 착근시키고, 안정적인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생육용토부재와; 상기 수분흡수부재로부터 수분을 함침하기 위한 부직포, 펄프소재, 면소재, 광목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보습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조화분의 담액상태의 수분을 상기 식재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수분흡수부재와 생육용토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을 격리하기 위해 적층된 한 쌍이 마련되어 있는 격리부재와; 상기 한 쌍의 격리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격리부재의 함침된 수분에 점진적으로 용해되어 상기 양육용토부재에 식재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고형비료를 포함하며; 상기 삽목이 발근되기 이전에 상기 수조화분의 혼합용토 또는 배양토 위에 안착한 삽목이 물에 잠겨져 수분이 공급되도록 한 수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생육하기 위한 재배관리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의 다른 분야에 따라,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생육하기 위한 재배관리기에 있어서;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여 식용식물에 해당하는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수분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수분을 흡수하는 펄라이트와 난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분흡수부재가 충진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 해당하는 삽목이 발근되면 40%~60% 정도의 물을 수용하여 상기 수분흡수부재만 잠기도록 수위를 조절하는 유출공과 마개가 형성되어 있는 수조화분과; 상기 수분흡수부재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조화분에 상부까지 혼합용토 또는 고형비료가 혼합된 배양토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식재하여 근권부를 착근시키고, 안정적인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생육용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목이 발근되기 이전에 상기 수조화분의 혼합용토 또는 배양토 위에 안착한 삽목이 물에 잠겨져 수분이 공급되도록 한 수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생육하기 위한 재배관리기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수조화분에 수분흡수부재를 40%~60%정도 채우고 그 위에 혼합용토(배양토에 선택적으로 고형비료 포함 또는 유기농발효혼합용토)를 상층부까지 충진하고 수분흡수부재와 혼합용토 간에 격리시키는 격리부재를 마련하여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발근 및 착근시키고 휴면가능 온도로 저온처리 후 40%~60%정도의 항시 담액상태에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안정적으로 생육시키도록 하므로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요인에 제약받지 않으며,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식용 숙근 초화류와 구근류 즉 미나리(돌미나리), 식용 아스파라거스 등을 신속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조화분에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식재하여 이동성을 확보하므로 저온처리가 가능하여 비수기인 가을과 여름에도 재배 및 수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조화분에 40%~60%정도의 물을 항상 잔존시키므로 보습소재인 격리부재에 의해서 식용식물(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의 미생물의 생존확률을 극대화시키고, 식용식물이 요구하는 적절한 영양비료를 제공하므로 생육속도를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유기농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따른 도 3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화분(1)과 생육용토부재(3)와 격리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화분(1)은 그 내측공간에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여 식용식물에 해당하는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수분을 제공하기 위해 담액수분을 수분을 일정량 흡수하기 위한 휴가토 또는 난석, 펄라이트 등으로 구성된 수분흡수부재(7)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충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담액상태는 생육용토부재에 이르기까지 물이 가득담겨진 상태를 형성하여 삽목번식을 가능케하도록 하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휴가토는 난석의 종류중 하나이다.
그 외측면에는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가 발근되면 40%~60% 정도의 물을 수용하도록 수위를 조절하는 유출공(9)과 마개(11)가 형성되어 있다. 삽목번식을 위해서는 상기 생육용토부재(3) 정도까지 수위가 이루어지지만 발근과 착근상태가 이루어져 정상적인 생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위가 40%~60% 정도가 적당하다.
여기서 상기 유출공(9)과 마개(11)는 스크류결합되어 있기에 발근과 착근상태를 확인한 후에 관리자가 상기 마개(11)를 개방하여 수조화분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40%~60%정도로 수분흡수부재만 잠기도록 남기고 모두 배출시킨다.
상기 생육용토부재(3)는 상기 수분흡수부재(7)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조화분(1)에 상부까지 혼합용토(배양토와 고형비료 및 유기농배양토, 유기농비료, 유기농발효 혼합용토 등)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식재하여 근권부를 착근시키고, 안정적인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혼합용토에는 식용식물이 삽목번식을 통하여 식재되는 방식이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혼합용토 내부에 발근되고 착근되어 식재가 완성된다.
상기 격리부재(5)는 상기 수분흡수부재(7)와 생육용토부재(3)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격리하며, 상기 수조화분의 담액상태의 수분을 상기 식재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전달하고, 상기 수분흡수부재(7)로부터 수분을 함침하기 위한 부직포, 펄프소재, 면소재, 광목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보습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리부재(5)는 합성수지와 천연소재 등 어느 하나로 만들어져 있으며, 수분흡수부재(7)와 생육용토부재(3)가 섞이지 않도록 각 영역으로 구획하여 격리시키면서 수분흡수부재(7)의 수분을 흡수하여 생육용토부재(3)에게 공급한다.
또한, 격리부재(5)는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개식할 경우 수분흡수부재(7)로 부터 생육용토부재(3)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새로운 격리부재(5)와 생육용토부재(3)를 신속하게 충진시키고 이에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삽목번식으로 식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화분(1)에 수분흡수부재(7)와 격리부재(5), 생육용토부재(3)가 순차적으로 충진되어 있고, 유출공(9)에 마개(11)가 스크류결합되어 있다. 여기에 수조화분에 물을 공급하여 90%이상 잠기도록 하여 생육용토부재(3) 상에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삽목번식으로 식재하고,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발근되고 착근상태가 되면 유출공(9)의 마개(11)를 개방하여 40%~60%정도까지 수위를 낮춘다. 그러면, 수분흡수부재(7)의 수분이 격리부재(5)을 따라 생육용토부재(3)에 공급되어 식용식물에게 전달되어 정상적인 생육을 가능케 한다.
이와 같은 수조화분은 이동이 용이하여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기후적인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분흡수부재(7)와 상기 생육용토부재(3) 스스로가 격리가능한 경우 격리부재(5)를 생략하고도 정상적으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생육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의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화분(1)과 생육용토부재(3)와 격리부재(5)와 고형비료(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화분(1)은 그 내측공간에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여 식용식물에 해당하는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수분을 제공하기 위해 담액수분을 수분을 일정량 흡수하기 위한 휴가토 또는 난석, 펄라이트 등으로 구성된 수분흡수부재(7)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충진되어 있다.
그 외측면에는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가 발근되면 40%~60% 정도의 물을 수용하도록 수위를 조절하는 유출공(9)과 마개(11)가 형성되어 있다. 삽목번식을 위해서는 상기 생육용토부재(3) 정도까지 수위가 이루어지지만 발근과 착근상태가 이루어져 정상적인 생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위가 40%~60% 정도가 적당하다.
여기서 상기 유출공(9)과 마개(11)는 스크류결합되어 있기에 발근과 착근상태를 확인한 후에 관리자가 상기 마개(11)를 개방하여 수조화분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40%~60%정도로 만을 남기고 모두 배출시킨다.
상기 생육용토부재(3)는 상기 수분흡수부재(7)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조화분(1)에 상부까지 혼합용토(배양토와 고형비료 및 유기농배양토, 유기농비료, 유기농발효 혼합용토 등)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식재하여 근권부를 착근시키고, 안정적인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혼합용토에는 식용식물이 삽목번식을 통하여 식재되는 방식이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혼합용토 내부에 발근되고 착근되어 식재가 완성된다.
상기 격리부재(5)는 상기 수분흡수부재(7)와 생육용토부재(3)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격리하며, 상기 수조화분의 담액상태의 수분을 상기 식재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전달하고, 상기 수분흡수부재(7)로부터 수분을 함침하기 위한 부직포, 펄프소재, 면소재, 광목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보습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리부재(5)는 한 쌍이 적층되어 있고, 합성수지와 천연소재 등 어느 하나로 만들어져 있으며, 수분흡수부재(7)와 생육용토부재(3)가 섞이지 않도록 각 영역으로 구획하여 격리시키면서 수분흡수부재(7)의 수분을 흡수하여 생육용토부재(3)에게 공급한다.
또한, 격리부재(5)는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개식할 경우 수분흡수부재(7)로 부터 생육용토부재(3)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새로운 격리부재(5)와 생육용토부재(3)를 신속하게 충진시키고 이에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삽목번식으로 식재할 수 있다.
상기 고형비료(15)는 상기 한 쌍의 격리부재(5)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격리부재(5)의 함침된 수분에 점진적으로 용해되어 상기 양육용토부재(3)에 식재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에게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격리부재(5) 사이에 공간에 상기 고형비료(15)가 적당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항상 충분한 수분에 의해 미량이 용해되어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에게 알맞은 양액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화분(1)에 수분흡수부재(7)와 한 쌍의 격리부재(5), 생육용토부재(3) 가 순차적으로 충진되며, 상기 격리부재(5)사이에 고형비료(15)가 마련되되어 있고, 유출공(9)에 마개(11)가 스크류결합되어 있다. 여기에 수조화분에 물을 공급하여 90%이상 잠기도록 하여 생육용토부재(3) 상에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 식물을 삽목번식으로 식재하고,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발근되고 착근상태가 되면 유출공(9)의 마개(11)를 개방하여 40%~60%정도까지 수위를 낮춘다. 그러면, 수분흡수부재(7)의 수분이 격리부재(5)을 따라 생육용토부재(3)에 공급되어 식용식물에게 전달되어 정상적인 생육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고형비료(15)가 한 쌍의 격리부재(5) 사이에서 수분흡수부재(7)의 수분을 받아 미량의 양액으로 용해되고, 이는 생육용토부재(3)를 통하여 식용식물에게 공급되어 왕성한 생육활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은 수조화분은 이동이 용이하여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기후적인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1 ; 수조화분 3 ; 생육용토부재
5 ; 격리부재 7 ; 수분흡수부재
9 ; 유출공 11 ; 마개
15 ; 고형비료

Claims (3)

  1.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생육하기 위한 재배관리기에 있어서;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여 식용식물에 해당하는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수분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수분을 흡수하는 펄라이트와 난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분흡수부재가 충진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 해당하는 삽목이 발근되면 40%~60% 정도의 물을 수용하여 상기 수분흡수부재만 잠기도록 수위를 조절하는 유출공과 마개가 형성되어 있는 수조화분과;
    상기 수분흡수부재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조화분에 상부까지 혼합용토 또는 고형비료가 혼합된 배양토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식재하여 근권부를 착근시키고, 안정적인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생육용토부재와;
    상기 수분흡수부재와 생육용토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격리하며, 상기 수조화분의 담액상태의 수분을 상기 식재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전달하고, 상기 수분흡수부재로부터 수분을 함침하기 위한 부직포, 펄프소재, 면소재, 광목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보습소재로 이루어진 격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목이 발근되기 이전에 상기 수조화분의 혼합용토 또는 배양토 위에 안착한 삽목이 물에 잠겨져 수분이 공급되도록 한 수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생육하기 위한 재배관리기.
  2.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생육하기 위한 재배관리기에 있어서;
    항시 담액상태를 유지하여 식용식물에 해당하는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수분을 제공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수분을 흡수하는 펄라이트와 난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분흡수부재가 충진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 해당하는 삽목이 발근되면 40%~60% 정도의 물을 수용하여 상기 수분흡수부재만 잠기도록 수위를 조절하는 유출공과 마개가 형성되어 있는 수조화분과;
    상기 수분흡수부재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조화분에 상부까지 혼합용토 또는 고형비료가 혼합된 배양토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식재하여 근권부를 착근시키고, 안정적인 생육을 유지하기 위한 생육용토부재와;
    상기 수분흡수부재로부터 수분을 함침하기 위한 부직포, 펄프소재, 면소재, 광목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보습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조화분의 담액상태의 수분을 상기 식재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수분흡수부재와 생육용토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을 격리하기 위해 적층된 한 쌍이 마련되어 있는 격리부재와;
    상기 한 쌍의 격리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격리부재의 함침된 수분에 점진적으로 용해되어 상기 양육용토부재에 식재된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에게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고형비료를 포함하며;
    상기 삽목이 발근되기 이전에 상기 수조화분의 혼합용토 또는 배양토 위에 안착한 삽목이 물에 잠겨져 수분이 공급되도록 한 수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생육하기 위한 재배관리기.
  3. 삭제
KR2020130007744U 2013-08-15 2013-09-16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KR200477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744U KR200477721Y1 (ko) 2013-09-16 2013-09-16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CN201480044081.3A CN105431037A (zh) 2013-08-15 2014-08-15 为培育食用宿根花卉类及球根类的栽培管理器
JP2016534539A JP2016532449A (ja) 2013-08-15 2014-08-15 食用の宿根草花類及び球根類のための栽培管理器
US14/911,731 US10225998B2 (en) 2013-08-15 2014-08-15 Cultiv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edible perennial herbaceous flowering plants and bulbs and tubers
PCT/KR2014/007605 WO2015023158A1 (ko) 2013-08-15 2014-08-15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744U KR200477721Y1 (ko) 2013-09-16 2013-09-16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237U KR20150001237U (ko) 2015-03-25
KR200477721Y1 true KR200477721Y1 (ko) 2015-07-15

Family

ID=5303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744U KR200477721Y1 (ko) 2013-08-15 2013-09-16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7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575B1 (ko) * 2021-01-15 2021-06-07 영 성 왕 수확량 유지 및 수확량 조절을 위한 식용식물 재배장치 및 그 재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37U (ja) * 1992-06-26 1994-01-25 恵庸 豊村 プランター
KR100512692B1 (ko) * 2002-06-11 2005-09-07 주식회사 셀그린 수분자동공급용 파티션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37U (ja) * 1992-06-26 1994-01-25 恵庸 豊村 プランター
KR100512692B1 (ko) * 2002-06-11 2005-09-07 주식회사 셀그린 수분자동공급용 파티션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237U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9672B (zh) 一种无公害种植铁皮石斛的方法
CN104303939A (zh) 生态梨的种植方法
US10225998B2 (en) Cultiv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edible perennial herbaceous flowering plants and bulbs and tubers
CN104542164B (zh) 一种茶叶的套种方法
CN103299809A (zh) 有机蔬菜多茬钵栽技术
CN103155906A (zh) 食蚜瘿蚊批量繁殖工艺及应用技术
CN107182686A (zh) 一种桃树的增产栽培方法
CN107667751A (zh) 澳洲坚果种苗的快速繁育方法
CN105493805A (zh) 一种大姜高产栽培方法
CN104919999A (zh) 一种用于党参高产的种植方法
CN106472044A (zh) 一种科学有效的柑桔育种方法
CN104303788B (zh) 一种甘蔗实生苗漂浮假植方法
CN103975752A (zh) 一种水果黄瓜的种植方法
CN106376315B (zh) 盆栽蔬菜一体式精简栽培方法
CN105028333A (zh) 一种人工室内大量饲养果梢斑螟的方法
CN105103855B (zh) 一种促进滇重楼原种子提早发芽的方法
KR20150033025A (ko) 호랑나비 애벌레 사육키트
CN102986417A (zh) 一种快速培育棉花幼苗的方法
CN104335796A (zh) 紫藤集药用和观赏功能的盆栽方法
KR200477721Y1 (ko)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KR101462350B1 (ko)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CN105519338B (zh) 一种凤丹种子育苗方法
KR20170123588A (ko) 땅콩나물 재배방법 및 재배기
KR101437295B1 (ko)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CN106561385A (zh) 适用于内陆热区的繁育诺丽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