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362Y1 - 용접장치용 지그 - Google Patents

용접장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362Y1
KR200477362Y1 KR2020140001723U KR20140001723U KR200477362Y1 KR 200477362 Y1 KR200477362 Y1 KR 200477362Y1 KR 2020140001723 U KR2020140001723 U KR 2020140001723U KR 20140001723 U KR20140001723 U KR 20140001723U KR 200477362 Y1 KR200477362 Y1 KR 200477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elding
welding apparatus
component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갑
Original Assignee
김오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갑 filed Critical 김오갑
Priority to KR2020140001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장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한 부품을 클래딩하기 위한 용접장치의 고정과 이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도록 함으로써, 용접품질과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용접장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한 부품을 클래딩하기 위한 용접장치용 지그로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품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마다 용접장치의 용접부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홀과; 상기 고정수단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부품에 접하여 상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몸체의 타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장치를 고정하는 용접장치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용접장치용 지그{A jig for welding equipment}
본 고안은 용접장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한 부품을 클래딩하기 위한 용접장치의 고정과 이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도록 함으로써, 용접품질과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용접장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한 부품을 클래딩(cladding : 강의 양면 또는 한 면에 다른 금속을 접합하는 용접이다.)하기 위해서는 용접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장치의 용접작업을 좀 더 용이하고 원활하게 도울 수 있도록 지그(jig : 기계가공에서 가공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정하기 위한 보조용 기구)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용접장치용 지그는 용접장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위치조절을 정확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용접포인트인 부품의 홀 중앙에 용접부의 중심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어려워 용접작업의 정확도가 떨어져 용접품질 향상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지그를 부품에 고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용접작업시 외부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면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이탈로 인해 용접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정작업 또는 재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그를 다음 용접 위치로 용이하게 원활하게 이동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감을 가중시키고 작업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접장치의 견고한 고정을 이루고,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이루어 용접포인트로 정확히 안내하며, 몸체의 신속하고 용이한 이동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과 용접품질 향상 및 신속한 용접작업을 도모할 수 있는 용접장치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한 부품을 클래딩하기 위한 용접장치용 지그로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품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마다 용접장치의 용접부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홀과; 상기 고정수단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부품에 접하여 상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몸체의 타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장치를 고정하는 용접장치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부품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과 동일한 위치를 이루도록 형성된 고정 홀과, 상기 고정 홀을 통해 상기 부품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 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부품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 축과, 상기 고정 축을 통해 결합 되어 구름 동작 또는 회전 동작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또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장치 고정부는 상기 용접장치를 적어도 2 방향에서 견고하게 고정하는 2개 이상의 클램프와, 상기 용접장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2개 이상의 위치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에는 이동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기 위한 바퀴 또는 구름 베어링과 같은 이동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용접장치의 용접부가 가이드 홀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용접장치를 X축과 Y축으로 위치이동시키는 일 단면이 평편한 접지면을 형성하는 죄임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하고 용접장치의 견고한 고정과 위치조절로 정확한 용접위치에 용접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과 용접품질 향상 등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용접작업 후 다음 용접위치로 지그의 이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용접속도 향상과 이로 인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장치용 지그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용접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접장치용 지그를 부품에 장착하여 클래딩 작업을 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장치용 지그를 이용하여 클래딩 작업을 진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클래딩 작업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용접장치용 지그가 부품에 장착된 요부 정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용접장치용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접장치용 지그(100)는 몸체(110)와 고정수단(120)과 가이드 홀(130)과, 지지수단(140) 및 용접장치 고정부(15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용접장치(300)를 견고하게 탑재, 고정하도록 두께를 갖는 평편한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단으로는 이동방향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개략 화살표 형상의 이동방향표시부(11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교체되거나 휴식시간 후에 작업이 진행되더라도 즉시 다음 용접작업 위치와 진행방향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상기 몸체(110)에는 이동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기 위한 바퀴 또는 구름 베어링과 같은 이동수단(1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110)의 밑면 양측으로는 복수 개의 홀(210)을 구비한 부품(200)의 각 홀(210) 클래딩(cladding) 작업시 어느 하나의 홀(210)에 클래딩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홀(210)로 이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퀴나 베어링과 같은 이동수단(1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원활하고 간편한 이동으로 부품(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210) 클래딩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작업속도를 현저하게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20)은 몸체(1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몸체(110)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복수 개의 홀(210)을 구비한 부품(200)의 각 홀(210)과 동일한 위치를 이루도록 형성된 고정 홀(121)과, 상기 고정 홀(121)을 통해 상기 부품(200)에 형성된 각 홀(21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10)를 고정하는 고정 핀(12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수단(120)은 몸체(110)의 앞쪽 부분 중간으로 형성되는 고정 홀(121)과, 상기 고정 홀(121)과 부품(200)의 각 홀(210)에 인입(引入) 또는 인출(引出)되는 고정 핀(122)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고정 핀(122)은 인입(引入) 또는 인출(引出)과 같은 조작이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면에 고리형태의 손잡이(12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고정수단(120)은, 상기 몸체(110)를 부품(200)에 탑재(장착)시, 몸체(110)에 형성된 고정 홀(121)과 부품(200)의 각 홀(210) 중, 어느 하나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일치시키고 상기 고정 홀(121)과 일치되는 홀(210)에 고정 핀(122)을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몸체(11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래딩(용접) 작업시 외부의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몸체(110)가 흔들리거나 부품(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불량과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130)은 상기 고정수단(120)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품(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210)마다 용접장치(300)의 용접부(310)를 정확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 홀(130)은 몸체(110)의 앞쪽으로 형성되는 고정 홀(121)을 기준으로 간격을 두고 뒤쪽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부품(200)의 각 홀(210)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일치시킴으로써, 홀(210)의 클래딩(cladding) 작업시 용접장치(300)의 용접부(310)를 홀(210)의 중앙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용접포인트인 부품(200)의 홀(210) 중심에 용접부(310)의 중심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클래딩(용접) 작업시 용접부(310)가 홀(210)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작업의 정확도를 높이고 용접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140)은 고정수단(120)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부품(200)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몸체(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 축(141)과, 상기 고정 축(141)을 통해 결합 되어 구름 동작 또는 회전 동작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14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수단(140)은 고정 축(141)이 상기 몸체(110)의 일단 또는 양단부 가장자리 측에 수직방향을 설치되고, 상기 고정 축(141)의 하부 측에 베어링 또는 롤러(142)가 구름 동작 또는 회전 동작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부품(200)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몸체(1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140)은 롤러(142)의 설치 위치가 상기 고정수단(120)과 상호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롤러(142)와 고정 홀(121)의 위치를 꼭 지점 형태로 연결시 삼각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몸체(110)를 더욱더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20)과 함께 몸체(110)가 부품(200)에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 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안정된 용접작업을 이룰 수 있고 동시에 이동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베어링(142)은 구름 동작 또는 회전 동작이 원활하고 견고한 지지를 이룰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롤러, 캐스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용접장치 고정부(150)는, 상기 몸체(110)의 타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장치(300)를 적어도 2 방향에서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2개 이상의 브래킷(bracket)(151)을 통해 Z축(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2개 이상의 클램프(152)와, 상기 용접장치(000)를 X축(수평) 방향과 Y축(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절하기 위해 2개 이상의 브래킷(151)을 통해 X축(수평) 방향과 Y축(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2개 이상의 위치조절수단(15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152)와 위치조절수단(153)은 일 단면이 평편한 접지면을 형성한 볼트와 같은 죄임 나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용접장치 고정부(150)는, 상기 클램프(152)와 위치조절수단(153) 내에 용접장치(300)의 베이스 패널(320)이 안착 되면 상기 위치조절수단(153)을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 용접장치(300)의 베이스 패널(320)을 X축(수평) 방향 또는 Y축(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접장치(300)의 용접부(310)가 상기 가이드 홀(130)의 중앙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위치조절 한다.
이에 따라, 클래딩 작업시 가이드 홀(130)과 이에 일치되는 부품(200)의 홀(210) 중앙에 용접부의 중심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용접작업의 정확도를 높이고 용접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수단(153)에 의해 용접장치(300)의 위치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클램프(152)를 이용하여 용접장치(300)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용접작업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지그(100)와 용접장치(300)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된 용접작업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그(100)와 용접장치(300)의 흔들림이나 이탈로 인해 발생하는 용접불량을 방지하고 용접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용접장치용 지그(100)를 부품(20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탑재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밑면에 형성된 이동수단(112)은 부품(200)의 상면에 접지되어 구름 동작할 수 있으므로 이동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140)의 롤러(142)는 상기 부품(200)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몸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이동을 돕게 된다.
다음, 상기 몸체(110)를 이동시켜 부품(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210)을 클래딩하기 위한 용접작업이 요구되는 어느 하나의 홀(210)과 상기 가이드 홀(130)이 상호 일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고정 홀(121)과 부품(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210) 중 어느 하나도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일치된다.
다음, 상기 고정수단(120)의 고정 핀(122)을 상기 고정 홀(121)과 부품(20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홀(210)에 인입시켜 상기 몸체(11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에 따라, 용접작업시 외부의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몸체(110)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153) 내에 용접장치(300)를 안착시키고, 위치조절수단(153)인 죄임 나사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죄임 나사의 전,후진 동작에 연동하여 용접장치(300)의 베이스 패널(320)이 X축(수평) 방향 또는 Y축(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용접장치(300)의 용접부(310)가 상기 가이드 홀(130)의 중앙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다음, 상기 클램프(152)를 이용하여 용접장치(300)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용접작업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흔들림과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된 용접작업을 진행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용접장치용 지그는 이와 같은 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용접속도를 현저하게 빠르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 단축을 이루고 용접불량 발생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며 안전사고 및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용접장치용 지그 110 : 몸체
111 : 이동방향표시부 112 : 이동수단
120 : 고정수단 121 : 고정 홀
122 : 고정 핀 130 : 가이드 홀
140 : 지지수단 141 : 고정 축
142 : 베어링 150 : 용접장치 고정부
151 : 브래킷 152 : 클램프
153 : 위치조절수단 200 : 부품
210 : 홀 300 : 용접장치
310 : 용접부 320 : 베이스 패널

Claims (6)

  1.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한 부품을 클래딩하기 위한 용접장치용 지그로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일 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품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마다 용접장치의 용접부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홀과;
    상기 고정수단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부품에 접하여 상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몸체의 타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장치를 고정하는 용접장치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접장치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부품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과 동일한 위치를 이루도록 형성된 고정 홀과, 상기 고정 홀을 통해 상기 부품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 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부품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 축과, 상기 고정 축을 통해 결합 되어 구름 동작 또는 회전 동작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또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 고정부는 상기 용접장치를 적어도 2 방향에서 견고하게 고정하는 2개 이상의 클램프와, 상기 용접장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2개 이상의 위치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이동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기 위한 바퀴 또는 구름 베어링과 같은 이동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지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용접장치의 용접부가 가이드 홀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용접장치를 X축과 Y축으로 위치이동시키는 일 단면이 평편한 접지면을 형성하는 죄임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지그.
KR2020140001723U 2014-03-05 2014-03-05 용접장치용 지그 KR200477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23U KR200477362Y1 (ko) 2014-03-05 2014-03-05 용접장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23U KR200477362Y1 (ko) 2014-03-05 2014-03-05 용접장치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362Y1 true KR200477362Y1 (ko) 2015-06-03

Family

ID=5351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723U KR200477362Y1 (ko) 2014-03-05 2014-03-05 용접장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3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764B1 (ko) * 2016-08-18 2018-12-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관절 연속회전 클래딩 장치 및 클래딩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492U (ja) * 1983-06-06 1984-1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フランジ溶接用治具
JPS60181286U (ja) * 1984-05-08 1985-12-02 日鐵溶接工業株式会社 重ね溶接装置
JPS6220788U (ko) * 1985-07-22 1987-02-07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492U (ja) * 1983-06-06 1984-1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フランジ溶接用治具
JPS60181286U (ja) * 1984-05-08 1985-12-02 日鐵溶接工業株式会社 重ね溶接装置
JPS6220788U (ko) * 1985-07-22 1987-02-0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764B1 (ko) * 2016-08-18 2018-12-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관절 연속회전 클래딩 장치 및 클래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4916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装置
CN110497034B (zh) 一种不锈钢管坡口切割机
RU2602132C2 (ru) Эллиптический манипулятор для подшипника и способ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подшипником
KR101407626B1 (ko) 용접장치
KR200477362Y1 (ko) 용접장치용 지그
CN110666528A (zh) 一种针对矩形钢管的斜面切割机
KR20120027933A (ko) 타워 서포트 캡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KR20170111016A (ko) 중실 장봉의 탭가공장치
KR101529228B1 (ko)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TWI584909B (zh) Fixed fixture
WO2014141788A1 (ja) 横型帯鋸盤及び帯鋸刃装着方法
KR101950032B1 (ko) 툴의 길이 변화에 따른 스핀들의 위치 보정이 가능한 수평형 탭 가공장치
JP6113517B2 (ja) 走行台車
KR101512070B1 (ko) 오버레이 용접장치
KR20120133939A (ko) 포터블 보링 머신
KR20110046642A (ko) 원주용접 모사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사방법
CN113211130B (zh) 一种工件定位装置
JP200828525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手摺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KR20150125369A (ko) 선박용접용 오토캐리지의 백래시 조정장치
KR200479621Y1 (ko) 수평 용접 캐리지용 레일
JP4794150B2 (ja) ワーク取付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溶接方法
JP7194980B2 (ja) 溶接ビード切削装置
TW202302290A (zh) 拆卸裝置
KR101423468B1 (ko) 전동기 하우징과 브라켓 조립용 용접치구
KR101667274B1 (ko)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