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327Y1 - 차량용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327Y1
KR200477327Y1 KR2020130006595U KR20130006595U KR200477327Y1 KR 200477327 Y1 KR200477327 Y1 KR 200477327Y1 KR 2020130006595 U KR2020130006595 U KR 2020130006595U KR 20130006595 U KR20130006595 U KR 20130006595U KR 200477327 Y1 KR200477327 Y1 KR 200477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portion
helical
passage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701U (ko
Inventor
임봉규
Original Assignee
임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봉규 filed Critical 임봉규
Priority to KR2020130006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32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7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3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spirally or helically shaped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having rotary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90/00Movable parts or members in exhaust systems for other than for control purposes
    • F01N2290/02Movable parts or members in exhaust systems for other than for control purposes with continuous rotary movement
    • F01N2290/04Movable parts or members in exhaust systems for other than for control purposes with continuous rotary movement driven by exhaus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향상된 배기 성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배기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통로부 및 통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나선류유도부를 포함하되, 제1 나선류유도부는 통로부의 일부에 위치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향상된 배기 성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배기 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배기 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불완전연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기 장치 {EXHAUST DEVICE FOR A VEHICLE}
본 고안은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상된 배기 성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와 같은 내연기관의 구동을 위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흡기)를 엔진에 공급하는 흡기 계통은 일반적으로 에어 클리너, 스로틀 바디, 써지 탱크 및 실린더에 흡기와 연료를 공급하는 관인 흡기 매니폴드로 구성된다.
자동차는 엔진의 연소 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고음의 연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 감쇠 수단을 가지는 배기 장치를 구비한다.
자동차의 출력을 높이고, 오염 물질을 줄이기 위해서는 흡기 계통에서 충분한 흡기(공기)를 공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대응하여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기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흡입행정, 압축행정, 폭발행정 및 배기행정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4행정에서 연료의 연소과정으로 인한 배기 가스의 배출 과정이 빠르게 이루어져야 전체 과정이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고, 또한 배기 가스의 정체는 엔진 내의 연소실에서 연료의 불완전연소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한편, 유체의 유동은 층류(層流), 난류(亂流), 나선류(螺旋流)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난류 유동은 저항을 크게 하므로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층류 유동은 유체가 좁은 통로를 통과할 때 유체의 점성에 의해 유속이 감소된다. 따라서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배기 가스가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고안의 일측면은 엔진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배기 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불완전연소를 감소시켜 유해가스의 배출을 감소시키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통로부 및 통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나선류유도부를 포함하되, 제1 나선류유도부는 통로부의 일부에 위치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가 제공된다.
제1 나선류유도부는 통로부의 내주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배기 장치는 통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스토퍼는 제1 나선류유도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는 통로부의 일부가 가공되어 공간 내부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선류유도부는 배기 장치의 사용시 공간의 상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 장치는 통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공간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나선류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선류유도부는 통로부의 일부가 가공되어 공간 내부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선류유도부는 90도를 초과하여 절곡될 수도 있고, 90도 이하로 절곡될 수도 있다.
제1 나선류유도부 및 제2 나선류유도부는 내주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2 나선류유도부의 일측에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배기 장치는 통로부를 차량의 배기관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통로부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로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기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로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기관의 외주면에 외삽될 수 있다.
연결부는 통로부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용 부재를 통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연결용 부재는 통로부의 일측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연결용 부재에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3 나선류유도부가 형성되고 통로부의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제3 나선류유도부가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연결용 부재가 통로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향상된 배기 성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배기 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배기 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불완전연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전방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통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전방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는 통로부(100), 제1 나선류유도부(110), 제2 나선류유도부(120), 스토퍼(140) 및 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로부(10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진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의 배기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으며, 통로부(100)는 차량의 엔진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가 통과하여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통로부(100)를 배기 시스템(미도시)에 연결시키기 위해 통로부(100)에는 연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는 연결부(150)의 일례로서 통로부(100)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도시되어 있다. 플랜지에는 볼트(미도시) 등으로 체결하기 위한 연결홀(155)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연결부(15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연결부(150)는 통로부(1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개구부(160)가 형성된 연결용 부재를 상기 통로부(100)에 결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용 부재는 통로부(100)의 일측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 방법이 가능하다. 연결용 부재를 결합하는 한 가지 다른 예가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는 연결부(150)로서의 플랜지가 통로부(100)의 일단에만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는 차량의 배기 시스템의 최말단을 이루는 테일 파이프의 말단에 연결될 수도 있고, 배기 시스템의 중간에 연결되되 통로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배기관 내로 삽입되거나 배기관의 외주면에 외삽될 수 있다. 물론, 플랜지를 통로부(100)의 양단에 형성하여 양측에서 결합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가 배기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나선류유도부(110) 및 제2 나선류유도부(120)는 통로부(1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통로부(100)의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가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제1 나선류유도부(110)는 통로부(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데, 통로부(100)의 일부에 위치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나선류유도부(110)는 통로부(100)의 내주면에 힌지(1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힌지(130)는 통로부(100)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힌지(130)가 통로부(10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힌지(130) 이외의 다른 방법에 의해 제1 나선류유도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제2 나선류유도부(120) 역시 통로부(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통로부(100)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나선류유도부(120)는 통로부(100)의 일부가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통로부(100)를 형성하는 재료에서 제2 나선류유도부(120)에 대응하는 형상을 대응하는 위치에 절단한 후, 절단된 부분을 통로부(100)의 내측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제2 나선류유도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통로부(100)를 형성하는 재료는 제2 나선류유도부(120)가 절단 및 절곡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료일 수 있다. 제2 나선류유도부(120)를 절곡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곡되는 부위를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제2 나선류유도부(120)가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절곡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2 나선류유도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90도 이하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나선류유도부(120)는 날개와 유사한 형상으로 통로부(100) 내에 형성되어 통로부(100)를 통과하는 유체가 나선 유동을 형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1 나선류유도부(110)는 힌지(130)에 의해 결합되므로 제2 나선류유도부(120)처럼 통로부(100)를 형성하는 재료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할 필요는 없으나, 마찬가지로 통로부(100)를 형성하는 재료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제1 나선류유도부(110)에 근접한 위치에는 스토퍼(14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제1 나선류유도부(110)가 취할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한다. 스토퍼(140)는 제2 나선류유도부(120)와 마찬가지로 통로부(100)를 형성하는 재료의 일부가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고, 통로부(100)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선류유도부(110)와 제2 나선류유도부(120)는 통로부(100) 내에서 내주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통과하는 유체의, 즉 배기 가스의 나선류 형성에 일조하기 위함이다. 물론,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나선류유도부(110)와 제2 나선류유도부(120)가 나선류 형성에 유리하도록 다른 방식에 따라 전략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나선류유도부(110)는 통로부(100)의 내주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 특성에 따라 그 위치가, 즉 내주면에 대한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통로부(100)를 통과하는 유체가 강한 나선류로서 유동하는 경우, 제1 나선류유도부(110)는 통로부(100)의 내주면으로부터 크게 돌출할 필요가 없고 통로부(100)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에서는 강한 나선류가 통로부(100)를 통과할 때 나선류의 특성상 그 유동 경로가 제1 나선류유도부(110)에 횡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1 나선류유도부(110)가 통로부(100)의 내주면에 밀착하게 한다. 이로써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큰 저항 없이, 그리고 이동 방향으로의 압력이 저하되지 않은 상태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반면, 통로부(100)를 통과하는 유체가 약한 나선류로서 유동하는 경우, 제1 나선류유도부(110)는 통로부(100)의 내주면으로부터 큰 각도를 이루어 많이 돌출하는 것이 유리할 것인데, 제1 나선류유도부(110)가 큰 곡률을 형성함에 따라 통과하는 유체에서 나선 유동을 형성하려는 경향을 더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에서는 약한 나선류가 통로부(100)를 통과할 때 제1 나선류유도부(110)가 통로부(100)의 내주면과 큰 각도를 이루게 한다. 이로써 약한 나선류의 유동이 보다 강한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약한 나선류가 통과할 때 제1 나선류유도부(110)가 통로부(100)의 내주면과 큰 각도를 이루게 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배기 장치의 사용시 통로부(100) 내측의 공간의 상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1 나선류유도부(110)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는데, 도 1 내지 도 3에 이와 같은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에서는 제1 나선류유도부(110)에 탄성 부재를 결합시켜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이 소정의 값 미만일 때 제1 나선류유도부(110)가 통로부(100)의 내주면과 큰 각도를 이루게 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약한 나선류가 통과하는 경우에도 제1 나선류유도부(110)가 통로부(100)의 내주면과 이루는 각도가 지나치게 큰 경우 제1 나선류유도부(110)는 유동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140)를 제1 나선류유도부(110)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하여 제1 나선류유도부(110)가 소정의 각도 이상이 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통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통로부(100)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도이며, 도 4의 (b)는 (a)의 전개도에 따른 재료를 말아 형성한 통로부(100)의 측면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통로부(10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 제2 나선류유도부(120)에 대응하는 형상을 절삭할 수 있으며, 절곡을 위해 절곡되는 부위도 부분적으로 절삭할 수 있다.
제1 나선류유도부(110) 및 제2 나선류유도부(120)는, 도 3에서와 같이 통로부(10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열되도록, 통로부(100)의 전개도에서 사선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는 차량 등의 배기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촉매 컨버터의 후단에 또는 테일 파이프 부근에 또는 기타 다른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는 배기관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배기 가스가 나선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보다 나은 배기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그 결과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불완전연소를 감소시켜 유해가스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의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의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나선류유도부(120)의 또 다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제2 나선류유도부(120)가 작은 각도로, 90도 미만의 예각으로 절곡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반면, 도 5에는 제2 나선류유도부(120)가 큰 각도로, 90도를 초과하는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2 나선류유도부(120)가 90도를 초과하여 반대편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나선류유도부(120) 각각의 일측에 홈(12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나선류유도부(120)의 홈(127)은 유동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키고 통로부(1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나선류유도부(110) 및 제2 나선류유도부(120)의 형상, 배치, 및 절곡 정도를 변경시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나선류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유동 특성을 얻고 나선류를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연결부(150)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용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의 통로부(100)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도이며, 도 7의 (c)는 (b)의 전개도에 따른 재료를 말아 형성한 통로부(100)의 측면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장치의 연결부(150)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용 부재에는 통로부(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개구부(160)가 그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160)의 직경은 통로부(100) 내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연결용 부재는 용접 등에 의해 통로부(100)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용접 공정 없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용 부재에는 개구부(160)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3 나선류유도부(123)를 형성하고, 연결용 부재가 결합될 통로부(100)의 일측에는 고정홈(15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53)은 통로부(100)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연장된 후 통로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나선류유도부(123)가 개구부(160)에 접하는 부위는 그 두께가 고정홈(153)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하여, 제3 나선류유도부(123)가 고정홈(153)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3 나선류유도부(123)가 고정홈(153)을 통과한 후 외주면으로 연장된 고정홈(153) 내에서 제3 나선류유도부(123)가 이동하도록 연결용 부재를 통로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부(150)가 통로부(100)에 결합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연결용 부재를 통로부(100)에 결합한 후 제3 나선류유도부(123)를 소정 방향으로 절곡하면, 제3 나선류유도부(123)가 제2 나선류유도부(1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연결부(150)가 통로부(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50)를 형성함에 있어 용접 또는 접합 등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향상된 배기 성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배기 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배기 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불완전연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통로부 105: 내주면
110: 제1 나선류유도부 120: 제2 나선류유도부
123: 제3 나선류유도부 130: 힌지
140: 스토퍼 150: 연결부

Claims (18)

  1.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통로부; 및
    상기 통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나선류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나선류유도부는 상기 통로부의 일부에 위치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통로부의 내주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주면에 대한 상기 제1 나선류유도부의 각도는 상기 통로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 특성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류유도부는 상기 통로부의 내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나선류유도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통로부의 일부가 가공되어 상기 공간 내부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류유도부는 상기 배기 장치의 사용시 상기 공간의 상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 내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나선류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선류유도부는 상기 통로부의 일부가 가공되어 상기 공간 내부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선류유도부는 90도를 초과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선류유도부는 90도 이하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류유도부 및 상기 제2 나선류유도부는 상기 내주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선류유도부의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를 차량의 배기관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통로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기관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외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통로부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된 개구부가 형성된 연결용 부재를 상기 통로부에 결합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부재는 상기 통로부의 일측에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부재에는 상기 개구부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3 나선류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부는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용 부재는 상기 제3 나선류유도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통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장치.
KR2020130006595U 2013-08-08 2013-08-08 차량용 배기 장치 KR200477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595U KR200477327Y1 (ko) 2013-08-08 2013-08-08 차량용 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595U KR200477327Y1 (ko) 2013-08-08 2013-08-08 차량용 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01U KR20150000701U (ko) 2015-02-23
KR200477327Y1 true KR200477327Y1 (ko) 2015-06-10

Family

ID=5304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595U KR200477327Y1 (ko) 2013-08-08 2013-08-08 차량용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3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403B1 (ko) * 2018-12-24 2020-08-20 일광정밀 주식회사 배기관용 와류발생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71U (ko) * 1998-07-09 1998-10-26 김완태 내연기관의 흡기와류발생장치
KR200147373Y1 (ko) * 1995-12-30 1999-06-15 정몽규 엔진의 배기다기관
KR100948783B1 (ko) * 2007-10-19 2010-03-24 임봉규 차량의 성능 개선 장치
KR200467773Y1 (ko) * 2011-08-24 2013-07-04 김영태 배기가스 배출 향상을 위한 소음기의 배기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373Y1 (ko) * 1995-12-30 1999-06-15 정몽규 엔진의 배기다기관
KR19980059371U (ko) * 1998-07-09 1998-10-26 김완태 내연기관의 흡기와류발생장치
KR100948783B1 (ko) * 2007-10-19 2010-03-24 임봉규 차량의 성능 개선 장치
KR200467773Y1 (ko) * 2011-08-24 2013-07-04 김영태 배기가스 배출 향상을 위한 소음기의 배기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01U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579B2 (en) Flexible vibration absorbing tube
JP6407369B2 (ja) カスタムメイドマフラ
US9429052B2 (en) Muffler
US7637978B2 (en) Intake duct system for an engine
US8459016B2 (en) Exhaust manifol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550210B2 (en) Resonant-type muffler
CN108472569A (zh) 包括与过滤器内部空间连通的两个偏移出口的过滤器元件以及相应的壳体
US20190101084A1 (en) Air pipe for an intake trac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415846B1 (ko) 차량용 공명기
KR200477327Y1 (ko) 차량용 배기 장치
US20170051646A1 (en) Silencer
US20140305109A1 (en) Exhaust pipe arrangement for discharging exhaust from a combustion engine
CN105697116A (zh) 排气管
JP6656973B2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7348399B2 (ja) フィルタサイレンサ及び空調装置
US11391195B2 (en) Exhaust system and muffler
RU150646U1 (ru) Система выпуска в двигателе (варианты)
RU150274U1 (ru) Система выпуска в двигателе (варианты)
CN210289946U (zh) 发动机进气道和发动机气缸盖
CN109681292B (zh) 消音器
CN208918659U (zh) 排气消音器总成
KR200480866Y1 (ko) 차량용 역류 방지 장치
JP5853356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US20010018827A1 (en) Engine exhaust system and adapter therefor
JP4293374B2 (ja) 燃料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