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48Y1 -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48Y1
KR200477248Y1 KR2020110006725U KR20110006725U KR200477248Y1 KR 200477248 Y1 KR200477248 Y1 KR 200477248Y1 KR 2020110006725 U KR2020110006725 U KR 2020110006725U KR 20110006725 U KR20110006725 U KR 20110006725U KR 200477248 Y1 KR200477248 Y1 KR 200477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ircuit breaker
insulating
insula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761U (ko
Inventor
구본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6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24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64Protective cover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6Mounting on plug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착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의 상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기 간의 취부에 설치되는 절연패널;와 상기 절연패널과 일체로 형성되어 배선용 차단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커버는 배선용 차단기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패널은, 밀착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홈에 끼워져 절연패널을 고정시키는 취부홈 끼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홈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 배리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절연 배리어는, 밀착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의 상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기 간의 취부에 설치되는 절연패널;와 상기 절연패널과 일체로 형성되어 배선용 차단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커버는 배선용 차단기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 { An Insulation Barrier of the MCCB and the Fixing Structure for the Insulation Barrier thereof }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하고, 사고시 전원을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사고 발생시 극간 및 제품 간 단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인접한 배선 차단기의 상부 외측에 설치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선용 차단기는 전기 설비에 있어서 저압 옥내 전로의 과전류 보호를 위한 기기로서, 수지물 케이스로 감싸 있으며, 부하 전류 및 고장 전류의 개폐 기능을 갖고, 차단 동작 후 재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배선용 차단기(1)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차단기 간 취부시 상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선용 차단기(1)와 배선용 차단기(1) 사이 취부 상하로 부착 조립되는 절연 배리어(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절연 배리어(20)는 배선용 차단기 취부시 상간 절연 배리어(2)를 밀착된 배선용 차단기(1)의 사이에 상하로 부착 조립되는데,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절연 배리어(20)의 상부 일측에 차단기(1) 사이의 취부에 고착되는 고정부(23)에 의해 부착되어 단락사고시 상간 단락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절연 배리어(20)가 밀착된 배선용 차단기(1) 사이에 충분한 힘이 없이 단순히 고정부(23)에 의해 부착 조립되므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시 절연 배리어(20)가 빠지거나 유격으로 인하여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상간 단락 발생시 완전히 사고를 막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절연 배리어(23)는 고정부(23)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므로 조립 공정에서도 까다롭고, 부착이 된 상태에서도 견고한 결합력이 부족하여 떨어지기 쉬우며, 일단 부착이 떨어진 상태에서 다시 조립하는 것도 어렵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단기의 설치시 상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배리어를 부착 조립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이나 진동 발생 시에 일어날 수 있는 절연 배리어의 이탈을 사전에 방지하여 외부 충격 발생시에도 단락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편의성까지 구현하여 차단기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고안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절연 배리어는, 밀착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의 상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기 간의 취부에 설치되는 절연패널;와 상기 절연패널과 일체로 형성되어 배선용 차단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커버는 배선용 차단기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패널은, 밀착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홈에 끼워져 절연패널을 고정시키는 취부홈 끼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홈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차단기의 설치시 상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배리어를 부착 조립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이나 진동 발생 시에 일어날 수 있는 절연 배리어의 이탈을 사전에 방지하고 외부충격 발생 시에도 단락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극에 삽입되는 절연배리어를 일체로 형성하여, 한 번의 조립 공정으로 상간 단락사고 예방을 위한 절연배리어를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편의성을 도모하여 차단기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 배리어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 배리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배리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배리어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의 절연 배리어(200)는, 밀착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1)의 상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기(1) 간의 취부에 설치되는 절연패널(210);와 상기 절연패널과 일체로 형성되어 배선용 차단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커버(2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커버는 배선용 차단기에 고정시키는 고정구(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절연 배리어(200)는 전체적으로 "ㄱ"자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로 방향의 긴 패널은 절연패널(210)로 형성되고, 가로 방향의 패널은 고정커버(230)로 형성되어 일체화된 절연 배리어(20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절연패널(210)은, 종래기술에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차단기(1)가 인접 설치된 경우 차단기 간에 취부하는 부위에서 외부 설치되는데, 절연체로 형성되고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형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단기(1) 간의 취부에서 상간 단락이 발생되는 경우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배리어(Barrier)로써 단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연패널(2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차단기(1) 취부에 내입되어 결속되는 취부홈 끼움리브(2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밀착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1)의 취부홈에 끼워져 절연패널(210)을 고정시키거나 좌우 움직임을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취부홈 끼움리브(211)가 자체적으로 절연패널(210)을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밀착 설치된 차단기(1) 간의 취부에 내입되어 절연 배리어(200)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고정커버(23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차단기(1)의 우측 끝단 상측을 덮는 형상으로 결합되며, 일체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절연패널(210)이 밀착 설치된 차단기(1)의 취부홈에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커버(230)는 하향으로 돌출된 고정구(23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23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커버(230)에서 하향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차단기(1)의 우측에서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차단기(1)는 상기 고정구(233)가 내입 결합될 수 있는 절연배리어 고정홈(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선 차단기(1)의 상부에는 절연 배리어(200)의 고정커버(230)가 고정되는 절연배리어 고정홈(1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연배리어 고정홈(13)은 도 5에서는 각각 2개의 홀로 형성되나, 이는 하나의 일례일 뿐,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커버(230)에 형성된 고정구(233)가 내입 결속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6 및 도 7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을 살펴보면, 상기 고정구(233)는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홈(13)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고정돌기(233a) 또는 고정후크(233b);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233)를 고정돌기(233a)로 형성하는 경우 절연배리어 고정홈(13)에 즉각적인 고정결합을 함과 동시에 분리할 때에도 매우 편리하게 이탈시킴으로써 가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후크(233b)로 형성하는 경우 일단 고정결합을 한 경우에는 이탈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고,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배리어 고정구조를 살펴보면, 전원을 공급하고 사고시 전원을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1)가 절연배리어 고정홈(13);을 포함하고, 배선용 차단기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커버(230)와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홈 상하에서 상간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패널(210)로 이루어진 절연 배리어(200);를 포함하여 고정커버에서 하향으로 일체로 돌출된 고정구(233)가 상기 절연배리어 고정홈에 탈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앞선 절연 배리어(200)의 실시예에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절연패널(210)는,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홈에 끼워져 절연패널을 고정시키는 취부홈 끼움리브(2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233)는, 배선용 차단기(1)의 절연배리어 고정홈(13)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고정돌기(233a) 또는 고정후크(233b);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의 절연구조는 차단기의 설치시 상단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배리어(200)를 부착 조립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이나 진동 발생 시에 일어날 수 있는 절연 배리어(200)의 이탈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충격 발생시에도 단락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조립 되어질 수 있는데, 배선용 차단기(1)의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절연배리어 고정홈(13)에 절연배리어(200)의 고정커버(23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배리어 고정홈(13)에 설치되는 고정커버(230)는 고정구(233)에 의해 실현되는데, 상기 고정구(233)는 고정후크(233b) 또는 고정돌기(233a)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 : 배선 차단기 13 : 절연배리어 고정홈
20 : 종래 절연배리어 21 : 절연 패널
23 : 고정부
200 : 본 고안의 절연배리어 210 : 절연 패널
211 : 취부홈 끼움리브 230 : 고정커버
233 : 고정구 233a : 고정돌기
233b : 고정후크

Claims (3)

  1. 밀착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의 상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기 간의 취부에 설치되는 절연패널;와 상기 절연패널과 일체로 형성되어 배선용 차단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커버는 배선용 차단기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패널은,
    밀착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홈에 끼워져 절연패널을 고정시키는 취부홈 끼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홈에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 배리어.
  2. 삭제
  3. 삭제
KR2020110006725U 2011-07-22 2011-07-22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 KR200477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25U KR200477248Y1 (ko) 2011-07-22 2011-07-22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25U KR200477248Y1 (ko) 2011-07-22 2011-07-22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61U KR20130000761U (ko) 2013-01-30
KR200477248Y1 true KR200477248Y1 (ko) 2015-05-29

Family

ID=5242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725U KR200477248Y1 (ko) 2011-07-22 2011-07-22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24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972A (ja) * 2000-11-27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開閉器の端子カバー装置
KR200406794Y1 (ko) * 2005-10-24 2006-0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JP4104996B2 (ja) * 2003-01-22 200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
JP2009055732A (ja) * 2007-08-28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回路遮断器、引出形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及び端子装置の相間絶縁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972A (ja) * 2000-11-27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開閉器の端子カバー装置
JP4104996B2 (ja) * 2003-01-22 200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
KR200406794Y1 (ko) * 2005-10-24 2006-0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JP2009055732A (ja) * 2007-08-28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回路遮断器、引出形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及び端子装置の相間絶縁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61U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1654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101436474B (zh) 电气开关设备、电弧罩组件及其烟囱
CA2881855C (en) Circuit breaker
KR20140036111A (ko) 직류 개폐기의 소호 기구, 및 상기 소호 기구를 가지는 직류 개폐기 및 직류 차단기
CA2973821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terminal guard assembly
KR20047724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및 이를 이용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배리어 고정구조
KR200402632Y1 (ko) 변류기 케이스
KR101148282B1 (ko)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단자커버 장치
KR100679305B1 (ko) 방재형 분전반
KR100594903B1 (ko) 분전반
CN108987194A (zh) 电路断路器以及电路断路器的安全装置单元
KR200406794Y1 (ko) 전동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KR10027792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20090028291A (ko) 배선용 차단기
CN220963199U (zh) 一种带熔断器直流开关座
KR20050110064A (ko) 진공차단기의 에폭시 몰드 일체형 진공 인터럽터
CN210120096U (zh) 防喷弧结构、脱扣器以及断路器
KR200477045Y1 (ko) 배전반의 부스바 고정구
CN220895430U (zh) 一种重合闸断路器
CN220121767U (zh) 一种可提高分断能力的隔离电弧结构
KR100887250B1 (ko) 흡음장치를 갖는 컷 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CN206849753U (zh) 一种隔离开关用静触头组
KR20210067621A (ko) 소형 차단기
CN206992025U (zh) 一种断路器的基座
KR200487464Y1 (ko) 배선용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