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17Y1 -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17Y1
KR200477117Y1 KR2020100010022U KR20100010022U KR200477117Y1 KR 200477117 Y1 KR200477117 Y1 KR 200477117Y1 KR 2020100010022 U KR2020100010022 U KR 2020100010022U KR 20100010022 U KR20100010022 U KR 20100010022U KR 200477117 Y1 KR200477117 Y1 KR 200477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eriscope
closing
penetrating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049U (ko
Inventor
정재원
허태목
김태진
임현정
정무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11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8Arrangement of visual or electronic watch equipment, e.g. of periscopes, of rada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 G02B23/08Perisco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잠수함 내부에서 잠망경의 승강을 위해 데크에 형성되는 관통부에 개폐 조절부를 설치하고, 이 개폐 조절부의 작동 조절을 잠망경의 승강과 연동 짓게 함으로써 관통부를 통한 승조원의 실족 사고를 방지함과 더불어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로 낙하물에 의한 손상과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잠수함 내부의 데크(12)에 형성되어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18)와 로드(20)를 승강 가능하게 하는 관통부(12a)와, 상기 관통부(12a)를 개폐시키는 개폐 조절부(22), 상기 잠망경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24) 및, 상기 위치 검출부(24)에 의한 잠망경의 위치 검출을 통해 상기 개폐 조절부(22)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2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Automatic open and shut apparatus for up and down portion of periscope}
본 고안은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수함 내 데크에 있어 잠망경의 승강을 위한 관통부에 개폐 조절부를 마련하여 승조원의 실족에 의한 사고 방지 및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로 낙하물에 의한 손상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은 수중을 잠항(潛航)할 수 있는 선체로서, 내압 선체 또는 압력 선체(pressure hull)라고 불리는 수압에 견딜 수 있는 내압 구조물로 제작된다. 특히, 잠수함의 선체는 함수와 함미, 세일과 거주구역(habitability), 전정실(전투 정보실), 보기실, 무장 저장실(AMR) 등이 각각 수밀격벽에 의해 다수로 구획된다.
또한 잠수함은 잠항 중 해면상으로 노출시켜 외계를 가시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선체 관통형 광학식 잠망경을 구비하는 바, 이러한 잠망경은 항해와 정찰 등 다양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종래 잠수함에 있어 잠망경의 설치를 위한 내부 공간은 데크에 의해 승조원이 위치하는 전정실과, 이 전정실의 하부에서 각종 보조 기기류의 설치구역에 해당하는 보기실로 구획된다. 이에 따라 광학식 잠망경은 압력 선체와 데크를 관통하여 전정실과 보기실 사이의 공간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동작된다.
이때, 상기 데크는 광학식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ocular box)에 대한 승강을 허용하기 위해 오큘러 박스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관통부를 형성하게 되는 데, 이러한 관통부는 잠망경의 사용에 따른 승강 시 전 부위가 완전 개방된 상태이므로 승조원의 실족에 의한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관통부는 잠망경의 미사용에 따른 하강 시 잠망경의 로드를 제외한 전 부위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이므로 이물질의 낙하에 의한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에 대한 손상 및 오염에 대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잠수함 내부에서 잠망경의 승강을 위해 데크에 형성되는 관통부에 개폐 조절부를 설치하고, 이 개폐 조절부의 작동 조절을 잠망경의 승강과 연동 짓게 함으로써 관통부를 통한 승조원의 실족 사고를 방지함과 더불어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로 낙하물에 의한 손상과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잠수함 내부의 데크를 관통하여 전정실과 보기실 사이를 승강하는 선체 관통형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로서, 상기 데크에 형성되어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와 로드를 승강 가능하게 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개폐시키는 개폐 조절부, 잠망경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위치 검출부에 의한 잠망경의 위치 검출을 통해 상기 개폐 조절부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를 제시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개폐 조절부는 상기 관통부 주위에 힌지지점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부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개폐날개와, 상기 데크에 대해 상기 개폐날개의 선회 동작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날개는 상기 로드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로드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오목한 형태의 요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개폐날개와 링크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스트로크 조절형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검출부를 통해 잠망경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관통부에 대해 상기 개폐 조절부를 완전 닫힘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를 조절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를 통해 잠망경의 하한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관통부에 대해 상기 개폐 조절부를 부분 닫힘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데크에 대해 상기 개폐날개를 일정한 각도로 선회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데크에서 상기 개폐날개의 선회 궤적을 따라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관통부는 둘레에 전정실을 향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코밍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는 잠망경에 대한 승강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해 잠수함 내부에 상하 위치로 각각 설치되는 상한 센서와 하한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에 의하면, 잠수함 내부에서 데크에 형성되는 관통부에 잠망경의 승강에 따라 개폐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개폐 조절부를 설치함으로써, 잠망경의 사용에 따른 로드의 상승시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의 관통부를 통해 승조원이 하부에 위치한 보기실로 실족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잠망경의 불사용에 따른 로드의 하강시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의 관통부를 통해 보기실로 이물질의 낙하에 따른 오큘러 박스의 손상 및 오염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 개폐 조절부는 잠망경의 로드의 승강 위치에 따라 스트로크를 가변화시킬 수 있어 이를 통해 관통부의 개방 정도를 잠망경 로드의 존재 여부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승조원의 실족사고 및 이물질의 낙하 사고를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잠수함에 있어 잠망경의 미사용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잠망경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개폐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 4의 저면에서 각각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수함의 압력 선체(10)는 내부에 배치되는 데크(12)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전정실(14)과 하부에 위치한 보기실(16)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데크(12)는 잠망경의 승강 동작을 위해 관통부(12a)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부(12a)의 전 둘레에는 상기 전정실(14)의 내부 공간을 향해 상부로 돌출되어 승조원의 실족 방지 또는 이물질의 추락 방지를 보다 더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돌출턱 형태의 코밍부(12b)를 일체로 구비한다.
즉, 상기 데크(12)에 형성된 관통부(12a)를 통해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18)에 대한 승강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상기 오큘러 박스(18)를 장착한 잠망경의 로드(20)는 상부에 위치한 상기 압력 선체(10)를 관통하여 외부로 출몰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는 상기 데크(12)의 관통부(12a)에 설치되어 이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 조절부(22)와, 잠망경의 승강 동작시 이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24) 및, 상기 위치 검출부(24)에 의한 잠망경의 위치 검출을 통해 상기 개폐 조절부(22)의 개폐 동작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제어부(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 조절부(22)는 상기 관통부(12a) 주위에서 힌지지점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부(12a)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개폐날개(22a)와, 상기 데크(12)에 대해 상기 개폐날개(22a)의 선회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개폐날개(22a)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22b)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 조절부(22)는 상기 관통부(12a)를 통한 상기 전정실(14) 내에 위치한 승조원의 실족 방지 및 상기 관통부(12a)를 통한 상기 전정실(14)의 하부에 위치한 보기실(16)로 이물질의 낙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날개(22a)는 상기 관통부(12a)의 주위에서 금속날개 모양으로 상호 겹쳐지도록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12a)를 폐쇄시킬 수 있게 하는 선회 가능한 블레이드 구조물(카메라의 조리개와 유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츄에이터(22b)는 상기 개폐날개(22a)에 대한 선회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개폐날개(22a)의 일단부와 링크부재 등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는 유압 실린더, 리드 스크류, 리니어 모터 등 다양한 형태의 구동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액츄에이터(22b)는 자체적으로 스트로크를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스트로크 조절형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위치 검출부(24)는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18)에 대한 상승 및 하강의 승강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26)로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전정실(14) 내부에서 상하 위치로 각각 설치되는 상한 센서(24a)와 하한 센서(24b)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위치 검출부(24)의 상한 센서(24a)를 통해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18)에 대한 상한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관통부(12a)에 대해 상기 개폐 조절부(22)를 완전 닫힘의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관통부(12a)를 통해 승조원의 실족이나 하부에 위치한 보기실(16) 내부로 이물질의 낙하 등을 완전하게 제한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2b)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위치 검출부(24)의 하한 센서(24b)를 통해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18)에 대한 하한 위치 또는 거동을 검출하면 상기 관통부(12a)에 대해 상기 개폐 조절부(22)를 부분 닫힘의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로드(20)를 보호하는 위치까지만 닫아 상기 관통부(12a)를 통해 승조원의 실족이나 하부 공간으로 이물질의 낙하 등을 최대한도로 제한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2b)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날개(22a)는 상기 관통부(12a) 내부에서 상기 로드(20)를 제외한 전 둘레부위에 대한 개구 공간을 완벽하게 차폐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날개(22a)는 잠망경의 로드(20)와 대응하는 일단측 부위에 상기 로드(20)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오목한 형태의 요홈부(22c)를 갖추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는 상기 데크(12)의 저면에 대해 상기 개폐날개(22a)를 일정한 각도로 선회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28)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가이드 레일(28)은 상기 데크(12)의 저면에서 상기 개폐날개(22a)의 선회 궤적을 따라 만곡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날개(22a)의 일단부는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28) 상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28)과 돌기(도시안됨)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날개(22a)는 상기 액츄에이터(22b)의 작동으로 상기 관통부(12a)의 주위에서 힌지(H) 지점을 중심축으로 선회할 때 타단부가 돌기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28)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레일(28)의 궤적을 추종하여 선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는 잠수함 내에서 상기 관통부(12a)에 둘레에 잠망경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인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개폐 조절부(22)를 구비함으로써, 잠망경의 사용에 따른 로드(20)의 상승시 관통부(12a)를 완전하게 개방시키고, 잠망경의 미사용에 따른 로드(20)의 하강시 관통부(12a)의 개구부위중 로드(20)가 점유하는 부위를 제외한 전 개구면적을 완전하게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관통부(12a)의 전 둘레에 걸쳐 코밍부(12b)를 설치함에 따라 전정실(14) 내에서 승조원이 관통부(12a)를 통해 보기실(16)로 실족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관통부(12a)를 통해 보기실(16) 내부로 이물질의 낙하에 따른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18)에 대한 손상 및 오염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일련의 과정에 있어 상기 개폐 조절부(22)는 위치 검출부(24)를 매개로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18)에 대한 위치 검출을 통해 액츄에이터(22b)의 스트로크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관통부(12a)에 대한 차폐 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압력 선체 12-데크
12a-관통부 12b-코밍부
14-전정실 16-보기실
18-오큘러 박스 20-로드
22-개폐 조절부 22a-개폐날개
22b-액츄에이터 22c-요홈부
24-위치 검출부 24a-상한 센서
24b-하한 센서 26-제어부
28-가이드 레일

Claims (7)

  1. 잠수함 내부의 데크(12)를 관통하여 승강하는 선체 관통형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로서,
    상기 데크(12)에 형성되어 잠망경의 오큘러 박스(18)와 로드(20)를 승강 가능하게 하는 관통부(12a);
    상기 관통부(12a)를 개폐시키는 개폐 조절부(22);
    상기 잠망경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24); 및
    상기 위치 검출부(24)에 의한 잠망경의 위치 검출을 통해 상기 개폐 조절부(22)의 개폐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26)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조절부(22)는 상기 관통부(12a) 주위에 힌지지점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개폐날개(22a)와, 상기 데크(12)에 대해 상기 개폐날개(22a)의 선회 동작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2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날개(22a)는 상기 로드(20)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로드(20)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오목한 형태의 요홈부(22c)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22b)는 스트로크 조절형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위치 검출부(24)를 통해 잠망경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관통부(12a)에 대해 상기 개폐 조절부(22)를 완전 닫힘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2b)의 스트로크를 조절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24)를 통해 잠망경의 하한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관통부(12a)에 대해 상기 개폐 조절부(22)를 부분 닫힘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2b)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12)에 대해 상기 개폐날개(22a)를 일정한 각도로 선회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날개(22a)의 일단부는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28) 상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과 돌기로 결합되며, 상기 개폐날개(22a)는 상기 액츄에이터(22b)의 작동으로 상기 관통부(12a)의 주위에서 일단부의 힌지(H) 지점을 중심축으로 선회할 때 타단부가 돌기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28)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레일(28)의 궤적을 추종하여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12a)는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는 코밍부(12b)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24)는 잠망경에 대한 승강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26)에 출력하기 위해 잠수함 내부에 설치되는 상한 센서(24a)와 하한 센서(2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KR2020100010022U 2010-09-29 2010-09-29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KR200477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22U KR200477117Y1 (ko) 2010-09-29 2010-09-29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22U KR200477117Y1 (ko) 2010-09-29 2010-09-29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49U KR20140000049U (ko) 2014-01-07
KR200477117Y1 true KR200477117Y1 (ko) 2015-05-15

Family

ID=5244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22U KR200477117Y1 (ko) 2010-09-29 2010-09-29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1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0468A (en) * 1980-03-24 1981-11-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osition interlock system for submarine masts and closure
US4459935A (en) * 1982-01-29 1984-07-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hanton computer gating system
JPH09292827A (ja) * 1996-04-24 1997-11-11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式映像目視装置
US20070283872A1 (en) * 2006-04-21 2007-12-13 Daniele Maria Bertin Electrically Actuated Apparatus For Moving Supports Carrying Sensors And The Like In Submari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0468A (en) * 1980-03-24 1981-11-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osition interlock system for submarine masts and closure
US4459935A (en) * 1982-01-29 1984-07-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hanton computer gating system
JPH09292827A (ja) * 1996-04-24 1997-11-11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式映像目視装置
US20070283872A1 (en) * 2006-04-21 2007-12-13 Daniele Maria Bertin Electrically Actuated Apparatus For Moving Supports Carrying Sensors And The Like In Submar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49U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9237B (zh) 具有可潛的船尾艙門的船艇
JP2020533230A5 (ko)
KR200477117Y1 (ko) 잠망경의 승강부 자동 개폐장치
EP3313722B1 (en) Boat having a movable stern hatch with a submersible stern platform
KR101368893B1 (ko) 선박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US20160311501A1 (en) One dual purpose boat
KR101964834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313189B1 (ko) 선박용 브리지 윙
KR200481469Y1 (ko) 구명정 진수 장치
KR200479435Y1 (ko) 잠수함의 상부 케이싱 내부의 충/배수 조절장치
KR101447873B1 (ko) 시추 설비 폭발 방지장치
KR102079579B1 (ko) 선박용 레이더 포스트의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00008B1 (ko)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KR101903077B1 (ko) 선박 및 아지무스 쓰러스터 설치 장치
KR101549229B1 (ko) 높이 자동감소 기능을 갖는 반목장치
KR101792481B1 (ko) 선체 외벽 유지보수장비
KR20140098622A (ko) 잠수정의 흡배기 차단장치
CN209266996U (zh) 一种户外环网箱
KR101711427B1 (ko) 비상탈출장치
KR20200001868A (ko) 잠수함의 세일 유동소음 감소를 위한 가이드라인 장치
KR20150001651U (ko) 스러스터 설치 구조를 갖는 선박
KR20090012060A (ko) 잠수함
KR100551448B1 (ko) 소형선박의 롤링 및 피칭제어장치
RU2675955C2 (ru) Судоподъемный понтон
KR102438697B1 (ko) 잭킹하우스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