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005Y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005Y1
KR200477005Y1 KR2020140007494U KR20140007494U KR200477005Y1 KR 200477005 Y1 KR200477005 Y1 KR 200477005Y1 KR 2020140007494 U KR2020140007494 U KR 2020140007494U KR 20140007494 U KR20140007494 U KR 20140007494U KR 200477005 Y1 KR200477005 Y1 KR 200477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horizontal axis
fastening hole
horizontal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렬
김영두
Original Assignee
김영렬
김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렬, 김영두 filed Critical 김영렬
Priority to KR2020140007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0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6Buckle with fixed prong with cover plat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은, 일측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타측단에 제1수평축이 돌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일측의 걸림단이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회전 위치되는 조작부와, 일측단이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단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며, 타측단에 제2수평축이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와, 일측단이 제1수평축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단에 벨트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벨트 걸이부 및, 일측단이 상기 제2수평축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단에 상기 벨트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벨트 걸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고안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의 양단이 연결되는 벨트 연결부들을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벨트의 양면을 반전시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용 버클은 허리띠 등의 길이 방향측 양단을 잠그거나 풀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허리 벨트용, 가방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벨트용 버클은, 다양한 벨트 연결 구조가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을 갖는 버클과 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허리 벨트용 버클은 다수의 관통구멍이 배열된 벨트를 버클의 연결부위에 일정 길이로 끼운 후, 버클을 회전시켜 벨트의 관통구멍에 고정시키는 타입과, 벨트의 일단과 버클의 일단에 대응되게 구비된 연결부위를 상호 대응되게 연결시키는 타입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벨트용 버클은 벨트의 양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고정적인 것들이 대부분이므로, 벨트의 양면에 그림이나 상표 등이 표시된 경우, 버클과 벨트를 분리시킨 후 방향을 전환시킨 벨트를 버클에 재결합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벨트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웠다.
따라서, 벨트의 양면에 그림이나 상표 등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벨트를 손쉽게 회전시켜 양면에 표시된 그림이나 상표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특2001-0053014호(2001년 06월 2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버클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벨트의 양단이 연결되는 벨트 연결부들을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벨트의 양면을 반전시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은, 일측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타측단에 제1수평축이 돌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일측의 걸림단이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회전 위치되는 조작부와, 일측단이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단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며, 타측단에 제2수평축이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와, 일측단이 제1수평축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단에 벨트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벨트 걸이부 및, 일측단이 상기 제2수평축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단에 상기 벨트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벨트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오목한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하단에 각각 돌출된 수직축이 상기 설치홈의 상하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 방향측 배면에 상기 걸림단이 형성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지지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를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회전 위치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넓어지면서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는 상기 제1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에 제1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벨트 걸이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제1수평축이 결합되도록 제1체결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들이 대응 삽입되도록 상기 제1체결홀을 기준으로 상하에 제1걸림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는 상기 제1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평하게 누름 동작 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제1절개단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단들의 일단에는 상기 제1벨트 걸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걸림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타측단에는 상기 제2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에 제2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 걸이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제2수평축이 결합되도록 제2체결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들이 대응 삽입되도록 상기 제2체결홀을 기준으로 상하에 제2걸림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타측단에는 상기 제2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평하게 누름 동작 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제2절개단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절개단들의 일단에는 상기 제2벨트 걸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걸림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돌기들과 상기 제2걸림돌기들은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원추 또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벨트의 양단이 연결되는 벨트 연결부들을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벨트의 양면을 반전시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암수 결합 구조를 이용해 벨트 연결부들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벨트가 쉽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에서 제1벨트 걸이부를 전후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에서 제2벨트 걸이브를 전후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에서 제1벨트 걸이부를 전후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에서 제2벨트 걸이브를 전후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은 본체(100)와, 조작부(200)와, 결합부(300)와, 제1벨트 걸이부(400) 및, 제2벨트 걸이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일측단에 삽입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10) 방향과 반대되는 타측단에 제1수평축(12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10)은, 후술 될 결합부(300)의 일측단이 대응 삽입되는 홈으로서, 상기 결합부(300)의 일측단에 수평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수평축(120)은, 원 형상의 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평축(120)은 후술 될 제1벨트 걸이부(400)가 전후로 회전 가능하도록 후술 될 제1체결홀(410)에 수평하게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축(120)의 돌출된 끝단은 후술 될 제1체결홀(4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더 큰 직경을 갖는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수평축(120)은 도 1에서처럼 중심이 양분되어 상호 간격을 가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수평축(120)의 형상은, 후술 될 제1체결홀(410)로 결합시키는 경우, 양분된 간격이 좁혀지면서 상기 제1체결홀(410)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수평축(120)이 상기 제1체결홀(410)을 통해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수평축(120)의 절개된 간격 부위는 복원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도 1에서처럼 삽입홈(110)과 연통되도록 오목한 설치홈(130)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30)은, 후술 될 조작부(200)의 누름부재(210)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아울러, 본체(100)의 타측단에는 제1수평축(12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걸림돌기(140)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돌기(140)는, 후술 될 제1벨트 걸이부(400)에 형성된 제1걸림홈(430)에 대응되게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돌기(140)들은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원추 또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삽입홈(110)과 반대되는 본체(100)의 타측단에는 제1수평축(12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절개단(150)이 각각 절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단(150)은, 본체의 타측단과 일체로 형성된 일단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절개단(150)의 절개된 일단은 누름 동작 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된 일단에 제1걸림돌기(140)가 수평으로 출몰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절개단(150)과 제1걸림돌기(140)는, 제1수평축(12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걸림돌기(140)는, 도 3에서처럼 후술 될 제1벨트 걸이부(400)를 전후로 위치를 반전시키는 경우, 제1벨트 걸이부(400)가 미는 힘에 의해 걸림 없이 후퇴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1걸림돌기(140)는 제1벨트 걸이부(400)가 미는 힘에 의해 후퇴한 후, 제1벨트 걸이부(400)가 수직하게 위치되는 경우, 제1절개단(150)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제1걸림돌기(140)가 후술 될 제1걸림홈(430) 내에 걸림 위치된다.
조작부(200)는,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조작부(200)는, 일 방향의 누름 동작을 해지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일측단이 삽입홈(110) 방향으로 회전 위치된다.
이를 위한 상기 조작부(200)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부재(210) 및,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2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210)의 상하단에는, 설치홈(130)의 상하단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축(211)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210)의 일측 배면부에는 후술 될 결합부(300)의 단턱(340)이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걸림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누름부재(210)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삽입홈(110)과 반대되는 일단을 누르는 경우, 수직축(211)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210)의 전면에는 미려함을 강조하기 위한 그림, 글자 등이나 상표 등이 표현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누름부재(21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본체(100)의 전면에 지지되며,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재(210)를 삽입홈(110) 방향으로 회전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20)의 일단은 도 6에서처럼 누름부재(21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20)는 삽입홈(11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단이 연장된 후 본체(100)의 전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20)는 일정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합성수지, 금속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일측단이 삽입홈(110) 내에 삽입된 상태로 조작부(200)의 배면측 일단에 형성된 걸림단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300)의 전면에는 전술한 걸림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단턱(3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340)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넓어지면서 전면에 경사면(3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00)는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일측단과 반대되는 타측단에 제2수평축(31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평축(310)은, 원형 축 형상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수평축(310)은 후술 될 제2벨트 걸이부(500)가 전후로 회전가능하도록 후술 될 제2체결홀(510)에 수평하게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축(310)의 돌출된 끝단은 후술 될 제2체결홀(5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더 큰 직경의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2수평축(310)은 도 1에서처럼 중심이 양분되어 상호 간격을 가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수평축(310)의 형상은 후술 될 제2체결홀(510)로 결합시키는 경우, 양분된 간격이 좁혀지면서 상기 제2체결홀(510)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수평축(310)이 상기 제2체결홀(510)을 통해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수평축(310)의 절개된 간격 부위는 복원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결합부(300)의 일측단과 반대되는 타측단에는 제2수평축(3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2걸림돌기(3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돌기(320)들은,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원추 또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단에는 제2수평축(310)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평하게 누름 동작 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제2절개단(3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개단(330)들의 일단에는, 후술 될 제2벨트 걸이부(500)의 회전에 의해 제2걸림돌기(320)가 수평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삽입홈(110)과 반대되는 본체(100)의 타측단에는 제1수평축(12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절개단(150)각각 절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개단(150)은, 본체(100)의 타측단과 일체로 형성된 일단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이 절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절개단(150)의 절개된 일단은 누름 동작 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된 일단에 제1걸림돌기(140)가 수평으로 출몰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걸림돌기(320)는, 도 4에서처럼 후술 될 제2벨트 걸이부(500)를 전후로 위치를 반전시키는 경우, 제2벨트 걸이부(500)가 미는 힘에 의해 걸림 없이 후퇴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2걸림돌기(320)는 제2벨트 걸이부(500)가 미는 힘에 의해 후퇴한 후, 제2벨트 걸이부(500)가 수직하게 위치되는 경우, 제2절개단(330)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제2걸림돌기(320)가 후술 될 제2걸림홈(530) 내에 걸림 위치된다.
제1벨트 걸이부(400)는, 일측단이 제1수평축(120)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벨트 걸이부(400)의 타측단에 벨트(10)의 일단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벨트 걸이부(400)의 일측단에는 제1수평축(120)이 결합되도록 제1체결홀(410)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홀(410)은, 제1수평축(1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로 회전 가능하도록 원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벨트 걸이부(400)의 일측단에는 제1걸림돌기(140)들이 대응 삽입되도록 제1체결홀(41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에 제1걸림홈(4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홈(430)은, 전술한 제1걸림돌기(140)가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 및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벨트 걸이부(400)의 타측단에는 벨트(10)의 일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제1벨트 연결구(4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벨트 연결구(420)는, 벨트(10)를 엮어 고정시키는 형태 또는 회동 방식을 통해 톱니에 물려 고정시키는 형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벨트 걸이부(400)는, 제1수평축(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1벨트 걸이부(400)에 연결된 벨트(10)는 앞면과 뒷면을 반전시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벨트 걸이부(500)는, 일측단이 제2수평축(310)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벨트 걸이부(500)의 타측단에 벨트(10)의 타단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벨트 걸이부(500)의 일측단에는 제2수평축(310)이 결합되도록 제2체결홀(510)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홀(510)은, 제2수평축(31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로 회전 가능하도록 원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벨트 걸이부(500)의 일측단에는 제2걸림돌기(320)들이 대응 삽입되도록 제2체결홀(51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에 제2걸림홈(5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홈(530)은, 전술한 제2걸림돌기(320)가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 및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벨트 걸이부(500)의 타측단에는 벨트(10)의 일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제2벨트 연결구(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벨트 연결구(520)는, 벨트(10)를 엮어 고정시키는 형태 또는 회동 방식을 통해 톱니에 물려 고정시키는 형태 등을 적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벨트 걸이부(500)는, 결합부(300)의 제2수평축(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2벨트 걸이부(500)에 연결된 벨트(10)는 앞면과 뒷면을 반전시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벨트(10)의 양단이 연결되는 제1, 2벨트 연결부(400)(500)들을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벨트(10)의 양면을 반전시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2걸림돌기(140)(320)와 제1, 2걸림홈(430)(530)의 암수 결합 구조를 이용해 제1, 2벨트 연결부(400)(500)들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벨트(10)가 쉽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버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벨트 100: 본체
110: 삽입홈 120: 제1수평축
130: 설치홈 140: 제1걸림돌기
150: 제1절개단 200: 조작부
210: 누름부재 211: 수직축
220: 탄성부재 300: 결합부
310: 제2수평축 320: 제2걸림돌기
330: 제2절개단 340: 단턱
341: 경사면 400: 제1벨트 걸이부
410: 제1체결홀 420: 제1벨트 연결구
430: 제1걸림홈 500: 제2벨트 걸이부
510: 제2체결홀 520: 제2벨트 연결구
530: 제2걸림홈

Claims (8)

  1. 일측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타측단에 제1수평축이 돌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일측의 걸림단이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회전 위치되는 조작부;
    일측단이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단에 걸림 또는 걸림 해지되며, 타측단에 제2수평축이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
    일측단이 제1수평축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단에 벨트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벨트 걸이부; 및
    일측단이 상기 제2수평축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단에 상기 벨트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벨트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오목한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하단에 각각 돌출된 수직축이 상기 설치홈의 상하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 방향측 배면에 상기 걸림단이 형성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지지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재를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회전 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넓어지면서 전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는,
    상기 제1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에 제1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벨트 걸이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제1수평축이 결합되도록 제1체결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들이 대응 삽입되도록 상기 제1체결홀을 기준으로 상하에 제1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단에는,
    상기 제1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평하게 누름 동작 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제1절개단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단들의 일단에는,
    상기 제1벨트 걸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걸림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타측단에는,
    상기 제2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에 제2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벨트 걸이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제2수평축이 결합되도록 제2체결홀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들이 대응 삽입되도록 상기 제2체결홀을 기준으로 상하에 제2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타측단에는,
    상기 제2수평축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평하게 누름 동작 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제2절개단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절개단들의 일단에는,
    상기 제2벨트 걸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걸림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삭제
KR2020140007494U 2014-10-15 2014-10-15 버클 KR200477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94U KR200477005Y1 (ko) 2014-10-15 2014-10-15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94U KR200477005Y1 (ko) 2014-10-15 2014-10-15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005Y1 true KR200477005Y1 (ko) 2015-05-04

Family

ID=5343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494U KR200477005Y1 (ko) 2014-10-15 2014-10-15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00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6513U (ko) * 1981-03-06 1982-09-14
JPS5819609U (ja) * 1981-07-30 1983-02-07 株式会社ヨシカワ 尾錠
KR200231525Y1 (ko) * 2001-02-06 2001-07-19 유태환 벨트용 버클
US20110232044A1 (en) * 2010-03-26 2011-09-29 Hsi-Hsin Chen Resilient rotation buck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6513U (ko) * 1981-03-06 1982-09-14
JPS5819609U (ja) * 1981-07-30 1983-02-07 株式会社ヨシカワ 尾錠
KR200231525Y1 (ko) * 2001-02-06 2001-07-19 유태환 벨트용 버클
US20110232044A1 (en) * 2010-03-26 2011-09-29 Hsi-Hsin Chen Resilient rotation buck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007B1 (ko) 의류에 액세서리를 부착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JP4502213B2 (ja) バックル
JP4143927B2 (ja) バックル
US9249602B1 (en) Key with integrated attachment device
US11459695B2 (en) Various hinge brackets and a hinge receiver for a laundry appliance
JP2020168366A (ja) 腕時計のブレスレットのための挿入部品
KR200478471Y1 (ko) 버클
JP6764883B2 (ja) バックル
US20130333111A1 (en) Top frame of crib and method for folding the top frame
TWM514019U (zh) 雪鏡束帶固定結構
KR200477005Y1 (ko) 버클
CN108495570A (zh) 紧固装置以及紧固系统
TW201617533A (zh) 關節、具有該關節的卡扣裝置,及其組合體
JP6074238B2 (ja) ファスナー部材
JP2011239808A (ja)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TWI555945B (zh) Holding device
KR101573906B1 (ko)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JP5964194B2 (ja) ロック機構付きスライドアジャスタ
US10966488B2 (en) Shoe accessory system
CN210054831U (zh) 扣合更牢固的扣具结构
TWM512945U (zh) 拉鏈頭結構
JP2020180403A (ja) 衣服用ベルト
JP2001275717A (ja) 機器携帯用ベルト端末具
JP3193840U (ja) 平紐連結装置およびネックストラップ
CN105641952A (zh) 夹压式卡扣组及其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