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002Y1 -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 Google Patents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002Y1
KR200477002Y1 KR2020140005514U KR20140005514U KR200477002Y1 KR 200477002 Y1 KR200477002 Y1 KR 200477002Y1 KR 2020140005514 U KR2020140005514 U KR 2020140005514U KR 20140005514 U KR20140005514 U KR 20140005514U KR 200477002 Y1 KR200477002 Y1 KR 200477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oking
cooking utensil
handle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란
Original Assignee
이금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란 filed Critical 이금란
Priority to KR2020140005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0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2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for fastening kitchen utensils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을 갖는 하나의 거치대 상부로 밥주걱, 건짐국자, 볶음스푼, 국자, 뒤집개가 자력에 의하여 거치된 상태가 유지되며, 각각의 조리용품을 사용시 음식물에 닿는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보호됨으로써 조리대 바닥에 닿는 것이 방지되어 이물질이 음식물로 유입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Hygienic and easy to use and store cooking items that can mount}
본 고안은 조리용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을 갖는 하나의 거치대 상부로 밥주걱, 건짐국자, 볶음스푼, 국자, 뒤집개가 자력에 의하여 거치된 상태가 유지되며, 각각의 조리용품을 사용시 음식물에 닿는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보호됨으로써 조리대 바닥에 닿는 것이 방지되어 이물질이 음식물로 유입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에 관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76866호(등록일: 2002년 05월 17일) 자석을 이용한 주방용품은,
주방용품에 있어서,
손잡이 부분에 자석이 고착된 조리기구와;
주방의 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분에 고착된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조리기구가 고정되어 보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9120호(공개일: 2010년 09월 17일) 주방용품의 손잡이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두꺼비집 형상으로 하부에 삽부(30)가 연결되도록 형성시킨 한쌍의 전, 후면 손잡이판재(10)(11)와,
상기 후면부 손잡이판재(10) 내부에 자석(20)을 부착시키고, 상기 전, 후면 손잡이판재(10)(11)를 상호 대칭되게 한 후 용접작업을 하여 일체로 조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석을 이용하여 조리용품을 거치하는 구성은 조리용품을 거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금속프레임을 주방가구에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주방가구의 변형을 싫어하는 사용자의 경우 상기와 같은 자석을 이용하여 쉽게 보관할 수 있는 조리용품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의 국자 또는 밥주걱과 같은 조리용품은 사용과정에서 음식물에 닫는 부분이 조리대의 표면에 닿아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간혹 조리대의 이물질이 주방용품을 통하여 국이나 밥과 같은 음식물로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조리용품의 사용 및 거치가 쉽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새로운 디자인으로 주방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리용품이 사용시 조리대와 이격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용품의 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걱, 국자 또는 뒤집개와 같이 음식물의 조리에 사용되는 조리용품의 거치 및 보관이 쉽고 청결하며 심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리용품을 제공함으로써 주방공간의 디자인을 향상시키고 조리용품의 보관 및 거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각각의 조리용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시 조리용품이 조리대의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외형을 형성함으로서 조리용품의 임시거치시 조리용품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리용품의 사용시 음식물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르면,
상면 가장자리에 중앙측으로 기울어진 여러 개의 안착면(11)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부분이 중공된 중공부(12)의 가장자리로 안착면(11)의 하부부분에 형성된 여러 개의 자석 삽입공(13)이 연통되게 형성된 신축가능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거치대(10);
상기 자석 삽입공(13)에 끼움되는 여러 개의 자석(14);
상기 거치대(10)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중공부(12)에 삽입되는 무게판(15);
상기 거치대(10)의 안착면(11)에 자석(30)이 내장된 손잡이(28)의 끝부분이 자력으로 안착되며 손잡이(28)의 상부에 조리부(29)가 끼움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조리용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용품(20)은 상부(21)에 삽입공(24)과 하부(22)에 일측으로 돌출된 거치부(23)가 형성되며 하부(22)의 끝부분에 자석(30)과 무게추(33)가 삽입되어 구성된 몸체(25)와, 상기 몸체(25) 외측을 감싸 형성되며 상부(21) 일측으로 거치부(23)가 형성된 실리콘부(27) 및 상기 자석(30)의 외측으로 형성된 커버(31)로 구성된 손잡이(28);
상기 손잡이(28)의 삽입공(24)에 끼움되는 끼움부(29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음식을 건지거나 뒤집을 수 있는 조리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용품(2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21)와 하부(22)의 일측으로 돌출된 거치부(23)가 형성되며 전방에 삽입공(24)를 갖는 몸체(25)와, 상기 몸체(25) 외측을 감싸 형성되며 일측에 자석(30)이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부(26) 및 상기 금속부(26)의 표면을 감싸 형성되는 실리콘부(27)로 형성된 손잡이(28);
상기 손잡이(28)의 삽입공(24)에 끼움되는 끼움부(29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음식을 건지거나 뒤집을 수 있는 조리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용품(20)은 주걱, 국자, 뒤집개, 건짐국자, 볶음스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은 국자, 주걱, 뒤집개와 같은 다양한 조리용품들을 하나의 거치대에 자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 및 보관 또는 거치가 용이하고 주방의 미관을 고급스럽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대에 보관되는 조리용품들의 손잡이 부분이 거치대와 밀착되고 조리부분이 상부로 향하도록 거치됨으로서 조리용품들의 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조리용품들이 사용과정에서 음식에 닿는 부분이 임시거치시에도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거치부에 의하여 조리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거치됨으로써 조리용품의 음식물과 접촉되는 부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음식물에 조리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중 거치대 부분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중 거치대와 주방용품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중 주방용품의 손잡이 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중 조리용품이 사용 중 조리대에 누워 있는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중 조리용품의 손잡이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중 거치대 부분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중 거치대와 주방용품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중 주방용품의 손잡이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은 크게 주걱, 국자, 뒤집개, 건짐국자, 볶음스푼 등의 조리용품(20)과 상기 조리용품(20)이 안착되는 거치대(10)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10)는 신축가능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원형을 이루며 상면 가장자리에 중앙측으로 기울어진 여러 개의 안착면(11)과 내부 중앙부분이 중공된 중공부(12)의 가장자리로 안착면(11)의 하부부분에 형성된 여러 개의 자석 삽입공(13)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석 삽입공(13)에는 자석(14)이 끼움되며 자석(14)의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거치대 자체에 무게감을 주기 위하여 중공부(12)에 무게판(15)을 끼움하여 거치대(10)를 완성한다.
상기 조리용품(20)은 거치대(10)의 안착면(11)에 자력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28)와 상기 손잡이(28)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조리부(29)로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리용품(20)은 상부(21)에 삽입공(24)과 하부(22)에 일측으로 돌출된 거치부(23)가 형성되며 하부(22)의 끝부분에 자석(30)과 무게추(33)가 삽입되어 구성된 몸체(25)와, 상기 몸체(25) 외측을 감싸 형성되며 상부(21) 일측으로 거치부(23)가 형성된 실리콘부(27) 및 상기 자석(30)의 외측으로 형성된 커버(31)로 구성된 손잡이(28) 및 상기 손잡이(28)의 삽입공(24)에 끼움되는 끼움부(29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음식을 건지거나 뒤집을 수 있는 조리부(2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손잡이(28)의 삽입공(24)과 조리부(29)의 끼움부(291)는 타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조리부(29)가 자연회전 없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28)의 자석(30)이 삽입된 외측으로는 실리콘 커버(31)를 형성하여 자석(30)과 무게추(3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몸체(25)에 자석과 무게추를 삽입하고 빠짐방지링(32)을 몸체(25)에 삽입한 후 커버(31)로 마감함으로써 자석이 자력에 의하여 몸체(25)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리용품(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8)의 상부(21)와 하부(22)에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각각의 거치부(23)에 의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임시 거치시 거치부(23)가 조리대(미도시)의 표면에 안착됨으로써 전방의 조리부(29)가 조리대의 표면에 닿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리대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조리부(29)를 통하여 음식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손잡이(28)의 하부에 형성된 자석(30)과 무게추(33)의 하중에 의하여 조리용품의 전방 조리부(29)가 조리대에 닿는 것이 방지되어 조리용품의 임시 거치시에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특징은 손잡이(28)를 구성하는 몸체(25)의 표면에 하부에 자석(30)이 형성된 금속판(26)을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 실리콘부(27)를 형성하여 자석(30)의 자력이 손잡이(28) 하부(22)에 형성된 거치부(23)는 물론 상부(21)의 거치부(23)까지 자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21)에 형성된 거치부(23)가 이웃하는 조리용품(20')의 거치부(23')와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거치대(10)에 조리용품(20)이 부착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품(20)은 상부(21)와 하부(22)의 일측으로 돌출된 거치부(23)가 형성되며 전방에 삽입공(24)를 갖는 몸체(25)와, 상기 몸체(25) 외측을 감싸 형성되며 일측에 자석(30)이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부(26) 및 상기 금속부(26)의 표면을 감싸 형성되는 실리콘부(27)로 형성된 손잡이(28)와, 상기 손잡이(28)의 삽입공(24)에 끼움되는 끼움부(29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음식을 건지거나 뒤집을 수 있는 조리부(2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거치대(10)에 자력으로 결착되는 조리용품(20)은 1차적으로 손잡이(28)의 하부에 형성된 자석(30)이 거치대(10) 내부에 형성된 자석(14)과 자력으로 부착되어 거치상태를 유지하고 2차적으로 손잡이(28)의 자석(30)을 감싸고 있는 금속부(26)에 자력이 전달되어 상부(21) 거치부(23)에 미세한 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웃하는 조리용품(20')의 거치부(23')와 미세한 자력으로 부착되어 거치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며 조리용품의 사용을 위하여 거치대로부터 분리시 미세한 자력에 의하여 쉽게 분리됨으로써 사용상 문제가 전혀 없다.
또한, 금속부(26)의 일측에 자석(30)이 삽입되고 자석이 위치하는 부분을 두껍게 형성하여 별도의 무게추 없이도 조리용품을 임시 거치시 조리부(29)가 조리대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 거치대 11 : 안착면
12 : 중공부 13 : 삽입공
14 : 자석 15 : 무게판
20 : 조리용품 21 : 상부
22 : 하부 23 : 거치부
24 : 삽입공 25 : 몸체
26 : 금속부 27 : 실리콘부
28 : 손잡이 29 : 조리부
291 : 끼움부 30 : 자석
33 : 무게추

Claims (4)

  1. 상면 가장자리에 중앙측으로 기울어진 여러 개의 안착면(11)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부분이 중공된 중공부(12)의 가장자리로 안착면(11)의 하부부분에 형성된 여러 개의 자석 삽입공(13)이 연통되게 형성된 신축가능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거치대(10);
    상기 자석 삽입공(13)에 끼움되는 여러 개의 자석(14);
    상기 거치대(10)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중공부(12)에 삽입되는 무게판(15);
    상기 거치대(10)의 안착면(11)에 안착되며 상부(21)에 삽입공(24)과 하부(22)에 일측으로 돌출된 거치부(23)가 형성되며 하부(22)의 끝부분에 자석(30)과 무게추(33)가 삽입되어 구성된 몸체(25)와, 상기 몸체(25) 외측을 감싸 형성되며 상부(21) 일측으로 거치부(23)가 형성된 실리콘부(27) 및 상기 자석(30)의 외측으로 형성된 커버(31)로 구성된 손잡이(28)와, 상기 손잡이(28)의 삽입공(24)에 끼움되는 끼움부(29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음식을 건지거나 뒤집을 수 있는 조리부(29)로 구성된 조리용품(20);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거치대(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안착면(11)의 내측에 위치하는 자석(14)과 상기 안착면(11)에 안착되며 끝부분에 자석(30)이 형성된 조리용품(20)이 자력에 의하여 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품(20)은 상부(21)와 하부(22)의 일측으로 돌출된 거치부(23)가 형성되며 전방에 삽입공(24)를 갖는 몸체(25)와, 상기 몸체(25) 외측을 감싸 형성되며 일측에 자석(30)이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부(26) 및 상기 금속부(26)의 표면을 감싸 형성되는 실리콘부(27)로 형성된 손잡이(28);
    상기 손잡이(28)의 삽입공(24)에 끼움되는 끼움부(291)가 형성되고 타측에 음식을 건지거나 뒤집을 수 있는 조리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품(20)은 주걱, 국자, 뒤집개, 건짐국자, 볶음스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KR2020140005514U 2014-07-23 2014-07-23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KR200477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14U KR200477002Y1 (ko) 2014-07-23 2014-07-23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14U KR200477002Y1 (ko) 2014-07-23 2014-07-23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002Y1 true KR200477002Y1 (ko) 2015-04-24

Family

ID=5343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514U KR200477002Y1 (ko) 2014-07-23 2014-07-23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0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45Y1 (ko) * 2017-11-05 2018-09-05 최동우 밥주걱
KR101938211B1 (ko) 2017-10-19 2019-01-14 정봉훈 오뚝이식 국자스푼
KR102225121B1 (ko) * 2019-09-17 2021-03-09 오성신 조리기구 손잡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18Y1 (ko) * 2007-07-09 2008-06-20 (주)아모레퍼시픽 영구자석을 갖는 화장품용기
KR100984397B1 (ko) * 2010-05-07 2010-09-29 김영훈 주방용품 수납기구
KR20110009998U (ko) * 2010-04-15 2011-10-21 주형중 주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18Y1 (ko) * 2007-07-09 2008-06-20 (주)아모레퍼시픽 영구자석을 갖는 화장품용기
KR20110009998U (ko) * 2010-04-15 2011-10-21 주형중 주걱
KR100984397B1 (ko) * 2010-05-07 2010-09-29 김영훈 주방용품 수납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211B1 (ko) 2017-10-19 2019-01-14 정봉훈 오뚝이식 국자스푼
KR200487345Y1 (ko) * 2017-11-05 2018-09-05 최동우 밥주걱
KR102225121B1 (ko) * 2019-09-17 2021-03-09 오성신 조리기구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002Y1 (ko)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거치가 가능한 조리용품
AU2015203049A1 (en) Multifunctional Cookware
US201201118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ishware having a utensil retainer
JP2015526122A (ja) 振動抑制装置を有する飲料マシン
USD863873S1 (en) Food processor container
US8418971B2 (en) Utensil holding kit
US6719850B2 (en) Sonic jewelry cleaner
KR200450595Y1 (ko) 다기능 회전식 용기
CN207341662U (zh) 一种食品加工机
KR102225121B1 (ko) 조리기구 손잡이
JP2011011018A (ja) 容器保持具
JP6789434B1 (ja) 包丁ホルダ及び包丁ホルダ装置
KR101356042B1 (ko) 돌솥 조립체
KR20040028847A (ko) 후라이팬 손잡이
JP2012030027A (ja) 水切りコップとそのコップ立て
CN201987402U (zh) 一种锅盖摆放座
CN211066299U (zh) 一种手持式厨具
KR20130041564A (ko) 접시
KR101537546B1 (ko)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KR200257723Y1 (ko) 국자, 냄비 뚜껑 받침대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102375501B1 (ko) 반찬그릇 겸용 뚜껑과 그릇
CN208988465U (zh) 一种可升降式的过滤火锅
KR101254927B1 (ko) 살균 램프가 구비된 보관 용기
KR200340352Y1 (ko) 음식용구통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