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93Y1 -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93Y1
KR200476993Y1 KR2020120004728U KR20120004728U KR200476993Y1 KR 200476993 Y1 KR200476993 Y1 KR 200476993Y1 KR 2020120004728 U KR2020120004728 U KR 2020120004728U KR 20120004728 U KR20120004728 U KR 20120004728U KR 200476993 Y1 KR200476993 Y1 KR 200476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elastic body
wall
chopstic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155U (ko
Inventor
문기원
Original Assignee
문기원
(주)씨엔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기원, (주)씨엔티코리아 filed Critical 문기원
Priority to KR2020120004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9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질이 익숙하지 못한 사람이 쉽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구조로 되어 젓가락의 사용이 용이하고 위생적이면서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토록 한 것으로 음식물을 집는 음식을 집는 하측 선단에 면적이 넓은 집게면이 형성되도록 젓가락을 금속재질로 제작하고 젓가락 상측으로 젓가락이 벌려진 형태로 고정하는 끼임홀이 양측으로 형성된 실리콘재질의 탄성체를 결합토록 하고 탄성체에는 탈,부착이 되는 장식체를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토록 함으로써 젓가락의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A practice chopsticks}
본 고안은 외국인이나 어린이 등의 젓가락질이 익숙하지 못한 사람이 쉽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구조로 되어 젓가락질 연습 및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위생적이면서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식이나 중식 또는 일식에서는 식사를 위한 음식물 섭취를 위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젓가락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젓가락 문화가 손에 익지 않은 외국인이나 어린이 심지어는 일부 성인들은 젓가락의 사용법이 어려워 정확하게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틱으로 이루어진 젓가락(10) 상측에 힌지수단(100)을 장착하여 쉽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젓가락은 힌지수단(10)이 오므렸다 폈다 하는 작동구조를 갖기 위하여 서로 다른 재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제작원가가 상승된다라는 것이고, 동시에 세척시 물기가 잔존하게 되면서 비 위생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것들은 가벼움과 수분에 변화되지 않는 플라스틱만을 사용함으로 이러한 젓가락을 사용하여 뜨거운 음식을 집거나 먹을 때 또는 설겆이를 위해 수세미 등으로 세척할 경우에 젓가락이 열에 의하여 환경호르몬이 발생된다거나 또는 수세미와의 마찰에 의하여 표면이 갈리게 되면서 분진이 발생되면서 이런 부분에 의하여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상당히 비 위생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10)의 상단이 일체로 연결토록 하여 연결된 부분(300)이 탄성력을 갖도록 함으로서 젓가락의 기능을 구현토록 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젓가락질이 능숙하게 된 이후에는 버려야 된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10)의 상단에 스프링(200)을 연결하여 탄력작동토록 하여 젓가락 질이 능숙토록 하고 그후 스프링을 제거함으로서 젓가락으로서의 재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스프링이 단순한 절첩에 불과하여 젓가락질이 능숙하지 않은자가 사용할 경우에 젓가락의 선단이 정밀하게 밀착성이 덜어져 실질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젓가락의 절첩이 젓가락에서 탈착이 가능한 탄성체를 사용하면서도 정확하게 젓가락의 선단이 맞닿게 함은 물론 이러한 절첩이 정확하게 작동토록 함은 물론 저중량의 구현과 젓가락 질을 할 경우에도 걸림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또한 유아들에게 유아들이 원하는 다양한 캐릭터의 장착이 용이토록 함은 물론 세척시 위생적인 수단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젓가락이 자동으로 절첩토록 하기 위하여 젓가락의 상단에는 평상시에는 벌어진 상태로 있다가 가압하면 접혀졌다가 가압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원상으로 복귀토록 하는 탄성체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체의 구성을 2개의 젓가락 끼임홀이 젓가락이 벌어진 상태 유지를 위한 경사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임홀의 중간에는 젓가락을 가압할 경우에 젓가락의 선단이 정확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지지력을 갖도록 절첩부를 형성하고, 끼임홀을 형성하는 외벽을 끼임의 용이성과 끼임후 밀림을 방지와 젓가락의 사용시 손의 걸림을 방지토록 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외벽의 살두께를 변화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에 유아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토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캐릭터의 탈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캐릭터를 탈부착하거나 이러한 캐릭터의 탈부착은 본인의 소유라는 명찰의 기능도 동시에 구현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탄성체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젓가락의 사용시 그 선단의 밀착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는 것을 구조적인 변화로 방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젖가락의 자동절첩이 탄성체에 의한 반복작동이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이러한 탄성체의 구조의 특이성으로 인하여 젖가락의 끼임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시 불편함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탄성체에 의하여도 젓가락의 선단의 밀착정밀도가 우수하고 또한 다양한 캐릭터가 탈착가능하게 됨으로서 이러한 캐릭터에 의하여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젓가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젓가락의 벌림을 위한 탄성체가 결합되는 사시도.
도3a 내지 도3b는 본 고안의 탄성체가 결합된 젓가락의 작동되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탄성체의 저면사시도.
도4a는 본 고안의 탄성체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젓가락에 장식체가 결합되는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젓가락의 집게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젓가락의 집게부가 분리결합되는 실시예을 나타낸 사시도.
도8은 종래의 힌지수단으로 작동되는 젓가락의 사시도.
도9는 종래의 탄성체가 결합된 젓가락 사시도.
도10은 종래의 힌지장치가 장착된 젓가락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젓가락에 탄성체가 결합되어 벌림상태로 형성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젓가락에 탄성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3a 내지 도3b는 본 고안의 탄성체가 결합된 젓가락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4 및 도4a는 탄성체의 상세구조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젓가락(10)은 파지부(12)와 집게부로 이루어진 전체가 위생적인 스텐레스로 제작토록 하거나 또는 음식물을 집는 부분의 집게부만을 스텐레스로 구현토록 함으로서 위생적으로 제작토록 하는 것이고, 이는 위생적인 또 다른 재질을 사용할 경우에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젓가락(10)이 가압시 정확하게 집게부가 서로 밀착토록 하고 가압을 해제하면 원위치로 펼쳐지게 하기 위하여 젓가락의 상단 즉 파지부(12)에는 평상시에는 벌어진 상태로 있다가 가압하면 접혀졌다가 가압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원상으로 복귀토록 하는 영문자 X자형의 탄성체(20)를 젓가락의 각각의 스틱(11)의 파지부(12)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20)는 그 구조를 상기와 같이 전체적으로 영문자 X자 형으로 형성하여 2개의 스틱(11)이 끼임되어지기 위한 일정한 깊이를 갖는 끼임홀(21)이 젓가락(10)이 벌어진 상태 유지를 위한 탄성체(20)의 상단으로는 영문자 V형의 경사개구부(20a)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개구부(20a)에 의하여 젓가락(10)이 탄성체(20)의 끼임홀(21)에 끼임된 상태에서는 평상시에 일정 각도로 벌어져 있게 되고 가압하면 절첩되면서 젓가락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젓가락이 탄성체(20)의 끼임홀(21)에 끼워져 경사개구부(20a)에 의하여 벌어진 상태에서 가압에 의하여 젓가락의 선단이 긴밀하게 밀착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체(20)의 끼임홀(21)의 중간에는 젓가락(10)을 사용하기 위하여 가압할 경우에 젓가락(10)의 선단이 정확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지지력과 탄성력은 물론 복귀력을 갖도록 탄성체의 하단의 전후면으로는 ∧형의 내입되어지는 절첩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형의 내입되어지는 절첩부(22)의 내측으로는 그 구조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틱(11)이 끼워지는 끼임홀(21)의 중간에서 하방으로 확관되어지는 개구홀(25)을 형성하여 가압시 절첩이 용이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절첩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홀(25)은 노출되는 격벽(25a)과 노출되지 않는 격벽(25b)으로 형성하여 노출되지 않는 격벽(25b)의 살두께를 노출되는 격벽(25a)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가압시 노출되는 격벽(25a)이 외측으로 접혀져 구겨지면서 또는 찌그러지면서 절첩되어 정확한 선단의 밀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출되는 격벽(25a)의 정면으로는 절첩을 위한 젓가락의 가압시 개구홀(25)이 찌그러지는 위치가 좀더 정확하게 발생토록 하여 정확한 절첩(즉 집게부가 정확하게 맞닿도록 하기 위함)을 유도하여 젓가락의 선단이 정확하게 맞닿토록 하기 위하여 절첩유도부(26)가 돌출형성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끼임홀(21)에 젓가락의 각각의 스틱(11)의 끼임의 용이성과 끼임후 후방으로 밀림을 방지하면서 젓가락의 사용시 파지부(12)에 끼임되어지는 탄성체(20)가 손의 걸림을 방지토록 하기 위하여 끼임홀(21)의 외벽(27)의 하단(27-1)과 상단(27-1)의 살두께를 하단(27-1)이 상단(27-2)보다 얇게 형성하면서 스틱(11)이 끼임된 상태에서 외벽(27)이 내벽(27a)보다 짧게 형성하여 끼임시 끼임이 용이하면서도 손과의 접촉시 걸림이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끼임홀(21)은 파지부(12)와 집게부의 굵기가 다른 상태의 젓가락을 끼임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끼임홀(21)의 외벽(27)의 하단(27-1)은 절개하여 경사지게 절개면(28)으로 형성함으로서 끼임홀(21)의 내면적을 크게 하여 집게부보다 상대적으로 굵기가 굵은 파지부(12)의 끼임이 용이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굵은 파지부(12)가 끼임홀(11)을 관통하기 용이하도록 상기와 같이 끼임홀(11)의 외벽(27)의 살두께를 하단(27-1)은 얇게 형성하고 상단(27-2)은 하단(27-1)보다도 두껍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파지부(12)가 끼임홀(11)을 관통한 상태에서 두꺼운 살두께로 인하여 벌어지지 않게 되면서 긴밀한 밀착에 의하여 고정토록 되어 끼워진 젓가락이 후방으로 밀림이 방지되어 사용시 젓가락의 선단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젓가락을 사용시 탄성체(20)의 절첩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절첩부(22)의 하단에서는 개구홀(25)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25)은 개구홀(25)을 형성하는 노출되지 않는 격벽(25b)이 형성된 부분의 일면으로는 살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이 부분에 디자인성과 제품의 차별화를 위한 다양한 캐릭터장식체(40)의 탈착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결합요소(23)를 구비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캐릭터는 자신의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름표를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결합요소(23)를 돌기의 형태로 구현토록 하였으나 이를 요홈의 형태로 구현토록 할 경우에도 캐릭터의 탈착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 젓가락 11: 스틱
12: 파지부 13: 집게부
14: 홈테
20: 탄성체 21: 끼임홀
22: 절첩부 23: 결합요소
24: 결합홈 25: 절개홈
30: 보조스틱 31: 결합공
32: 파지부 33: 돌기테
40:장식체

Claims (4)

  1.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젓가락(10)과 젓가락의 스틱(11)의 상측에 결합되어 지는 탄성체(20)에 의하여 젓가락(10)의 벌림형태가 유지되면서 스틱의 가압에 의하여 절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전체적인 형상은 영문자 X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중앙에 다양한 캐릭터장식체(40)의 탈착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결합요소(23)를 구비토록하고,
    상기 탄성체에는 2개의 스틱(11)이 끼임되어지기 위한 일정한 깊이를 갖는 끼임홀(21)이 형성되어 젓가락(10)이 끼임홀에 끼임된 상태에서 벌어진 상태 유지를 위한 탄성체(20)의 상단으로는 영문자 V형의 경사개구부(20a)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체(20)의 끼임홀(21)에 끼워져 경사개구부(20a)에 의하여 벌어진 상태에서 젓가락의 가압에 의하여 젓가락의 선단이 긴밀하게 밀착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20)의 벌어진 하단의 전후면으로는 ∧형으로 내입되어지는 절첩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형으로 내입된 절첩부(22)의 내부에는 각각의 스틱(11)이 끼워지는 끼임홀(21)의 중간에서 하방으로 확관되어지는 개구홀(25)을 형성하여 스틱의 가압시 절첩이 용이토록 하고,
    상기 개구홀(25)은 노출되는 격벽(25a)과 노출되지 않는 격벽(25b)으로 형성하여 노출되지 않는 격벽(25b)의 살두께를 노출되는 격벽(25a)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가압시 노출되는 격벽(25a)이 외측으로 접혀져 구겨지면서 정확한 선단의 밀착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노출되는 격벽(25a)의 정면으로는 절첩을 위한 젓가락의 가압시 개구홀(25)이 찌그러지는 위치가 좀더 정확하게 발생토록 하여 정확한 절첩을 유도하기 위하여 절첩유도부(26)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끼임홀(21)에 각각의 스틱(11)의 끼임의 용이성과 끼임후 후방으로 밀림을 방지하면서 젓가락의 사용시 파지부(12)에 끼임되어지는 탄성체(20)가 손의 걸림을 방지토록 하기 위하여 끼임홀(21)의 외벽(27)의 하단(27-1)과 상단(27-1)의 살두께를 하단(27-1)이 상단(27-2)보다 얇게 형성하면서 스틱(11)이 끼임된 상태에서 외벽(27)이 내벽(27a)보다 짧게 형성하여 끼임이 용이하면서도 손과의 접촉시 걸림이 없도록 하며,
    또한 탄성체(20)의 상기 개구홀(25)은 개구홀(25)을 형성하는 노출되지 않는 격벽(25b)이 형성된 부분의 일면으로는 살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이 부분에 디자인성과 제품의 차별화를 위한 다양한 캐릭터장식체(40)의 탈착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결합요소(23)를 구비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20004728U 2012-06-05 2012-06-05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KR200476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28U KR200476993Y1 (ko) 2012-06-05 2012-06-05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28U KR200476993Y1 (ko) 2012-06-05 2012-06-05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55U KR20130007155U (ko) 2013-12-13
KR200476993Y1 true KR200476993Y1 (ko) 2015-04-22

Family

ID=5244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728U KR200476993Y1 (ko) 2012-06-05 2012-06-05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828A (ko) 2021-09-13 2023-03-21 진광재 파지부에 대한 가압력 해제시 피대상물 파지가 가능한 집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863B1 (ko) 2019-04-30 2022-01-24 이근직 집게형 도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7584U (ko) * 1979-03-05 1980-09-09
JP2981211B1 (ja) * 1998-07-30 1999-11-22 有限会社児童かきかた研究所 箸の持ち方練習具
JP3144710U (ja) * 2008-06-27 2008-09-11 有限会社オールウエイズ 箸補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7584U (ko) * 1979-03-05 1980-09-09
JP2981211B1 (ja) * 1998-07-30 1999-11-22 有限会社児童かきかた研究所 箸の持ち方練習具
JP3144710U (ja) * 2008-06-27 2008-09-11 有限会社オールウエイズ 箸補助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828A (ko) 2021-09-13 2023-03-21 진광재 파지부에 대한 가압력 해제시 피대상물 파지가 가능한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55U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089B2 (en) Suction plate or bowl holder
RU2598288C2 (ru) Палочки для еды
KR200476993Y1 (ko)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US20110003273A1 (en)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KR20190135985A (ko)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USD531860S1 (en) Spoon
US20100212115A1 (en) Holder
KR20080001177U (ko) 분리 결합형 수저
JP3194983U (ja) トレーニング箸
US20110169286A1 (en) Chopstick retaining device
KR101441338B1 (ko) 흡연용품
JP3984267B2 (ja) 食事補助具
KR200451035Y1 (ko) 기능성 젓가락
KR200401738Y1 (ko) 홈 , 또는 구멍을 이용하여 분리가 쉽게 고안한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블록 쌓기 완구.
KR200362878Y1 (ko) 젓가락용 그립홀더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JP5943520B2 (ja) 箸ホルダー
KR20130006793U (ko) 일회용 비닐장갑
KR200412688Y1 (ko) 안전포크
KR200419067Y1 (ko) 분리세척이 용이한 안전포크
KR200424246Y1 (ko) 이쑤시개와 냅킨을 함께 수납하는 냅킨박스
KR101146232B1 (ko) 원터치 파우치 팩 커팅 버튼
KR200481713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칫솔
JP3191268U (ja) 機能性箸
KR200225885Y1 (ko) 젓가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3402;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34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602

Effective date: 201501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602

Effective date: 20150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