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043Y1 - 앵커블럭 - Google Patents

앵커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043Y1
KR200476043Y1 KR2020140002760U KR20140002760U KR200476043Y1 KR 200476043 Y1 KR200476043 Y1 KR 200476043Y1 KR 2020140002760 U KR2020140002760 U KR 2020140002760U KR 20140002760 U KR20140002760 U KR 20140002760U KR 200476043 Y1 KR200476043 Y1 KR 200476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hackle
rod
block
front sha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그린
Priority to KR2020140002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앵커부(A)가 삽입된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
Figure 112014032642006-utm00010
"형상의 하부홈(210)으로 구성된 구조로서, 상부에 두 개의 중앙들고리체인(20)의 상부가 돌출되고, 또 전면으로는 전면샤클(130)이 돌출되도록 성형하여 이동 및 시공시 편리하게 하고, 또 두 개의 하부홈(210)에는 하부고정환봉(30)을 설치하여 토양에 고정되도록 구조를 개량한 앵커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앵커블럭 {Anker Block}
본 고안은 토사의 사면이나 암벽의 사면에 지지력을 보강하기위해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를 지지하고, 동시에 토사나 암벽의 사면에 접촉되어 토사나 암벽의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사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앵커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덕이나 산 비탈 등과 같은 장소에는 앵커유닛 및 콘크리트 등으로 제조된 앵커블록이 설치되는데, 상기의 앵커블록은 경사진 지형에 미리 설치시킨 앵커유닛의 노출된 일단부에 연결되어 경사면의 침식을 방지하여 붕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앵커블록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다수 열을 이루며 일정한 크기의 블록이 다수개가 설치되어 경사면 외부를 덮는 구조로 설치된다.
종래의 사면 또는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해 앵커볼트 등을 토사 또는 암석의 사면에 삽입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앵커볼트는 접촉면적이 작아 설치 후 장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지반의 침하나 토사의 유출 및 낙하로 인하여 앵커볼트의 접촉면의 지지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789460000(2010.08.24)호에는 중앙에 형성된 홈에 토사의 사면이나 암벽의 사면에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미리 설치된 앵커볼트를 삽입하고, 사면에 접촉되는 앵커블록의 접촉면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토사나 암벽의 사면에 앵커블록이 밀착되는 경우 앵커볼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토사나 암벽의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사면의 안전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앵커블록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41850000(2012.07.03)호에는 상하좌우 다수 열로 앵커유닛이 삽입된 지형에 상기 앵커유닛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지형을 안정시키는 앵커블록에 있어서,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 상기 지형에 삽입된 앵커유닛 복수 개에 동시에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홈 및 이동을 위한 로프가 걸리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걸이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홈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홈은 복수 개의 앵커유닛의 고정을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내측에 상기 앵커유닛이 삽입된 후 상기 몸체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앵커유닛과 접촉되는 부위의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상기 고정홈의 둘레부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보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의 외부 둘레를 따라서는 경사져 형성된 경사받침부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는 중앙몸체부와, 상기 중앙몸체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각각 소정 길이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보조몸체부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홈은 상기 보조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앵커유닛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앵커블록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090950000(2006.07.27)호에는 부방파제의 부유이동을 제한하도록 부방파제에 일단이 연결된 일정길이의 계류라인의 타단과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며, 해저면과 직교하도록 해저면에 침하되는 수직한 몸체를 갖추어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하부본체 ;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상기 해저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수평한 몸체를 갖추어 상기 해저면과의 접촉면에서 면압을 발생시키는 상부본체;를 포함한 앵커블록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80890000(2003.06.17)호에는 농업용, 공업용 또는 상수용의 대형 용수관을 구성할 때에 용수관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제(鋼製) 외관에 와이어를 권선(捲線)하되 이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앵커블록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78946호 2.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4185호 3.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09095호 4.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8089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앵커가 고정되어 토사 또는 토양의 강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여 앵커의 삽입시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하여 안정성의 문제점이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앵커부(A)가 삽입된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
Figure 112014032642006-utm00001
"형상의 하부홈(210)과, 상부에 두 개의 중앙들고리체인(20) 및 중앙 상부에 설치된 전면들고리체인(120)의 상부가 돌출되며, 전면에는 전면샤클(130)이 돌출되도록 성형하여 이동 및 시공시 편리하게 하고, 또 두 개의 하부홈(210)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의 하부고정환봉(30)을 설치하여 토양에 고정되도록 구조를 개량한 앵커블록을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고안은 접안시설(부잔교)설치시 앵커의 고정수단의 각도조절을 자유롭게 하여 바닥이 모래 혹은 자갈, 뻘 등 모든 지면에 설치가 용이하고, 약한 뻘에 대비하여 블록의 바닥과 뻘의 마찰저항을 최대화한 구조로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견고성을 증대시키는 체결 효과와 더불어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한 생산가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특징 및 사용이 간단하여 시공 작업의 단축으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본 고안의 앵커블록 전체도
도2 본 고안의 앵커블록 정면 상세도
도3 본 고안의 앵커블록 측단면 상세도
도4 본 고안의 앵커블록 평단면 상세도
도5 본 고안의 앵커부 세부 상세도
도6 본 고안의 앵커부 평단면 상세도
도7 본 고안의 하부프레임 상세도
본 고안은 "
Figure 112014032642006-utm00002
"형상의 하부홈(210)과, 상부에 두 개의 중앙들고리체인(20) 및 중앙 상부에 설치된 전면들고리체인(120)의 상부가 돌출되며, 전면에는 전면샤클(130)이 돌출되도록 성형하여 이동 및 시공시 편리하게 하고, 또 두 개의 하부홈(210)에는 두 개의 "
Figure 112014032642006-utm00003
"형상의 하부홈(210)에는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이 구비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의 하부고정환봉(30)이 각각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하부 뻘이나 시공하고자 하는 부분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앵커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앵커블럭 전면에 돌출된 고리 모양의 전면샤클(130)은 후면에 설치된 전면샤클고정대(131)에 의해 전면샤클고정봉(100)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샤클고정봉(100)의 중앙 상부에는 전면들고리체인(120)이 블록내에 매입되도록 성형되고 전면들고리체인(120)의 상부가 블록외부로 돌출되어 크레인등에 의해 이동 및 시공을 편리하게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앵커부(A)는 1개의 고정앵커부(A-1)와, 전면샤클부(A-2)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앵커부(A-1)는 하부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전면에서 보았을 때 "
Figure 112014070921042-utm00004
"형상의 바형태의 두 개의 하부프레임(300)과, 상기 하부프레임(300)의 양쪽끝단부가 관통되게 설치된 축봉(1)과, 상기 축봉(1)의 중앙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지지환봉(10)과, 상기 각각의 지지환봉(10) 끝부분 상부에 설치된 중앙들고리체인(20)과, 상기 축봉(1)의 하부프레임(300)에 내장된 양쪽 끝단부에 설치된 두 개의 연결핀(2)과, 상기 두 개의 연결핀(2)에 각각 설치된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의 하부고정환봉(30)과, 상기 하부고정환봉(30)의 두부일측에 설치된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샤클부(A-2)는 전면샤클고정용봉(100)과 상기 전면샤클고정봉(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전면들고리체인(120)과,
상기 전면샤클고정봉(100)의 전면에 연장되어 설치된 전면샤클고정대(131)와, 상기 전면샤클고정대(131)의 전면 끝단부에 형성되고 블록전면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고리형상의 전면샤클(130)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고안의 앵커블록 전체도, 도2 본 고안의 앵커블록 정면 상세도, 도3 본 고안의 앵커블록 측단면 상세도, 도4 본 고안의 앵커블록 평단면 상세도, 도5 본 고안의 앵커부 세부 상세도, 도6 본 고안의 앵커부 평단면 상세도, 도7 본 고안의 하부프레임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축봉(1), 연결핀(2), 지지환봉(10), 중앙들고리체인(20),하부고정환봉(30),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전면샤클고정봉(100), 전면들고리용체인(120), 전면샤클(130), 전면샤클고정대(131), 몸체(200), 하부홈(210), 하부프레임(300), 앵커부(A), 고정앵커부(A-1), 전면샤클부(A-2)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앵커블럭 구조는 도 1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부(A)가 삽입된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
Figure 112014032642006-utm00005
"형상의 하부홈(210)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돌출된 두 개의 중앙들고리체인(20)상부 및 전면들고리체인(120) 상부와, 전면에 외부로 돌출된 전면샤클(130)과,
상기 두 개의 하부홈(210)에 각각 하부홈(210)의 외부로 돌출된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이 구비된 하부고정환봉(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앵커부(A)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앵커부(A-1)와, 전면샤클부(A-2)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앵커부(A-1)는 하부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전면에서 보았을 때 "
Figure 112014070921042-utm00006
"형상의 바형태의 두 개의 하부프레임(300)과, 상기 하부프레임(300)의 양쪽끝단부가 관통되게 설치된 축봉(1)과, 상기 축봉(1)의 중앙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지지환봉(10)과, 상기 각각의 지지환봉(10) 끝부분 상부에 설치된 중앙들고리체인(20)과,
상기 축봉(1)의 하부프레임(300)에 내장된 양쪽 끝단부에 설치된 두 개의 연결핀(2)과, 상기 두 개의 연결핀(2)에 각각 설치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의 하부고정환봉(30)과, 상기 하부고정환봉(30)의 두부일측에 설치된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샤클부(A-2)는 전면샤클고정용봉(100)과 상기 전면샤클고정봉(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전면들고리체인(120)과, 상기 전면샤클고정봉(100)의 전면에 연장되어 설치된 전면샤클고정대(131)와, 상기 전면샤클고정대(131)의 전면 끝단부에 형성되고 블록전면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고리형상의 전면샤클(130)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성형방법을 설명하면,
성형틀하부 및 후면에 고정앵커부(A-1)를 설치하되,
성형틀 하부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전면에서 보았을 때 "
Figure 112014032642006-utm00007
"형상의 바형태의 두 개의 하부프레임(300)을 위치시키되,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300)의 후면 일측 끝단부가 관통되게 설치된 축봉(1)을 설치하고, 하부프레임(300)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축봉(1)의 양쪽 끝단부의 연결핀(2)을 위치시키고, 연결핀에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이 고정된 하부고정환봉(30)을 위치시키고,
이때,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이 고정된 하부고정환봉(30)을 하부프레임(300)의 하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시키고,
축봉(1)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두 개의 지지환봉(10)을 연결시키고, 상기 각각의 지지봉환봉(10) 끝부분에 상부로 중앙들고리체인(20)을 연결시키되,
이때 두 개의 중앙들고리체인(20)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시키고,
전면 중앙부에는 전면샤클부(A-2)를 위치시키되,
전면샤클고정용봉(100)의 중앙 상부에 전면들고리체인(120)을 위치시키고, 전면에는 끝단부에 전면샤클(130)이 구비된 전면샤클고정대(131)를 고정시키되,
전면들고리체인(120)의 상부가 블록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시키고,
전면샤클(130)이 블록 전면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시켜 성형하는 방법인 것이다.
사용방법은 이동 및 시공시
두 개의 중앙들고리체인(20), 전면들고리체인(120) 및 전면샤클(130)을 이용하여 크레인 등에 와이어등으로 연결하여 이동하며,
토양에 시공시 원하는 각도로 앵커블럭 하부홈에 외부로 설치된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이 고정된 하부고정환봉(30)의 각도를 조절하여 토양에 삽입시켜 시공하는 방법인 것이다.
축봉(1), 연결핀(2), 지지환봉(10), 중앙들고리체인(20), 하부고정환봉(30),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 전면샤클고정봉(100), 전면들고리용체인(120), 전면샤클(130), 전면샤클고정대(131), 몸체(200), 하부홈(210), 하부프레임(300), 고정앵커부(A-1), 전면샤클부(A-2).

Claims (2)

  1. 삭제
  2. 앵커블럭에 있어서,
    앵커부(A)가 삽입된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어 설치된 두 개의 "
    Figure 112014070921042-utm00018
    "형상의 하부홈(210)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돌출된 두 개의 중앙들고리체인(20)상부 및 전면들고리체인(120) 상부와, 전면에 외부로 돌출된 전면샤클(130)과,
    상기 두 개의 하부홈(210)에 각각 하부홈(210)의 외부로 돌출된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이 구비된 하부고정환봉(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부(A)는 고정앵커부(A-1)와, 전면샤클부(A-2)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앵커부(A-1)는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전면에서 보았을 때 "
    Figure 112014070921042-utm00009
    "형상의 바형태의 두 개의 하부프레임(300)과, 상기 하부프레임(300)의 양쪽끝단부가 관통되게 설치된 축봉(1)과, 상기 축봉(1)의 중앙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지지환봉(10)과, 상기 각각의 지지환봉(10) 끝부분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가 블록상부로 돌출된 중앙들고리체인(20)과,
    상기 축봉(1)의 하부프레임(300)에 내장된 양쪽 끝단부에 설치된 두 개의 연결핀(2)과, 상기 두 개의 연결핀(2)에 각각 설치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의 하부고정환봉(30)과, 상기 하부고정환봉(30)의 두부일측에 설치된 하부고정환봉벌림핀(31)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샤클부(A-2)는 전면샤클고정용봉(100)과 상기 전면샤클고정봉(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전면들고리체인(120)과,
    상기 전면샤클고정봉(100)의 전면에 연장되어 설치된 전면샤클고정대(131)와, 상기 전면샤클고정대(131)의 전면 끝단부에 형성되고 블록전면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고리형상의 전면샤클(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블럭.
KR2020140002760U 2014-04-04 2014-04-04 앵커블럭 KR200476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60U KR200476043Y1 (ko) 2014-04-04 2014-04-04 앵커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60U KR200476043Y1 (ko) 2014-04-04 2014-04-04 앵커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043Y1 true KR200476043Y1 (ko) 2015-01-23

Family

ID=5259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760U KR200476043Y1 (ko) 2014-04-04 2014-04-04 앵커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361B1 (ko) * 2015-06-17 2015-10-08 (주)아진이엔지 회전식 복합 앵커블록
KR20160149123A (ko) 2015-08-19 2016-12-27 (주)진양이엔지 회전식 복합 앵커블록
KR101878918B1 (ko) 2018-03-19 2018-08-16 노현희 수압을 이용한 계류앵커 블록 및 상기 블록의 매설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986A (ko) * 1995-04-25 1996-11-19 윤길수 자기 전개식 파일 앵커 및 이 파일 앵커가 타설된 콘크리트 닻 (anchor)
KR200457690Y1 (ko) * 2008-11-24 2011-12-29 한솔물산(주) 지반보강용 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7986A (ko) * 1995-04-25 1996-11-19 윤길수 자기 전개식 파일 앵커 및 이 파일 앵커가 타설된 콘크리트 닻 (anchor)
KR200457690Y1 (ko) * 2008-11-24 2011-12-29 한솔물산(주) 지반보강용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361B1 (ko) * 2015-06-17 2015-10-08 (주)아진이엔지 회전식 복합 앵커블록
KR20160149123A (ko) 2015-08-19 2016-12-27 (주)진양이엔지 회전식 복합 앵커블록
KR101878918B1 (ko) 2018-03-19 2018-08-16 노현희 수압을 이용한 계류앵커 블록 및 상기 블록의 매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043Y1 (ko) 앵커블럭
KR101278509B1 (ko) 다수의 관 부재를 이용한 석션기초와 그 시공방법
CN203034464U (zh) 一种桁架式基坑支护结构
CN107419734B (zh) 深厚填土边坡的网状支挡结构
KR101591812B1 (ko) 그리드 보강재와 강봉이 설치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CN206467674U (zh) 一种用于边坡治理的稳土系统
CN103741706B (zh) 一种深水开敞式组合基础码头及其建造方法
CN202851079U (zh) 一种高水材料充填柱
JP2017036592A (ja) 受圧板
CN103806451B (zh) 一种锚碇型基坑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CN211547696U (zh) 一种钢管桩
CN104389305A (zh) 一种填砂竹节桩及其施工方法
CN205205853U (zh) 生态绿格网挡墙结构
CN203530959U (zh) 一种高强度的地下连续墙
CN207598262U (zh) 一种可适应围岩大变形可缩式钢拱架连接接头
JP6829881B2 (ja)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による構築物の構築方法
JP4713277B2 (ja) 杭基礎補強構造
CN210529683U (zh) 一种用于软土地基的管桩
KR20150000446U (ko) 고정식 해양 구조물의 파일 고정용 그라우트 주입 장치
CN204023489U (zh) 一种桩基-柔性加筋垫层复合承台式板桩结构
KR20170087213A (ko) 개비온 펜스 및 개비온 펜스 시공방법
JP6280324B2 (ja) 配筋支持具及び当該配筋支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組積方法
KR101289821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85169B1 (ko) 분할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