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007Y1 - 다용도 걸이 - Google Patents

다용도 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007Y1
KR200476007Y1 KR2020130004513U KR20130004513U KR200476007Y1 KR 200476007 Y1 KR200476007 Y1 KR 200476007Y1 KR 2020130004513 U KR2020130004513 U KR 2020130004513U KR 20130004513 U KR20130004513 U KR 20130004513U KR 200476007 Y1 KR200476007 Y1 KR 200476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fixing
wall portion
hook
fixing part
vertic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249U (ko
Inventor
김영렬
김영두
Original Assignee
김영렬
김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렬, 김영두 filed Critical 김영렬
Priority to KR2020130004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0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62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다용도 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걸이는 상부를 이루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며, 길이면이 자유롭게 접혀지는 플렉시블 고정부;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의 길이면 중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호 탈착되는 탈착부재; 및 상기 걸이부와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의 연결부위에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본체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걸이부가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의 상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걸이{MULTIPURPOSE HANGER}
본 고안은 다용도 걸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다용도 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 방향제, 농작물의 성장을 위한 끈 및 전선 등과 같은 물품은 일정한 장소에 걸어 보관하거나 고정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는 각각의 물품별로 별도의 걸이를 사용하여 일정 장소에 걸거나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각각의 물품별로 별도의 걸이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이 불편하며, 물품 종류에 따라 별도의 걸이를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집게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231616호(등록일자 2001년 5월 10일)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100)는 옷장의 걸이봉이나 빨래줄 등에 걸 수 있는 걸이편(201), 걸이편(201) 하단에 일체로하여 성형되는 'U'자 형상을 갖는 지지부(200), 'U'자 형상의 모양을 갖는 지지부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물림부(300), 물림부(300)를 지지부(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축(400)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집게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제조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집게는 힌지축(400)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여 지지부(200)와 물림부(300)가 상호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활용도가 높은 다용도 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걸이는 상부를 이루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며, 길이면이 자유롭게 접혀지는 플렉시블 고정부;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의 길이면 중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호 탈착되는 탈착부재; 및 상기 걸이부와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의 연결부위에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본체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걸이부가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의 상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의 상단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몸체에는 상기 끼움 돌기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에 상기 구멍과 상기 끼움홈이 순서대로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부의 하단에는 복수의 돌출턱이 돌출되고, 상기 돌출턱들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는 상기 걸이부의 하단을 통과시키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을 통과한 상기 걸이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턱 중 하나의 돌출턱에 걸리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홀 주변의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몸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가이드홀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수직벽부와, 상기 제 1 수직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1 몸체의 내벽까지 연장된 제 1 수평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가이드홀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수직벽부와, 상기 제 2 수직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2 몸체의 내벽까지 연장된 제 2 수평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수직벽부와 상기 1 수평벽부로 만들어지는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수직벽부와 상기 제 2 수평벽부로 만들어지는 제 2 공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간에는 상기 걸이부가 흔들릴때 상기 가이드홀 주변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이 쉽고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제품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몸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보강부에 의해 걸이부가 빈번히 흔들릴때 발생하는 가이드홀 주변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게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걸이에서 플렉시블 고정부가 접히면서 고정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의 내부를 보이기 위해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걸이를 사용하여 바지를 거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걸이(1)는 상부를 이루는 걸이부(10), 길이면이 자유롭게 접혀지는 플렉시블 고정부(20), 플렉시블 고정부(20)의 길이면 중 상측과 하측에 각 형성되어 플렉시블 고정부(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호 탈착되는 탈착부재(30), 및 걸이부(10)와 플렉시블 고정부(20)을 고정시키는 연결부재(40)를 포함한다.
걸이부(10)는 일정한 위치에 본 고안의 다용도 걸이(1)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면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끈, 봉, 옷걸이, 빨래건조대 및 벽걸이 등에 걸기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40)는 사출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40)는 걸이부(10)와 플렉시블 고정부(2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연결부재(40)의 표면에는 상호, 상표, 제품명, 제품번호 및 메뉴얼 등과 같은 정보가 표기될 수 있다. 또한 걸이부(10)는 연결부재(4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부재(40)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렉시블 고정부(20)는 천 또는 가죽 또는 수지 등과 같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때, 플렉시블 고정부(20)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재료에 따라 제작 시 특정한 색상을 주입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도색(塗色) 또는 염색(染色)하거나 염료(染料)를 표면에 도포(塗布)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고정부(20)의 하단에는 플렉시블 고정부(20)의 하단을 감싸도록 마감부재(50)가 사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부재(50)는 플렉시블 고정부(20)의 하단이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1)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탈착부재(30)는 바람직하게 스냅 버튼(SNAP BOTTON, 일명 똑딱단추라도 칭한다.)일 수 있으며, 탈착부재(30)가 스냅 버튼일 경우 탈착부재(30)는 플렉시블 고정부(20)의 길이면 상측 또는 하측에 수 버튼(31)과, 해당 수 버튼(31)이 형성된 플렉시블 고정부(20)의 길이면 중에서 해당 수 버튼(3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암 버튼(33)을 포함한다.
탈착부재(30)는 플렉시블 고정부(20)에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플렉시블 고정부(2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플렉시블 고정부(20)가 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 고정부(20)를 접어서 수 버튼(31)과 암 버튼(33)이 상호 탈착되게 결합하는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플렉시블 고정부(20)가 접히면서 고정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잘 도시하고 있다.
한편, 탈착부재(30)가 스냅 버튼과 같은 구성을 이룰 시 물품(M)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되, 견고하게 고정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플렉시블 고정부(20)의 길이면을 접은 상태로 탈착 고정할 수 있다면 스냅 버튼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후크(hook) 결합방식 등을 포함하여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탈착부재(30)의 표면에는 상호, 상표, 제품명, 제품번호 및 메뉴얼 등과 같은 정보가 표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의 내부를 보이기 위해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10)는 상부를 이루는 고리(11)를 포함한다. 고리(11)는 하단 외주에 복수의 돌출턱(11a)이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턱(11a)들 사이에는 복수의 고정홈(11b)이 함몰 형성된다.
연결부재(40)는 제 1 몸체(41)와 제 2 몸체(42)가 상호 결합하게 조립되어 하나의 본체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본체는 내부에 수용공간(미도시)이 마련되고, 제 1 및 제 2 몸체(41, 42)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홀(43)이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가이드홀(44)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플렉시블 고정부(20)의 상단을 수용하는 수용홀(47)이 수용공간과 연통하게 각각 형성된다.
플렉시블 고정부(20)의 상부에는 구멍(21)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몸체(41, 42)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몸체에는 끼움 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몸체(41)에 끼움돌기(411)가 형성되고 제 2 몸체(42)에 끼움홈(421)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대로 제 1 몸체(41)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제 2 몸체(42)에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몸체(41)의 끼움돌기(411)에 플렉시블 고정부(20)의 구멍(21)이 끼워지고 제 2 몸체(41)의 끼움홈(421)이 순서대로 끼워진다. 이에 따라 본체에 플렉시블 고정부(20)가 간편하게 끼움 고정된다.
또한 상호 끼움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몸체(41, 42) 사이의 틈새를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켜 더욱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면서 제 1 및 제 2 몸체(41, 42)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삽입홀(43)에는 고리(11)의 하단이 삽입되는데, 고리(11)의 외주 길이는 삽입홀(43)의 내주 길이에 비해 작아 고리(11)가 삽입홀(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리(11)의 하단에는 복수의 돌출턱(11a)과 복수의 고정홈(11b)이 형성되어 고리(11)가 높은 하중에서도 연결부재(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고리(11)가 별도의 끈, 봉, 옷걸이, 빨래건조대 및 벽걸이 등에 걸린 상태에서 연결부재(40) 측에 큰 하중이 발생하였을 때 고리(11)의 고정홈(11b)이 가이드홀(44)내의 제 1 및 제 2 걸림턱(44a, 44b)에 걸리게 되어서 고리(11)와 연결부재(40)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턱(11a)은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돌출턱(11a) 사이에는 삽입홀(43)이 안착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홈(11b)이 형성되어 2중, 3중 및 다(多)중으로 고리(11)가 연결부재(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 고리(11)와 연결부재(40)의 결합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삽입홀(43)을 통과하는 고리(11)의 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44)에는 복수의 돌출턱(11a) 중 하나의 돌출턱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걸림턱(44a, 44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걸림턱(44a, 44b)에 의해 고리(11)가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걸림턱(44a, 44b)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체의 상부에서 고리(11)의 하단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몸체(42, 42)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는 삽입홀 주변의 모서리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몸체에는 그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제 1 몸체(41)에 결합돌기(414)가 형성되고 제 2 몸체(42)가 결합홈(424)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몸체(41)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 2 몸체(42)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몸체(41)에는 가이드홀(44)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수직벽부(415)와 그 제 1 수직벽부(415)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제 1 몸체(41)의 내벽까지 연장된 제 1 수평벽부(416)를 포함한다. 제 1 수직벽부(415)와 제 1 수평벽부(416)에 의해 제 1 공간(S1)이 만들어진다. 제 1 공간(S1)은 복수개이며, 제 1 몸체(41)의 내측 상부에서 가이드홀(44)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몸체(42)에도 가이드홀(44)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수직벽부(425)와, 그 제 2 수직벽부(425)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제 2 몸체(42)의 내벽까지 연장된 제 2 수평벽부(426)를 포함한다. 제 2 수직벽부(425)와 제 2 수평벽부(S2)에 의해 제 2 공간(S2)이 만들어진다. 제 2 공간(S2)도 마찬가지로 복수개이며, 제 2 몸체(42)의 내측 상부에서 가이드홀(44)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제 1 및 제 2 공간(S1, S2)에 의해 가이드홀(44)내에서 고리(11)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리(11)를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공간(S1, S2)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는 격자모양의 보강부(48)가 설치되어 고리(11)가 흔들릴때 가이드홀(44) 주변이 변형되지 않도록 본체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부(48)는 제 2 몸체(42)의 제 2 공간(S2)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반대로 제 1 몸체(41)의 제 1 공간(S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걸이를 사용하여 바지를 거는 바람직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1)는 바지, 방향제, 농작물의 성장을 위한 끈 및 전선 등과 같은 물품(M)을 일정 장소(P)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물품(M) 중 하나인 바지를 일예로 들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1)를 사용하여 물품(M)을 일정 장소(P)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여기서 도 7a는 물품(M)의 일예인 바지를 도시하고 있고, 도 7b는 물품(M)인 바지를 본 고안의 다용도 걸이(1)에 걸기 쉽도록 상단의 길이를 반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7c는 바지에 형성된 복수의 벨트 걸이 중 2개의 벨트 걸이(Ma, Mb)를 플렉시블 고정부(20)에 걸어 고정한 상태로 걸이부(10)를 일정 장소(P)에 선택적으로 고정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일정 장소(P)는 벽면이고 본 고안의 다용도 걸이(1)는 벽면에 부착된 벽걸이(P1)에 걸이부(10)가 걸려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1)의 탈착부재(30)는 도 7a, 7b를 참조하여, 바람직하게 벨크로(velcro, 일명 찍찍이)일 수 있으며, 그 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탈착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탈착부재(30)는 플렉시블 고정부(20)의 길이면 중에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플렉시블 고정부(20)를 접혀진 상태로 유지하게 하거나 또는, 플렉시블 고정부(20)를 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탈착부재(30)가 벨크로와 같은 구성을 이룰 시 물품(M)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되, 편리하고 신속하게 고정하여 사용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플렉시블 고정부(20)의 길이 면을 접은 상태로 탈착 고정할 수 있다면 벨크로 방식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냅 버튼 또는 후크(hook) 결합방식 등을 포함하여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걸이(1)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쉽고 제조가 쉬워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되게 하여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함에 따라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이 쉽고, 바지, 방향제, 농작물의 성장을 위한 끈 및 전선 등과 같은 물품(M)을 일정 장소(P)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하기 쉬우면서 물품(M)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플렉시블 고정부(20)가 플렉시블 한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 : 다용도 걸이 10 : 걸이부
11 : 고리 11a : 돌출턱
11b : 고정홈 20 : 플렉시블 고정부
21 : 구멍 30 : 탈착부재
31 : 수 버튼 33 : 암 버튼
40 : 연결부재 41, 42 : 제 1 및 제 2 몸체
411, 421 : 끼움돌기, 끼움홈 43 : 삽입홀
44 : 가이드홀 44a, 44b : 제 1 및 제 2 걸림턱
414, 424 : 결합돌기, 결합홈 415, 425 : 제 1 및 제 2 수직벽부
416, 426 : 제 1 및 제 2 수평벽부 47 : 수용홀
48 : 보강부 50 : 마감부재

Claims (7)

  1. 상부를 이루는 걸이부;
    길이면이 자유롭게 접혀지는 플렉시블 고정부;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의 길이면 중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호 탈착되는 탈착부재; 및
    상기 걸이부와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가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본체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걸이부가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는 상기 걸이부의 하단을 통과시키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을 통과한 상기 걸이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의 하단 외주에는 복수의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턱 중 하나의 돌출턱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고정부의 상부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몸체에는 상기 끼움 돌기에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에 상기 구멍과 상기 끼움홈이 순서대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 주변의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몸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가이드홀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수직벽부와, 상기 제 1 수직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1 몸체의 내벽까지 연장된 제 1 수평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가이드홀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수직벽부와, 상기 제 2 수직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2 몸체의 내벽까지 연장된 제 2 수평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직벽부와 상기 1 수평벽부로 만들어지는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수직벽부와 상기 제 2 수평벽부로 만들어지는 제 2 공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간에는 상기 걸이부가 흔들릴때 상기 가이드홀 주변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걸이.
KR2020130004513U 2013-06-05 2013-06-05 다용도 걸이 KR200476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13U KR200476007Y1 (ko) 2013-06-05 2013-06-05 다용도 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13U KR200476007Y1 (ko) 2013-06-05 2013-06-05 다용도 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49U KR20140006249U (ko) 2014-12-15
KR200476007Y1 true KR200476007Y1 (ko) 2015-01-20

Family

ID=5246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513U KR200476007Y1 (ko) 2013-06-05 2013-06-05 다용도 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0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899A (ja) 2000-08-10 2002-02-19 Nagabayashi Shoji Kk ハンガー
JP2002095622A (ja) 2000-09-26 2002-04-02 Sutooku:Kk ブーツハンガ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899A (ja) 2000-08-10 2002-02-19 Nagabayashi Shoji Kk ハンガー
JP2002095622A (ja) 2000-09-26 2002-04-02 Sutooku:Kk ブーツハンガ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49U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603B2 (en) Two piece design for coordinate loop hanger
US20140082892A1 (en) Headset cord holder
US20110120961A1 (en) Method for storing sandals and other loose items
JP2010246879A (ja) ストラップ及び付属物の連結装置
JP2020524769A (ja) マグネットフック
WO2015040526A1 (en) Suitcase with removable internal lining
US8973627B2 (en) Modular scarf purse
KR200476007Y1 (ko) 다용도 걸이
KR20150103802A (ko) 셔츠용 옷깃 걸이
KR100914262B1 (ko) 가방용 래치겸 연결고리와 이를 사용한 체인저블 핸드백
JP3179397U (ja) ハンガー
KR101823664B1 (ko) 골프 백
KR101437810B1 (ko) 체인저블 핸드백
US8662318B1 (en) Apparatus for carrying and storing footwear
KR200429807Y1 (ko) 의류용 태그 연결끈의 체결구
JPH08126504A (ja) 紐の連結具および紐体
KR200289295Y1 (ko) 착탈식 매트를 내장한 가방
KR101172172B1 (ko) 행거택용 걸이
KR200179837Y1 (ko)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101146247B1 (ko) 커버가 구비된 마네킹
KR200442587Y1 (ko) 넥타이 고정구
KR20170097309A (ko) 기능성방향제 내장이 가능한 조립식 옷걸이
KR200414765Y1 (ko) 액세서리 겸용 고정구
KR200287179Y1 (ko) 옷에 부착 가능한 소형 옷걸이
KR101445913B1 (ko) 옷걸이용 조립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