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990Y1 - 다기능 불판 - Google Patents

다기능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990Y1
KR200475990Y1 KR2020130010184U KR20130010184U KR200475990Y1 KR 200475990 Y1 KR200475990 Y1 KR 200475990Y1 KR 2020130010184 U KR2020130010184 U KR 2020130010184U KR 20130010184 U KR20130010184 U KR 20130010184U KR 200475990 Y1 KR200475990 Y1 KR 200475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line
bowl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교섭
Original Assignee
윤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교섭 filed Critical 윤교섭
Priority to KR2020130010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 또는 볶음밥 등을 요리할 수 있으면서 국을 담아 끓일 수 있도록 구현된 다기능 불판에 관한 것으로, 고기 또는 볶음밥을 요리하기 위한 불판부; 및 상기 불판부의 외측에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불판부와 함께 그릇 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한 그릇 형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불판 {Multifunctional Grill}
본 고안은 다기능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 또는 볶음밥 등을 요리할 수 있으면서 국을 담아 끓일 수 있도록 구현된 다기능 불판에 관한 것이다.
불판은 일반적으로 고기를 구워 먹기 위한 판으로써, 돌판이나 금속 재질로 형성된 판 등이 있으며, 열원 위에 안착시켜 고기를 올려 구워 먹을 수 있다. 그리고 냄비는 일반적으로 그릇 모양으로 형성되며, 국이나 찌개 등을 담아 끓일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8851호(2000.07.26 등록)는 돼지갈비나 소갈비, 등심등과 같은 각종 고기를 구워 먹는데 사용되는 고기 구이판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주연부에 다수개의 화염통과공이 형성된 고기 구이판에 있어서, 고기 구이판의 중앙부에는 가운데가 솟아서 중앙부가 불룩한 구면돌출부가 형성되고, 주연부에 형성되는 화염통과공은 3∼5cm 길이의 장홈이 일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며, 고기 구이판은 표면이 매끈한 3∼4mm 두께의 스텐레스판으로 제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25784호(2004.03.22 등록)는 통상의 냄비로 사용가능하며 보온냄비로서 이용 가능한 냄비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냄비 본체의 상부 내주부에 다른 냄비 본체의 상부 주연부가 걸쳐서 상기 냄비 본체 내에 상기 다른 냄비 본체를 걸쳐지는 상태로 수납할 수 있는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에 유연성 재질로 형성된 링 모양의 패킹을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냄비 본체의 내면과 다른 냄비 본체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단열 공간이 상기 링 모양 패킹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불판과 냄비가 각각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 불판 위에서 고기나 볶음밥 등을 요리하다가 국을 끓이려면 냄비를 가져와 국을 끓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8851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25784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기 또는 볶음밥 등을 요리할 수 있으면서 국을 끓일 수 있도록 형성된 다기능 불판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고기 또는 볶음밥을 요리하기 위한 불판부; 및 상기 불판부의 외측에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불판부와 함께 그릇 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한 그릇 형성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불판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불판부는, 고기 또는 볶음밥을 요리하기 위한 불판 부재; 및 상기 불판 부재의 외측에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불판 부재에서 요리한 후에 생긴 배출물을 담기 위한 라인 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인 홈 부재의 외측과 상기 그릇 형성부 사이를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라인 홈 부재의 외측과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 관통구; 및 상기 그릇 형성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통구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라인 홈 부재의 외측과 상기 그릇 형성부 사이를 결합할 때에,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가 만나도록 하여 상기 배출물을 배출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관통구가 있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라인 홈 부재의 내측과, 상기 제2 관통구가 있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그릇 형성부의 내측에 형성시켜, 상기 제1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가 만났는지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불판부와 상기 그릇 형성부 사이를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불판부와 상기 그릇 형성부 사이를 결합시켜, 상기 불판부에서 요리한 후에 생긴 배출물을 담기 위한 라인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그릇 형성부는,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그릇 형성부를 잡아 들어올리기 위한 다수 개의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고기 또는 볶음밥 등을 요리할 수 있으면서 국을 담아 끓일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의 다기능 불판을 제공함으로써, 고기 또는 볶음밥을 요리하면서 따로 냄비에 국을 담아 끓이지 않아도 되어 번거로움이 없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불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불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라인 부재 홈과 그릇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라인 부재 홈과 그릇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라인 부재 홈과 그릇 형성부에 형성되는 표시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불판부와 그릇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불판부와 그릇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그릇 형성부의 손잡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앨범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불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기능 불판은, 불판부(100), 그릇 형성부(200)를 포함한다.
불판부(100)는, 가운데 부분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외측에 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그릇 형성부(200)가 형성되며, 열원 위에 안착시킨 후 불판 위에 고기 또는 밥 등의 재료를 올려 사용자가 요리를 할 수 있는 판이다.
일 실시 예에서, 불판부(100)는, 가스레인지나 숯불 등에서 나오는 열원이 불판을 가열시키면 그 위에 고기를 올려 익힐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불판부(100)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이 고이지 않고 아래로 쉽게 흘러내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불판부(100)는, 가운데 볼록한 부분에 돌기(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기름과 함께 고기가 같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불판부(100)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예를 들어, 돌판, 스테인리스, 놋쇠 등)로 형성되어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하며, 판 전체에 열이 골고루 전도될 수 있다.
그릇 형성부(200)는, 불판부(100)의 외측에 상부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불판부(100)와 함께 그릇 모양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그릇 형성부(200)는, 불판부(100)와 함께 연결되어 그릇 모양을 형성하여 국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생성시켜 주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그릇 형성부(200)는, 불판부(100)에 국을 넣었을 때 국이 흐르지 않도록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불판부(100) 상부에서 고기를 구우면서 동시에 불판부(100)의 하부에 국을 부어 끓일 수 있거나, 고기를 먹은 뒤 불판부(100) 전체에 많은 양의 국을 부어 끓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다기능 불판은, 불판부(100)와 그릇 형성부(200)가 형성되어 불판부(100)에서 고기 또는 볶음밥 등을 요리하면서 그릇 형성부(200) 하부에 국을 담아 끓일 수도 있어 동시에 여러 가지 요리를 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불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불판부(100)는, 불판 부재(110), 라인 홈 부재(120)를 포함한다.
불판 부재(110)는,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라인 홈 부재(120)를 형성하며, 열원을 이용하여 가열시킨 후 그 위에서 고기를 굽거나 볶음밥 등을 요리하기 위한 판이다.
라인 홈 부재(120)는, 불판 부재(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외측 상부 방향으로 그릇 형성부(200)가 형성되며, 불판 부재(110)에서 요리를 하면서 나오는 기름, 찌꺼기 등의 배출물이 바닥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판 부재(110)보다 약간 아래에 오목하게 형성하여 배출물을 담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 홈 부재(120)는, 고기를 구울 때 물을 채워 넣어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통해 고기가 빨리 타는 것을 방지하며, 열기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효율적으로 고기를 구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 홈 부재(120)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바로 떨어져 불이 솟구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라인 부재 홈과 그릇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기능 불판은, 체결 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체결 부재(300)는, 라인 홈 부재(120)의 외측 말단과 그릇 형성부(200)의 내측 하부 사이에 형성되며, 라인 홈 부재(120)와 그릇 형성부(200) 사이를 분리하거나 결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300)는,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불판부(100)를 그릇 형성부(200)에 삽입한 후, 불판부(100)를 돌리면서 불판부(100)가 그릇 형성부(200)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3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라인 홈 부재(120)와 그릇 형성부(200) 사이를 결합할 때 꽉 쪼아 국을 담았을 때 틈 사이로 국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300)는, 나사산 대신에 동 패킹구조로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 수단(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라인 홈 부재(120)와 그릇 형성부(200) 사이를 밀착시켜 결합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300)는, 라인 홈 부재(120)의 외측에 나산산이 형성되고 그릇 형성부(200)의 내측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을 서로 체결시켜 라인 홈 부재(120)와 그릇 형성부(200)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라인 홈 부재(120)의 외측 부분과 그릇 형성부(200)의 내측 부분이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300)는, 제1 관통구(310), 제2 관통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구(310)는, 라인 홈 부재(120)의 외측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불판부(100) 위에 고기를 올려 구우면 고기가 익으면서 기름이 나오게 되는데, 라인 홈 부재(120) 아래로 흘러 내려온 기름을 라인 홈 부재(120)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관통구(310)는,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기름이 불판 위에 계속 고여 기름이 튀거나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관통구(310)는, 기름 외에도 찌꺼기나 요리를 하면서 나오는 다양한 배출물들이 빠져나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관통구(310)는, 배출물을 외부로 빠르게 배출하기 위해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구(320)는, 그릇 형성부(200)가 라인 홈 부재(120)와 결합할 때에 제1 관통구(310)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1 관통구(310)를 통해 배출되는 기름이나 찌꺼기 등의 배출물을 그릇 형성부(20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관통구(320)는, 체결 부재(300)가 라인 홈 부재(120)와 그릇 형성부(200) 사이를 결합할 때에 제1 관통구(310)와 만나 서로 관통되어, 기름이나 찌꺼기 같은 여러 배출물들을 그릇 형성부(2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관통구(320)는, 라인 홈 부재(120)에 제1 관통구(310)가 형성된 개수와 위치에 맞게 형성되어 제1 관통구(31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구(310, 32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배출물이 중간에 고이지 않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구(310, 320)는, 라인 홈 부재(120)와 그릇 형성부(200)가 결합하여 서로 관통된 후에, 제1 관통구(310)를 옆으로 살짝 돌려 제2 관통구(320)와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국을 담았을 때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구(310, 320)는, 마개(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관통구(310, 320)의 입구를 막아 국을 담았을 때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있는 라인 부재 홈과 그릇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체결 부재(300)는, 라인 홈 부재(120)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그릇 형성부(200)의 내측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을 서로 결합하여 라인 홈 부재(120)와 그릇 형성부(200)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300)는, 제3 관통구(330), 제4 관통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관통구(330)는, 라인 홈 부재(120)의 외측에 형성되며, 불판부(100)에서 흘러나온 배출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4 관통구(340)는, 그릇 형성부(20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제3 관통구(330)와 연결되어 제3 관통구(330)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5는 도 3에 있는 라인 부재 홈과 그릇 형성부에 형성되는 표시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기능 불판은, 불판부(100), 그릇 형성부(200), 표시 부재(130, 210), 관통구(310, 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불판부(100), 그릇 형성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며, 관통구(310, 32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표시 부재(130, 210)는, 라인 홈 부재(120)의 내측과 그릇 형성부(200)의 내측에 형성되며, 관통구(310, 320)가 위치한 부분을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표시 부재(130)는, 제1 관통구(310)의 입구에서 불판부(100) 중심 방향으로 라인 홈 부재(120)의 내측에 직선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표시 부재(210)는, 제2 관통구(320)의 입구에서 그릇 형성부(200)의 상부 방향으로 그릇 형성부(200)의 내측에 직선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 부재(130, 210)는, 눈에 잘 띄는 색상으로 관통구(310, 320)를 따라 형성되며, 라인 홈 부재(120)와 그릇 형성부(200)가 결합했을 때 표시 부재(130, 210)가 일직선으로 이어지면, 제1 관통구(310)와 제2 관통구(320)가 만나 연결된 것으로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불판부와 그릇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기능 불판은, 체결 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체결 부재(400)는, 불판부(100)의 외측과 그릇 형성부(20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며, 불판부(100)와 그릇 형성부(200) 사이를 분리하거나 결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400)는, 도 3에 도시된 체결 부재(300)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400)는 제1 관통구(310)와 제2 관통구(320)를 포함하는데, 특히 제1 관통구(310)는 수직하게 형성되는 홀 부분과 해당 홀에 연결되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홀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다기능 불판은, 라인 홈(410)을 더 형성한다.
라인 홈(410)은, 불판부(100)와 그릇 형성부(200)가 결합하면서 불판부(100)와 그릇 형성부(200) 사이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요리 시에 나오는 기름이나 찌꺼기 등의 배출물을 담을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불판부와 그릇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 부재(400)는, 도 6과 같은 관통구(310, 320)가 형성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일체형처럼 불판부(100)와 그릇 형성부(200)를 바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불판부(100)와 그릇 형성부(200) 사이에 라인 홈(410)을 형성한다.
도 8은 도 1에 있는 그릇 형성부의 손잡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기능 불판은, 불판부(100), 그릇 형성부(200), 손잡이 부재(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불판부(100), 그릇 형성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손잡이 부재(220)는, 그릇 형성부(200)의 외측에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형태로 형성되며, 이동시킬 때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 부재(220)는, 불판부(100)를 그릇 형성부(200)에 삽입하여 돌리면서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데, 손잡이 부재(220)를 잡고 쉽게 돌려 결합,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 부재(220)는, 필요에 따라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 전도율이 낮은 재질(예를 들어, 세라믹 등)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았을 때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불판부
110 : 불판 부재
120 : 라인 홈 부재
130, 210 : 표시 부재
200 : 그릇 형성부
220 : 손잡이 부재
300, 400 : 체결 부재
310, 320, 330, 340 : 관통구
410 : 라인 홈

Claims (10)

  1. 고기 또는 볶음밥을 요리하기 위한 불판부(100); 및
    상기 불판부(100)의 외측에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불판부(100)와 함께 그릇 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한 그릇 형성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불판부(100)는,
    고기 또는 볶음밥을 요리하기 위한 불판 부재(110);
    상기 불판 부재(110)의 외측에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불판 부재(110)에서 요리한 후에 생긴 배출물을 담기 위한 라인 홈 부재(120); 및
    상기 라인 홈 부재(120)의 외측과 상기 그릇 형성부(200) 사이를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300)는,
    상기 라인 홈 부재(120)의 외측과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1 관통구(310); 및
    상기 그릇 형성부(200)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 관통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310, 32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300)는,
    상기 라인 홈 부재(120)의 외측과 상기 그릇 형성부(200) 사이를 결합할 때에, 상기 제1 관통구(310)와 상기 제2 관통구(320)가 만나도록 하여 상기 배출물을 배출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구(310)가 있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라인 홈 부재(120)의 내측과, 상기 제2 관통구(320)가 있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그릇 형성부(200)의 내측에 형성시켜, 상기 제1 관통구(310)와 상기 제2 관통구(320)가 만났는지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부재(130, 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부(100)와 상기 그릇 형성부(200) 사이를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 부재(400)는,
    상기 불판부(100)와 상기 그릇 형성부(200) 사이를 결합시켜, 상기 불판부(100)에서 요리한 후에 생긴 배출물을 담기 위한 라인 홈(4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9. 삭제
  10. 삭제
KR2020130010184U 2013-12-09 2013-12-09 다기능 불판 KR200475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184U KR200475990Y1 (ko) 2013-12-09 2013-12-09 다기능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184U KR200475990Y1 (ko) 2013-12-09 2013-12-09 다기능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990Y1 true KR200475990Y1 (ko) 2015-01-16

Family

ID=5259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184U KR200475990Y1 (ko) 2013-12-09 2013-12-09 다기능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99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348Y1 (ko) 2003-11-05 2004-01-24 김영진 다목적 조리기구
KR20120007757U (ko) * 2011-05-03 2012-11-13 예종욱 다용도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348Y1 (ko) 2003-11-05 2004-01-24 김영진 다목적 조리기구
KR20120007757U (ko) * 2011-05-03 2012-11-13 예종욱 다용도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US20130298781A1 (en) Portable Passive Convection Cooking Oven
US10612788B2 (en) Gas cooktop and grate for the gas cooktop
US9655471B2 (en) Disposable, non-absorbent, splatter guard
WO2013096961A1 (en) Pan, system and method of cooking
US20120213901A1 (en) Food Warmer and Cooker Apparatus with Basket Inserts
US20070170183A1 (en) Multi-Chambered Heating Method and Apparatus
EP1764559B1 (en) Cooking grate assembly
KR200475990Y1 (ko) 다기능 불판
KR101350636B1 (ko) 다용도 조리기구
WO2017094244A1 (ja) 加熱調理器
KR101713432B1 (ko) 다기능 불판
KR100675917B1 (ko) 스팀을 이용한 조리기구
JP5630762B2 (ja)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CN201519045U (zh) 多功能蒸屉
CN205560885U (zh) 一种烤涮一体灶
KR200406422Y1 (ko) 조리 기구
CN207590471U (zh) 一种炒锅
KR20100103910A (ko) 조리 기구
TWM325797U (en) Pot with steam cook function
CN213282599U (zh) 多功能蒸烤炊具
CN209899076U (zh) 一种涮烤一体组合锅
CN201008505Y (zh) 锅体的改进结构
CN205410835U (zh) 一种改进的蒸锅
KR101628808B1 (ko) 조리용기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