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925Y1 - 깁스 환자용 신발 - Google Patents

깁스 환자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925Y1
KR200475925Y1 KR2020140007787U KR20140007787U KR200475925Y1 KR 200475925 Y1 KR200475925 Y1 KR 200475925Y1 KR 2020140007787 U KR2020140007787 U KR 2020140007787U KR 20140007787 U KR20140007787 U KR 20140007787U KR 200475925 Y1 KR200475925 Y1 KR 200475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ottom plate
piece
to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민
Original Assignee
한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민 filed Critical 한재민
Priority to KR2020140007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925Y1/ko
Priority to PCT/KR2015/004245 priority patent/WO2016068422A1/ko
Priority to US14/819,410 priority patent/US20160113820A1/en
Priority to CN201510520801.5A priority patent/CN105534628A/zh
Priority to TW104128559A priority patent/TW201615112A/zh
Priority to JP2015175395A priority patent/JP2016083350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61F13/043Shoe-like cast covers; Cast sock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95Pieced up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시 환부는 물론 깁스로부터 노출된 환자의 발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깁스 환자용 신발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은, 발가락을 제외한 발 부위에 깁스를 한 환자가 외출시 사용하기 위한 깁스 환자용 신발로서, 상기 환자의 발을 지지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깁스를 포함한 환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발등을 덮는 부분에 제1결착수단을 구비한 덮개편; 및 상기 환자의 발가락이 위치하는 바닥판의 전면부로부터 연장되고, 환자의 발가락을 수용하도록 구부러지며, 상기 덮개편의 제1결착수단과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1결착수단과 상호 결착되는 제2결착수단을 구비한 보호편;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과 덮개편 및 보호편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깁스 환자용 신발{Shoee for gips patient}
본 고안은 깁스 환자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시 환부는 물론 깁스로부터 노출된 환자의 발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깁스 환자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이나 다리 및 팔의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가는 등의 골절상을 입는 경우, 또한, 인대가 늘어나는 경우, 환부에 일명 스타키넷트(stokinette)라고 하는 피부 보호용 천을 착용한 후 그 위에 솜을 여러 차례 감고, 이에 경화용 유약에 적신 경화용 붕대를 수회 감아서 경화시키는 플래이스터 오브 패리스(Plaster of Paris) 시술방법을 통하여 치료해왔다. 즉, 소석고의 분말에 물을 가하면 신속하게 굳는 성질이 있는데, 붕대에 분말석고를 묻혀 두고 사용 직전에 소명반을 가한 42~43℃의 온수에 담근 후 신체의 환부에 대약 0.5cm 정도의 두께로 감고, 이를 20분 정도 두면 붕대가 단단하게 굳게 되며, 이것을 깁스라고 한다.
따라서,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가는 등의 골절상을 입는 경우, 깁스를 한 상태로 한 달 이상을 두게 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골절상이 자연 치유된다.
한편, 골절로 인해 깁스를 하는 경우, 깁스 부위의 부피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불편함을 받게 된다. 특히, 발을 다친 경우, 발가락을 제외하고 발등 전체와 발목 부위에 깁스를 하게 되는바, 이 경우에는 발 부위의 부피가 상당히 커짐으로써 평소에 착용하던 신발은 착용할 수 없게 되고, 이는 외출시에 불편함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깁스 환자의 신발 대용으로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깁스 환자용 신발이 제안된바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279호에 "깁스 환자용 신발"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깁스 환자용 신발은 밑창과 수용부를 가지며, 수용부의 앞부분은 환자의 발이 착탈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뒷부분 하부는 환자의 발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하단 테두리 주위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그 환자의 발 뒤꿈치가 노출되어 외부로 개방되는 주름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깁스용 신발은 착용 시 환자의 발가락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보행 시 부득이하게 여타의 물체와 부딪칠 경우, 또한, 뜨거운 물, 날카롭거나 무거운 물체가 노출된 발가락에 떨어지는 경우, 발가락에 상처를 입히거나 심지어 골절 등의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추운 겨울철에는 발가락의 노출로 인해 외출 시 동상에 걸릴 위험이 상당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덧신이나 양말을 착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03279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6128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깁스 부위는 물론 깁스로부터 노출된 발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함으로써 원치 않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깁스 환자용 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은 발가락을 제외한 발 부위에 깁스를 한 환자가 외출시 사용하기 위한 깁스 환자용 신발로서, 상기 환자의 발을 지지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깁스를 포함한 환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발등을 덮는 부분에 제1결착수단을 구비한 덮개편; 및 상기 환자의 발가락이 위치하는 바닥판의 전면부로부터 연장되고 환자의 발가락을 수용하도록 구부러지며 덮개편의 제1결착수단과 마주하는 부분에 제1결착수단과 상호 결착되는 제2결착수단을 구비한 보호편;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과 덮개편 및 보호편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덮개편 및 보호편은 일체형의 EVA(Ethylene Vinyl Acet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2∼3㎝ 두께를 갖고, 상기 덮개편 및 보호편은 1∼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수단은 상기 바닥판의 양측으로부터 발등을 덮는 덮개편 양측 부분들 하면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착수단은 상기 제1결착수단과 접하는 보호편 부위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착수단은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깁스 환자용 신발에 따르면, 착용시 깁스로부터 노출된 환자의 발가락을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원치 않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깁스 환자용 신발을 탄성력이 우수하고 연질이며 취급이 용이한 EVA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착용감이 우수하여 환자에게 매우 실용적일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의 깁스 환자용 신발은 EVA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제작하기 때문에 바닥판 및 덮개편을 각각 제작한 후, 상호 연결해야 하는 종래기술 대비 신발 제조를 간략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의 보호 편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깁스 환자용 신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의 보호편의 결합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깁스 환자용 신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의 덮개편 및 보호편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의 보호편이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 예를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아울러, 제1구성요소가 제2구성요소 상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다. 즉,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두께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보호 편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보호편의 결합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덮개편 및 보호편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보호편이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100)은 발가락을 제외한 발 부위에 깁스를 한 환자가 외출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판(10), 덮개편(20) 및 보호편(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깁스를 한 환자의 발을 지지함과 함께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10)은 환자의 깁스를 한 두꺼운 발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발 모양의 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환자의 발이 지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바닥판(10)은 적절한 쿠션 성을 갖도록 함을 통해 보행시 환자의 체중을 분산시켜 환부에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판(10)은 깁스를 한 환자의 발과 접촉하는 면에 복수의 돌기(12)를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바닥판(10)은 우수한 탄성력을 가지면서 연질이고 취급이 용이한 EVA(Ethylene Vinyl Acet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적절한 쿠션 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2∼3㎝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닥판(10)의 저면은 지면과의 마찰력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덮개편(20)은 바닥판(10)의 상면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깁스를 한 환자의 환부, 즉, 발을 감싸면서 전체적으로 그 내부에 환부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편(20)은 환자의 뒤꿈치가 위치하는 후면 측은 막는 반면, 환자의 발가락이 위치하게 되는 전면 측은 개방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깁스를 한 환자 발의 양측 각각에서 발등 부위에 놓이게 되는 결착부(20a)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결착부들(20a)의 저면, 즉, 환자의 발등과 접하는 면에는 제1결착수단(22)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착수단(22)은 벨크로테이프(velcro tape)의 거친 면 또는 부드러운 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결착수단(22)은 환자의 환부나 깁스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벨크로테이프의 부드러운 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편(20)은 그의 양 측면 및 후면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40)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풍구들(24)에 의해 환자의 발에서 나온 땀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미관상 수려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통풍구(40)의 모양은 본 실시 예의 단순 모양 이외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트 모양이나 별 모양은 물론 미관상 아름다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모양들이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통풍구(40)의 설치 위치 또한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덮개편(20)은 EVA 재질의 바닥판(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덮개편(20) 또한 EVA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덮개편(20)은 1∼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보호편(30)은 깁스로부터 노출된 환자의 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바닥판(10)의 전면부로부터 연장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보호편(30)은 환자가 깁스를 한 그의 발을 바닥판(1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환자의 노출된 발가락을 수용하는 형태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 상태를 유지하여 환자의 발가락을 지속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판(20)의 결착부(20a)에 마련된 제1결착수단(22)과 결착된다. 이를 위해, 보호편(30)의 하면 끝부분에는, 즉, 덮개판(20)의 제1결착수단(22)과 접하게 되는 보호판(30) 부분에는 제1결착수단(22)과의 결착을 위한 제2결착수단(32)이 설치된다.
이때, 제2결착수단(32)은 제1결착수단(22)과 접하는 보호편(30) 부위 전체에 마련됨으로써 길이 조절을 통해 다양한 발가락 길이의 환자들 모두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결착수단(32)은 벨크로테이프의 거친 면 또는 부드러운 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덮개편(20)의 결착부(20a)에 마련되는 제1결착수단(22)이 벨크로테이프의 부드러운 면으로 설치된 경우, 보호판(32)에 형성되는 제2결착수단(32)은 벨크로테이프의 거친 면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편(30)은 EVA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바닥판(10) 및 덮개편(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환자의 발가락을 덮도록 구부러질 수 있으면서 환자의 발가락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덮개편(20)과 동일하게 1∼5㎜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편(30)은 외부로부터 한계치 이하의 충격을 받는 경우 이를 감쇄시켜서 그 내부에 수용된 환자의 발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편(30)은 환자의 발가락 앞면 및 상면을 덮는 반면, 측면은 덮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땀 및 이로 인한 냄새 등이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호편(30)은 환자의 발가락이 외부로 노출되어 보행 시 여타의 물체와 부딪치게 되거나 뜨거운 물 등이 노출된 발가락에 떨어져 2차적인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바, 그 형상 및 구조는 본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모양 및 구조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닥판(10), 덮개편(20) 및 보호편(30)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100)의 상기 덮개편(20) 내에 수용되도록 깁스(60)를 한 환자의 발(50)을 넣는다. 이때, 바닥판(10)은 깁스(60)를 한 환자의 발(50)을 지지하게 되며, 덮개편(20)는 이렇게 수용된 발(50)을 감싸게 되고, 특히, 덮개편(20)의 결착부(20a)는 발등 부위에 놓이게 된다. 반면, 보호편(30)은 깁스(60)로부터 노출된 환자의 발가락을 덮지 않은 상태로 바닥판(10)의 전면 측으로부터 길게 연장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보호편(30)을 구부려 노출된 환자의 발가락 부분을 포함하여 이에 인접한 발등 부위를 감싸도록 하면서, 그 끝단에 설치된 제2결착수단(32)이 덮개편(20)의 결착부(20a) 아래에 위치하도록 삽입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보호편(30)의 제2결착수단(32)과 덮개편(20) 결착부(20a)를 상호 결착해준다. 이때, 보호편(30)의 구부러짐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발가락 길이들 모두를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 발가락을 제외하고 발 부위에 깁스(60)를 한 환자는 그의 발가락을 보호한 상태로 본 고안의 신발(100)을 착용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깁스(60)로부터 노출된 발가락을 원치않는 위험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과 덮개편 및 보호편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은 양호한 탄성을 가지면서 연질이고 취급이 용이한 EVA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출성형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은 EVA 재질로 제작하되, 바닥판과 덮개편 및 보호편을 각각 마련한 후에 이들을 상호 결합시켜 제작하는 방법이 아닌, 사출성형 등의 공정을 통해 몰드에서 한번에 바닥판과 덮개편 및 보호편 모두를 찍어내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은 그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통해 제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고안의 깁스 환자용 신발은 깁스로부터 노출된 환자의 발가락을 보호편으로 덮어줌으로써 보행시 원치 않는 위험으로부터 노출된 발가락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바닥판, 덮개편 및 보호편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은 보호편의 전반적인 모양과 형상을 안정성과 제조성, 그리고, 심미감에 의거하여 인체 공학적인 최적의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환자에게 양호한 착용감과 더불어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덮개편 및 보호편에 병원이나 제조 및 판매회사의 로고 등을 새겨줌으로써 분실 방지는 물론 광고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0: 바닥판 12: 돌기
20: 덮개편 20a: 결착부
22: 제1결착수단 30: 보호편
32: 제2결착수단 40: 통풍구
50: 환자의 발 60: 깁스
100: 신발

Claims (4)

  1. 발가락을 제외한 발 부위에 깁스를 한 환자가 외출시 사용하기 위한 깁스 환자용 신발로서,
    상기 환자의 발을 지지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깁스를 포함한 환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발등을 덮는 부분에 제1결착수단을 구비한 덮개편; 및
    상기 환자의 발가락이 위치하는 바닥판의 전면부로부터 연장되고, 환자의 발가락을 수용하도록 구부러지며, 상기 덮개편의 제1결착수단과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제1결착수단과 상호 결착되는 제2결착수단을 구비한 보호편;
    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과 덮개편 및 보호편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환자용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덮개편 및 보호편은 EVA(Ethylene Vinyl Acetate)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환자용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2∼3㎝ 두께를 갖고, 상기 덮개편 및 보호편은 1∼5㎜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환자용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수단은 상기 바닥판의 양측으로부터 발등을 덮는 덮개편 양측 부분들 하면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착수단은 상기 제1결착수단과 접하는 보호편 부위 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착수단은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환자용 신발.
KR2020140007787U 2014-10-27 2014-10-27 깁스 환자용 신발 KR200475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787U KR200475925Y1 (ko) 2014-10-27 2014-10-27 깁스 환자용 신발
PCT/KR2015/004245 WO2016068422A1 (ko) 2014-10-27 2015-04-28 깁스 환자용 신발
US14/819,410 US20160113820A1 (en) 2014-10-27 2015-08-05 Shoes for cast-worn patient
CN201510520801.5A CN105534628A (zh) 2014-10-27 2015-08-21 用于石膏患者的鞋
TW104128559A TW201615112A (zh) 2014-10-27 2015-08-31 用於石膏患者的鞋
JP2015175395A JP2016083350A (ja) 2014-10-27 2015-09-07 ギブス患者用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787U KR200475925Y1 (ko) 2014-10-27 2014-10-27 깁스 환자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925Y1 true KR200475925Y1 (ko) 2015-01-14

Family

ID=5258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787U KR200475925Y1 (ko) 2014-10-27 2014-10-27 깁스 환자용 신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13820A1 (ko)
JP (1) JP2016083350A (ko)
KR (1) KR200475925Y1 (ko)
CN (1) CN105534628A (ko)
TW (1) TW201615112A (ko)
WO (1) WO201606842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701A (ja) * 1998-05-06 1999-11-16 Nippon Health Shoes Kk モカシン型の靴
KR20100119049A (ko) * 2009-04-30 2010-11-09 유실근 발 정형용 신발
KR101188698B1 (ko) 2010-12-14 2012-10-08 남용우 깁스 환자용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6963B1 (fr) * 1982-12-06 1985-10-04 Boussac Saint Freres Bsf Chaussure enveloppante a chaussage aise, adaptable a la conformation du pied
US5462069A (en) * 1992-10-05 1995-10-31 Cohen; Jack Post-surgical toe guard and tongue
CN2206047Y (zh) * 1994-11-19 1995-08-30 吕联宗 鞋头可装卸的鞋子
JP2001149105A (ja) * 1999-11-30 2001-06-05 Keiai Gishi Zairyo Hanbaisho:Kk 小児用整形靴
US20060254090A1 (en) * 2005-05-10 2006-11-16 Baxter Richard P Sole cover for work shoes or boots
CN201550676U (zh) * 2009-11-25 2010-08-18 裴岩明 安全拖鞋
CN202959000U (zh) * 2012-12-06 2013-06-05 台州市红孩子鞋业有限公司 一种用于保护脚趾的凉鞋
CN203435780U (zh) * 2013-09-10 2014-02-19 青岛市市立医院 一种骨折康复护理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3701A (ja) * 1998-05-06 1999-11-16 Nippon Health Shoes Kk モカシン型の靴
KR20100119049A (ko) * 2009-04-30 2010-11-09 유실근 발 정형용 신발
KR101188698B1 (ko) 2010-12-14 2012-10-08 남용우 깁스 환자용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5112A (zh) 2016-05-01
US20160113820A1 (en) 2016-04-28
JP2016083350A (ja) 2016-05-19
CN105534628A (zh) 2016-05-04
WO2016068422A1 (ko) 2016-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558B1 (ko) 깁스용 신발의 보호커버
US20150374094A1 (en) Wearable Pedicure Protection Device
US7305776B2 (en) Integrated flexible metatarsal guard with extended toe cap
EP2838394B1 (en) Wearable pedicure protection device
US20120304493A1 (en) Fashion Shoe Having A Removable Insole and Footbed Cover
KR102377163B1 (ko) 다리 보호대
US695499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gaging toes in footwear
KR10151328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가락 보호용 커버를 구비한 깁스용 신발
KR101255186B1 (ko) 깁스용 신발
KR200475925Y1 (ko) 깁스 환자용 신발
KR102300241B1 (ko) 캐스트 슈즈용 발가락 보호 신발
KR101483410B1 (ko) 깁스용 신발
KR101375440B1 (ko) 깁스용 신발
KR101694798B1 (ko) 다리 보호대
KR102506592B1 (ko)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KR102302799B1 (ko) 보호커버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깁스용 신발
KR102160594B1 (ko) 신발
CA2518028C (en) Integrated flexible metatarsal guard with extended toe cap
KR200427201Y1 (ko) 발 뒤꿈치 각질 방지용 보호대
RU206419U1 (ru) Ботинки защитные ортопедические
KR200308096Y1 (ko) 보호 신발
KR200393834Y1 (ko) 개량안전장화
US20050096577A1 (en) Pedi protector
KR102472598B1 (ko) 다리 보호대
KR200427166Y1 (ko) 하절기용 간편 덧버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