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163B1 - 다리 보호대 - Google Patents

다리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163B1
KR102377163B1 KR1020210112219A KR20210112219A KR102377163B1 KR 102377163 B1 KR102377163 B1 KR 102377163B1 KR 1020210112219 A KR1020210112219 A KR 1020210112219A KR 20210112219 A KR20210112219 A KR 20210112219A KR 102377163 B1 KR102377163 B1 KR 10237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hole
bottom plate
protrusion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김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2021011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163B1/ko
Priority to EP22181683.8A priority patent/EP4140456A1/en
Priority to CN202210749314.6A priority patent/CN115721468A/zh
Priority to US17/851,388 priority patent/US20230062522A1/en
Priority to JP2022104828A priority patent/JP7440114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4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between upper and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61F13/043Shoe-like cast covers; Cast s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61F13/045Walking soles or 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5Shoe-like orthopaedic devices for protecting the feet against injuries after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da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는 다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부; 보호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발을 받치도록 구성되는 바닥판부; 및 바닥판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을 포함하고, 바닥판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미드솔에는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미드솔의 돌출부가 바닥판부의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바닥판부와 미드솔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다리 보호대{LEG PROTECTOR}
본 발명은 다리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다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발 또는 다리에 염좌, 골절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경우, 물리적 치료를 진행하는 것과 더불어 발 또는 다리를 고정하여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부목 또는 깁스를 사용하여 발 또는 다리를 고정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부목 또는 깁스를 사용하는 경우 발 또는 다리 등을 고정하기 위해 여러 부재가 필요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지나치게 제한하여 보행 및 기타 신체 활동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키 부츠 형태로 형성되어 다리를 보호하고 발을 지지하면서도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다리 보호대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리 보호대는 부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금속 내지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이 닿는 바닥판 역시 동일하게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리 보호대는 부목 또는 깁스보다 사용에 편리하지만, 기존의 다리 보호대의 구조에 의하면 여전히 보행 시 발에 충격이 가해지는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부상을 악화시키거나 또 다른 부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보행 시 발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충격을 완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의 다리 보호대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694792호(2017. 1. 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 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발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리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는 다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부; 보호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발을 받치도록 구성되는 바닥판부; 및 바닥판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을 포함하고, 바닥판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미드솔에는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미드솔의 돌출부가 바닥판부의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바닥판부와 미드솔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홀은 다리 보호대 착용 시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발 뒤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홀은 착용자의 발 뒤꿈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홀은 하나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홀은 복수의 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홀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드솔의 돌출부는 바닥판부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드솔의 돌출부는 바닥판부의 홀에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가 바닥판부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는 미드솔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아웃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드솔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돌기가 형성되고, 아웃솔에는 측면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측면 돌기가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미드솔과 아웃솔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발목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부; 보호부에 결합되고, 발을 받치도록 구성되는 인솔; 및 인솔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을 포함하고, 인솔에는 홀이 형성되고, 미드솔에는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미드솔의 돌출부가 인솔의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인솔과 미드솔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미드솔은 인솔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드솔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가 바닥판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하중을 분산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미드솔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미드솔과 아웃솔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미드솔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위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00)는 보호부(110), 바닥판부(120), 미드솔(130), 아웃솔(140) 및 토캡(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00)의 보호부(110)는 다리를 고정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보호부(110)는 다리의 적어도 일부, 즉 다리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보호부(110)는 다리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부 및 다리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좌, 우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110)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는 각각 벨크로 등의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이 좌우 대칭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10)에는 땀 배출 및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통기공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리 보호대(100)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00)의 바닥판부(120)는 발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닥판부(120)는 좌, 우측 양쪽의 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좌우가 대칭인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판부(120)는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경질의 소재,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경질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판부(120)는 보호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보호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부(110)와 바닥판부(120)가 공지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분리,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00)의 미드솔(130)은 바닥판부(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드솔(130)은 바다판부(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가 대칭인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드솔(130)은 충격 흡수 및 하중 분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바닥판부(120)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미드솔(130)은, 예를 들어 EVA(Ethylene-Vinyl Acetate), 우레탄, PU(Polyurethane), 발포 스펀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드솔(130)과 바닥판부(1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즉 미드솔(130)의 상면과 바닥판부(120)의 하면은 접착제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바닥판부(120)에 홀이 형성되고 이에 미드솔(130)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바닥판부(120)와 미드솔(13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미드솔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00)의 바닥판부(120)에는 보호부(110)와 바닥판부(120)를 연결하는 부분과 인접한 위치, 즉 다리 보호대 착용 시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발 뒤꿈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부(120)에 형성되는 홀(121)은 착용자의 발 뒤꿈치 영역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 또는 그 이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판부(120)의 후방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대략 반원 형상의 하나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홀(121)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에는 바닥판부(120)의 하면과 미드솔(130)의 상면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홀(120)의 크기는 다리 보호대(100)의 사용 대상, 미드솔(130)과 바닥판(120)의 접착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홀(121)과 별개로 바닥판부(120)에는 다수의 통기홀(123)이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홀(123)은 땀 배출 및 통풍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00)의 미드솔(130)에는 바닥판부(120)에 형성되는 홀(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1)는 바닥판부(120)와 미드솔(130)의 결합 시 바닥판부(120)에 형성되는 홀(121)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드솔(130)의 돌출부(131)는 바닥판부(120)의 홀(121)에 대응하는 형상, 예를 들어 하나의 큰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131)는 홀(121)에 억지 끼움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드솔(130)의 돌출부(131)는 바닥판부(120)의 홀(121)에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가 바닥판부(120)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드솔(130)의 돌출부(131)는 바닥판부(120)의 홀(121)에 결합 시 바닥판부(120)의 상면에서 3 내지 7mm 정도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리 보호대(100)를 착용하여 보행할 때 착용자의 발바닥, 특히 발 뒤꿈치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고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부(120)와 미드솔(130)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미드솔(130)의 일부가 바닥판부(120)를 관통하여 착용자의 발바닥, 예를 들어 발 뒤꿈치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착용자의 보행 시 하중을 분산하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바라본 경우 미드솔(130)의 면적은 바닥판부(12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미드솔(13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미드솔(130)의 측면 돌기(133)는 아웃솔(140)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그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00)의 아웃솔(140)은 미드솔(130)의 하부에서 미드솔(130)을 감싸는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아웃솔(140)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어 EVA, 우레탄, PU, 발포스펀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리 보호대(100)를 실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웃솔(140)을 결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웃솔(140)만을 분리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외 이동 시 다리 보호대(100) 전체를 신거나 벗을 필요가 없게 되어, 청결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웃솔(140)은 미드솔(130)을 감싸는 형태를 갖기 위해 미드솔(130)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웃솔(140)과 미드솔(130)의 결합을 위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드솔(13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돌기(133)가 형성되고, 아웃솔(140)에는 미드솔(130)의 측면 돌기(1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홈(14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미드솔과 아웃솔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미드솔(130)을 아웃솔(140)에 결합할 때, 미드솔(130)과 아웃솔(140)이 모두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기에, 미드솔(130)의 측면 돌기(133)가 아웃솔(140)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측면 돌기(13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아웃솔(140)의 삽입홈(143)에 삽입될 수 있다. 측면 돌기(133) 및 삽입홈(143)의 모양과 개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 유지력, 탈거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미드솔(130)의 하면에는 제1 굴곡부(135)가 형성되고, 아웃솔(140)의 상면에는 미드솔(130)의 제1 굴곡부(135)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굴곡부(14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미드솔(130)과 아웃솔(140)이 결합할 때, 측면 돌기(133)가 삽입홈(143)에 끼워지면서 동시에, 미드솔(130)의 제1 굴곡부(135)가 아웃솔(140)의 제2 굴곡부(145)의 굴곡 형상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드솔(130)은 아웃솔(140)보다 상대적으로 경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드솔(130)을 아웃솔(140)에 결합하는 경우 아웃솔(140)이 벌어지면서 미드솔(13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웃솔(140)을 분리하는 경우 아웃솔(140)이 유연하게 구부러지면서 쉽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미드솔(130)과 아웃솔(140)을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간단한 방법,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아웃솔을 바닥에 두고 미드솔을 위에서 가압하는 방식으로 정확한 위치에 아웃솔을 미드솔에 탈부착할 수 있고, 아웃솔의 탈부착을 통해 다리 보호대(100)를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아웃솔(140)의 하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거나 미끄럼 방지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00)의 토캡(150)은 발가락을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발가락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토캡(150)은 바닥판부(120)의 전면부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필요 시 탈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바닥판부(120)에 형성되는 홀(121)과 그에 대응하는 미드솔(130)의 돌출부(131)가 각각 1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홀과 돌출부의 개수와 형상은 달라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분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200)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호부(210), 바닥판부(220), 미드솔(230), 아웃솔(240) 및 토캡(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리 보호대(2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바닥판부(220)에 형성되는 홀(221)과 미드솔(230)에 형성되는 돌출부(231)의 모양과 개수에 있어서 앞서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미드솔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200)의 바닥판부(220)에는 보호부(210)와 바닥판부(220)를 연결하는 부분과 인접한 영역, 즉 착용자의 발 뒤꿈치 영역에 상응하는 위치에 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판부(220)에 형성되는 홀(221)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22)를 사이에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221)은 전체적으로 발 뒤꿈치 형상과 유사한 반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지지대가 방사상 형태로 배치되고,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바닥판부(220)의 후방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3개의 홀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판부(220)에 형성되는 홀(221)에는 미드솔(230)의 돌출부(231)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지지대(222)의 하면을 포함하는 바닥판부(220)의 하면은 미드솔(230)과 공지의 접착 방법에 의해 접착,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200)의 미드솔(230)에는 바닥판부(220)에 형성되는 홀(2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미드솔(230)의 돌출부(231)는 바닥판부(220)의 홀(2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돌출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홀의 중심에 지지대를 형성함으로써, 미드솔과 바닥판부의 결합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미드솔이 바닥판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신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사용자의 발목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부, 보호부에 결합되고, 신발 착용 시 사용자의 발을 받치도록 구성되는 인솔 및 인솔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을 포함할 수 있다. 인솔에는 신발 착용 시 사용자의 발 뒤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미드솔에는 인솔에 형성되는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미드솔의 돌출부가 인솔의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인솔과 미드솔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미드솔은 인솔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보행 시 신발 사용자의 발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다리 보호대
110, 210: 보호부
120, 220: 바닥판부
121, 221: 홀
123, 223: 통기홀
130, 230: 미드솔
131, 231: 돌출부
133, 233: 측면 돌기
135: 제1 곡면부
140, 240: 아웃솔
143: 삽입홀
145: 제2 곡면부
150, 250: 토캡
222: 지지대

Claims (10)

  1. 다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부;
    상기 보호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발을 받치도록 구성되는 바닥판부; 및
    상기 바닥판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
    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에는 상기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드솔의 돌출부가 상기 바닥판부의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미드솔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홀은 다리 보호대 착용 시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발 뒤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미드솔의 돌출부는 상기 바닥판부의 홀에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닥판부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부에는 상기 미드솔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과 별개로 통기홀이 형성되는, 다리 보호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홀은 착용자의 발 뒤꿈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다리 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홀은 하나의 홀로 구성되는, 다리 보호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홀은 복수의 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리 보호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돌출부는 상기 바닥판부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다리 보호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아웃솔을 더 포함하는
    다리 보호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솔에는 상기 측면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미드솔과 상기 아웃솔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다리 보호대.
  10. 발목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부;
    상기 보호부에 결합되고, 발을 받치도록 구성되는 인솔; 및
    상기 인솔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
    을 포함하고,
    상기 인솔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에는 상기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드솔의 돌출부가 상기 인솔의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인솔과 상기 미드솔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솔에 형성되는 홀은 착용자의 발 뒤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의 돌출부는 상기 인솔의 홀에 삽입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솔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솔에는 상기 미드솔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과 별개로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은 상기 인솔보다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신발.
KR1020210112219A 2021-08-25 2021-08-25 다리 보호대 KR10237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219A KR102377163B1 (ko) 2021-08-25 2021-08-25 다리 보호대
EP22181683.8A EP4140456A1 (en) 2021-08-25 2022-06-28 Leg protector
CN202210749314.6A CN115721468A (zh) 2021-08-25 2022-06-28 腿部护具
US17/851,388 US20230062522A1 (en) 2021-08-25 2022-06-28 Leg protector
JP2022104828A JP7440114B2 (ja) 2021-08-25 2022-06-29 足プロテクタ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219A KR102377163B1 (ko) 2021-08-25 2021-08-25 다리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163B1 true KR102377163B1 (ko) 2022-03-23

Family

ID=8096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219A KR102377163B1 (ko) 2021-08-25 2021-08-25 다리 보호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62522A1 (ko)
EP (1) EP4140456A1 (ko)
JP (1) JP7440114B2 (ko)
KR (1) KR102377163B1 (ko)
CN (1) CN1157214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770A (ko) 2021-11-24 2023-05-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기억합금 및 직물 스트레인 센서를 이용한 발목 보호대 및 발목 보호 방법
KR102568643B1 (ko) * 2022-12-20 2023-08-21 강영욱 아웃솔 탈부착이 용이한 스플린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09B1 (ko) * 2014-03-04 2015-05-14 주식회사 영원아웃도어 충격흡수용 신발 밑창
KR101694792B1 (ko) 2016-03-16 2017-01-10 김충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KR20170107884A (ko) * 2016-03-16 2017-09-26 김충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99868A (en) * 1996-12-03 1999-02-25 Bodyworks Healthcare Ltd Orthotic walker including an apertured bottom plate, a liner and a sole engageable with the underside of the plate
US7111416B2 (en) * 2003-04-07 2006-09-26 Gallegos Alvaro Z Footwear
KR100627678B1 (ko) 2006-04-28 2006-09-26 이병헌 신발의 솔 구조
US10667939B2 (en) 2016-03-15 2020-06-02 Choonghwan KIM Leg protector and shoe sole for same
KR102102700B1 (ko) * 2018-10-18 2020-04-21 곽동주 부츠형 깁스
KR102232398B1 (ko) * 2020-05-27 2021-03-26 김춘석 부목 성형체의 재성형 후 발가락보호수단의 이동이 가능한 깁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09B1 (ko) * 2014-03-04 2015-05-14 주식회사 영원아웃도어 충격흡수용 신발 밑창
KR101694792B1 (ko) 2016-03-16 2017-01-10 김충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KR20170107884A (ko) * 2016-03-16 2017-09-26 김충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770A (ko) 2021-11-24 2023-05-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기억합금 및 직물 스트레인 센서를 이용한 발목 보호대 및 발목 보호 방법
KR102568643B1 (ko) * 2022-12-20 2023-08-21 강영욱 아웃솔 탈부착이 용이한 스플린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0456A1 (en) 2023-03-01
CN115721468A (zh) 2023-03-03
JP2023033119A (ja) 2023-03-09
US20230062522A1 (en) 2023-03-02
JP7440114B2 (ja)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7491C (en) Orthotic foot device with removable support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107472B2 (en) Orthotic foot device with removable support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6666411B2 (ja) 足プロテクターおよびそのためのインソール
KR102377163B1 (ko) 다리 보호대
US20030005599A1 (en) Modular cushioned insole support system
US7305776B2 (en) Integrated flexible metatarsal guard with extended toe cap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JP2022530486A (ja) 着用が簡便な機能性靴
US20180042336A1 (en) Cushion pad
US5799416A (en) Anti-blister shoe grips
CN217337582U (zh) 一种护踝鞋和脚踝保护件
KR101694805B1 (ko) 다리 보호대
KR101694798B1 (ko) 다리 보호대
KR102506592B1 (ko)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KR101791188B1 (ko) 기능성 깔창
KR100832882B1 (ko) 신발 착용용 부상 방지기구
CN220458704U (zh) 一种可同时提供跖骨和脚踝保护的安全鞋
KR102472598B1 (ko) 다리 보호대
KR102310154B1 (ko) 기능성 슬리퍼
KR101205185B1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
KR200486203Y1 (ko) 발가락 스타킹
KR200296322Y1 (ko) 롤러 스케이트
KR20190059403A (ko) 편안한 발바닥
KR20200064572A (ko) 키높이 뒤꿈치 패드
KR20230071651A (ko) 1인가구를 위한 핸드폰 어플 디자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