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60Y1 - 주사 바늘 - Google Patents

주사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60Y1
KR200475860Y1 KR2020130010959U KR20130010959U KR200475860Y1 KR 200475860 Y1 KR200475860 Y1 KR 200475860Y1 KR 2020130010959 U KR2020130010959 U KR 2020130010959U KR 20130010959 U KR20130010959 U KR 20130010959U KR 200475860 Y1 KR200475860 Y1 KR 200475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injection needle
hollow
present
su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소연
Original Assignee
양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소연 filed Critical 양소연
Priority to KR2020130010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주사 바늘은 몸체와 칼날 삽입부로 구성된다. 몸체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을 갖는다. 칼날 삽입부는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몸체의 폭보다 넓은 지지부와 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칼날을 갖는다.

Description

주사 바늘{Injection Needle}
본 고안은 주사 바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피부의 상하부 조직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주사 바늘에 관한 것이다.
주사 바늘은 보통 피하 조직에 약물을 주입하거나 의료용 실을 삽입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주사 바늘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피부를 관통할 때 주사 바늘의 관통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주사 바늘은 끝을 뾰죡하게 형성한다. 뾰족한 끝은 관통 저항을 줄여, 통증 유발을 줄이고, 피부 삽입도 수월하게 한다.
그런데, 주사 바늘의 끝을 뾰족하게 할 때, '코링 (coring)' 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이 US 3,071,135호에 개시되어 있다. US 3,071,135호는 주사 바늘의 측부를 비스듬히 깎은 형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주사 바늘은 대부분 그 끝이 뾰족하고, 또한 측부를 컷팅하여 다수의 경사면을 갖게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뾰족한 단부를 갖는 주사 바늘로는 피부 조직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해 피부 조직 내에 봉합사를 삽입하여 피부 조직의 일부를 자리 이동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단부가 뾰족한 주사 바늘은 지나가는 피하 조직 내의 미세 혈관을 쉽게 관통하기 때문에, 시술 시에 피부 조직을 멍들게 하는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은 이러한 주사 바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피부의 상하 조직을 쉽게 분리함으로써 봉합사를 이용한 의료 시술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둘째, 피부 조직 내의 미세 혈관 손상을 줄여 시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주사 바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사 바늘은 몸체와 칼날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을 갖는다.
칼날 삽입부는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몸체보다 폭이 넓은 부분을 갖는다. 또한, 칼날 삽입부는 지지부와 칼날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몸체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며, 칼날은 지지부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다.
본 고안의 주사 바늘에서, 칼날 삽입부는 단부를 호형으로 구성한다.
본 고안의 주사 바늘에서, 칼날 삽입부는 단부를 일자 형태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은 몸체와 칼날 삽입부 사이에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경사부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주사 바늘에 의하면, 주사 바늘의 몸체보다 칼날 삽입부의 폭을 넓게 구성함으로써 칼날 삽입부를 피부에 삽입할 때 피부의 상하 조직이 상하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분리된 상부 조직 또는 하부 조직에 봉합사를 삽입하면, 봉합사가 삽입된 조직이 이웃 조직과 분리되어 있어 봉합사를 당기는 것만으로도 해당 조직의 위치를 더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주사 바늘은 단부가 넓고 부드러워, 피부 조직 내의 미세 혈관을 밀치고 지나갈 가능성이 높아, 미세 혈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을 적용할 수 있는 봉합사 삽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2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3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4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5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6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7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을 적용할 수 있는 봉합사 삽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사 삽입기는 주사 바늘(10), 손잡이(20), 봉합사(30), 봉합사 지지 링(40), 커버(50) 등을 포함한다.
주사 바늘(10)은 인체의 피부 조직을 쉽게 뚫을 수 있게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H)은 주사 바늘(10)의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주사 바늘(10)의 후단에는 주사 바늘 고정부(11)가 구비되어 있는데, 주사 바늘 고정부(11)에 주사 바늘(10)이 결합된다. 여기서, 주사 바늘 고정부(11)는 그 외주면이 커버(60)의 일측 내주면과 면결합하면서 커버(60)를 고정한다.
손잡이(20)는 주사 바늘 고정부(11)에 연장 결합되며, 주사 바늘(10)을 파지하는 부분이다. 손잡이(20)의 형상은 원기둥, 플레이트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봉합사(30)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실을 말한다. 의료용 봉합사는 인체에 무해하며, 근육 내에 삽입되어 잔존하더라도 인체와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봉합사(30)는 그 일부가 주사 바늘(10)의 중공(H) 내에 삽입되고, 일부는 주사 바늘(10)의 외부에 위치한다.
봉합사 지지 링(50)은, 봉합사(30)를 내장하며 주사 바늘(10)의 외주 면에 결합되고, 주사 바늘(10)에서 분리 가능하며, 또한 주사 바늘(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다.
커버(60)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된 타단은 주사 바늘 고정부(11)의 외주면에 결합하며, 그 내부에 위치하는 주사 바늘(10), 봉합사(30), 봉합사 지지 링(40)을 외부 오염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2a~2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 바늘(10)은 몸체(B), 칼날 삽입부(S1) 등으로 구성된다.
몸체(B)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튜브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속에 길이 방향으로 따라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칼날 삽입부(S1)는 경사부(S11)와 칼날부(S12)로 구성된다. 경사부(S11)와 칼날부(S12)의 경계는, 도 2a~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H)이 형성된 부분, 예를들어 중공(H)의 상하 중심선으로 할 수 있다.
경사부(S11)는 경사면을 평면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경사각은 중공(H)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30°~ 60°로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30°~ 45°로 구성할 수 있다.
칼날부(S12)는 경사각을 중공(H)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5°~ 20°로 구성하고, 바람직하게는 10°~ 15°로 구성할 수 있다. 칼날부(S12)는, 도 2a~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부(S12)의 경사를 동일한 경사각으로 구성하여 전체가 칼날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칼날부(S12)의 단부와 경사부(S11) 사이를 넓게, 즉 몸체(B)보다 폭을 넓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칼날부(S12)의 단부도 몸체(B)보다 폭을 넓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칼날부(S12)는 단부만을 칼날 형태로 구성하고, 경사부(S11)와 단부(칼날) 사이에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부의 폭은 몸체(B)보다 넓게 구성할 수 있다.
칼날부(S12)는 그 단부를 호형 또는 일자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그 측부도 호형 또는 일자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a~3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례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칼날 삽입부(S2)의 형상이 다르다. 즉, 칼날 삽입부(S2)는 경사부(S21)와 칼날부(S22)로 구성되는데, 경사부(S21)와 칼날부(S22)의 경계를 중공(H)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 즉 중공(H)의 하부 측에서 정한다. 예를들어, 중공(H)의 하면 끝이나 중공(H)의 하면 끝과 주사 바늘(10)의 하부 외면 사이의 소정 위치로 정할 수 있다.
경사부(S21)는 경사면을 평면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경사각을 중공(H)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35°~ 70°로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35°~ 50°로 구성할 수 있다.
칼날부(S22)는 경사각을 중공(H)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8°~ 20°로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8°~ 15°로 구성할 수 있다. 그 밖의 칼날부(S22)의 형상은 도 2a~2c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칼날부(S12)의 형상과 유사하므로, 칼날부(S22)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칼날부(S12)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4a~4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 바늘(10)은 몸체(B), 칼날 삽입부(S3) 등으로 구성된다.
몸체(B)는 튜브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속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H)은 칼날 삽입부(S3)의 중앙에서 외부로 개방된다.
칼날 삽입부(S3)는 하나의 곡면 형상의 칼날부(S32)로 구성할 수 있다. 곡면 칼날부(S32)는 그 경사각을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을 직선으로 연결할 때 중공(H)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30°~ 60°로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30°~ 45°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곡면 칼날부(S32)의 곡면은, 도 4a~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H) 부분이 함몰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곡면 칼날부(S32)의 곡면을 중공(H) 부분을 돌출시키는 형상, 즉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곡면 칼날부(S32)의 단부는 칼날 형태로 구성되며, 그 평면적 형상은 호형 또는 일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칼날의 경사각은 중공(H)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5°~ 20°로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10°~ 15°로 구성할 수 있다. 곡면 칼날부(S32)의 측부는 호형 또는 일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곡면 칼날부(S32)의 단부, 즉 칼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칼날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5a~5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 바늘(10)은 몸체(B), 칼날 삽입부(S4) 등으로 구성된다.
몸체(B)는 튜브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속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칼날 삽입부(S4)는 경사부(S41)와 칼날부(S42)로 구성된다. 경사부(S41)와 칼날부(S42)의 경계는 중공(H)이 형성된 부분, 예를들어 중공(H)의 상하 중심선으로 정할 수 있다.
경사부(S41)는 경사각을 중공(H)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20°~ 50°로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20°~ 30°로 구성할 수 있다.
칼날부(S42)는 곡면 형상으로 구성하며, 곡면의 경사각은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을 직선으로 연결할 때 중공(H)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30°~ 60°로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30°~ 45°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단부를 더 작은 경사각으로 구성하기 위해, 중공(H) 부분이 함몰되는 형상으로 곡면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돌출되는 형상으로 곡면을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칼날부(S42)는 경사각을 중공(H)의 중심축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5°~ 20°로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8°~ 15°로 구성할 수 있다. 그 밖의 칼날부(S4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a~6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례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경사부(S51)와 칼날부(S52)의 경계를 중공(H)의 하면 끝으로 정하고 있다.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례에서, 경사부(S51)는 제3 실시예보다 그 경사각이 작을 수 있고, 칼날부(S52)의 경사각은 제3 실시예보다 커질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3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제3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7a~7c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 바늘의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례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경사부(S61)와 칼날부(S62)의 경계를 중공(H)의 하면 끝과 주사 바늘(10)의 하부 외면 사이의 소정 위치로 정하고 있다.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례에서는, 경사부(S61)의 경사각을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례보다도 작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칼날부(S62)의 경사각은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례보다 커질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3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제3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상, 본 고안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들을 기초로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로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 : 주사 바늘 11 : 주사 바늘 고정부
20 : 손잡이 30 : 봉합사
40 : 봉합사 지지 링 50 : 커버
B : 몸체 H : 중공
S1 ~ S6 : 칼날 삽입부

Claims (6)

  1. 주사 바늘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보다 폭이 넓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일자 형태의 칼날을 갖는 칼날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바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30010959U 2013-12-31 2013-12-31 주사 바늘 KR200475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959U KR200475860Y1 (ko) 2013-12-31 2013-12-31 주사 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959U KR200475860Y1 (ko) 2013-12-31 2013-12-31 주사 바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860Y1 true KR200475860Y1 (ko) 2015-01-07

Family

ID=5258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959U KR200475860Y1 (ko) 2013-12-31 2013-12-31 주사 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09A (ko) * 2016-12-28 2018-07-06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시술용 조각 바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6151A (ja) * 2009-10-19 2011-07-14 Terumo Medical Corp 着脱可能な注射針組立体及び低デッドスペースを有している注射器組立体
KR20130020123A (ko) * 2011-08-19 2013-02-27 윤인모 피부조직거상술용 수술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6151A (ja) * 2009-10-19 2011-07-14 Terumo Medical Corp 着脱可能な注射針組立体及び低デッドスペースを有している注射器組立体
KR20130020123A (ko) * 2011-08-19 2013-02-27 윤인모 피부조직거상술용 수술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09A (ko) * 2016-12-28 2018-07-06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시술용 조각 바늘
KR101888929B1 (ko) 2016-12-28 2018-08-16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시술용 조각 바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986B2 (en) Subcutaneous delivery tool
US7204828B2 (en) Collection needle
US8257392B2 (en) Intimacy medical needle designed for nerve stimulation through soft tissue and microadhesiolysis of adhered soft tissue and medical instrument using the same
KR101371948B1 (ko) 매선용 침술기
EP3020430B1 (en) Cannula for catgut-embedding therapy
US20130338694A1 (en) Optical obturator assembly
AU2002331760A1 (en) Collection needle
KR101760920B1 (ko)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RU2015118459A (ru)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криволинейную иглу
KR101805763B1 (ko) 도침
ES2861930T3 (es) Dispositivo de inyección de producto inyectable que consta de una cánula que se desliza en una aguja y sistema que utiliza dicho dispositivo
KR200475860Y1 (ko) 주사 바늘
RU2690399C2 (ru) Узел иглы губера с безопасным захват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2032510B1 (ko) 의료용 트로카
KR102044624B1 (ko) 출혈 받이 리프팅용 주사침
US977597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acilitating the repositioning of implanted medical devices
US10485625B1 (en) Sterile stand for supporting surgical instruments
JP2022512504A (ja) 医療ベベルニードル
KR102360346B1 (ko) 의료용 니들장치
Islam New sternal puncture needle.
JP2012232044A (ja) 骨セメント注入用穿刺針、ハンドルホルダ及び骨セメント注入針セット
US20040102808A1 (en) Needle for retrieving a suture
ES1066272U (es) Aguja hipodermica.
KR200470622Y1 (ko) 실 삽입기
CN216317828U (zh) 医用隧道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