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622Y1 - 실 삽입기 - Google Patents

실 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622Y1
KR200470622Y1 KR2020120002136U KR20120002136U KR200470622Y1 KR 200470622 Y1 KR200470622 Y1 KR 200470622Y1 KR 2020120002136 U KR2020120002136 U KR 2020120002136U KR 20120002136 U KR20120002136 U KR 20120002136U KR 200470622 Y1 KR200470622 Y1 KR 200470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eedle
suture
needle
thread
ins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632U (ko
Inventor
양소연
Original Assignee
양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소연 filed Critical 양소연
Priority to KR2020120002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62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6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인체 내로 실을 삽입하는 실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주사 바늘; 주사 바늘의 후단에 결합되어 주사 바늘을 지지하는 주사 바늘 고정부; 주사 바늘의 타단에서 주사 바늘의 중공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되는 실; 주사 바늘의 외부 면에 주사 바늘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노출된 실을 내장하여 주사 바늘의 외부 면에 지지하는 실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 삽입기 {A Device for Inserting a Suture into Human Body}
본 고안은 실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에 실을 삽입하기 위한 인체용 실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질병에 대한 저항력과 스스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자연 치유능력이 있다. 자연 치유능력이란 몸에 열이 날 때 땀구멍을 통해 땀을 배출하여 열기를 방출함으로써 체온을 유지하는 것, 상한 음식을 먹거나 과음/과식했을 때 토를 하여 속을 보호하고 소화 기능을 정상화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인체의 근육을 이루는 근육 섬유도 자연 치유능력을 가지고 있다. 즉, 근육 내에 이물질이 들어오면 이물질 근처로 자생 물질이 모여들어 침범한 이물질에 대항한다. 이러한 자생 물질은 근육을 보호하는 것이 주 목적이지만, 결과적으로 근육을 강화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현대인들은 스트레스, 운동 부족, 과식 등으로 체력이 약해져 있다. 그 결과, 현대인들은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약한 충격에도 쉽게 다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약해진 근육에 의료용 봉합사를 삽입하여, 약해진 근육을 강화하는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7310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는, 약해진 근육 내로 봉합사를 삽입하여 해당 부위의 근육을 강화하는 봉합사 삽입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 구성을 보면, 주사 바늘, 봉합사, 보호 튜브를 포함하고 있다. 주사 바늘은 일단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봉합사는 그 일부가 주사 바늘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튜브는 주사 바늘과 봉합사를 내장하여 이들을 보호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봉합사 삽입기는 봉합사가 주사 바늘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보관 중에 또는 봉합사를 인체에 삽입하기도 전에, 봉합사가 주사 바늘에서 빠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 주사 바늘에 봉합사를 다시 삽입하여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손으로 봉합사나 주사 바늘을 만지게 되어 병원균이 봉합사나 주사 바늘에 묻게 된다. 결국, 주사 바늘에서 봉합사가 빠진 봉합사 삽입기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특허등록제10-0473108호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봉합사를 주사 바늘에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보관 중이나, 시술 중에도, 봉합사가 주사 바늘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봉합사나 주사 바늘이 오염될 가능성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봉합사 삽입기의 폐기율을 줄임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봉합사 삽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봉합사를 주사 바늘에 고정하는 실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 삽입기는 주사 바늘, 주사 바늘 고정부, 실, 그리고 실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주사 바늘은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주사 바늘 고정부는 주사 바늘의 후단에 결합되어 주사 바늘을 지지한다. 실은, 일단은 주사 바늘의 타단에서 주사 바늘의 중공 내로 삽입되고, 타단은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된다. 실 지지부재는,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된 실을 내장하면서 노출된 실을 주사 바늘의 외부 면에 밀착하고, 주사 바늘의 외부 면에서 주사 바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한다.
실 지지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들어 폰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 지지부재는 주사 바늘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리 형상의 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리 형상의 링은 일부가 개방된 절단 개방부를 가지며, 주사 바늘의 측부가 이 절단 개방부에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리 형상의 링과 주사 바늘이 결합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 삽입기에 의하면, 실을 주사 바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실이 주사 바늘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이나 주사 바늘의 오염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실 삽입기의 폐기율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실 삽입기의 공급가를 낮출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 삽입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 삽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a,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 지지 링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4a,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 지지 링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본 고안의 실 삽입기에 사용되는 실을 의료용 봉합사로 예시하여 설명하며, 실 지지부재는 고리 형상의 링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로 인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좁아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 삽입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 삽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봉합사 삽입기는 주사 바늘(10), 손잡이(20), 봉합사(30), 봉합사 지지 링(40), 커버(60)를 포함한다.
주사 바늘(10)은 인체의 피부 조직을 쉽게 뚫을 수 있게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H)은 주사 바늘(10)의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주사 바늘(10)의 후단에는 주사 바늘 고정부(11)가 구비되어 있는데, 주사 바늘 고정부(11)에 주사 바늘(10)이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주사 바늘 고정부(11)는 그 외주면이 커버(60)의 일측 내주 면과 면 결합하여 커버(60)를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주사 바늘 고정부(11)는, 손잡이(20)가 그 후단에 추가적으로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손잡이(20)는 주사 바늘 고정부(11)에 연장 결합되며, 주사 바늘(10)을 파지하거나 인체에 삽입할 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손잡이(20)의 형상은 원기둥, 플레이트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손잡이(20)는 다른 구성요소로서 그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다.
봉합사(30)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실을 말한다. 의료용 봉합사는 인체에 무해하며, 근육 내에 삽입되어 잔존하더라도 인체와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봉합사(30)는 그 일부는 주사 바늘(10)의 중공(H)내에 삽입되고, 일부는 주사 바늘(10)의 외부에 위치한다. 그런데, 주사 바늘(16)을 인체 내로 삽입할 때, 주사 바늘(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봉합사(30)가 뒤로 밀리면서 봉합사(30)가 빠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려면 주사 바늘(10)의 중공(H) 내로 삽입되는 봉합사(30)의 길이를 많게 하면 이러한 밀림 현상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봉합사 지지 링(50)은, 봉합사(30)를 주사 바늘(10)의 외주 면에 밀착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주사 바늘(10)이 인체에 삽입될 때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봉합사 지지 링(50)은, 봉합사(30)를 내장하며 주사 바늘(10)의 외주 면에 결합되고, 주사 바늘(10)에서 분리 가능하며, 또한 주사 바늘(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60)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된 타단은 주사 바늘 고정부(11)의 외주 면에 면 결합하며, 그 내부에 위치하는 주사 바늘(10), 봉합사(30), 봉합사 지지 링(40)을 외부 오염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커버(60)는 그 내부를 볼 수 있게, 투명 재질의 합성 수지로 만드는 것이 ㅂ바람직하다.
도3a,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 지지 링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봉합사 지지 링(40)은 폐쇄된 고리 형상의 링으로 구성된다. 제1 실시예의 봉합사 지지 링(4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탄성 재질로는 스폰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봉합사 지지 링(40)은 봉합사(30)가 삽입된 주사 바늘(10)의 선단에 끼워진 후 봉합사(30)을 내장한 채 주사 바늘(10)의 외주 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소정 위치까지 이동한 후, 주사 바늘(10)의 외주 면의 특정 위치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의 봉합사 지지 링(40)은 주사 바늘(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힘이 가해질 때, 주사 바늘(10)의 외주 면에서 주사 바늘(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를 통해, 제1 실시예의 봉합사 지지 링(40)은, 봉합사(30)를 내장한 주사 바늘(10)이 인체 내로 삽입될 때, 봉합사(40)를 주사 바늘(10)의 외주 면에 밀착시키면서 주사 바늘(10)의 후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봉합사 지지 링(40)을 여러 개(40,41) 주사 바늘(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여러 개의 봉합사 지지 링(40,41)는 봉합사(30)를 주사 바늘(10)의 외주 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다수의 봉합사 지지 링(40,41)은 주사 바늘(10)이 긴 경우에 유용하다.
도4a,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 지지 링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봉합사 지지 링(45)은 일측에 절단 개방부를 갖는 고리 형상의 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절단 개방부를 갖는 고리 형상의 봉합사 지지 링(45)을 이용하면, 봉합사 지지 링(45)과 주사 바늘(10)의 결합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즉, 절단 개방부를 갖는 봉합사 지지 링(45)은 주사 바늘(10)의 측면에서도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봉합사 삽입기를 제조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 밖에, 제2 실시예의 봉합사 지지 링(45)의 재질 특성이나 종류는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4a에 도시한 봉합사 지지 링(45)을 여러 개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3b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봉합사 지지 링(45,46)은 봉합사(30)를 주사 바늘(10)의 외주 면에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주사 바늘(10)이 긴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 삽입기를 이용하여 인체의 근육 부위에 봉합사를 삽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봉합사 삽입기에서 커버(60)를 제거하고, 봉합사(30)가 내장된 주사 바늘(10)을 근육 부위에 삽입한다. 주사 바늘(10)이 근육 부위에 삽입되면서, 주사 바늘(10)에 내장된 봉합사(30)도 주사 바늘(10)의 삽입 위치까지 근육 내로 이동한다. 한편, 주사 바늘(10)의 외주 면에서 봉합사(30)를 내장하고 있는 봉합사 지지 링(40,41,45,46)은 주사 바늘(10)이 근육 내로 이동함에 따라 주사 바늘이 삽입된 지점의 피부 표면에 걸려 주사 바늘(10)의 후단으로 밀려난다. 이후, 주사 바늘(10)을 근육 부위에서 이탈시키면, 주사 바늘(10)만 이탈되고 그 내부에 삽입된 봉합사(30)는 근육 부위에 남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의 실시예를 다른 형태의 실시예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에 첨부한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그 결과, 통상의 기술자가 행하는 그러한 변형례들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 : 주사 바늘 11 : 주사 바늘 고정부
20 : 손잡이 30 : 봉합사
40, 41, 45, 46 : 봉합사 지지 링
50 : 커버

Claims (5)

  1. 인체 내로 실을 삽입하는 실 삽입기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주사 바늘;
    상기 주사 바늘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지지하는 주사 바늘 고정부;
    상기 주사 바늘의 타단에서 상기 주사 바늘의 중공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되는 실;
    상기 주사 바늘의 외부 면에 상기 주사 바늘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노출된 상기 실을 내장하여 상기 주사 바늘의 외부 면에 지지하며, 상기 주사 바늘의 측면으로 결합되는 절단 개방부를 갖는 고리 형상이고,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실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20002136U 2012-03-19 2012-03-19 실 삽입기 KR200470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36U KR200470622Y1 (ko) 2012-03-19 2012-03-19 실 삽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36U KR200470622Y1 (ko) 2012-03-19 2012-03-19 실 삽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32U KR20130005632U (ko) 2013-09-27
KR200470622Y1 true KR200470622Y1 (ko) 2014-01-02

Family

ID=5140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136U KR200470622Y1 (ko) 2012-03-19 2012-03-19 실 삽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6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268A (ko) 2015-05-15 2016-11-23 (주)리젠바이오참 캐뉼라의 수술실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268A (ko) 2015-05-15 2016-11-23 (주)리젠바이오참 캐뉼라의 수술실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32U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68941B1 (da) Apparat til applikation af implantater
ES2295138T3 (es) Lanceta con proteccion higienica en la punta.
ES2538371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na jeringuilla llenada previamente y dispositivo de inyección
ES2681290T3 (es) Conjunto de aguja intravenosa que tiene capacidades de dispensación de sangre
KR101748755B1 (ko) 의료용 실 삽입장치
KR100473108B1 (ko)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JP2013533777A (ja) 薬剤充填済みシリンジおよび注射デバイスのための安全デバイス
IL175429A0 (en) Container for medicament automatic injector and automatic injector adapted therefor
BRPI0510975A (pt) métodos e dispositivos de sutura
CN205338962U (zh) 一种安全式采血针结构
CN104582792A (zh) 具有可移动地布置的管芯针的细套管
JP2012504007A (ja) 針シールドによって作動される保持手段を有する注射装置
KR101283581B1 (ko) 의료용 자입키트
CN110072577A (zh) 安全针装置
CA2521264A1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carrier
KR101384126B1 (ko) 봉합사 삽입키트
WO2017079325A3 (en) Inje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m
KR200470622Y1 (ko) 실 삽입기
US8986258B2 (en) Device for receiving a hypodermic syringe and hypodermic syringe for this device
KR101481044B1 (ko) 봉합사 삽입용 바늘키트
US20130331799A1 (en) Needle Adapter
US20080058731A1 (en) Safety Syringe Device
CN207214909U (zh) 防卫抓套
KR200287634Y1 (ko)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US20050209568A1 (en) Needle cap assembly for syr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