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15Y1 - 일회용 꼬치대 - Google Patents

일회용 꼬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15Y1
KR200475815Y1 KR2020130007601U KR20130007601U KR200475815Y1 KR 200475815 Y1 KR200475815 Y1 KR 200475815Y1 KR 2020130007601 U KR2020130007601 U KR 2020130007601U KR 20130007601 U KR20130007601 U KR 20130007601U KR 200475815 Y1 KR200475815 Y1 KR 200475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gear
main body
disposable
ge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원
Original Assignee
김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원 filed Critical 김석원
Priority to KR2020130007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익혀 먹을 수 있는 음식을 꼬치의 형태로 끼운 후 구워서 휴대하면서 취식할 수 있는 일회용 꼬치대에 관한 것으로, 꼬치대의 구조가 일단이 뾰족하게 가공되면서 난연성 재질인 대나무로 형성되는 꼬치대 본체와 꼬치대 본체에 조립되는 기어체로 이루어지고, 기어체는 꼬치대 본체의 외주면 직경과 대응되게 관통홀이 형성되면서 외주면측으로는 꼬치대의 회전작동을 유도하기 위한 기어톱니가 형성되도록 하여 꼬치대를 자동 꼬치구이기에 장착하여 꼬치구이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꼬치대 자체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여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꼬치대{disposable skewering apparatus}
본 고안은 익혀 먹을 수 있는 음식을 꼬치의 형태로 끼운 후 구워서 휴대하면서 취식할 수 있는 일회용 꼬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꼬치대에 기어가 형성되어 자동식 꼬치구이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구이는 이동중에 간단하게 취식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으로, 대부분 육류와 같이 익혀 먹을 수 있는 음식(일명 '피구이물'이라함)을 끼운 후, 숯불구이대에 꼬치대를 걸쳐 올려놓고 꼬치대를 회전하면서 굽게 된다.
즉, 양고기나 닭고기 등의 육류를 숯불을 이용하여 굽는 숯불구이용 꼬치는 오뎅꼬치처럼 국물에 담근 상태로 익히게 되는 것과는 달리, 나무재질로 이루어진 꼬치대를 사용하면 숯불에 꼬치대가 쉽게 타버리게 되므로 대부분 금속재로 이루어진 꼬치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금속재질 중에서도 일반 철로 꼬치대를 제작하면 녹이 발생하므로 위생 및 청결에 문제가 있으므로 대부분 스테인리스 재질로 꼬치대를 제작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꼬치대의 재질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꼬치대의 개당 가격이 매우 고가이고, 따라서 꼬치대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이에 따라 길거리 음식의 장점 중의 하나인 이동중 취식이 불가능하며, 이동 중 취식을 하기 위해서는 1차로 금속꼬치에 피구이물을 구운 후, 별도의 일회용 나무꼬치에 옮겨 끼우거나 또는 종이컵과 같은 일회용 용기에 옮겨 담아서 옮겨 담은 것을 들고 다니면서 취식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것이다.
따라서 길거리에서 판매되는 숯불 꼬치구이는 이동하면서 취식할 수 있도록 나무재질의 꼬치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무재질의 꼬치대를 사용할 경우 숯불에 의하여 쉽게 타버리게 되기 때문에 대부분 피구이물을 별도로 삶아서 익힌 것을 꼬치대에 꽂아서 표면만을 숯불로 그을려서 판매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다 익혀진 것을 숯불에 단시간 구울 경우 생재료를 숯불에 구워서 익히는 것보다는 식감이나 맛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꼬치구이기는 피구이물이 끼워진 꼬치대를 수동으로 굽는 방식이 사용되므로 식감이나 맛이 떨어지더라도 일회용 꼬치대를 사용하기 위하여 삶아서 익힌 것을 나무 꼬치대에 끼워 판매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꼬치대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구울 수 있도록 본 출원인에 의하여 자동 꼬치기가 제안(대한민국 특허등록 1199682호)되었지만, 자동 꼬치 구이기를 이용하여 꼬치 구이를 할 경우에는 나무 꼬치대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꼬치대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으로 회전시켜 꼬치구이가 이루어지는 자동식 꼬치구이기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꼬치대를 제공하고, 꼬치대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제작단가를 최소화하여 꼬치대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이 뾰족하게 가공되면서 난연성 재질인 대나무로 형성되는 꼬치대 본체와, 꼬치대 본체의 외주면 직경과 대응되게 관통홀이 형성되면서 외주면측으로는 꼬치대의 회전작동을 유도하기 위한 기어톱니가 형성된 기어체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여 꼬치대를 자동 꼬치구이기에 끼워 꼬치구이가 가능하게 되면서 휴대하면서 꼬치를 취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체는 꼬치대 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슬리브를 형성하여 기어체가 꼬치대 본체에 끼워진 상태에서 비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기어체는 알루미늄재로 다이캐스팅 성형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꼬치대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체의 관통홀 내주면에는 돌출되게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대나무 재질의 꼬치대 본체의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박혀 고정되도록 끼워 조립함으로써 꼬치대 본체와 기어체가 긴밀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꼬치대를 회전시켜 피구이물을 구울 때 꼬치대 본체와 기어체가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나무를 이용하여 꼬치대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므로 꼬치대의 단가를 낮추고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대나무가 난연성 성질을 갖도록 되므로 숯불에 의하여 꼬치 구이가 가능하게 되며, 또한 자동으로 꼬치대를 회전시켜서 구이가 이루어지는 자동 꼬치구이기에 걸쳐서 구이가 가능함은 물론, 취식자가 꼬치를 휴대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취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어체에 의하여 피구이물이 끼워지는 구이공간과 손잡이로 사용되는 손잡이 공간이 구획되므로 꼬치대를 취급할 때 손이 피구이물에 닿지 않게 되며, 피구이물을 취식할 때는 기어체에 의하여 양념 등이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꼬치대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꼬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꼬치대 본체와 기어체의 조립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꼬치대를 자동 꼬치구이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꼬치대 사용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기어체에 형성되는 슬리브의 다양한 실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기어체의 관통홀 내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태의 조립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구이물을 꽂기 위한 꼬치대(1)의 구조가 꼬치대 본체(10)와 꼬치대를 자동 꼬치구이기에 걸친 상태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체(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꼬치대 본체(10)는 목재로 이루어지고 기어체(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꼬치대 본체(10)는 피구이물을 꽂을 수 있도록 일단이 뾰족하게 가공되고, 재질은 원료비가 낮은 목재 중에서도 난연성 재질인 대나무로 이루어진다.
기어체(20)는 꼬치대 본체(10)의 외주면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관통홀(21)이 형성되어 꼬치대 본체(10)에 강제 끼움으로 결합되며, 꼬치대 본체(20)의 외주면에는 꼬치대를 자동 꼬치구이기에 걸친 상태에서 꼬치대의 회전을 유도하도록 기어톱니(22)가 형성된다.
또한, 기어체(20)의 관통홀(21)에는 꼬치대 본체(1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슬리브(23)가 더 형성된다.
기어체(20)의 재질은 위생을 위하여 금속 중에서도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 다양한 금속 재질로 제작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내부식성이 높으면서도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다이캐스팅으로 성형할 수 있는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관통홀(21)과 기어톱니(22) 및 슬리브(23)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꼬치대 본체(10)가 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습도에 따라서 수축, 팽창 작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꼬치대 본체(10)를 최대한 건조시킨 상태에서 기어체(20)와 강제 끼움으로 조립하여 환경변화에 의하여 습도가 높아져 꼬치대 본체(10)의 팽창작용이 일어날 경우에 꼬치대 본체(10)와 기어체(20)가 더 긴밀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동 꼬치구이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치대(10가 장착되는 베이스틀(110)과 꼬치대(12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작동틀(1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따라서 자동 꼬치구이기(100)에 형성되는 베이스틀(110)의 고정홈(112)에 꼬치대(1)를 장착하면 좌,우로 움직임되는 작동틀(120)의 치차(122)에 꼬치대(1)의 기어체(20)가 맞물리게 조립되고, 구동수단에 의하여 작동틀(120)이 좌,우로 움직임되면서 작동틀(120)의 치차(122)에 맞물려 있는 기어체(20)가 회전하면서 꼬치대(1)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자동으로 꼬치를 구울 수 있게 된다.
또한, 꼬치 구이가 완료된 후에는 도 5와 같이 꼬치대(1)의 하단을 잡고 휴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꼬치대 본체(10)의 재질이 나무로 이루어지면서도 꼬치대를 회전작동하기 위한 최소의 부품인 기어체만을 금속재로 제작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구매자가 이동하면서 취식할 수 있게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케 된다.
이때, 상기 기어체(20)는 슬리브(23)에 의하여 꼬치대 본체(1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기어체(20)에 형성되는 슬리브(23)의 형태는 도 3과 같이 기어체(2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체(20)의 상,하측으로 모두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체(20)가 꼬치대 본체(10)에 끼워 조립된 상태에서 기어체(2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꼬치대(1)를 자동 꼬치구이기(100)에 끼워 회전작동할 때 기어체(20)가 움직임되지 않으면서 꼬치대(1)의 회전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7과 같이 기어체(20)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진입유도부(24)를 형성하면 기어체(20)를 꼬치대 본체(10)에 강제 끼움으로 조립할 때 기어체(20)의 진입 유도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더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어체(20)의 관통홀(21) 내주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5)를 형성하면 대나무 재질의 꼬치대 본체(10)의 외주면에 걸림돌기(25)가 박혀 고정되면서 꼬치대 본체(10)와 기어체(20)가 긴밀히 조립된다.
또한, 이렇게 박혀서 고정된 걸림돌기(25)에 의하여 꼬치대(1)가 자동 꼬치구이기(100)에 장착되어 회전할 때 꼬치대 본체(10)와 기어체(20)가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복수의 걸림돌기(25)를 방사형으로 배치할 수도 있으며, 걸림돌기(25)의 형태는 본 고안의 목적을 제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1: 꼬치대
10: 꼬치대 본체
20: 기어체 21: 관통홀
22: 기어톱니 23: 슬리브
24: 걸림돌기
100: 자동 꼬치구이기
110: 베이스틀 112: 고정홈
120: 작동틀 122: 치차

Claims (4)

  1. 일단이 뾰족하게 가공되면서 난연성 재질인 대나무로 형성되는 꼬치대 본체(10);
    꼬치대 본체(10)의 외주면 직경과 대응되게 관통홀(21)이 형성되면서 외주면측으로는 꼬치대의 회전작동을 유도하기 위한 기어톱니(22)가 형성된 기어체(2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어체(20)는,
    꼬치대 본체(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꼬치대 본체(10)의 휨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슬리브(23)와,
    기어체(20)를 꼬치대 본체(10)에 끼워 조립할 때 기어체(20)의 진입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슬리브(23)의 하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진입유도부(24)와,
    기어체(20)의 내경이 꼬치대 본체(10)의 외주면에 박혀 고정되어 헛 돔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25)가 형성되어 꼬치대 본체(10)와 기어체(20)가 쉽게 조립되면서 긴밀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일회용 꼬치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체(20)는 관통홀(21)과 기어톱니(22)와 슬리브(23)를 다이캐스팅으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져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일회용 꼬치대.
  4. 삭제
KR2020130007601U 2013-09-10 2013-09-10 일회용 꼬치대 KR200475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01U KR200475815Y1 (ko) 2013-09-10 2013-09-10 일회용 꼬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01U KR200475815Y1 (ko) 2013-09-10 2013-09-10 일회용 꼬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815Y1 true KR200475815Y1 (ko) 2015-01-05

Family

ID=5258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01U KR200475815Y1 (ko) 2013-09-10 2013-09-10 일회용 꼬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30Y1 (ko) 2018-06-19 2019-10-30 농업회사법인 행복 주식회사 음식물 꼬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498B1 (ko) * 2006-11-10 2008-03-27 전봉진 탈착이 용이한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스탠드형 구이장치
JP3174799U (ja) * 2012-01-27 2012-04-05 東産業株式会社 串焼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498B1 (ko) * 2006-11-10 2008-03-27 전봉진 탈착이 용이한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스탠드형 구이장치
JP3174799U (ja) * 2012-01-27 2012-04-05 東産業株式会社 串焼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30Y1 (ko) 2018-06-19 2019-10-30 농업회사법인 행복 주식회사 음식물 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1106B2 (en) BBQ grill scraper
KR200478957Y1 (ko) 회전식 구이기
US5628244A (en) Food roasting device
US20080066734A1 (en) Grill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improved grill
KR200475815Y1 (ko) 일회용 꼬치대
US8590446B1 (en) Food cooking apparatus
US20060200994A1 (en)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US20090260526A1 (en) Grill rack and drip pan
US20190307293A1 (en) Wire-Stick With A Ring For Easy Removal Of Grilled Meat And Vegetables Kebabs
US20090071348A1 (en) Rotisserie utensil for remotely orienting food in relation to a heat source
KR20120005388U (ko) 야외 구이기용 꼬지 회전기구
US20100242742A1 (en) Barbecue skewer with multiple prongs
US20140070475A1 (en) Kebab de-skewer
KR100416052B1 (ko) 청죽 불고기 구이판
KR102577884B1 (ko) 버덕요리용 조리기구
US20060162574A1 (en) Modified grill top cooking tool with radiused end caps
US20160338533A1 (en) Glowing skewer
Jamison et al. Smoke & Spice, Updated and Expanded 3rd Edition: Cooking With Smoke, the Real Way to Barbecue
KR101193561B1 (ko) 꼬치구이장치
KR101576015B1 (ko) 회전 구이 지지대 구조
US11659843B2 (en) Food smoking skewer
KR102446457B1 (ko) 다용도 조립식 석쇠
KR20050112479A (ko) 돈육보쌈 제조방법
KR200254518Y1 (ko) 청죽 불고기 구이판
KR200393080Y1 (ko) 고기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