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24Y1 -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 Google Patents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24Y1
KR200475724Y1 KR2020130006587U KR20130006587U KR200475724Y1 KR 200475724 Y1 KR200475724 Y1 KR 200475724Y1 KR 2020130006587 U KR2020130006587 U KR 2020130006587U KR 20130006587 U KR20130006587 U KR 20130006587U KR 200475724 Y1 KR200475724 Y1 KR 200475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wire
pulled
fixing portion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대
Original Assignee
금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6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온도퓨즈와 서미스터가 결합되는 소자고정부가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소자고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닥판에서 소자고정부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리드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당겼을때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STRUCTURE OF THERMISTER SENSOR}
본 발명은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밥솥등에 사용되는 온도센서 ASM에 관한 것으로서 부식의 우려가 적고 접촉불량의 우려가 적은 구성을 갖는 ASM에 관한 것이다. ASM은 쉽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고 케이블 형태로 연장되고 제한된 지역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측정거리대비 매우 작은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유연성이 좋고 수명이 길고 고정밀 기계에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와이어 센서 등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0-0067751호 ' 리드와이어 용접기의 전극이동 위치 센서'등으로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밥솥등에 종래에 사용하던 센서는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서미스터케이스(thermister case) 안쪽으로 센서(thermister) ASM과 온도 퓨즈ASM를 가지고 있으며 그위에 실리콘으로 된 절연시트를 끼우고 그위에 수열판을 덮게 된다. 그런데 서미스터를 고정시킬 때 작업자가 리드와이어를 균일하게 당기지 않으면 서미스터나 온도퓨즈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서미스터 소자가 좌우로 이동되거나 한쪽 단자가 높게 설치되어 최외곽에 있는 수열판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내전압이 발생하고 열시정수가 변화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어 온도센서의 원래의 목적을 정확히 수행하지 못한다. 도2에는 이러한 종래의 구조를 위쪽에서 본 모양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1에서도 단자압착부라고 표시된 부분이 서미스터를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특히 온도 퓨즈 등은 튜브에 퓨즈를 넣은 상태에서 단자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고정이 더욱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종래의 구조는 제품조립을 위해 리드와이어를 작업자가 잡아 당기다 보면 단자압착부가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제대로 조절하여 놓았던 서미스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통상 사용되는 ASM 온도센서는 잡아당겨서 조립하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밥솥에 사용하는 ASM 온도센서는 제품조립을 위하여 작업자가 잡아당기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잡아당길때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미스터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며 특히 리드와이어를 잡아 당기거나 하여도 서미스터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센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온도퓨즈와 서미스터가 결합되는 소자고정부가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소자고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닥판에서 소자고정부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리드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당겼을때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이 안착되는 서미스터케이스에는 바닥판을 당겼을 때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심부분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리드와이어가 연결되어 와이어를 당겼을때 언제나 중심부분이 당겨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커넥터 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가 가지런히 배치되어 결합되는 커넥트하우징이 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의 밑판에는 안쪽으로 함입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턱의 상단에는 돌출홈이 형성되어 안착홈과 돌출홈의 결합에 의하여 바닥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밥솥에 사용되는 종래의 온도센서는 약간의 힘만 가해도 손상되고 편심이 발생하여 내전압이 발생되고 시정수편차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으나 본 고안에 의한 온도센서는 언제나 같은 힘으로 같은 부분이 당겨지게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편심발생에 의한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2는 종래의 센서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3내지8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센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센서는 바닥판(11)위에 온도퓨즈(12)와 서미스터(13)가 고정되는 소자 고정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판(11)에서 소자가 고정되는 곳의 반대쪽에는 리드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15)를 형성한다. 와이어고정부는 소자의 끝단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며 소자의 끝단은 와이어고정부에 연결되고 와이어고정부에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를 잡아당긴다고 하여도 와이어의 끝단에 바로 소자가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와이어가 연결된 바닥판(11)을 잡아당기기 때문에 소자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또한, 와이어를 잡아당겼을 때 와이어는 바닥판에 납땜등의 방법으로 고정이 되기 때문에 빠지거나 하지 않고 바닥판을 잡아 끌게 된다.
또한, 서미스터케이스에는 바닥판이 안착할 수 있는 턱을 만들어 와이어를 잡아당겼을때 바닥판(11)이 턱에 닿아 한쪽으로 기울거나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접촉불량이 일어나는 현상이 줄어들게 되면 부품편심에 의해 내전압이 발생하거나 시정수편차가 생기는 등의 현상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때 잡아당기는 힘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리드와이어가 결합되는 부분은 바닥판의 중심으로 부터 서로 대칭인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4에는 도3에 따른 방법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 도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드와이어가 잡아당기게 되는 부분이 센서나 온도퓨즈가 아니라 바닥판(PCB)가 된다.
도5에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5에는 바닥판(11)의 중간부분에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형태로 돌출부(16)를 형성하여 와이어고정부 역할을 하도록 하여 돌출부(16)에 리드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하였다. 도3의 경우 와이어가 연결된 부분이 4군데 이기 때문에 계속사용하다보면 와이어가 연결된 어느 한부분이 헐거워지거나 빠지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잡아당길때 한쪽이 덜 잡아 당겨지게 되며 역시 편심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리드와이어가 몇개가 연결이 되던지 바닥판의 중심으로부터만 잡아당겨지게 함으로써 언제나 같은 부분을 잡아당기게 하여 편심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도6에는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6의 실시예는 리드와이어를 커넥트하우징에 결합시켜 커넥트 하우징은 바닥판에 연결된 커넥터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것은 바닥판의 중심부분에 결합될때 리드와이어의 배치간격등을 미리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한개의 리드와이어를 잡아당긴다고 하여도 리드와이어가 커넥트하우징에 함께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나 바닥판에서 잡아당겨지게 되는 부분은 한부분이 되어 편심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줄어들게 된다.
커넥트하우징과 커넥터에는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7은 도4,5,6에 도시된 형태를 도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돌출부(16)가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다. 돌출부는 바닥판의 무게중심이 되는 곳에 형성되어 돌출부에 리드와이어가 결합되어 리드와이어를 당길때 돌출부만 당겨지므로 편심이 생길 가능성이 적어진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돌출부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형태의 돌출부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는 리드와이어가 결합될 턱이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모양으로 만드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며 다만 돌출부를 끌었을때 무게중심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좋다.
도9,10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바닥판의 아래쪽 면에는 안착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이 놓여지는 안착턱에는 돌출홈(18)이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홈(18)이 안착홈(17)으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바닥판(11)은 안착턱 위에 놓여진 뒤에 어느쪽으로 잡아 당겨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 특히, 바닥판은 바닥판의 윗판과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겨지는 일이 많으며 바닥판의 평면방향으로는 움직이면 안되기 때문에 바닥판의 평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안착홈(17)과 돌출홈(18)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9에는 안착홈(17)을 도시하였으며 도10에는 돌출홈(18)을 도시하였다.
이때 리드와이어는 돌출홈과 안착홈을 따라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6과 같은 돌출부(16)를 형성하여 리드와이어를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돌출홈끼리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바닥판 12: 온도퓨즈
13: 서미스터 14: 소자고정부
15: 와이어고정부 16: 돌출부
17:안착홈 18: 돌출홈

Claims (6)

  1.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로서,
    온도퓨즈와 서미스터가 결합되는 소자고정부가 형성되는 바닥판과 ;
    상기 소자고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닥판에서 소자고정부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리드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고정부를;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와이어를 당겼을때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바닥판이 안착되는 서미스터케이스에는 바닥판을 당겼을 때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심부분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리드와이어가 연결되어 와이어를 당겼을때 언제나 중심부분이 당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커넥터 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가 가지런히 배치되어 결합되는 커넥트하우징이 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밑판에는 안쪽으로 함입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턱의 상단에는 돌출홈이 형성되어 안착홈과 돌출홈의 결합에 의하여 바닥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KR2020130006587U 2013-08-07 2013-08-07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KR200475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587U KR200475724Y1 (ko) 2013-08-07 2013-08-07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587U KR200475724Y1 (ko) 2013-08-07 2013-08-07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24Y1 true KR200475724Y1 (ko) 2014-12-29

Family

ID=5357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587U KR200475724Y1 (ko) 2013-08-07 2013-08-07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2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37U (ja) * 1992-08-28 1994-04-08 株式会社トーキン 温度センサ
JPH0749271A (ja) * 1993-08-04 1995-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接触型温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86218Y1 (ko) * 2002-05-08 2002-08-21 주식회사 제임스텍 전기밥솥용 서미스터 온도센서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37U (ja) * 1992-08-28 1994-04-08 株式会社トーキン 温度センサ
JPH0749271A (ja) * 1993-08-04 1995-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接触型温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86218Y1 (ko) * 2002-05-08 2002-08-21 주식회사 제임스텍 전기밥솥용 서미스터 온도센서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8165B (zh) 借助于电池连接器电联接电池组的电池的装置和具有这种电池连接器的电池组
US20170105251A1 (en) Induction coil assembly and induction hob comprising an induction coil assembly
US20160319853A1 (en) Connection terminal structure
JP6500771B2 (ja) コネクタ
KR20150127550A (ko) 전자소자 거치기구
US20190178724A1 (en) Temperature detection module
EP3190396B1 (en) Terminal-thermistor assembly
JP2012523553A (ja) センサ装置及び測定装置
JP6603317B2 (ja) 熱電対の温度補償のための端子盤
CN105097154A (zh) 电流检测用电阻器
TWI594468B (zh) Photoelectric device
KR200475724Y1 (ko) 밥솥에 사용되는 온도센서의 구조
WO2018016482A1 (ja) ガスセンサ
JP6103963B2 (ja) 温度センサ付き端子台
JP2014222612A (ja) 差し込みプラグ
JP6309303B2 (ja) 電気接続箱
KR102165740B1 (ko) 커넥터
JP5997593B2 (ja) サーミスタ付き端子台
KR200481291Y1 (ko) 전류측정소자
KR102308035B1 (ko) 고온용 진공커넥터
JP6341136B2 (ja) 温度センサ
JP6894767B2 (ja) 中継端子モジュール
US20190178828A1 (en) Gas sensor
KR100960987B1 (ko) Ptc 서미스트 장치
KR101691766B1 (ko) 고전력 전류측정소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