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698Y1 - 앵커 볼트 - Google Patents

앵커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698Y1
KR200475698Y1 KR2020140005987U KR20140005987U KR200475698Y1 KR 200475698 Y1 KR200475698 Y1 KR 200475698Y1 KR 2020140005987 U KR2020140005987 U KR 2020140005987U KR 20140005987 U KR20140005987 U KR 20140005987U KR 200475698 Y1 KR200475698 Y1 KR 200475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anchor
shape
measuring means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광섭
Original Assignee
심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광섭 filed Critical 심광섭
Priority to KR2020140005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6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1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on a fla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앵커 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사산이 구비된 직선부와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소정지름을 갖는 금속봉을 이용하여 성형한 앵커 볼트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의 상단 중심부에 앵커 볼트의 설치시 또는 설치 후 소정형상을 갖는 간격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된 앵커 볼트와의 간격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깔때기 형상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을 형성하고, 또 상기 앵커 볼트의 하단부에는 앵커 볼트를 기초에 직접 수직으로 박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쐐기형 말뚝부를 더 형성하며, 또한 상기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은 상기 직선부와 쐐기형 말뚝부 사이에 형성하되, "C"자 형상 또는 "S"자 형상을 갖게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앵커 볼트를 기초부에 설치시 또는 기초부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앵커 볼트 사이의 간격을 소정형상을 갖는 간격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용이하게 맞추거나 측정할 수 있고, 별도의 고정작업 및 고정구 등의 실시 및 사용 없이 앵커 볼트를 기초 부분에 확실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앵커 볼트의 설치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앵커 볼트의 회전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등과의 접합장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시공 후 안정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앵커 볼트{Anchor bolt}
본 고안은 앵커 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구조물을 콘크리트 기초 부분에 고정시켜 주기 위해 사용하는 앵커 볼트의 직선부 상단 중심부에 대략 깔때기 형상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을 형성시켜 주어 앵커 볼트의 설치시 앵커 볼트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설치된 앵커 볼트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저단부에는 앵커 볼트 자체를 기초에 직접 수직으로 박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쐐기형 말뚝부를 형성시켜 별도의 고정작업 및 고정구 등의 실시 및 사용 없이 앵커 볼트를 기초 부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앵커 볼트의 설치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 볼트(Anchor bolt)라 함은 철골구조 또는 목조 기둥 등의 밑부분이나, 교량의 철제 거더와 같은 구조체 또는 구조물 등과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 등의 기초를 연결하는 볼트로, 그 길이의 대부분을 기초 속에 묻어 넣고 일부분을 기초면 위로 나오게 하여 그것에 상부 구조물을 꽂아 너트로 얽어맬 수 있는 볼트를 말한다.
이와 같은 앵커 볼트는 구조체 또는 구조물이 기초와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구조체 또는 구조물의 진동 및 떨림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충격에 의해 구조체 또는 구조물이 쓰러지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앵커 볼트는 매설되는 부분의 끝을 "L"자 또는 "U" 등의 형상으로 구부리거나 별도의 앵커 판을 장착하여 매설부인 기초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하거나, 별도의 가시볼트를 사용하여 매설하기도 한다.
또, 상기와 같은 앵커 볼트는 주로 진동이 심한 공작기계의 고정용으로 사용되거나, 도로변의 가로등이나 표시판을 걸기 위한 지주의 고정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며, 이외에도 각종 철재 구조물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앵커 볼트는 매설부 즉, 콘크리트 속에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매 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평면도시상 사각 형상의 구조를 갖도록 2~4개를 1조로 하여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의 거리를 유지토록 준비 작업을 시행한 후 기초 면에 매설하게 되는데, 이러한 준비작업은 다수개의 앵커 볼트를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앵커 볼트 사이를 별도의 연결봉으로 용접하여 각각의 연결봉에 의해 다수의 앵커 볼트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게 하며, 이렇게 미리 준비된 앵커 볼트 고정체를 운반수단에 의해 시공 현장으로 이동한 후 앵커 볼트의 하부를 콘크리트로 매설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앵커 볼트 고정장치는 용접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과다한 작업시간이 소요되어질 뿐만 아니라, 금속재의 연결봉을 적 개는 8개에서 많게는 12개까지 사용하게 됨으로써 원자재의 불필요한 과다사용 및 중량의 증가에 따른 운반 및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앵커 볼트 고정장치는 취급업체 및 현장에서 반드시 용접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용접작업에 의해 각각의 앵커 볼트간 이격거리 및 높이를 조절하므로서 완성된 앵커 볼트의 간격 또는 높이가 일정치 못할 경우에 불량 발생이 많아지고, 이러한 불량체를 매설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된 이후에는 구조물과의 결합이 불가능하여 시공의 어려움은 물론 보다 안정적인 구조물 지지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앵커 볼트 고정체를 운반함에 있어서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 앵커 볼트 고정체의 체적에 의해 대량의 앵커 볼트 고정체의 적재가 불가능하여 과다한 적제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에서도 중량체이면서도 불필요한 체적을 갖는 앵커 볼트 고정체의 취급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앵커 볼트 고정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684707호로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링 타입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2겹 구조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앵커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고, 양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클립과; 2 겹의 고정 클립을 압착하여 상기 앵커 볼트를 고정하는 힘을 제공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앵커 볼트 고정장치는 다수의 앵커 볼트들을 수직으로 세워 상호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 제작한 프레임과 복수의 고정 클립 및 압착수단을 사용하므로 인해 불필요하게 많은 자재비용이 들게 됨은 물론 현장 등에서 필히 결합작업을 실시해야만 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 밖에도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0-0837230호로 형강 빔 고정장치와,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581092호로 도로 방음벽용 기초 앵커 및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066388호로 조립이 쉽고 수직 설치가 정확한 가로등주 매립형 설치구조틀 및 이의 설치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모두는 전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지니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84707호(2007년 02월 1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37230호(2008년 06월 0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81092호(2006년 05월 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66388호(2011년 09월 15일)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각종 구조물을 콘크리트 기초 부분에 고정시켜 주기 위해 사용하는 앵커 볼트의 직선부 상단 중심부에 대략 깔때기 형상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을 형성시켜 주어 앵커 볼트의 설치시 앵커 볼트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설치된 앵커 볼트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앵커 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단부에 앵커 볼트 자체를 기초에 직접 수직으로 박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쐐기형 말뚝부를 형성시켜 별도의 고정작업 및 고정구 등의 실시 및 사용 없이 앵커 볼트를 기초 부분에 확실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앵커 볼트의 설치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앵커 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 볼트의 회전을 방지해 줌과 동시에 콘크리트 등과의 접합장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을 "C" 형상 또는 "S" 형상을 갖게 절곡 성형시켜 주어 앵커 볼트의 회전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등과의 접합장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시공 후 안정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앵커 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된 직선부가 형성되고 저부에는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이 구비되도록 소정지름을 갖는 금속봉을 이용하여 성형한 앵커 볼트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의 상단 중심부에 앵커 볼트의 설치시 또는 설치 후 소정형상을 갖는 간격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된 앵커 볼트와의 간격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은 깔때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앵커 볼트의 하단부에는 앵커 볼트를 기초에 직접 수직으로 박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쐐기형 말뚝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은 상기 직선부와 쐐기형 말뚝부 사이에 형성하되, "C"자 형상 또는 "S"자 형상을 갖게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간격측정수단은 원봉이나 사각봉 또는 판 형상을 갖는 눈금자와; 상기 눈금자의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호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 중 일측 앵커 볼트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에 끼워지는 고정형 센터 결합핀과; 고정용 나비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눈금자의 타단부 외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와;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의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호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 중 타측 앵커 볼트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에 끼워지는 가동형 센터 결합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앵커 볼트에 의하면, 각종 구조물을 콘크리트 기초 부분에 고정시켜 주기 위해 사용하는 앵커 볼트의 직선부의 상단 중심부에 대략 깔때기 형상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앵커 볼트를 기초부에 설치시 또는 기초부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앵커 볼트 사이의 간격을 소정형상을 갖는 간격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용이하게 맞추거나 측정할 수 있다.
또, 저단부에는 앵커 볼트 자체를 기초에 직접 수직으로 박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쐐기형 말뚝부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별도의 고정작업 및 고정구 등의 실시 및 사용 없이 앵커 볼트를 기초 부분에 확실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앵커 볼트의 설치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앵커 볼트의 회전을 방지해 줌과 동시에 콘크리트 등과의 접합장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을 "C"자 형상 또는 "S"자 형상을 갖게 절곡 성형시켜 줌으로써 앵커 볼트의 회전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등과의 접합장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시공 후 안정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앵커 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앵커 볼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앵커 볼트들의 간격을 간격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초부에 1차적으로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앵커 볼트들의 기초부에 1차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전히 고정한 상태의 예시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앵커 볼트들의 사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두 간격측정수단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앵커 볼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앵커 볼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앵커 볼트들의 간격을 간격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초부에 1차적으로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앵커 볼트들의 기초부에 1차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전히 고정한 상태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앵커 볼트들의 사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두 간격측정수단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부에는 나사산(11)이 구비된 직선부(12)가 형성되고 저부에는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13)이 구비되도록 소정지름을 갖는 금속봉을 이용하여 성형한 앵커 볼트(10)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12)의 상단 중심부에 앵커 볼트(10)의 설치시 또는 설치 후 소정형상을 갖는 간격측정수단(20)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된 앵커 볼트(10)와의 간격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은 깔때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앵커 볼트(10)의 하단부에는 앵커 볼트(10)를 기초에 직접 수직으로 박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쐐기형 말뚝부(15)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13)은, 상기 직선부(12)와 쐐기형 말뚝부(15) 사이에 형성하되, "C"자 형상 또는 "S"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게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간격측정수단(20)은 원봉이나 사각봉 또는 판 형상을 갖는 눈금자(21)와;
상기 눈금자(21)의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호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 중 일측 앵커 볼트(10)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에 끼워지는 고정형 센터 결합핀(22)과;
고정용 나비 볼트(23)를 구비하고 상기 눈금자(21)의 타단부 외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와;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의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호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앵커 볼트 중 타측 앵커 볼트(10)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에 끼워지는 가동형 센터 결합핀(2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앵커 볼트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앵커 볼트(10)는 도 1 내지 도 5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지름을 갖는 금속봉을 이용하여 나사산(11)이 구비된 직선부(12)와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13)이 구비되도록 앵커 볼트(10)를 성형할 때, 상기 직선부(11)의 상단 중심부에 깔때기 형상을 갖는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을 형성시켜 주어 앵커 볼트(10)를 기초부에 설치할 때, 또는 이미 기초부에 설치된 앵커 볼트(10)들의 간격을 소정형상을 갖는 간격측정수단(20)을 이용하여 정확히 맞추거나 측정할 수 있도록 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간격측정수단(20)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앵커 볼트(10)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도 5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별히 제작한 것으로, 눈금자(21)와 고정형 센터 결합핀(22), 고정용 나비 볼트(23)를 구비한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 및 가동형 센터 결합핀(25)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간격측정수단(20)의 구성요소 중 상기 눈금자(21)는 원봉이나 사각봉 또는 폭이 좁고 긴 사각 판 형상을 갖고 외면 또는 상면에는 인쇄 또는 음각이나 양각을 통해 눈금이 표시 또는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눈금자(21)는 후술하는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봉의 형상보다는 사각봉 또는 폭이 좁고 긴 사각 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형 센터 결합핀(22)은 상기 앵커 볼트(10)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 형상에 대응하여 뾰쪽한 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고정형 센터 결합핀(22)은 상기 눈금자(21)의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서로 인접한 두 앵커 볼트(10)의 간격을 맞추거나 측정하고자 할 때, 두 앵커 볼트 중 기준이 되는 일측 앵커 볼트(10)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에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는 상기 눈금자(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링 또는 사각 링의 형상을 갖음은 물론 외면에서 수직방향으로는 고정용 나비 볼트(23)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눈금자(21)의 타단부 외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가동형 센터 결합핀(25)은 상기 고정형 센터 결합핀(22)와 마찬가지로 상기 앵커 볼트(10)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 형상에 대응하여 뾰쪽한 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의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눈금자(21)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와 함께 눈금자(21)를 따라 이동된 다음, 서로 인접한 두 앵커 볼트(10)의 간격을 맞추거나 측정하고자 할 때, 두 앵커 볼트 중 타측 앵커 볼트(10)의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에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간격측정수단(20)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되게 설치하고자 하는 두 앵커 볼트(10)의 간격을 맞추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에 구비된 고정용 나비 볼트(23)를 풀어 눈금자(21)로부터 가동형 센터 결합핀(25)이 구비된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한다.
이어서 서로 인접되게 설치하고자 하는 두 앵커 볼트(10)의 설정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눈금자(21)의 눈금을 보면서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를 눈금자(2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눈금자(21)의 일측 저면에 일체로 고정된 상기 고정형 센터 결합핀(22)과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가동형 센터 결합핀(25) 사이의 간격이 서로 인접되게 설치하고자 하는 두 앵커 볼트(10) 사이의 설정 간격과 일치시킨다.
이후, 상기 고정용 나비 볼트(23)를 조여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를 눈금자(21)에 고정한 다음, 상기 눈금자(21)의 일측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형 센터 결합핀(22)의 저단부를 기준으로 이미 설치해 둔 일측 앵커 볼트(10)의 상면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에 결합시키고 타측 앵커 볼트(10)는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형 센터 결합핀(25)의 저단부가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도 3과 같이 그 위치에서 타측 앵커 볼트(10)를 기초부에 후술하는 쐐기형 말뚝부(15)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박아 준 다음 철사나 밴드 등을 이용하여 주변의 철근 등에 2차적으로 고정시켜 주면 서로 인접한 두 앵커 볼트(10)의 간격이 설정 간격과 일치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측정수단(20)을 이용하여 도 4와 같이 서로 인접되게 이미 기초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두 앵커 볼트(10)의 간격을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에 구비된 고정용 나비 볼트(23)를 풀어 눈금자(21)로부터 가동형 센터 결합핀(25)이 구비된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눈금자(21)의 일측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형 센터 결합핀(22)의 저단부를 기준이 되는 일측 앵커 볼트(10)의 상면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에 결합시키고, 상기 가동형 센터 결합핀(25)의 저단부가 타측 앵커 볼트(10)의 상면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과 일치하도록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를 눈금자(21)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상기 가동형 센터 결합핀(25)의 저단부가 타측 앵커 볼트(10)의 상면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14)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고정용 나비 볼트(23)를 조여 상기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24)를 눈금자(21)의 현 위치에 고정시킨 후, 상기 가동형 센터 결합핀(25)과 일치하는 부분의 눈금을 읽어 주면 상기 고정형 센터 결합핀(22)과 가동형 센터 결합핀(25)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앵커 볼트(10)의 하단부에 소정길이를 갖는 쐐기형 말뚝부(15)를 연장 형성시켜 줌으로써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쐐기형 말뚝부(15)를 이용하여 앵커 볼트(10) 자체를 도 3과 같이 기초부에 직접 수직으로 박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앵커 볼트(10)의 설치에 따른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를 포함한 설치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쐐기형 말뚝부(15)를 이용하여 앵커 볼트(10)를 기초부에 박아 1차적으로 고정한 후, 철사나 밴드 등을 이용하여 주변에 배근되어 있는 철근 등에 도 4와 같이 상기 앵커 볼트(10)를 최종 고정시켜 주어야만 콘크리트 타설 등을 실시할 때 각각의 앵커 볼트(10)들이 충격 등에 의해 유동하거나 쓰러지지 않고 작업자가 원하는 간격을 유지하며 콘크리트 양생시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앵커 볼트(10)에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13)을 형성할 때, 앵커 볼트(10)의 저단부에서 "L"자 또는 "U"자 형상을 갖게 일체로 절곡 성형하는 종래와 달리, 상기 나사산(11)이 구비된 직선부(12)와 쐐기형 말뚝부(15) 사이에 형성하되, 도 1과 같이 "C"자 형상 또는 도 2와 같이 "S"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게 절곡 성형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앵커 볼트(10)의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13)을 "C"자 형상 또는 "S"자 형상을 갖게 일체로 성형하게 되면, 상기 앵커 볼트(10)의 회전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초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등과의 접촉면적이 많게 되어 양자 간의 접합장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앵커 볼트(10) 자체의 상품성과 시공 후 안정성이 대폭 증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앵커 볼트(10)의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13)을 성형함에 있어서 도 1과 같이 "C"자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보다, 도 2와 같이 "S"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 회전방지 능력 및 접합장력 증대 능력면에서 우수하나, 제품의 생산원가 등의 면에서는 "C"자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S"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에 비해 유리하므로 해당 앵커 볼트의 설치목적 등에 따라 "C"자 또는 "S"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게 선택하여 성형하면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앵커 볼트
11 : 나사산 12 : 직선부
13 :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 14 :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
15 : 쐐기형 말뚝부
20 : 간격측정수단
21 : 눈금자 22 : 고정형 센터 결합핀
23 : 고정용 나비 볼트 24 : 가동형 결합핀 위치 변환구
25 : 가동형 센터 결합핀

Claims (5)

  1. 상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된 직선부가 형성되고 저부에는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이 구비되도록 금속봉을 이용하여 성형한 앵커 볼트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의 상단 중심부에 앵커 볼트의 설치시 또는 설치 후 소정형상을 갖는 간격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된 앵커 볼트와의 간격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측정수단 결합용 센터 홈을 형성하고,
    상기 앵커 볼트의 하단부에는 앵커 볼트를 기초에 직접 수직으로 박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쐐기형 말뚝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방지 겸 접합장력 증대수단은,
    상기 직선부와 쐐기형 말뚝부 사이에 형성하되, "C"자 형상 또는 "S"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게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5987U 2014-08-11 2014-08-11 앵커 볼트 KR200475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87U KR200475698Y1 (ko) 2014-08-11 2014-08-11 앵커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87U KR200475698Y1 (ko) 2014-08-11 2014-08-11 앵커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698Y1 true KR200475698Y1 (ko) 2014-12-23

Family

ID=5353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987U KR200475698Y1 (ko) 2014-08-11 2014-08-11 앵커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6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408B1 (ko) * 2020-07-16 2020-12-07 주식회사 빌드윈 지주를 콘크리트 기초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82A (ja) * 1994-05-23 1995-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ンカー枠
JP2003090049A (ja) * 2001-09-19 2003-03-28 Yoshimori Ueda 間仕切り基礎におけるアンカーボルト設置治具
KR20050043125A (ko) * 2003-11-05 2005-05-11 김연찬 앵커볼트의 시공방법 및 앵커볼트
KR20090059547A (ko) * 2007-12-06 2009-06-11 신왕길 시설물 기초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082A (ja) * 1994-05-23 1995-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ンカー枠
JP2003090049A (ja) * 2001-09-19 2003-03-28 Yoshimori Ueda 間仕切り基礎におけるアンカーボルト設置治具
KR20050043125A (ko) * 2003-11-05 2005-05-11 김연찬 앵커볼트의 시공방법 및 앵커볼트
KR20090059547A (ko) * 2007-12-06 2009-06-11 신왕길 시설물 기초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408B1 (ko) * 2020-07-16 2020-12-07 주식회사 빌드윈 지주를 콘크리트 기초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012B1 (ko) 메쉬휀스용 휀스지주대
JP2010043468A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及び基礎の施工方法
KR102119202B1 (ko) 자력식 매입형 앵커
KR102211474B1 (ko) 마그네틱에 의해 멍에재가 고정되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101421824B1 (ko) 원심성형 기둥용 철골보 및 기둥 동시 접합구조
US104801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concrete reinforcement
KR200475698Y1 (ko) 앵커 볼트
KR100952930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 슬래브 접합부 전단보강장치
JP2009102909A (ja) 埋込金物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6632290B2 (ja) 鋼製柱の脚部構造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US20150240493A1 (en) Shear reinforcement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4329124B2 (ja) 床スラブ補強装置
JP3170895U (ja) 土木構造物の基礎杭鉛直度測定器
JP2016125258A (ja) 鉄筋籠用の補強枠、フープ筋、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鉄筋籠
KR101427008B1 (ko) 매립형 고정 지그를 갖는 합벽 지지대 고정장치
KR20190001642A (ko) 종이관 거푸집용 핸들링 장치
KR20120078217A (ko) 기기 기초 시공 방법
KR100954209B1 (ko) 빔 구조체
KR100804554B1 (ko) 교각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한 철근조립대
KR100940913B1 (ko) 수직 하중을 받는 빔 고정 구조물
JP2566470Y2 (ja) 構築用アンカーボルトの固定装置
KR101013028B1 (ko) 콘크리트말뚝용 두부보강물
JP2013064264A (ja) アンカーボルト用支持フレーム及び支持フレームの構築方法
JP6173798B2 (ja) 内面材のリング状支持部材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部材及びその固定部材を用いた管の内層構造
CN218405065U (zh) 一种连续刚构桥节段施工竖向预应力钢绞线安装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