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432Y1 - 자력 선별기 - Google Patents

자력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432Y1
KR200475432Y1 KR2020140001251U KR20140001251U KR200475432Y1 KR 200475432 Y1 KR200475432 Y1 KR 200475432Y1 KR 2020140001251 U KR2020140001251 U KR 2020140001251U KR 20140001251 U KR20140001251 U KR 20140001251U KR 200475432 Y1 KR200475432 Y1 KR 200475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le
resin layer
coil
central magnetic
coerciv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Priority to KR2020140001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4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3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 B03C1/0335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using coils

Landscapes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는, 내부에 하부로 개방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하나의 자극을 형성하는 중심자극과, 상기 중심자극의 외부에 권취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중심 자극과 상기 몸체가 서로 다른 자극을 갖도록 하는 코일 및, 상기 설치공간 내에 경화된 상태로 충전되며, 상기 코일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몸체로 전달하는 방열 수지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력 선별기{MAGNETIC SEPARATOR}
본 고안은 자력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과 방열 수지층의 접촉 면적이 넓어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는 자력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력 선별기(철편 분리기라고도 함)는, 음식물쓰레기, 곡물, 광물 등에 혼재된 금속 물질을 흡인력에 의해 부착시켜 선별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종래의 자력 선별기는 금속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에 코일이 권취되는 코어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형성되어 견인용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와,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력 선별기는 충분한 흡인력을 형성시키기 위해 코일이 많은 횟수로 권취되며, 이로 인해 전원 공급시 코일에 많은 열이 발생한다.
이때,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은 코일 자체의 손상을 가져오고,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몸체의 내부에 냉각용 오일을 충전하여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냉각용 오일은 허용온도 이상에서는 화학적으로 분해되어 물이나 황과 같은 유해성 물질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코일이나 주변 구성들의 수명을 단축시킬 염려가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냉각용 오일을 교체하거나 여과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며, 코일과 냉각용 오일의 수명이 짧아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4474호(2001년 11월 0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자력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일을 둘로 분할하여 간격을 형성시키고, 코일들의 간격 부위에 방열 수지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코일과 방열 수지층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이 향상되는 자력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지 계열의 열 전달물질을 이용하여 코일의 열을 몸체로 전달시킴으로써, 냉각용 오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길고, 유지보수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자력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는, 내부에 하부로 개방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하나의 자극을 형성하는 중심자극과, 상기 중심자극의 외부에 권취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중심 자극과 상기 몸체가 서로 다른 자극을 갖도록 하는 코일 및, 상기 설치공간 내에 경화된 상태로 충전되며, 상기 코일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몸체로 전달하는 방열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은 상기 중심자극의 상부에 권취되며, 상기 방열 수지층에 의해 상기 중심자극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간격을 갖도록 위치되는 제1권선 및, 상기 중심자극의 하부에 권취되며, 상기 방열 수지층에 의해 상기 제1권선과 상기 중심자극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간격을 갖도록 위치되는 제2권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 수지층은 상기 제1권선과 상기 제2권선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 수지층은 상기 코일과 상기 중심자극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빈틈없이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열 수지층은 액상의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를 충전한 후, 경화시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중심자극과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일체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 보자력판 및, 상기 중심자극의 하단에 일체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방열 수지층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 보자력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하부 보자력판의 측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 수지층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단 테두리 부위와, 상기 하부 보자력판은 상기 방열 수지층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코일을 둘로 분할하여 간격을 형성시키고, 코일간의 간격 부위에 방열 수지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코일과 방열 수지층의 접촉 면적이 넓어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어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수지 계열의 열 전달물질을 이용하여 코일의 열을 몸체로 전달시킴으로써, 열적 화학분해가 발생되지 않아 코일이 손상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는 몸체(100)와, 중심자극(200)과, 코일(300)과, 방열 수지층(4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몸체(100)는 전자석과 같은 원리로 자력을 형성시켜, 외부에 금속 물질(철편 등)이 부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100)는 금속제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설치공간(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사각, 원 등의 함 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몸체(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는 작업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견인수단(20)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에는 후술 될 코일(300)의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10)이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케이블(10)과 연결구(120)는,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전원 케이블(10)과 연결구(12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상부 보자력판(500)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하부 보자력판(6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자력판(500)은, 후술 될 중심자극(200)과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도록 몸체(1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보자력판(500)은 몸체(100)의 상면에 일체로 구성하거나, 체결부재(B)를 이용해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자력판(500)은 원, 사각 등과 같은 판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 될 중심자극(200)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자력판(500)의 상단은 몸체(100)의 상단보다 더 돌출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하부 보자력판(600)은, 중심자극의 하단에 일체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방열 수지층의 하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보자력판(600)은 도 1과 도 4에서처럼 직사각 판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하부 보자력판(60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합 보자력판(600)은 원, 사각 등과 같은 판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 될 중심자극(200)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중심자극(200)은, 몸체(100)의 설치공간(1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중심자극(200)은 후술 될 코일(3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하나의 자극(N 극 또는 S 극)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자극(200)은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110)의 중심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자극(200)은 원형 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중시자극(2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중심자극(200)은, 후술 될 코일(3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코일(300)의 자기력 형성에 의해 몸체(100)와 다른 자극(N 극 또는 S 극)을 형성한다.
코일(300)은, 중심자극(200)의 외부에 수평하게 권취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중심자극(200)과 몸체(100)가 서로 다른 자극(N 극과 S 극)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300)은 중심자극(200)의 상부에 권취되는 제1권선(310)과, 상기 중심자극(200)의 하부에 권취되는 제2권선(3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코일(300)은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으로 분할되는 형태뿐 아니라, 둘 이상의 권선으로 분할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권선(310)은, 중심자극(200)의 상부에 다수로 권취되며, 후술 될 방열 수지층(400)에 의해 상기 중심자극(200)과 몸체(100)의 내주면과 간격을 갖도록 위치된다.
제2권선(320)은, 중심자극(200)의 하부에 권취되며, 후술 될 방열 수지층(400)에 의해 제1권선(31)과 간격을 갖는다.
이와 함께, 상기 제1권선(310)과 상기 제2권선(320)의 내주면은 중심자극(200)과 방열 수지층(400)에 의해 간격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권선(310)과 상기 제2권선(320)의 외주면과 상하면은 몸체(100)의 내주면과 방열 수지층(400)의 의해 간격을 갖는다.
즉, 상기 제1권선(310)과 상기 제2권선(320)은 외주면과 외주면과 상하면이 모두 방열 수지층(400)과 넓은 면적으로 접한다.
따라서, 상기 제1권선(310)과 상기 제2권선(320)의 열은 몸체(100)에 넓은 면적으로 신속히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은, 도 4에서처럼 원 또는 타원 형태를 이루도록 수평하게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은 전술한 전원 케이블(10)에 의해 일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자석의 원리에 의하여 중심전극(200)이 N극을 갖고, 몸체(100)의 측면 부위가 S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방열 수지층(400)은, 몸체(100)의 설치공간(110) 내에 충전된 상태에서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에서 발생한 열을 몸체로 전달한다.
물론, 상기 방열 수지층(400)은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에서 발생한 열을 설치공간(110)의 하방으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 수지층(400)은 몸체(100)의 설치공간(110) 내에 경화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방열 수지층(400)은 열 배출 성능이 우수한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는, 설치공간(110) 내에 액상으로 충전시킨 후, 경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실리콘수지는, 열을 이동시킬 뿐 아니라 열에 강한 성질을 갖고, 높은 온도에서도 오랜 시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 수지층(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에서 발생하는 열은 방열 수지층(4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므로, 열이 몸체(100)로 신속히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 그리고 중심자극(200)이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열 수지층(400)은 제1권선(310) 및 제2권선(320)의 측면과 중심자극(200)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권선(310) 및 제2권선(320)의 상하면과 설치공간(110)의 상하면 사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방열 수지층(400)은 상기한 구성들의 사이를 구획하면서 설치공간(110)에 빈틈없이 충전되므로, 제1권선(310) 및 제2권선(320)의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몸체(100)의 하부에는 방열 수지층(400)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700)가 하나 또는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700)는, 일단이 하부 보자력판(600)의 측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 연결된 상태로 방열 수지층(4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몸체(100)의 하단 테두리 부위와 하부 보자력판(600)은 방열 수지층(400)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중심자극(200)과 코일(300)을 이격 위치시킴과 동시에 코일(300)을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으로 분할하여 간격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1권선(310)과 제2권선(320)의 간격 부위에 방열 수지층(400)을 형성시킴으로써, 코일(300)과 방열 수지층(400)의 접촉 면적이 넓어 열이 정체되지 않고 외부로 신속히 배출된다.
그리고, 수지 계열의 열 전달물질을 이용하여 코일의 열을 몸체(100)로 전달시킴으로써, 열적 화학분해가 발생되지 않아 코일이 손상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자력 선별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원 케이블 20: 견인수단
100: 몸체 110: 설치공간
120: 연결구 200: 중심자극
300: 코일 310: 제1권선
320: 제2권선 400: 방열 수지층
500: 상부 보자판 600: 하부 보자판
700: 지지대 B: 체결부재

Claims (8)

  1. 내부에 하부로 개방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하나의 자극을 형성하는 중심자극과, 상기 중심자극의 외부에 권취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중심 자극과 상기 몸체가 서로 다른 자극을 갖도록 하는 코일 및, 상기 설치공간 내에 경화된 상태로 충전되며, 상기 코일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몸체로 전달하는 방열 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코일은, 상기 중심자극의 상부에 권취되며, 상기 방열 수지층에 의해 상기 중심자극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간격을 갖도록 위치되는 제1권선 및, 상기 중심자극의 하부에 권취되며, 상기 방열 수지층에 의해 상기 제1권선과 상기 중심자극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간격을 갖도록 위치되는 제2권선을 구비하며,
    상기 방열 수지층은, 상기 몸체의 설치공간 내에 충전되어 상기 제1권선과 상기 제2권선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방열 수지층은 액상의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를 충전한 후, 경화시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 수지층은,
    상기 코일과 상기 중심자극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빈틈없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선별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중심자극과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일체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 보자력판 및,
    상기 중심자극의 하단에 일체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방열 수지층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 보자력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선별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하부 보자력판의 측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 수지층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선별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 테두리 부위와, 상기 하부 보자력판은,
    상기 방열 수지층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선별기.
KR2020140001251U 2014-02-19 2014-02-19 자력 선별기 KR200475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51U KR200475432Y1 (ko) 2014-02-19 2014-02-19 자력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51U KR200475432Y1 (ko) 2014-02-19 2014-02-19 자력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432Y1 true KR200475432Y1 (ko) 2014-12-03

Family

ID=5353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251U KR200475432Y1 (ko) 2014-02-19 2014-02-19 자력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43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89A (ko) * 1999-12-09 2000-04-06 서정열 자력 선별기용 전자석 구조
KR100704236B1 (ko) * 2006-12-22 2007-04-09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스크랩 마그네트
KR101042511B1 (ko) * 2011-01-21 2011-06-17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전자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89A (ko) * 1999-12-09 2000-04-06 서정열 자력 선별기용 전자석 구조
KR100704236B1 (ko) * 2006-12-22 2007-04-09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스크랩 마그네트
KR101042511B1 (ko) * 2011-01-21 2011-06-17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전자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495B1 (ko) 비접촉 전력 전송용 코일 유닛
JP5333294B2 (ja) 誘導機器の組立体
KR101610493B1 (ko) 변압기 냉각 장치
KR101510334B1 (ko) 변압기의 방열 구조
KR101678003B1 (ko) 몰드 변압기의 냉각장치
JP6318874B2 (ja) リアクトル
EP3109873B1 (en) Inductor coil and electromagnetic component
KR20140013198A (ko) 냉각팬이 구비된 건식 변압기
JPWO2016017381A1 (ja) モールド変圧器
KR200475432Y1 (ko) 자력 선별기
JP2016073176A (ja) 非接触式送電装置
KR101238370B1 (ko) 최적 방열을 위한 회로기판의 부품배치 방법 및 그 부품배치 방법에 의해 부품이 배치된 회로 장치
JP5813350B2 (ja) 柱上変圧器
KR101872665B1 (ko) 중장비 차량탑재용 전자척
KR20130125593A (ko) 방열기를 갖는 변압기용 외함
JP2018078194A (ja) 静止誘導機器
JP2013024304A (ja) 電磁弁
CN207622961U (zh) 振动台风冷装置
KR20110072062A (ko)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급전장치용 페라이트코어 모듈
CN204303523U (zh) 电感装置
CN205723084U (zh) 一种低损耗节能电力变压器
EP3576117A1 (en) Non-contact power supply coil unit
JP2015133413A (ja) 静止誘導機器
CN104302106B (zh) 基于厚铜电路板的磁环定位结构
CN214811674U (zh) 自冷式电磁除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