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357Y1 -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357Y1
KR200475357Y1 KR2020130001295U KR20130001295U KR200475357Y1 KR 200475357 Y1 KR200475357 Y1 KR 200475357Y1 KR 2020130001295 U KR2020130001295 U KR 2020130001295U KR 20130001295 U KR20130001295 U KR 20130001295U KR 200475357 Y1 KR200475357 Y1 KR 200475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irate
rotary
wi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821U (ko
Inventor
황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1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35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8Barbed-wire obstacles; Barricades; Stanchions; Tank traps; Vehicle-impeding devices; Caltr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은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선박의 측면에 결합되는 회동부, 풀림 또는 감김에 의해 회동부를 회동시키도록 회동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와이어부 및 회전에 의해 와이어부를 풀거나 감을 수 있는 윈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STRUCTURE FOR ANTI-PIRACY OF SHIP}
본 고안은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말리아 해상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해적들의 선박 나포 및 피랍행위는 국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제사회적으로도 이러한 해적들의 행위를 근절하기 위하여 군사력 동원 등의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선박 자체에 무기를 갖추는 것이 국내외 법규상 허용되지 않으므로 충분한 대책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선박에 탑승하고 있는 선원들은 소총 등의 화기를 소지하지 못하는 반면에 해적들은 화기를 소지하고 있으므로, 일단 해적들이 승선에 성공하는 경우에는 선박이 나포 및 피랍되는 것을 방지하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해적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적의 승선 자체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7-261355호 (2007.10.11.)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보다 효과적으로 해적들의 승선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선박의 측면에 결합되는 회동부, 풀림 또는 감김에 의해 회동부를 회동시키도록 회동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와이어부 및 회전에 의해 와이어부를 풀거나 감을 수 있는 윈치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은 와이어부가 풀린 상태에서 회동부가 선박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회동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며, 가압부는 회동부와 선박이 결합되는 부분에 개재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는 선박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는 하단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절단 부재를 더 포함하고, 회동부의 하단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은 와이어부와 선박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선박에 설치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동부가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해적의 침입 시 보다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해적의 승선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에서 회동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에서 회동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1000)은 회동부(100), 와이어부(200) 및 윈치부(300)를 포함하고, 가압부(400) 및 롤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100)는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선박(10)의 측면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회동을 통해 해적(20) 등의 침입자가 승선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회동부(100)가 선박(10)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성은 특정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부(100)의 상단은 선박(10)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부(100)의 하단이 힌지 결합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동부(100)의 상단이 선박(10)의 측면에 힌지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회동부(100)는 외력에 의한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강도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선박(10)의 전체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량 부재 또는 속이 빈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부(200)는 풀림 또는 감김에 의해 회동부(100)를 회동시키도록 회동부(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윈치부(300)의 회전력을 회동부(100)에 전달하여 회동부(100)를 회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200)가 풀린 상태에서는 회동부(100)의 자중에 의해 회동부(100)의 하단이 아래로 내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부(200)가 감기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00)의 하단이 와이어부(200)에 의해 끌려 올라가면서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부(200)는 선박(10)의 각종 구성 장치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해수의 염분 등에 의한 손상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피복될 수 있다.
윈치부(300)는 회전에 의해 와이어부(200)를 풀거나 감을 수 있는 부분으로, 회동부(100)의 하단과 와이어부(120)로 연결되어 선박(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윈치부(300)는 원통드럼에 와이어부(200)가 감겨 있는 장치를 포함하여, 원통드럼이 일방향으로 회전 시 와이어부(200)가 감기고, 원통드럼이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와이어부(200)가 풀릴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윈치부(300)가 선박(10)의 갑판상에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박(10)의 측면 중 회동부(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100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적(20)은 승선을 위해 로프(30)를 던져 로프(30) 끝단에 형성된 갈고리(31)가 선박 상부 테두리에 설치된 핸드레일(11)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갈고리(31)가 핸드레일(11)에 걸리면, 해적(20)은 갈고리(31)를 기초로 하여 로프(30)를 잡고 선박(10)의 측면을 발로 디뎌가며 승선을 시도하거나, 줄사다리(미도시)를 걸고 승선을 시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해적(20)이 로프(30)를 잡고 승선을 시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승무원 등은 윈치부(300)에 감긴 와이어부(20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감아 와이어부(200)와 연결된 회동부(100)를 회동시킬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00)를 선박(10)의 측면과 이격되도록 펼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100)의 타단에 해적(20)이 던진 로프(30)가 걸리게 되므로, 로프(30)는 선박(10)의 측면(1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로프(30)에 매달려 있는 해적(20)도 마찬가지로 선박(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해적(20)이 선박(10)의 측면에 발을 디딜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해적(20)은 로프(30)를 잡은 손의 힘 만으로 승선을 시도해야 하며, 이로 인해 해적(20)의 체력을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적(20)의 승선 시간을 지연시켜 승무원들이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1000)은 회동부(100)가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해적(20)의 침입 시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승선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부(100)가 미처 펼쳐지기 전에 해적(20)이 갈고리(31)를 던져 승선을 시도하는 경우, 회동부(100)가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한다면 단순히 와이어부(200)를 푸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별도로 회동부(100)를 펼치기 위해 회동부(100)의 상단을 밀어주는 압력을 가해야 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1000)과 같이, 회동부(100)가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한다면 윈치부(300)를 통해 와이어부(200)를 감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회동부(100)를 펼칠 수 있다. 특히, 승무원 등이 비교적 안전한 선실 등에서 윈치부(300)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해적(20)에 의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부(100)가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회동부(100)의 자중을 크게 하여야만 해적(20)의 침입 시 비교적 신속하게 회동부(100)가 펼쳐질 수 있다. 그러나, 회동부(100)의 자중이 커지게 되면 선박(10)의 전체 중량이 커지게 되어 비경제적일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1000)과 같이, 회동부(100)가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한다면 해적(20)이 침입한 유사 시에는 회동부(100)의 자중과 무관하게 윈치부(300)의 속도 조절만으로도 신속하게 회동부(100)를 펼칠 수 있다.
그리고, 해적(20)이 사라져 상황이 종료된 후 회동부(100)의 하단을 아래로 내리는 경우는, 회동의 신속성의 요구되지 않는 상황이므로 회동부(100)의 자중을 작게 하더라도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1000)은 회동부(100)가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해적(20)의 침입 시 보다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해적(20)의 승선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가압부(400)는 와이어부(200)가 풀린 상태에서 회동부(100)가 선박(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회동부(100)를 가압하는 부분으로, 와이어부(200)가 풀린 상태에서 회동부(1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부(200)가 풀린 상태에서 회동부(100)는 하단이 아래로 내려진 상태로서, 회동부(100)의 자중 이외에는 회동부(100)를 구속하는 힘이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회동부(100)에 불필요한 유동이 발생하여 진동 내지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회동부(100) 및 선박(10)의 측면이 파손 내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1000)은, 가압부(400)가 회동부(100)를 가압하여 와이어부(200)가 풀린 상태에서 회동부(1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00)와 선박(10)이 결합되는 부분에 개재되는 비틀림 스프링(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틀림 스프링(410)은 비틀림을 받아서 탄성 변형하는 봉상의 스프링으로서, 코일의 양단이 직선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410)의 일단은 선박(1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동부(100)에 결합되어, 회동부(100)가 유동함에 따른 비틀림력을 탄성력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200)가 풀린 상태에서 회동부(100)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1000)에서, 회동부(100)는 선박(1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판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동부(100) 중 선박(10)의 측면과 접하는 면은 선박(1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회동부(100)가 선박(10)의 측면에 최대한 밀착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박(10)의 운행 시 회동부(100)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선박(10)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1000)에서, 회동부(100)는 하단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절단 부재(120)를 더 포함하고, 회동부(100)의 하단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 부재(120)는 해적(20)의 로프(30)를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 부재(120)는 펼쳐져 있는 회동부(100)의 위로 올라가기 위해 해적(20)이 회동부(100)를 파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적(20)이 승선을 위해 로프(30)에 매달리면, 로프(30)는 팽팽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것과 같이 회동부(100)가 회동되어 로프(30)가 회동부(100)의 하단에 걸리는 경우, 로프(30)가 회동부(100)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절단 부재(12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또한, 해적(20)이 회동부(100)에 올라가기 위해 회동부(100)를 파지하려고 시도하여도, 회동부(100)에 설치된 절단 부재(120)로 인해 파지를 어렵게 할 수 있다.
롤러부(500)는 와이어부(200)와 선박(10)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선박(10)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와이어부(200)와 선박(1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와이어부(20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00)와 윈치부(300)를 연결하는 와이어부(200)는 선박(10)의 상단 모서리 또는 핸드레일(1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걸쳐질 수 있다.
이 경우, 회동부(100)의 회동을 위해 와이어부(200)가 풀리거나 감기면, 와이어부(200)와 선박(10)의 상단 모서리 또는 핸드레일(11)의 접촉부위에서 마찰이 일어나므로, 와이어부(200)에 마모가 발생하여 파손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부(500)는 와이어부(200)와 선박(10)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와이어(121)의 마모로 인한 파손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롤러부(500)가 선박(10)의 상단 모서리 및 핸드레일(11)에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박(10)의 상단 모서리 및 핸드레일(11)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롤러부(500)가 봉형상의 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풀리 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선박 11: 핸드레일
20: 해적 30: 로프
31: 갈고리 100: 회동부
110: 판 부재 120: 절단 부재
200: 와이어부 300: 윈치부
400: 가압부 410: 비틀림 스프링
500: 롤러부 1000: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Claims (5)

  1. 하단이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단이 선박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부;
    풀림 또는 감김에 의해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회동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와이어부; 및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를 풀거나 감을 수 있는 윈치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가 풀린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가 상기 선박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회동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동부와 상기 선박이 결합되는 부분에 개재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는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선박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판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하단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절단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의 하단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와 상기 선박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선박에 설치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KR2020130001295U 2013-02-20 2013-02-20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KR200475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295U KR200475357Y1 (ko) 2013-02-20 2013-02-20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295U KR200475357Y1 (ko) 2013-02-20 2013-02-20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21U KR20140004821U (ko) 2014-08-28
KR200475357Y1 true KR200475357Y1 (ko) 2014-11-26

Family

ID=5229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295U KR200475357Y1 (ko) 2013-02-20 2013-02-20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3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6654B1 (en) * 2018-11-26 2024-05-15 Phenox Business Support AB Security arrang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983A (ja) 2000-01-11 2001-07-17 Sumitomo Heavy Ind Ltd 船舶への違法乗り込み防止装置
WO2004075132A2 (de) * 2003-02-20 2004-09-02 Klaus Kabella Verfahren zur anordnung zur abwehr und bekämpfung von piraten
WO2010096845A2 (de) * 2009-02-25 2010-09-02 Erich Steininger Vorrichtung zur abwehr von pirat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983A (ja) 2000-01-11 2001-07-17 Sumitomo Heavy Ind Ltd 船舶への違法乗り込み防止装置
WO2004075132A2 (de) * 2003-02-20 2004-09-02 Klaus Kabella Verfahren zur anordnung zur abwehr und bekämpfung von piraten
WO2010096845A2 (de) * 2009-02-25 2010-09-02 Erich Steininger Vorrichtung zur abwehr von pira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21U (ko)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615B2 (en) Lifting or locking system and method
US7784418B2 (en) Boat docking apparatus
WO2015168181A1 (en)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 (suav) shipboard recovery system
EP2844546B1 (en) Ships ladder
EP2817210B1 (de) Koppelelement, aussetzvorrichtung sowie boot
KR200475357Y1 (ko)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KR101315252B1 (ko) 선박 강제 등선용 조립식 사다리
CN207791090U (zh) 一种新型船舶舷墙
KR200467718Y1 (ko)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US9120545B2 (en) Apparatus for dousing a sail
US20160229495A1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ship's boat or other additional component to be carried along, and use of said device
CN102803061A (zh) 联接件
US7996942B2 (en) Rotating gangway support platform
CN207523895U (zh) 具有旋转式救生梯的船艇
US9902470B1 (en) Lifeboat launching arrangement
KR101315292B1 (ko) 등선장치
US11985963B2 (en) Dual release roller clip for kite fishing
DE102014016152B4 (de) Vorrichtung zum Ausbringen oder Aufnehmen von Personen und schwimmfähigen Objekten
KR200436987Y1 (ko) 선박후방경사면으로의 보트 인양 및 하강장치
FR2554076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l'accrochage du point de drisse d'une voile en tete d'un mat
KR200472457Y1 (ko)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CN101898691A (zh) 装船机的俯仰钢丝绳的更换方法
TW201730049A (zh) 捲鍊系統,以將錨鍊均勻分佈於錨鍊櫃中
RU20943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уска-уборки буксируемого объекта
CN104001288B (zh) 能使封闭挂钩自动翻越障碍的钩挂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