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292B1 - 등선장치 - Google Patents

등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292B1
KR101315292B1 KR1020130056368A KR20130056368A KR101315292B1 KR 101315292 B1 KR101315292 B1 KR 101315292B1 KR 1020130056368 A KR1020130056368 A KR 1020130056368A KR 20130056368 A KR20130056368 A KR 20130056368A KR 101315292 B1 KR101315292 B1 KR 10131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ole
pipe
hook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05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24Non-hinged free-standing ladders
    • E06C1/28Non-hinged free-standing ladders multi-part
    • E06C1/30Non-hinged free-standing ladders multi-part extensible, e.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52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등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폴대와, 폴대의 일단부에 결합된 받침대와, 폴대의 타단부에 결합된 후크와, 후크에 일측이 결합된 줄사다리를 포함하고, 폴대의 일단부는 받침대와 힌지 연결되고, 받침대는 힌지 연결된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등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등선장치{DEVICE FOR CLIMBING UP SHIP}
본 발명은 등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선박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선박의 선체에 줄사다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리적인 특성에 따라 많은 항구가 발달되어 왔으며, 현대에 들어서는 아시아에서 항만 물류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남쪽에 분포된 항구에는 컨테이너선, 화물선, 유조선 등 대형선박의 입항 및 출항이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외국인 선원이 입국 및 출국을 하며, 이에 따라 테러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테러 발생 시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응방안 및 장비 등의 준비가 필수적이다.
해상에서 행해지는 대테러작전 등에서는, 목표 선박에 접근하는 것 및 목표 선박에 해양경찰특공대 대원과 같은 작전수행인력이 진입하는 등선(登船)이 가장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작전수행인력을 목표 선박에 은밀하게 투입시켜야 하거나, 악천후 등의 사정으로 인해 항공기를 이용한 투입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단속정 등을 이용하여 작전수행인력을 목표 선박에 접근시킨 후 목표 선박의 선체에 로프나 줄사다리와 같은 등선수단을 설치하여 등선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작전이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작전환경에 적합한 등선장치가 원활히 제공될 수 있어야 하지만, 국내에서는 대형선박에 사용될 수 있는 등선장비가 거의 제조되지 않고 있으므로 수입장비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등선용 수입장비는 고가이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5713호에는 구조용 로프가 연결된 갈고리를 발사하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으나, 화약을 이용하여 갈고리를 발사하므로 은밀한 침투를 위하여 정숙성이 요구되는 작전에는 적용할 수 없고, 목표 선박에 직접적으로 줄사다리를 연결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482호에는 단속정 선체의 갑판에 사다리부가 구비된 승선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컨테이너선이나 유조선과 같은 대형선박의 등선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작전수행인력이 대형선박에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등선할 수 있도록 하는 등선장치의 제공을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5713호(발명의 명칭: 화약의 압력을 이용한 다목적 인명 구조장치, 공개일: 2005년 3월 14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482호(고안의 명칭: 단속정용 승선 장치, 등록일: 2005년 1월 7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소형인 선박에서 선체의 높이가 높은 대형선박으로 등선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등선장치가 경량이며 최소화 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전수행인력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폴대와, 상기 폴대의 일단부에 결합된 받침대와, 상기 폴대의 타단부에 결합된 후크와, 상기 후크에 일측이 결합된 줄사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의 일단부는 상기 받침대와 힌지 연결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힌지 연결된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등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크에는, 일단부가 상기 폴대의 타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봉 형상의 후크본체부와, 일측은 상기 후크본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고리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크에는, 상기 걸림부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상기 후크본체부 또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이탈방지돌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에는, 상기 후크본체부 또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된 사다리고정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의 일부분 이상의 표면에는 탄성막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의 일부분 이상의 재질은 티타늄일 수 있다.
상기 받침대에는, 평판형상의 받침대본체와, 상기 받침대본체의 일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발걸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등선장치에는 상기 줄사다리의 타측이 감기거나 풀리는 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줄사다리에는, 한 쌍의 와이어와, 상기 한 쌍의 와이어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봉 형상을 갖는 복수의 세장과,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세장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밀착방지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줄사다리에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세장에 등간격으로 결합된 복수의 마킹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등선장치에는 상기 폴대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지지핸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대에는, 직경이 큰 것의 중공부에 직경이 작은 것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파이프, 제2 파이프, 제3 파이프 및 제4 파이프가 포함되고,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파이프, 상기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3 파이프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 칼라, 제2 칼라 및 제3 칼라와, 상기 제1 칼라, 상기 제2 칼라 및 상기 제3 칼라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와, 상기 제1 칼라 및 상기 제2 칼라에 각각 결합된 제1 고정핀 및 제2 고정핀과, 상기 제3 파이프 및 상기 제4 파이프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3 고정핀 및 제4 고정핀과, 상기 제2 파이프의 일단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풀리와,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블드럼과, 일단부는 상기 제1 고정핀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은 상기 풀리 및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며, 타측은 상기 케이블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 케이블과, 일단부는 상기 제1 고정핀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은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3 고정핀에 결합된 제2 케이블과, 일단부는 상기 제2 고정핀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은 상기 제3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4 고정핀에 결합된 제3 케이블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파이프, 상기 제2 파이프, 상기 제3 파이프 및 상기 제4 파이프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상술한 등선장치에는 일단부가 상기 폴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폴대의 일측에 배치된 견인로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조작으로 폴대의 길이가 충분히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대형 목표 선박의 선체에도 등선수단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목표 선박의 선체 상단부의 형상에 따라 적합한 후크를 교체하여 폴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표 선박의 선체에 등선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목표 선박의 선체 상단부에 후크가 연결된 후 후크가 폴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작전수행인력이 폴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전수행인력이 안전하게 등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줄사다리에 밀착방지부재 및 마킹을 설치하여 줄사다리가 선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줄사다리의 위치가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함으로써 작전수행인력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등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크 및 폴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대 및 폴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폴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선장치(1)에는 받침대(10), 폴대(30), 후크(50) 및 줄사다리(70)가 포함된다. 받침대(10)는 폴대(3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후크(50)는 폴대(3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줄사다리(70)의 일측은 후크(50)에 결합된다.
후크(50)는 폴대(30)의 일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후크 및 폴대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폴대(30)에는 제1 파이프(31), 제2 파이프(32), 제3 파이프(33) 및 제4 파이프(34) 등이 포함되고, 후크(50)에는 후크본체부(51), 걸림부(52), 사다리고정링(53) 및 이탈방지돌기(54) 등이 포함된다.
후크본체부(51)는 봉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후크본체부(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52)의 일측은 후크본체부(51)에 연결되며, 걸림부(52)의 타측은 고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52)는 후크본체부(5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후 후크본체부(51)에 결합될 수도 있다.
걸림부(52)의 고리 형상을 갖는 타측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본체부(51)로부터 분기된 한 쌍의 고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52)의 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후크본체부(51)의 일단부는 제4 파이프(34)의 타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4 파이프(34)의 타단부에는 후크본체부(51)의 형상에 상응하는 후크삽입공(345)이 형성되어, 후크본체부(51)의 일부가 후크삽입공(345)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후크본체부(51)가 제4 파이프(34)로부터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본체부(51)에는 걸림돌기(55)가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걸림돌기(55)는 후크본체부(51)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에 의해 탄성지지 되도록 설치되어, 후크본체부(5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외력이 가해지면 걸림돌기(55)가 후크본체부(51) 내로 압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걸림홈(346) 내에는 걸림돌기(55)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걸림홈(346)이 함입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크본체부(51)의 일부가 후크삽입공(345)에 삽입되면 걸림돌기(55)가 걸림홈(346)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55) 및 걸림홈(346)의 결합에 의하여, 후크(50)가 폴대(3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선장치(1)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후크(50)가 폴대(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재(348)를 이용하여 후크본체부(51)가 제4 파이프(34)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삽입공(345)에 체결공(347)을 형성하고, 후크본체부(51)가 걸림홈(346)에 삽입되었을 때 체결공(347)에 체결부재(348)를 체결하면 체결부재(348)의 단부에 의해 후크본체부(51)가 가압되어 후크삽입공(345) 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사다리고정링(53)은 줄사다리(70)의 일측이 후크(50)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사다리고정링(5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본체부(51)에 결합 또는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걸림부(52)에 결합 또는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사다리고정링(5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냅링크(snap link)라고도 지칭되는 카라비너(karabiner)와 같이 탄성부재가 설치된 개폐부가 형성되어 줄사다리(70)가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걸림부(52)는 도시되지 않은 목표 선박의 선체 상측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목표 선박의 선체 상측에 선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guide rail) 등의 구조물이 구비된 것을 상정하여 예시한 것이다. 그러므로, 걸림부(52)는 연결될 부분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54)는 걸림부(52)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후크본체부(51) 또는 걸림부(5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돌기(54)는 후크본체부(51) 및 걸림부(52)가 형성하는 고리 형상의 부분 내부로 난간과 같은 연결대상물(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부분을 커버함으로써, 삽입된 연결대상물(도시되지 않음)이 후크(5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탈방지돌기(54)의 돌출된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52)의 타단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탈방지돌기(54)의 돌출된 단부가 걸림부(52)의 타단부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탈방지돌기(54)의 단부가 걸림부(52)의 타단부에 접하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이탈방지돌기(54)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되거나, 후크본체부(51) 또는 걸림부(5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대상물(도시되지 않음)이 후크본체부(51) 및 걸림부(52)가 형성하는 고리 형상 부분 내부로는 용이하게 삽입되는 반면, 일단 삽입된 후에는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탄성막(56)은 후크(50)가 난간과 같은 연결대상물(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성된 것이다. 탄성막(56)은 걸림부(52)의 표면에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를 코팅하거나, 탄성소재로 제조된 튜브 형상의 부재에 걸림부(52)를 삽입함으로써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막(56)은 필요에 따라 후크본체부(51), 사다리고정링(53) 및 이탈방지돌기(54)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막(56)은 후크(50)의 일부분 이상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대 및 폴대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받침대(10)에는 받침대본체(11), 발걸이(12), 핀보스(13), 회전연결부재(14), 회동핀(15) 및 브라켓(16)이 포함된다.
받침대본체(11)는 감시선과 같은 선박의 갑판 또는 고무보트의 바닥면 상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평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핀보스(13)는 받침대본체(11)의 일면, 즉 상면에 돌출 형성 또는 결합될 수 있고, 핀보스(13)의 중심부에는 핀삽입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재(14)에는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핀부(143) 및 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부(141)가 포함된다. 브라켓부(141)에는 받침대본체(11)와 나란한 방향으로 핀홀(142)이 형성된다.
핀부(143)는 핀삽입공(131)에 결합되는데, 회전연결부재(14)가 핀부(143)를 회전중심으로 핀보스(1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핀부(143)는 핀보스(13)에 대하여 회전은 가능하지만 임의로 분리되지는 않도록 결합되는데, 이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브라켓(16)은 제1 파이프(31)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브라켓(16)에는 핀홀(161)이 형성된다. 브라켓(16)은 한 쌍의 브라켓부(141)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회동핀(15)이 핀홀(142) 및 핀홀(161)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체결되어 회전연결부재(14) 및 브라켓(16)이 결합되도록 한다. 즉, 브라켓(16)은 회동핀(15)을 회전중심으로 회전연결부재(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파이프(31)의 일단부는 회전연결부재(14) 및 브라켓(16) 사이의 힌지 연결에 의해 받침대본체(11)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받침대본체(11)는 핀보스(13) 및 회전연결부재(14)의 사이의 회전 연결에 의해 회전연결부재(14) 또는 브라켓(16)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즉, 폴대(30)의 일단부는 받침대(10)와 힌지 연결되어 도 1에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받침대(10)는 도 1에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폴대(30)와 힌지 연결된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구조에 의해 선박이나 고무보트에 고정된 받침대(10)에 대하여 폴대(30)는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가동될 수 있다.
발걸이(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본체(1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발걸이(12)는 등선장치(1)를 사용할 때 받침대본체(11)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등선장치(1) 조작자 및 조력자가 발의 앞부분을 발걸이(12)에 삽입한 후 체중을 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발걸이(12)의 수는 받침대 본체(11)의 면적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가감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폴대의 종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폴대(30)에는 제1 파이프(31), 제2 파이프(32), 제3 파이프(33), 제4 파이프(34), 제1 칼라(312), 제2 칼라(322), 제3 칼라(332), 제1 케이블(311), 제2 케이블(321) 및 제3 케이블(331) 등이 포함된다.
제1 파이프 내지 제4 파이프(31, 32, 33, 34)는 직경이 큰 것의 중공부 내에 직경이 작은 것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즉, 제1 파이프(31)의 중공부 내에 제2 파이프(32)가 배치되고, 제2 파이프(32)의 중공부 내에 제3 파이프(33)가 배치되며, 제3 파이프(33)의 중공부 내에 제4 파이프(34)가 배치된다.
제1 파이프(31)의 타단부에는 제1 칼라(312)가 결합되고, 제2 파이프(32)의 타단부에는 제2 칼라(322)가 결합되며, 제3 파이프(33)의 타단부에는 제3 칼라(332)가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칼라 내지 제3 칼라(312, 322, 3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는데, 이 돌출된 부분에는 롤러(313, 323, 333) 및 고정핀(314, 324)이 각각 설치된다.
즉, 제1 칼라(312)의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 중 일측에는 제1 롤러축(313a)이 결합되고, 제1 롤러축(313a)에는 제1 롤러(31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에는 제1 고정핀(314)이 결합된다.
제2 칼라(322)의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 중 일측, 즉 제1 롤러(313)가 배치된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는 제2 고정핀(324)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2 롤러축(323a)이 결합되며, 제2 롤러축(323a)에는 제2 롤러(3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칼라(332)의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 중 일측, 즉 제2 고정핀(324)이 배치된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는 제3 롤러축(333a)이 결합되고, 제3 롤러축(333a)에는 제3 롤러(3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32)의 일단부 내측에는 풀리핀(351)이 설치되고, 풀리핀(351)에는 풀리(3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3 파이프(33)의 일단부에는 제3 고정핀(334)이 결합되고, 제4 파이프(34)의 일단부에는 제4 고정핀(344)이 결합된다.
제1 파이프(31)의 외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축(317)이 결합되고, 드럼축(317)에는 케이블드럼(316)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케이블드럼(316)에는 드럼축(317)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과 나란하게 연결로드(318)가 설치되며, 연결로드(318)의 단부에는 드럼손잡이(319)가 설치된다. 따라서, 케이블드럼(316)은 드럼손잡이(319)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311)의 일단부는 제1 고정핀(314)에 고정 결합되고, 그 중간 부분은 풀리(35)의 외주부 및 제1 롤러(313)의 외주부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배치되며, 그 타측은 케이블드럼(316)의 외주부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연결된다.
제2 케이블(321)은, 도 4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제1 고정핀(314)에 고정 결합되고, 그 중간 부분은 제2 롤러(323)의 외주부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배치되며, 그 타단부는 제3 고정핀(334)에 고정 결합된다.
제3 케이블(331)은, 도 4에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제2 고정핀(324)에 고정 결합되고, 그 중간 부분은 제3 롤러(333)의 외주부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배치되며, 그 타단부는 제4 고정핀(344)에 고정 결합된다.
폴대(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즉, 제1 케이블(311)의 타측이 케이블드럼(316)의 외주부에 감기도록 드럼손잡이(319)를 이용하여 케이블드럼(316)이 회전되도록 하면, 제1 케이블(311)의 일단부는 제1 고정핀(31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중간 부분의 길이가 점차 단축된다. 이에 따라 풀리(35)에는 도 4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제2 파이프(32)는 제1 파이프(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파이프(32)가 제1 파이프(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칼라(312) 및 제2 칼라(322) 사이의 거리가 점차 증가된다. 따라서, 일단부가 제1 고정핀(314)에 의해 고정된 제2 케이블(321)의 중간 부분은 제2 롤러(323)에 의해 가이드되어 점차 제2 파이프(32)의 외주면 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2 케이블(321)의 중간 부분 중 제2 파이프(32)의 내측에 배치된 부분의 길이는 점차 단축되고, 이에 따라 제2 케이블(321)의 타단부가 결합된 제3 고정핀(334)에는 화살표 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어 제3 파이프(33)는 제2 파이프(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3 파이프(33)가 제2 파이프(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칼라(322) 및 제3 칼라(332) 사이의 거리가 점차 증가된다. 따라서, 일단부가 제2 고정핀(324)에 의해 고정된 제3 케이블(331)의 중간 부분은 제3 롤러(333)에 의해 가이드되어 점차 제3 파이프(33)의 외주면 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3 케이블(331)의 중간 부분 중 제3 파이프(33)의 내측에 배치된 부분의 길이는 점차 단축되고, 이에 따라 제3 케이블(331)의 타단부가 결합된 제4 고정핀(344)에는 화살표 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어 제4 파이프(34)는 제3 파이프(3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1 케이블(311)의 타측이 외주부에 감기도록 케이블드럼(316)이 회전됨에 따라, 제1 파이프 내지 제4 파이프(31, 32, 33, 34)는 서로 상대적으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폴대(30)의 전체적인 길이가 증가된다.
반대로, 제1 케이블(311)의 타측이 외주부로부터 풀리도록 케이블드럼(316)이 회전되면, 제2 내지 제4 파이프(32, 33, 34)는 자중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폴대(30)의 전체적인 길이가 다시 단축되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이블드럼(316)의 회전방향에 따라 폴대(30)의 길이가 신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폴대(30)의 길이가 최대로 신장되었을 때 제1 파이프 내지 제4 파이프(31, 32, 33, 34)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이프 내지 제4 파이프(32, 33, 34)의 일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제1 내지 제3 파이프(31, 32, 33)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상술한 걸림돌기에 각각 상응하도록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여, 걸림돌기와 걸림턱이 서로 접할 경우 제1 파이프 내지 제4 파이프(31, 32, 33, 34)가 더 이상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 파이프 내지 제4 파이프(31, 32, 33, 34)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등선장치(1)에는 견인수단(8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수단(80)에는 견인로프(81), 견인로프 고정핀(82), 견인로프 드럼(83) 및 견인로프 드럼축(84)이 포함될 수 있다.
견인로프 고정핀(82)은 제4 파이프(34)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견인로프 고정핀(82)에는 견인로프(81)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제1 파이프(31) 내에는 견인로프 드럼축(84)이 설치되고, 견인로프 드럼축(84)에는 견인로프 드럼(8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견인로프(81)의 타측은 견인로프 드럼(83)의 외주부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연결된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견인로프 드럼축(84) 및 견인로프 드럼(83) 사이에는 견인로프(81)가 견인로프 드럼(83)의 외주면에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견인로프 드럼(83)을 탄성지지 하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폴대(30)의 길이가 신장될 경우에는 견인로프(81)가 견인로프 드럼(83)으로부터 풀려나가게 되고, 폴대(30)의 길이가 단축될 경우에는 견인로프 드럼(83)에 작용되는 탄성력에 따라 견인로프(81)의 타측이 견인로프 드럼(83)의 외주부에 다시 감기게 된다.
따라서, 일단부가 폴대(30)의 타단부에 결합된 견인로프(81)는, 그 타측이 폴대(30)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견인수단(80)의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줄사다리(70)에는 와이어(71) 및 세장(72) 등이 포함된다.
와이어(71)는 한 쌍이 나란히 배치되고, 세장(72)의 양단부는 한 쌍의 와이어(71)에 고정된다. 이때 발판 역할을 하는 세장(72)으로는 환봉 또는 장방형 단면을 갖는 봉 형상의 부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세장(72)은 와이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줄사다리(70)에는 밀착방지부재(7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밀착방지부재(73)는 도시되지 않은 목표 선박의 선체에 줄사다리(70)가 설치되었을 때 선체의 외면에 줄사다리(70)가 밀착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전수행인력이 줄사다리(7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등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밀착방지부재(73)는 한 쌍의 와이어(71)의 양측으로 세장(72)보다 돌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해수나 담수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내수성 및 내염수성을 갖는 동시에 줄사다리(70)의 중량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발포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줄사다리(70)에는 복수의 마킹(7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마킹(74)은 목표 선박의 선체에 줄사다리(7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선체의 높이를 예측할 수 있도록 와이어(71) 또는 세장(72)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킹(74)은 주간뿐만 아니라 악천후 또는 야간에도 가시성이 높도록 유리분말과 같이 반사율이 높은 물질 또는 형광안료 등을 포함시켜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마킹(74)은 스티커와 같이 와이어(71) 또는 세장(72)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제조된 것일 수 있고, 페인트와 같이 와이어(71) 또는 세장(72)의 표면에 도포되어 도막을 형성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선장치(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선장치(1)는 작전수행인력이 탑승한 감시선이나 고무보트 등에 적재된다. 이때, 등선장치(1)가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폴대(30)의 길이는 최소로 단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감시선이나 고무보트의 안정성을 위해 받침대(10)에 대하여 폴대(30)를 회동시켜 받침대(10)의 바닥면 및 폴대(30)의 측면이 감시선의 갑판이나 고무보트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등선장치(1)를 적재한 감시선 또는 고무보트 등을 도시되지 않은 목표 선박에 충분히 근접시키는 동안 목표 선박의 선체 상단부 형상에 적절한 후크(50)를 폴대(30)의 타단부에 결합시킨다.
이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50)는 폴대(30)의 타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적절한 형상을 갖는 후크(50)를 선정하여 용이하게 폴대(30)의 타단부에 교체 결합시킬 수 있다. 후크(50)를 폴대(30)에 결합되도록 한 후에는 체결부재(348)를 이용하여 후크(50)가 폴대(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후크(50)를 폴대(30)에 결합시킨 후에는 줄사다리의 일측을 사다리고정링(53)에 결합시킨다.
이후 받침대(10)의 바닥면이 감시선의 갑판이나 고무보트의 바닥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다음, 받침대(10)에 대하여 폴대(30)를 회동시켜 폴대(30)가 선체의 외면에 근접하도록 한다.
이때, 폴대(30)를 조작하는 조작자 및 조력자가 폴대(3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등선장치(1)에는 폴대(3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된 지지핸들(31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조작자 및 조력자가 지지핸들(315)을 이용하여 폴대(30)의 타단부가 목표 선박의 선체 상단부를 향하도록 한 후, 드럼손잡이(319)를 이용하여 케이블드럼(316)을 회전시켜 폴대(30)의 길이가 충분히 신장되도록 한다. 이때 조작자 및 조력자는 발걸이(12)에 발의 일부분을 삽입하고 체중을 가하여 받침대(10)가 흔들리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폴대(30)의 길이가 충분히 신장되면 조작자 및 조력자는 후크(50)가 목표 선박의 선체 상단부에 연결되도록 한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이, 가드레일 등의 일부가 후크(50)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목표 선박의 선체 상단부에 후크(50)가 연결되면 작전수행인력이 줄사다리(70)를 이용하여 목표 선박으로 등선한다.
참고로, 이 과정에서 파도 또는 바람 등에 의해 감시선 또는 고무보트 등이 목표 선박에 대해 상대적으로 흔들릴 경우에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폴대(30)는 받침대(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 또는 회전되므로 후크(50)가 연결된 위치로부터 크게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파도가 매우 심하거나 강풍이 부는 경우에는 감시선 또는 고무보트 등이 목표 선박에 대해 상대적으로 크게 흔들릴 수 있다. 이럴 경우 폴대(30) 또한 목표 선박의 선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흔들릴 수 있으므로, 줄사다리(70)를 이용하여 등선 중인 작전수행인력이 흔들리는 폴대(30)와 충돌하여 부상을 당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기상조건이 열악할 경우에는 폴대(30)에 후크(50)를 결합시킬 때 체결부재(348)에 의해 후크(50)가 체결되지 않도록 하고, 후크(50)가 목표 선박의 선체 상단부에 연결된 후에는 케이블드럼(316)의 외주부로부터 제1 케이블(311)이 풀려 나가도록 케이블드럼(316)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견인로프(81)로 폴대(30)의 타단부를 견인하여 폴대(30)의 길이가 단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폴대(30)의 길이가 단축되면서 폴대(30)의 타단부로부터 후크(5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줄사다리(70)는 후크(50)에 의해 목표 선박의 선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전수행인력은 목표 선박으로 등선할 수 있으며, 폴대(30)는 후크(50)로부터 분리된 후 길이가 단축되므로 파도 또는 강풍에 의해 폴대(30)와 작전수행인력이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선장치(1)는, 후크(50)가 목표 선박의 선체에 연결된 후 견인수단(80)을 이용하여 폴대(30)의 단부로부터 후크(50)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작전수행인력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악천후에 의해 줄사다리(70)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후크(50)의 탄성막(56) 및 밀착방지부재(73)에 의해 후크(50) 및 줄사다리(70)가 선체와 충돌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되므로, 등선장치(1)는 정숙을 요하는 작전에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킹(74)의 가시성이 높도록 한 경우에는 작전수행요원이 야간에 등선하는 경우에도 줄사다리(70)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증가될 수 있다.
후크(50)는 높은 강성도(stiffness)를 요하면서도 경량일수록 폴대(30)의 위치 조종에 유리하므로, 후크(50)의 일부분 이상, 즉 후크본체부(51), 걸림부(52), 사다리고정링(53) 및 이탈방지돌가(54)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는 티타늄과 같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대(30) 또한 중량이 최소화될수록 조작이 용이하므로, 제1 파이프 내지 제4 파이프(31, 32, 33, 34)의 재질로는 알루미늄 또는 두랄루민(duralumin)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줄사다리(70)의 타측에는 릴(75)이 설치될 수 있다. 릴(75)은 릴지지대(76)에 결합된 릴축(7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줄사다리(70)가 릴(75)의 외주부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줄사다리(7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줄사다리(70)가 릴(75)에 감긴 상태로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줄사다리(70)를 사용할 경우에도 필요한 길이만큼만 릴(75)에서 풀리도록 함으로써 줄사다리(70)에 의해 작전수행인력의 이동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선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등선장치 10: 받침대
11: 받침대본체 12: 발걸이
13: 핀보스 131: 핀삽입공
14: 회전연결부재 141: 브라켓부
142: 핀홀 143: 핀부
15: 회동핀 16: 브라켓
161: 핀홀 30: 폴대
31: 제1 파이프 311: 제1 케이블
312: 제1 칼라 313: 제1 롤러
313a: 제1 롤러축 314: 제1 고정핀
315: 지지핸들 316: 케이블드럼
317: 드럼축 318: 연결로드
319: 드럼손잡이 32: 제2 파이프
321: 제2 케이블 322: 제2 칼라
323: 제2 롤러 323a: 제2 롤러축
324: 제2 고정핀 33: 제3 파이프
331: 제3 케이블 332: 제3 칼라
333: 제3 롤러 333a: 제3 롤러축
334: 제3 고정핀 34: 제4 파이프
344: 제4 고정핀 345: 후크삽입공
346: 걸림홈 347: 체결공
348: 체결부재 35: 풀리
351: 풀리핀 50: 후크
51: 후크본체부 52: 걸림부
53: 사다리고정링 54: 이탈방지돌기
55: 걸림돌기 56: 소음방지막
70: 줄사다리 71: 와이어
72: 세장 73: 밀착방지부재
74: 마킹 75: 릴
76: 릴지지대 77: 릴축
80: 견인수단 81: 견인로프
82: 견인로프 고정핀 83: 견인로프 드럼
84: 견인로프 드럼축

Claims (14)

  1.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폴대;
    상기 폴대의 일단부에 결합된 받침대;
    상기 폴대의 타단부에 결합된 후크;
    상기 후크에 일측이 결합된 줄사다리; 및
    상기 폴대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결합된 지지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폴대의 일단부는 상기 받침대와 힌지 연결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힌지 연결된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등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일단부가 상기 폴대의 타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봉 형상의 후크본체부; 및
    일측은 상기 후크본체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고리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등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걸림부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상기 후크본체부 또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등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본체부 또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된 사다리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등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일부분 이상의 표면에 형성된 탄성막을 더 포함하는 등선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일부분 이상의 재질은 티타늄인 등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평판형상의 받침대본체; 및
    상기 받침대본체의 일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발걸이를 포함하는 등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사다리의 타측이 감기거나 풀리는 릴을 더 포함하는 등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줄사다리는,
    한 쌍의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와이어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봉 형상을 갖는 복수의 세장; 및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세장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밀착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등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줄사다리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세장에 등간격으로 결합된 복수의 마킹을 더 포함하는 등선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직경이 큰 것의 중공부에 직경이 작은 것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파이프, 제2 파이프, 제3 파이프 및 제4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파이프, 상기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3 파이프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 칼라, 제2 칼라 및 제3 칼라;
    상기 제1 칼라, 상기 제2 칼라 및 상기 제3 칼라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
    상기 제1 칼라 및 상기 제2 칼라에 각각 결합된 제1 고정핀 및 제2 고정핀;
    상기 제3 파이프 및 상기 제4 파이프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3 고정핀 및 제4 고정핀;
    상기 제2 파이프의 일단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풀리;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블드럼;
    일단부는 상기 제1 고정핀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은 상기 풀리 및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며, 타측은 상기 케이블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 케이블;
    일단부는 상기 제1 고정핀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은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3 고정핀에 결합된 제2 케이블; 및
    일단부는 상기 제2 고정핀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은 상기 제3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4 고정핀에 결합된 제3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등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상기 제2 파이프, 상기 제3 파이프 및 상기 제4 파이프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함금인 등선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폴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폴대의 일측에 배치된 견인로프를 더 포함하는 등선장치.
KR1020130056368A 2013-05-20 2013-05-20 등선장치 KR10131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368A KR101315292B1 (ko) 2013-05-20 2013-05-20 등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368A KR101315292B1 (ko) 2013-05-20 2013-05-20 등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292B1 true KR101315292B1 (ko) 2013-10-16

Family

ID=4963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368A KR101315292B1 (ko) 2013-05-20 2013-05-20 등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8158A1 (en) * 2018-09-19 2020-03-26 Frodé Marina Ab Boarding pole protection
SE2251036A1 (en) * 2022-09-07 2024-03-08 Frode Marina Ab A board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00U (ja) * 1992-07-15 1994-02-10 築地産業有限会社 組立て用梯子
KR0122920Y1 (ko) * 1995-04-26 1998-10-15 박준필 신축성 라이트 폴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00U (ja) * 1992-07-15 1994-02-10 築地産業有限会社 組立て用梯子
KR0122920Y1 (ko) * 1995-04-26 1998-10-15 박준필 신축성 라이트 폴의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8158A1 (en) * 2018-09-19 2020-03-26 Frodé Marina Ab Boarding pole protection
SE2251036A1 (en) * 2022-09-07 2024-03-08 Frode Marina Ab A board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use thereof
WO2024054144A1 (en) * 2022-09-07 2024-03-14 Frodé Marina Ab A board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use thereof
SE546064C2 (en) * 2022-09-07 2024-05-07 Frode Marina Ab A board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us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9526B2 (en)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 (SUAV) shipboard recovery system
ES2922874T3 (es) Sistema y método de detención de emergencia de barcos
US8720361B2 (en) Security barrier
US5513816A (en) Line flaking system
KR101315292B1 (ko) 등선장치
US5158489A (en) Marine rescue life net
WO2020058734A1 (en) Automatic mooring apparatus for watercraft
KR101315252B1 (ko) 선박 강제 등선용 조립식 사다리
US20150336637A1 (en) Mooring Device
US10321673B1 (en) Bird deterrent device
WO2005080192A1 (en) Swift water advanced rescue device
EP3003846B1 (en) Cradle assembly for boats
US2536682A (en) Sea anchor apparatus
US9096298B1 (en) Rescue pole
US20160229495A1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ship's boat or other additional component to be carried along, and use of said device
US8360813B1 (en) Rescue pole and clamping assembly
US20140166396A1 (en) Conduits and methods for use with marine evacuation systems
EP0929438B1 (en) Man overboard device
KR102046725B1 (ko) 구명보트의 임의 추락을 방지하는 장치
US8783746B1 (en) Recovery stabilizing pole
GB2209146A (en) Mooring device
KR20140004821U (ko) 선박의 해적 승선 방지 구조물
CN213619520U (zh) 水域救援组件及水域救援车
NO202109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buoy to a mooring line
US10479464B2 (en) Water rescu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