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078Y1 - 돌솥 받침대 - Google Patents

돌솥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078Y1
KR200475078Y1 KR2020140005835U KR20140005835U KR200475078Y1 KR 200475078 Y1 KR200475078 Y1 KR 200475078Y1 KR 2020140005835 U KR2020140005835 U KR 2020140005835U KR 20140005835 U KR20140005835 U KR 20140005835U KR 200475078 Y1 KR200475078 Y1 KR 200475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frame
pot
upper fram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김철
Original Assignee
김성환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김철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2020140005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0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0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1인용 돌솥에 밥을 하여 제공할 때 받치는 틀을 이루는 돌솥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철판을 절곡하여 만든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돝솥이 끼워져 걸쳐질 수 있는 삽입구와, 밥이 채워진 돌솥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 및 하부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한 상부 연결편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바닥면에 안착하면서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에 형성된 손잡이홀, 상기 지지벽으로 뚤러 싸여지고 아래쪽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내부 수용공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연결하는 하부 연결편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상하 연결편을 통하여 용접하여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의 폭이 하부 프레임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져, 2개 이상의 돌솥 받침대를 상하로 쌓을 때 아래쪽 돌솥받침대의 상부 프레임에 위쪽 돌솥 받침대의 하부 프레임을 끼워 넣을 수 있게 이루어져, 상하 돌솥받침대를 서로 끼워 포갤 수 있게 함으로써 적재할 때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돌솥 받침대는 금속으로 만들면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상하로 포갤 수 있게 하여 보관하기에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돌솥 받침대{A tray for stone pot}
본 고안은 1인용 밥을 지은 돌솥을 지지하는 돌솥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으로 만들면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상하로 포갤 수 있게 하여 보관하기에도 용이하게 한 돌솥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사용하는 돌솥 받침대는 돌로 만들어진 소형 솥, 또는 주물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 소형 솥에 1인용 밥을 한 후, 그 밥 이 담긴 솥을 그대로 손님에게 제공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뜨겁고 무거운 돌솥 또는 무쇠솥을 안전하게 지지하게 하기 위해 일정한 형태의 틀을 이루게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돌솥받침대는 나무로 만들어져 뜨겁고 무거운 솥을 내부에 끼운 상태로 지지하게 하기 위해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돌솥받침대는 솥 자체의 부피보다 더 크기 때문에 보관하거나 사용한 후에 세척할 때 이를 적재해 두기에 여러 가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나무로 만들어진 돌솥 받침대를 보관할 때나 사용한 후에 세척할 때 여러 개를 한꺼번에 적재해 두면 그 부피가 엄청나 큰 보관 공간이 필요하고 세척할 때도 주방의 큰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종래의 돌솥 받침대가 서로 끼워 포개서 쌓을 수가 없게 되어 있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으로서, 이러한 문제 때문에 돌솥밥을 취급하는 전문점에서는 돌솥받침대를 다루는 게 큰 고충이었고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한편, 기존의 일반적인 돌솥받침대를 나무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밥국물이나 기타 다른 반찬 국물 등의 오염물이 묻으면 나무의 섬유 조직 사이로 침투해 들어가 좋지 아니한 냄새가 나고 시간이 가면 부패하여 상하게 된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나무로 만들어진 돌솥받침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금속으로 돌솥받침대를 만든 것이 국내 디자인등록으로 제30-0567208호 및 30-0567209호로 등록된 것이 있다.
그런데 위의 디자인으로 등록된 종래의 고안에 따른 돌솥받침대는 재질이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나무로 만들어진 기존의 돌솥받침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굵은 철사 또는 철근과 같은 재료를 서로 용접하여 만든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나무로 만든 돌솥받침대와 같이 서로 포갤 수 없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디자인 고안에 따른 기존의 돌솥받침대 역시 보관하거나 세척 후에 싱크대에서 임시보관할 경우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저장하기가 아주 곤란하다는 문제는 그대로 남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디자인 고안에 따른 굵은 철사 또는 철근과 같은 재료를 필요한 길이에 맞추어 여러 토막으로 잘라서 이들을 개별적으로 하나하나 용접하여 붙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아주 번거롭고 많은 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자료]
1. 국내 디자인등록공보 30-0567208(공고일자 2010. 07. 16)
2. 국내 디자인등록공보 30-0567209(공고일자 2010. 07. 16)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돌솥받침대의 문제를 해결하여, 나무재질로 만든 경우에 음식물 찌꺼기 등이 배여 냄새가 나는 문제를 해결함과 더불어, 제작 공정이 까다롭고 복잡하기 않게 하여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돌솥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면서도 돌솥받침대 자체를 상하로 끼워 포갤 수 있게 함으로써 보관할 때 서로 끼운 상태로 포갤 수 있게 하여 적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게 하고 보관도 용이하게 한 돌솥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돌솥받침대는 철판을 절곡하여 만든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돝솥이 끼워져 걸쳐질 수 있는 삽입구와, 돌솥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아래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하부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한 상부 연결편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바닥면에 안착하면서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에 형성된 손잡이홀, 상기 지지벽으로 뚤러 싸여지고 아래쪽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내부 수용공간 및, 상기 지지벽의 위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 프레임과 연결하는 하부 연결편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상하 연결편을 통하여 용접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폭이 하부 프레임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져, 하부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단차가 형성되게 되어, 이 단차에 위쪽에 적재되는 돌솥 받침대의 하부 프레임이 안착되게 한다.
또한,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내부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2개 이상의 돌솥 받침대를 상하로 쌓을 때 아래쪽 돌솥받침대의 상부 프레임에 위쪽 돌솥 받침대의 하부 프레임을 끼워 넣은 상태로 조립적재할 수가 있으므로, 다수개의 돌솥 받침대를 상하로 적재할 때 서로 끼워 포갤 수 있게 함으로써 적재할 때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돌솥 받침대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만들고,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각각의 연결편을 통하여 용접하여 완성시키게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튼튼하면서도 제작하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돌솥받침대는 상하로 쌓을 때 아래쪽 돌솥받침대의 상부 프레임이 위쪽 돌솥받침대의 하부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내부 수용공간 속에 끼워질 수 있게 함으로써, 다수개의 돌솥 받침대를 상하로 결합하여 적재함으로써 적재 높이를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돌솥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돌솥받침대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돌솥 받침대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돌솥받침대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돌솥받침대가 상하로 다수개 포개진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돌솥받침대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돌솥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돌솥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면 3은 본 고안에 따른 돌솥 받침대의 분리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돌솥 받침대는 철판을 절곡하여 만든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1)은 돝솥이 끼워져 걸쳐질 수 있는 삽입구(11)와, 상기 삽입구(11)를 통해 끼워진 돌솥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2), 및 상기 지지부(12)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상부 연결편(1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2)은 바닥면에 안착하면서 상부 프레임(1)을 지지하는 지지벽(21)과, 상기 지지벽(21)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지지벽(21)을 보강하는 보강홈(22), 상기 지지벽(21)으로 둘러싸이고 아래쪽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내부 수용공간(23) 및, 상기 지지벽(21)의 위쪽으로 연장 돌출된 하부 연결편(2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은 상하부 연결편(13,24)을 통하여 용접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의 폭(h)이 하부 프레임(2)의 폭(H)보다 좁게 이루어져,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이 결합되었을 때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의 가장자리에 상부 프레임(1)의 선단 바깥으로 돌출된 단차(3)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1)이 하부 프레임(2) 보다 폭이 좁고, 하부 프레임(2)의 하단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그 내부가 빈 공간으로 된 내부 수용 공간(23)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돌솥 받침대를 상하로 쌓을 때 아래쪽 돌솥받침대의 상부 프레임(1)을 위쪽 돌솥 받침대의 하부 프레임(2) 내부에 형성된 내부수용공간(23)속으로 끼워져, 상하 돌솥받침대를 서로 끼워 포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돌솥받침대는 다수개를 상하로 쌓아도 서로 겹쳐져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적재할 때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1)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부(12)는 그 단면이 도면3과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자체 보강구조로 되어 있음과 더불어, 삽입구(11)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1)의 가장자리가 컬링(curling) 처리되어 둥글게 말려진 자체 보강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프레임(1) 자체가 두께가 비교적 얇은 1mm 정도의 철판으로 만들어져도 밥이 가득 채워진 돌솥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2)도 지지벽(21)과 하부 연결편(24)이 서로 90도의 방향으로 꺾여져 있음과 더불어, 지지벽(21)의 중간에 보강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벽(21)의 하단이 컬링 처리되어 둥글게 말려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다른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철판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돌솥 받침대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돌솥 받침대를 상하로 쌓을 때 서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적재 높이를 줄임과 더불어 높이 쌓아 올린 돌솥받침대가 서로 무너지지 않게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돌솥 받침대를 서로 겹쳐 쌓아 올리면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 돌솥받침대의 하부 프레임(2)에서 4곳 지지벽(2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4개의 보강홈(22)이 아래쪽 돌솥 받침대의 상부 프레임(2)의 지지부(12)에 상하 좌우로 밀착하여 위쪽 돌솥받침대가 아래쪽 돌솥 받침대에 대하여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돌솥 받침대는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 돌솥받침대의 하부 프레임(2) 바닥면이 반드시 개방되고 하부 프레임(2)의 내부에 내부 수용공간(23)을 갖추고 있어야 아래쪽 돌솥받침대의 상부 프레임(1)이 위쪽 돌솥 받침대의 하부 프레임속(2)속으로 끼워져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돌솥 받침대는 철판을 원하는 바의 치수에 맞추어 절단한 다음, 필요한 형상으로 절곡하여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을 각각 만들고, 이들 상하부 프레임(1,2)에 구비된 각각의 연결편(13, 24)을 스폿(spot) 용접기 등으로 용접하면 간단하게 제작완료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작과정이 간단하므로 제작 비용을 줄일 수가 있고, 철판만을 사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별도의 다른 부자재가 필요하지 않아 작업 공정이 수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한편, 전체적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지지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 등에 의해 냄새가 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척하기에도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보관하거나 세척 후 상하로 조립하여 쌓아 올리면 되기 때문에 높이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이동할 때도 쉽게 무너지지 않아 한꺼번에 많은 개수를 옮길 수가 있다는 등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1 - 상부 프레임 2 - 하부 프레임
3 - 단차 11 - 삽입구
12 - 지지부 13 - 상부 연결편
21 - 지지벽 22 - 보강홈
23 - 내부 수용공간 24 - 하부 연결편

Claims (2)

  1. 철판을 절곡하여 만든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1)은 돝솥이 끼워져 걸쳐질 수 있는 삽입구(11)와, 상기 삽입구(11)를 통해 끼워진 돌솥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2), 및 상기 지지부(12)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상부 연결편(1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2)은 바닥면에 안착하면서 상부 프레임(1)을 지지하는 지지벽(21)과, 상기 지지벽(21)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지지벽(21)을 보강하는 보강홈(22), 상기 지지벽(21)으로 둘러싸이고 아래쪽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내부 수용공간(23) 및, 상기 지지벽(21)의 위쪽으로 연장 돌출된 하부 연결편(2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이 상하부 연결편(13,24)을 통하여 용접하여 연결된 돌솥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의 폭(h)이 하부 프레임(2)의 폭(H)보다 좁게 이루어져,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이 결합되었을 때 하부 프레임(2)의 가장자리에 상부 프레임(1)의 선단 바깥으로 돌출된 단차(3)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솥받침대
KR2020140005835U 2014-08-04 2014-08-04 돌솥 받침대 KR200475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35U KR200475078Y1 (ko) 2014-08-04 2014-08-04 돌솥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35U KR200475078Y1 (ko) 2014-08-04 2014-08-04 돌솥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078Y1 true KR200475078Y1 (ko) 2014-11-05

Family

ID=5228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835U KR200475078Y1 (ko) 2014-08-04 2014-08-04 돌솥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07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749Y1 (ko) 2000-03-07 2000-10-02 양성원 용기 받침대 손상방지구조
KR200457306Y1 (ko) 2009-07-29 2011-1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끄럼 방지 용기 받침대
KR101191082B1 (ko) 2011-04-14 2012-10-15 한승훈 기능성 뚝배기 받침
JP2014097176A (ja) 2012-11-14 2014-05-29 Zojirushi Corp 釜置き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749Y1 (ko) 2000-03-07 2000-10-02 양성원 용기 받침대 손상방지구조
KR200457306Y1 (ko) 2009-07-29 2011-1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끄럼 방지 용기 받침대
KR101191082B1 (ko) 2011-04-14 2012-10-15 한승훈 기능성 뚝배기 받침
JP2014097176A (ja) 2012-11-14 2014-05-29 Zojirushi Corp 釜置き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14495A1 (en) Lid holder system
US20180200876A1 (en) Storage Container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KR200475078Y1 (ko) 돌솥 받침대
JP3185157U (ja) 鍋蓋置き台
JP2012085845A (ja) キッチンラック
JP2017013898A (ja) 積層可能なパレットコンテナ
JP5912635B2 (ja) ホテルパン類用ラック
CN213588013U (zh) 一种可叠放的锅具组合
CN205386082U (zh) 一种可以调整内部空间的蒸汽火锅用蒸笼
JP3201994U (ja) 流し台用シンク及びその装置
KR200484007Y1 (ko) 적층 조립되는 식기건조대
KR200364403Y1 (ko) 조리 용구
JP3194349U (ja) 互換性のある棚枠を備えるネスティングラック
KR200468769Y1 (ko) 매립형 식기 건조대
JP7301456B2 (ja) 調理器具用収納スタンドおよびフロアキャビネット
KR20130006278U (ko)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JP3185256U (ja) 多用途収納箱
KR101204938B1 (ko) 와인잔 홀더를 구비한 테이블.
US20240049896A1 (en) Multifunctional Stackable Dishware Collection System
JP3163824U (ja) 殻入れ付き食器
KR20130008717A (ko) 적층이 가능한 숟가락 받침대
JP2019217047A (ja) キッチンシンク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KR20130104063A (ko) 일체형 조립부재가 형성된 조립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