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010Y1 -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010Y1
KR200475010Y1 KR2020130000223U KR20130000223U KR200475010Y1 KR 200475010 Y1 KR200475010 Y1 KR 200475010Y1 KR 2020130000223 U KR2020130000223 U KR 2020130000223U KR 20130000223 U KR20130000223 U KR 20130000223U KR 200475010 Y1 KR200475010 Y1 KR 200475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ixing
engaging member
ground wir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349U (ko
Inventor
전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0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01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에 접촉하여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결합부재,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재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접지선이 연결되는 제2결합부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Prefabricated Ground Wire Fixing Device}
본 고안은 접지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전에 의해 접지선 고정장치가 파손되더라도 손쉽게 교체가 가능한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잔류전류를 배출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선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특히,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잔류전류를 배출하기 위해 접지선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접지선을 고정하여 잔류전류를 배출하기 위한 접지선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선박이나 차량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는 어스볼트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이에 따라 설치면에 고정되어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선 고정장치가 필수적이다.
접지선 고정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볼트 형상의 어스볼트가 사용되며 헤드부분이 설치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볼트 부분에 접지선이 연결되어 잔류전류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접지선 고정장치를 살펴보면, 설치면에 헤드부분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어스볼트를 포함하여, 접지선에 연결된 커넥터(E)가 어스볼트에 연결한 후 별도의 너트를 통해서 커넥터(E)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잔류전류가 어스볼트에 전달됨에 따라 열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어스볼트와 접지선이 녹아서 파손된다. 이와 같이 어스볼트가 파손되는 경우, 어스볼트를 교체하여 다시 접지선을 연결하여야 하는대, 여기서, 어스볼트는 설치면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화기작업이 용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33491호
본 고안은 종래에 개발된 접지선 고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지선을 통해서 전달되는 잔류전류에 의해서 고정장치가 파손되더라도 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교체할 수 있는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에 접촉하여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결합부재,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재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접지선이 연결되는 제2결합부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중앙부가 상기 설치면과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볼트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결합볼트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둘레를 따라서 나사산이 형성되며, 별도의 고정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접지선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의 사이에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단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설치면에 결합된 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를 구미하며, 이와 연결된 제2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접지선을 연결함으로써, 잔류전류에 의해 제2결합부재가 파손되더라도, 제1결합부재와 고정부재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 사이에 별도의 단열부를 구비함으로써 접지선을 통한 잔류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제1결합부재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결합부재와 고정부재가 파손되지 않고 분리가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작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가 결합되어 접지선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에서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가 교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도 1의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에서 변형된 형태의 제2결합부재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는 접지선을 따라 흐르는 잔류전류로 인해 고정장치가 열변형에 의해서 녹아 내리는 경우, 별도의 화기작업을 하지 않고도 손쉽게 고정장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는 크게 고정부재(100), 제1결합부재(200), 제2결합부재(300) 및 체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부재가 조립되어 접지선 고정장치를 형성한다.
고정부재(100)는 접지선 고정장치가 배치되는 설치면(S)에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고정장치가 직접 설치면(S)에 결합되지 않고 고정부재(100)를 통해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부재(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설치면(S)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00)는 적어도 일부가 설치면(S)에 고정 결합되어, 후술할 제1결합부재(2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면(S)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00)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설치면(S)과 용접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00)는 중앙부가 설치면(S)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설치면(S)과 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즉, 고정부재(100)는 설치면(S)과 결합 시,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설치면(S)과 용접되어 결합되고 중앙부는 설치면(S)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00)는 도시된 바와 달리 중앙부가 설치면(S)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지 않고 평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재(100)와 설치면(S)의 결합에 있어서 용접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용접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도 결합이 될 수도 있다.
제1결합부재(200)는 고정부재(100)의 일면에 접촉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후술하는 제2결합부재(300)와 결합되어 고정부재(100)와 결합된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 제2결합부재(300)가 배치되도록 한다. 즉 제1결합부재(200)는 고정부재(100)와 제2결합부재(300)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에 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재(200)는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고정부재(100)의 상면 일부에 접촉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제1결합부재(200)는 고정부재(100)의 중앙부에 설치면(S)과 이격되어 배치된 영역의 상면에 접촉하여 체결수단(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결합부재(200)는 하면이 고정부재(100)의 중앙부 상면에 접촉하며 고정된다.
제2결합부재(3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제1결합부재(200)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접지선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부재(300)는 제1결합부재(200)와 고정부재(100)가 결합된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지선이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재(300)는 제1결합부재(200)의 중앙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에 둘레를 따라서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결합부재(300)가 제1결합부재(20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2결합부재(300)의 외면에 상기 접지선이 접촉하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접지선은 제2결합부재(300)의 외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선은 나사산에 대응하여 걸림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E)가 구비되며, 별도의 고정캡(C)을 이용하여 제2결합부재(300)와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캡(C)은, 나사산에 대응하는 너트 형상을 가지며 제2결합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접지선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선은 직접 제1결합부재(200)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커넥터(E)와 제1결합부재(200) 사이에서 제2결합부재(3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된 별도의 와셔(W)를 이용하여 제1결합부재(200)와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고정된다.
한편, 제1결합부재(200)와 제2결합부재(300)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각각이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지 않고, 볼트와 유사한 형태를 이루며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결합부재(200)는 볼트에서 헤드 부분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체결수단(400)에 의해서 고정부재(100)와 선택적으로 결합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결합부재(200)와 제2결합부재(300)가 일체로 형성되면 제작 시 소모되는 비용도 절감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증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체결수단(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고정부재(100)와 제1결합부재(200)를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체결수단(400)은 복수 개의 결합볼트(410)로 구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1결합부재(200)는 복수 개의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00)는 결합홀(110)이 구성된다.
관통홀(210)은 제1결합부재(200)의 둘레에 따른 외측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결합볼트(410)가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210)은 결합볼트(410)가 상하부로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홀(110)은 고정부재(100)상에서 관통홀(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관통홀(210)을 관통한 결합볼트(41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술한 체결수단(400)인 결합볼트(410)가 관통홀(210)을 관통하여 결합홀(110)에 결합됨에 따라, 체결수단(400)이 제1결합부재(200) 및 고정부재(100)에 연속하여 결합되어 제1결합부재(200)와 고정부재(10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결합볼트(410)를 분리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결합부재(200)와 고정부재(100)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결합볼트(410)가 제1결합부재(200)와 고정부재(100)를 결합함에 있어서, 결합볼트(410)는 관통홀(210) 및 결합홀(110)을 연속적으로 관통한 후 별도의 너트(402)를 통해서 고정된다. 여기서, 결합홀(110)은 고정부재(100)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설치면(S)과 이격된 영역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너트(402)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수단(400)이 복수 개의 결합볼트(410)로 구성됨에 따라서 고정부재(100)와 제1결합부재(200)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에 상기 접지선이 결합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설치면(S)에 고정부재(100)가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00)는 일부가 설치면(S)에 용접되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1결합부재(200)가 체결수단(400)에 의해서 고정부재(100)와 결합된다. 이때, 체결수단(400)은 복수 개의 결합볼트(410)로 구성되어 제1결합부재(200)에 형성된 관통홀(210)과 고정부재(100)에 형성된 결합홀(1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며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제1결합부재(200)가 고정부재(100)와 결합됨에 따라 제2결합부재(300)도 함께 제1결합부재(200)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재(200)와 제2결합부재(300)가 일체로 구성되었으나, 이와 달리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된 제2결합부재(300)는 와셔(W) 및 고정캡(C)을 이용하여 상기 접지선에 구비된 상기 커넥터(E)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지선 고정장치에서 상기 접지선을 통해 전달되는 잔류전류로 인해 열이 발생하더라도, 제1결합부재(200)와 제2결합부재(300)가 별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1결합부재(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재(200)는 파손되지 않기 때문에, 체결수단(400)에 의해서 결합된 제1결합부재(200)와 고정부재(100)를 분리하여 교체를 함으로써, 손쉽게 파손된 부위를 교체하고 지속적으로 접지선 고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에서 제1결합부재(200) 및 제2결합부재(300)가 고정부재(100)와 분리되어 교체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에서 제1결합부재(200)와 제2결합부재(300)가 교체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선을 따라 흐르는 잔류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접지선의 끝단에 구비된 상기 커넥터(E)와 제2결합부재(300)의 파손이 발생한다. 즉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용접과 같은 상태로 서로 굳어버리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커넥터(E)와 제2결합부재(300)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와셔(W) 및 고정캡(C)도 함께 용접된 상태로 굳어버릴 수도 있다.
상기 접지선을 따라 흐르는 잔류전류에 의해 제2결합부재(300)가 파손되면, 먼저, 체결수단(400)을 분리하여 제1결합부재(200)와 고정부재(100)를 분리한다. 이때, 체결수단(400)은 결합볼트(410)로 구성되어 관통홀(210) 및 결합홀(110)을 연속적으로 관통한 후 별도의 너트(402)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402)를 분리한 후 결합볼트(410)를 분리한다.
그리고 제1결합부재(200)를 고정부재(100)로부터 분리한 후, 별도로 구비된 제1결합부재(200)를 다시 체결수단(400)으로 고정부재(100)와 결합시킨다. 즉, 파손된 제1결합부재(200)를 새로운 제1결합부재(200)로 교체한다.
이때, 제2결합부재(300)는 제1결합부재(200)와 일체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함께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교체된 제2결합부재(300)에 새로운 상기 커넥터(E)를 이용하여 다시 상기 접지선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접지선 고정장치가 파손되더라도 별도의 화기작업 없이 손쉽게 새로운 고정장치로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제2결합부재(3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에서 변형된 형태의 제2결합부재(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재(300)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구비되어 열이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키는 별도의 단열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결합부재(200)와 결합되는 일측에 배치되어 잔류전류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이 제1결합부재(200)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줄이는 구성으로써, 제1결합부재(200)와 제2결합부재(30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결합부재(300)와 제1결합부재(200) 사이에 단열부(310)가 구비됨으로써, 잔류전류에 의해서 열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커넥터(E)와 제2결합부재(300)에만 파손이 발생하고 제1결합부재(200)에는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재(200)가 파손되지 않음으로써, 제1결합부재(200)와 고정부재(100)가 분리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고정부재 110: 결합홀
200: 제1결합부재 210: 관통홀
300: 제2결합부재 310: 단열부
400: 체결수단 410: 결합볼트
C: 고정캡 W: 와셔
E: 커넥터(E)

Claims (6)

  1. 설치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에 접촉하여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결합부재;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재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접지선이 연결되는 제2결합부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의 사이에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중앙부가 상기 설치면과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볼트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결합볼트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둘레를 따라서 나사산이 형성되며, 별도의 고정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접지선을 고정하는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6. 삭제
KR2020130000223U 2013-01-10 2013-01-10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KR200475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23U KR200475010Y1 (ko) 2013-01-10 2013-01-10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23U KR200475010Y1 (ko) 2013-01-10 2013-01-10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49U KR20140004349U (ko) 2014-07-18
KR200475010Y1 true KR200475010Y1 (ko) 2014-11-03

Family

ID=5228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223U KR200475010Y1 (ko) 2013-01-10 2013-01-10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01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447U (ko) * 1997-07-26 1999-02-25 양재신 자동차의 접지구조
KR20090063038A (ko) * 2008-01-11 2009-06-17 주식회사 현대티티 분해조립식 러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447U (ko) * 1997-07-26 1999-02-25 양재신 자동차의 접지구조
KR20090063038A (ko) * 2008-01-11 2009-06-17 주식회사 현대티티 분해조립식 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49U (ko)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2191B (zh) 用於匯流及非匯流之電力連接之通用雙螺栓模組保險絲座總成
US9196445B2 (en) Electric fuse with torque restricting terminals
EP2940759B1 (en)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US10641798B2 (en) Current detection device having a fixing portion formed in a wiring member
JP2013031293A (ja) ボルト支持構造
US9972823B2 (en) Fusible link
CN109690824B (zh) 电池、用于电池的电池模块和用于电池模块的汇流排
KR200475010Y1 (ko) 조립식 접지선 고정장치
KR20160148932A (ko) 멀티퓨즈
KR100914180B1 (ko) 누전배선차단기 조립장치 및 그 방법
KR100971334B1 (ko)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JP2013255347A (ja) 電気接続箱
US20130155634A1 (en) Fixing means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output cables onto a circuit board and method thereof
KR200476683Y1 (ko) 단차 및 끝단 처리가 적용된 부스바를 구비하는 pcb
KR20140004270U (ko) 터미널단자 통형상 퓨즈
CN105185664A (zh) 一种漏电断路器的连接装置
KR102444188B1 (ko) 배터리 부착형 퓨즈유니트
KR20160001074U (ko) 로그 안테나
KR200201396Y1 (ko) 파워서미스터 소자의 결합구조
KR101188625B1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KR102002793B1 (ko) 화재방지용 볼트체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자 블록체
KR20090073807A (ko) 정션박스
KR200439074Y1 (ko) 퓨즈박스
KR200484268Y1 (ko) 차단기 어셈블리
JP2009107542A (ja) 移動体のパネル構造および接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