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334B1 -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 Google Patents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334B1
KR100971334B1 KR1020080007014A KR20080007014A KR100971334B1 KR 100971334 B1 KR100971334 B1 KR 100971334B1 KR 1020080007014 A KR1020080007014 A KR 1020080007014A KR 20080007014 A KR20080007014 A KR 20080007014A KR 100971334 B1 KR100971334 B1 KR 10097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elastic stopper
bus
thermal expansion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114A (ko
Inventor
김철민
김동욱
이동은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3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2Joints between bus-bar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버스 덕트의 버스 바를 연결하는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 하 도체판(120) 사이에 버스 바(200)를 끼워 기계적으로 결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상, 하의 도체판(120) 중 어느 하나의 도체판 또는 상, 하 각각의 도체판에는, 상기 양쪽의 버스 바(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버스 바의 단부의 진입을 가로막는 하나 이상의 탄성 스토퍼(300)가 상기 절연 부시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 하의 도체판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버스 바 조립시 상기 탄성 스토퍼의 선단에 버스 바의 단부가 접촉되어 버스 바의 진입량이 결정되고, 버스 바의 길이가 열팽창에 의해 신장될 때 상기 탄성 스토퍼의 자체적인 탄성에 의한 변형이 유발되어 상기 버스 바의 신장이 허용되도록 하는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가 제공된다.
Figure R1020080007014
스토퍼, 버스 바, 조인트, 조립, 열팽창, 덕트, 전력, 절연

Description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Bus bars joint improved accuracy of assemble and absorption of thermal expansion}
본 발명은 전력 버스 덕트의 버스 바를 연결하는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바의 조립이 쉽고 조립 위치를 균일하고 정밀하게 자리 잡을 수 있으며 열팽창에 따른 버스 바의 길이 변화를 유연하게 흡수하여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정된 버스 바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미국특허 제4,849,581호 공보, 미국특허 제5,821,464호 공보 등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력 분배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 버스 덕트(또는 전력 버스 웨이(power bus way)라고도 한다)(10)는, 일반적으로 단면 사각형의 길이가 긴 버스 바(bus bar)(11) 및 이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함(2, 3, 5)이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버스 바(11)들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11-1)(도 3 참조)로 이루어지고, 그의 표면은 각각 에폭시 코팅 등의 절연체(11-2)(도 3 참조)에 의해 피복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러한 버스 바 조인트(30)는, 인접한 단위 길이의 버스 덕트(10)들의 단부 로부터 돌출된 양쪽 버스 바(11)를 결속하여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버스 바(11)들을 복수의 절연판(33) 사이에 끼우고, 양쪽 외측에 외부 덧판(31)을 덧대며, 외부 덧판(31)에 와셔(34)를 개재하여 체결 볼트(36)로 체결하여 결속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함 즉, 상판(2), 하판(3) 및 중간판(5)들은 그 내부에 배열되는 버스 바(11)들을 감싸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쪽의 외부 덧판(31) 사이에는 상기 절연판(33)과 도체판(35)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상하 절연판(33)과 도체판(35) 사이에 버스 바(11)를 끼우며, 절연판(33)과 도체판(35)의 중앙과 외부 덧판(3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41)(42)에 절연 부시(45)를 삽입하고, 양쪽 외부 덧판(31)에 와셔(34)를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절연 부시(45)에 체결 볼트(36)를 관통시켜 너트(38)와 풀림 방지구(61)를 체결하여 하나로 묶음으로써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 전기적인 연결을 동시에 도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버스 바 조인트(30)의 도체판(35) 사이에 버스 바(11)를 끼워 조립할 때에는, 버스 바(11)의 위치를 정해주는 어떠한 고려도 없기 때문에 버스 바(11)의 단부가 들쑥날쑥하게 조립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위치에 진입해 있는 버스 바(11a)에 비하여 어떤 버스 바(11b)는 너무 많이 진입되어 그의 단부가 절연 부시(45)에 닿기도 하고, 어떤 버스 바(11c)는 너무 조금 진입되어 도체판(35)과의 전기적 접촉이 불완전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별하고 유효한 조치, 즉 버스 바(11)의 진 입량을 균일하고 정밀하게 맞추기 위한 조치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력 버스 덕트(10)는, 버스 바(즉, 도체)(11)에 전류가 흐를 때 줄 열(Joule's heat)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간혹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버스 바의 길이가 과도하게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절연 부시(45)에 닿을 정도로 많이 진입한 버스 바(11b)의 경우에는, 그의 단부가 절연 부시(45)에 의해 막혀 버스 바(11b)의 길이가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 없어 버스 바가 변형되게 되고, 급기야 버스 바가 변형되고, 그 변형에 의해 접속부의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 손실이 과도해지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비하여 종래에는 버스 바의 길이 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별도의 신축 팽창 장치를 도입해 본 사례가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실용화되지 못하였거나 실용화되었더라도 투입에 비해 효과가 낮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버스 바 조인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바의 조립이 쉽고 조립 위치를 균일하고 정밀하게 맞출 수 있으며, 열팽창에 따른 버스 바의 길이 변화를 유연하게 흡수하여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정된 버스 바 조인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는, 상, 하로 일정 간격으로 적층되는 절연판과, 상기 상, 하로 인접한 절연판의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도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판과 도체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 절연 부시가 삽입되어, 적층된 상하 도체판 사이에 양쪽의 단위 버스 덕트들로부터 돌출된 버스 바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절연 부시에 체결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하 도체판과 버스 바를 기계적으로 결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상, 하의 도체판 중 어느 하나의 도체판 또는 상, 하 각각의 도체판에는, 상기 양쪽의 버스 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버스 바의 단부의 진입을 가로막는 하나 이상의 탄성 스토퍼가 상기 절연 부시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 하의 도체판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버스 바 조립시 상기 탄성 스토퍼의 선단에 버스 바의 단부가 접촉되어 버스 바의 진입량이 결정되고, 버스 바의 길이가 열팽창에 의해 신장될 때 상기 탄성 스토퍼의 자체적인 탄성에 의한 변형이 유발되어 상기 버 스 바의 신장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스토퍼는, 상기 도체판을 상기 스토퍼의 윤곽에 맞추어 상기 절연 부시에 가까운 쪽의 일부 윤곽을 남기고 타절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 바의 단부와 접촉되는 부분인 상기 탄성 스토퍼의 선단은 상기 절연 부시의 표면으로부터 5mm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스토퍼로부터 상기 절연 부시에 더 가까운 쪽에 선단부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용 탄성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 바의 단부가 도체판에 형성된 탄성 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버스 바의 진입 량이 결정됨으로써 버스 바들의 초기 조립 위치를 균일하고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고, 버스 바의 길이가 열팽창에 의해 신장될 때에는 상기 탄성 스토퍼의 자체적인 탄성에 의한 변형이 유발되어 상기 버스 바의 신장이 자연스럽게 허용됨으로써 버스 바의 잘못된 변형 및 그로 인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안정된 버스 바 조인트가 구현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 조인트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4에는 도체판과 절연판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도체판, 절연판을 조립한 상태에서 탄성 스토퍼 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버스 바 조인트에 버스 바가 연결된 상태에서 절연 부시 중앙부를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 조인트(100)는,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적층되는 절연판(110)과, 상기 인접한 상, 하 절연판(110)의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도체판(120)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판(110)과 도체판(120)의 중앙에는 관통공(111, 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11, 121)에는 절연 부시(130)(도 5 참조)가 삽입되고, 절연 부시(130)에는 체결 볼트(140)(도 5 참조)를 관통시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로 마주보는 상, 하의 도체판(120a, 120b) 중 어느 하나의 도체판(120a 또는 120b) 또는 상, 하 각각의 도체판(120a 및 120b) 모두에, 양쪽의 버스 바(200a, 200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버스 바(200a 또는/및 200b)의 단부의 진입을 가로막는 하나 이상의 탄성 스토퍼(300)가 상기 절연 부시(130)에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즉, 상측 도체판(120a)에만 양쪽에 탄성 스토퍼(300)가 하나 이상씩 형성될 수도 있고, 하측 도체판(120b)에만 양측에 탄성 스토퍼(300)가 하나 이상씩 형성될 수도 있고, 상측 도체판(120a)의 한쪽(즉, 도면상 좌, 우측 중 한쪽에)과 하측 도체판(120b)의 또 다른 한쪽에(즉, 도면상 좌, 우측 중 한쪽에)에만 하나 이상의 탄성 스토퍼(3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측의 도체판(120a)에는 도면상 우측의 버스 바(200a)에 대응한 하나 이상(도면에서는 2개)의 탄성 스토퍼(300)가 설치되고, 하측의 도체판(120b)에는 도면상 좌측의 버스 바(200b)에 대응한 하나 이상(도면에서는 2개)의 탄성 스토퍼(3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탄성 스토퍼(300)는, 상기 버스 바(200a, 200b) 조립시, 버스 바(200a, 200b)의 단부가 상기 탄성 스토퍼(300)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버스 바(200a, 200b)를 진입시키면 자동으로 버스 바(200a, 200b)의 초기 진입량 즉, 초기 위치가 결정되어 모든 버스 바(200a, 200b)가 균일한 위치에, 그리고 정밀한 지점에 조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스토퍼(300)는, 버스 바(200)가 열팽창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서 버스 바(200)의 단부가 밀게 되면, 그의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버스 바(200)의 신장에 의해 밀려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버스 바(200)의 신장을 자연스럽게 허용한다(버스 바(200)의 열팽창을 자연스럽게 흡수한다). 따라서, 버스 바(200)의 변형(예: 휨)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안정된 버스 바 조인트가 실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스토퍼(300)는, 상기 도체판(120)을 상기 스토퍼(300)의 윤곽에 맞추어 상기 절연 부시(130)에 가까운 쪽의 일부 윤곽을 남기고타절한 형태 또는 타절한 후 적합한 모양으로 절곡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예들 들어 탄성 스토퍼(300)의 윤곽이 4각형인 경우 절연 부시(130)에 가까운 하나의 변만을 남기고 나머지 3개의 변은 프레스를 이용해 타절하여 도체판(120)으로부터 따낸 다음 그의 선단이 버스 바(200)를 향하도록 절곡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스토퍼(300)의 선단 즉, 상기 버스 바(200)의 단부와 접촉되는 단부는, 상기 절연 부시(130)의 표면으로부터 5mm 이상 이격시켜(즉, 도 5에서 거리(L)를 5mm 이상 이격시켜) 버스 바(200)의 열팽창에 의해 탄성 스토 퍼(300)의 탄성 변형을 위한 여유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버스 바의 통전에 따른 온도 변화는 대략 50℃ 내외이고, 이때 발생하는 버스 바의 길이 변화량은 약 1mm/m가 된다. 단위 버스 덕트 하나의 길이는 대략 2~3 미터로서, 위의 변화량을 고려하면, 한쪽으로 1~1.5mm의 길이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스토퍼(300)의 선단을 상기 절연 부시(130)의 표면으로부터 5mm 이상 이격시키면 이러한 길이 변화를 탄성 변형에 의해 허용(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 스토퍼(300)의 폭은 2~5mm가 바람직하다. 탄성 스토퍼(300)의 폭이 너무 좁으면 버스 바(200)의 초기 위치를 잡아주는 과정에서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너무 넓으면 강도가 너무 커져서 변형이 어려우므로 버스 바(200)의 열팽창을 흡수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탄성 스토퍼(300)의 선단은 상, 하 방향에 위치하는 도체판(120a, 120b)으로부터 그 변형량을 고려하여 충분히 떨어져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절연판(110)의 마주보는 면에 배치된 상, 하의 도체판(120) 사이에 피복을 벗긴 버스 바(200)를 끼우고, 상기 절연판(110)과 도체판(120)의 중앙 관통공에 삽입된 절연 부시(130)에 체결 볼트(140)를 관통시켜 와셔(150), 풀림 방지구(160) 및 너트(170)를 통해 체결하면, 절연판(110)과 도체판(120)이 눌려져 버스 바(200)를 압박함으로써 기계적으로 결속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조립 과정에서 상기 버스 바(200)를 상, 하의 도체판(120) 사이에 삽입할 때, 버스 바(200)의 진입과정 말미에 버스 바(200)의 단부가 상, 하의 도체판(120) 사이의 공간에 돌출되어 있는 탄성 스토퍼(300)의 선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버스 바(200)의 단부가 탄성 스토퍼(300)의 선단에 닿는 순간에 진입을 멈추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버스 바(200)의 초기 조립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버스 바(200)를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모두 조립하면 복수의 버스 바(200)들을 모두 쉽게 정확하고 균일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200)에 열이 발생하여 버스 바(200)의 길이가 늘어나는 경우에는, 버스 바(200)의 단부가 탄성 스토퍼(300)의 선단을 밀게 되고, 이에 탄성 스토퍼(300)가 탄성 변형을 일으켜서 버스 바(200)의 신장을 허용(흡수)하게 됨으로써 버스 바(200)의 열팽창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버스 바가 휘어버리는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 상태가 훼손되지 않고 계속하여 안정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열팽창 되었던 버스 바(200)가 수축되는 때에는 버스 바(200)의 단부가 탄성 스토퍼(300)로부터 물러남에 따라 탄성 스토퍼(300)는 그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기도 한다.
(실시예 2)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 조인트의 도체판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7에는 도체판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 의 탄성 스토퍼(300)에 보조용 탄성 스토퍼(301)가 더 구비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탄성 스토퍼(300) 사이에 2개의 보조용 탄성 스토퍼(301)가 배치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보조용 탄성 스토퍼(301)의 설치 개수(개소)는 상기 탄성 스토퍼(300)의 개수에 관계없이 하나 이상 구비하면 된다. 다만, 상기 보조용 탄성 스토퍼(301)는 상기 탄성 스토퍼(300)보다 상기 절연 부시(130)에 더 가까이 배치한다. 즉, 최초 조립시 버스 바(200)의 단부는 탄성 스토퍼(300)에만 접촉하고 보조용 탄성 스토퍼(301)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보조용 탄성 스토퍼(301)는, 상기 탄성 스토퍼(300)가 제조과정이나 조립과정에서 혹여 변형되는(뒤로 밀리거나 찌그러지는)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 탄성 스토퍼(300)가 없거나 소성 변형되어 버스 바(200)를 저지할 수 없을 때와 같은 만일의 사태에서도, 버스 바(200)의 진입을 저지하여 버스 바(200)의 단부가 절연 부시(130)에까지 이르지 못하게 방지하고 버스 바(200)의 초기 조립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고, 버스 바(200)의 열팽창 시에는 탄성 변형을 일으켜 버스 바(200)의 신장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 바를 탄성 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진입시키면 버스 바들의 초기 조립 위치가 자동으로 정해진다. 또한, 버스 바의 열팽창이 탄성 스토퍼의 탄성 변형에 의해 허용됨으로써 열팽창에 의해 버스 바가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치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버스 바 조인트를 구비하면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 로 안정된 전력 버스 덕트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 되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버스 바 조인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스 바 조인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버스 바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 조인트의 도체판과 절연판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도체판, 절연판을 조립한 상태에서 탄성 스토퍼 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 조인트에 버스 바가 연결된 상태에서 절연 부시 중앙부를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의 도체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 조인트의 도체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버스 덕트 110: 절연판
111, 121: 관통공 120, 120a, 120b: 도체판
130: 절연 부시 140: 체결 볼트
150: 와셔 160: 풀림 방지구
170: 너트 200: 버스 바
300: 탄성 스토퍼 301: 보조용 탄성 스토퍼

Claims (4)

  1. 상, 하로 일정 간격으로 적층되는 절연판과, 상기 상, 하로 인접한 절연판의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도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판과 도체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 절연 부시가 삽입되어, 적층된 상하 도체판 사이에 양쪽의 단위 버스 덕트들로부터 돌출된 버스 바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절연 부시에 체결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하 도체판과 버스 바를 기계적으로 결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상, 하의 도체판 중 어느 하나의 도체판 또는 상, 하 각각의 도체판에는, 상기 양쪽에서 진입하는 버스 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버스 바의 단부의 진입을 가로막는 하나 이상의 탄성 스토퍼가 상기 절연 부시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 하의 마주보는 도체판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버스 바 조립시 상기 탄성 스토퍼의 선단에 버스 바의 단부가 접촉되어 버스 바의 진입량이 결정되고, 열팽창에 의해 버스 바의 길이가 신장 될 때 상기 탄성 스토퍼의 자체적인 탄성에 의한 변형이 유발되어 상기 버스 바의 열팽창에 의한 신장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토퍼는, 상기 도체판을 상기 스토퍼의 윤곽에 맞추어 상기 절연 부시에 가까운 쪽의 일부 윤곽을 남기고 타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의 단부와 접촉되는 부분인 상기 탄성 스토퍼의 선단은 상기 절연 부시의 표면으로부터 5mm 이상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토퍼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절연 부시에 더 가까운 쪽에 선단부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용 탄성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KR1020080007014A 2008-01-23 2008-01-23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KR10097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014A KR100971334B1 (ko) 2008-01-23 2008-01-23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014A KR100971334B1 (ko) 2008-01-23 2008-01-23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114A KR20090081114A (ko) 2009-07-28
KR100971334B1 true KR100971334B1 (ko) 2010-07-20

Family

ID=4129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014A KR100971334B1 (ko) 2008-01-23 2008-01-23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533B1 (ko) 2012-03-30 2013-07-17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부스덕트 도체의 열팽창을 고려한 조인트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212B1 (ko) * 2017-01-13 2023-09-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부
DE102018131568A1 (de) * 2017-12-19 2019-06-1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romführungsprofil
KR102616732B1 (ko) * 2023-07-12 2023-12-21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부스바 조인트 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9581A (en) 1988-05-16 1989-07-18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joint for electrical busway
JP2001186643A (ja) 1999-12-24 2001-07-06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接続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9581A (en) 1988-05-16 1989-07-18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joint for electrical busway
JP2001186643A (ja) 1999-12-24 2001-07-06 Kyodo Ky Tec Corp バスダクト接続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533B1 (ko) 2012-03-30 2013-07-17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부스덕트 도체의 열팽창을 고려한 조인트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114A (ko) 200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965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 고정장치
KR100971334B1 (ko)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EP3616270A1 (de) Steckverbinderteil mit einer temperaturüberwachungseinrichtung
CN101309000B (zh) 母线单元连接装置
KR102124659B1 (ko) 부스덕트 접속부
KR100958487B1 (ko) 컴팩트화가 가능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100931502B1 (ko) 스토퍼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20110061724A (ko) 통전율 증가를 위한 부스덕트 접속부재
KR101175255B1 (ko) 조립식 분전반
KR102173310B1 (ko)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JP4719576B2 (ja) 真空遮断器
KR100825379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EP2738881B1 (en) Distribution unit for an electrical installation
KR102010870B1 (ko) 교차배열 버스바 연결용 버스바어셈블리
KR20190004404A (ko) 버스바를 구비한 분전반
CN201270397Y (zh) 母线单元连接装置
CN211428113U (zh) 熔断器
KR102668406B1 (ko) 부스덕트 접속부
JP5689097B2 (ja) 端子台
KR20210059909A (ko) 배터리모듈용 전기적 연결장치
CN219393646U (zh) 用于电池的采样组件
KR102498767B1 (ko) 분전반
CN203056384U (zh) 汽车仪表配电板
CN210325618U (zh) 电力隔离开关防鸟害装置和电力隔离开关设备
CN217902989U (zh) 刀型隔离开关触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