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56Y1 -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 Google Patents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56Y1
KR200474256Y1 KR2020130007271U KR20130007271U KR200474256Y1 KR 200474256 Y1 KR200474256 Y1 KR 200474256Y1 KR 2020130007271 U KR2020130007271 U KR 2020130007271U KR 20130007271 U KR20130007271 U KR 20130007271U KR 200474256 Y1 KR200474256 Y1 KR 200474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orbit
wheel plate
piec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쿤-난 양
Original Assignee
셈리마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셈리마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엘티디. filed Critical 셈리마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엘티디.
Priority to KR2020130007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일종의 음식에 속을 넣는 기계의 전동구조로 하나의 속 넣는 기구 내부의 모터와 연접, 조립된 전동바퀴판, 하나의 식품을 절단하는 흔듬부품, 하나의 흔듬부품의 승강을 이끄는 승강부품과 하나의 성형된 식품을 수송하는 수송부품으로 구성되고, 이 전동바퀴판의 한 측에는 하나의 제1궤도, 다른 한 측에는 하나의 제2궤도와 하나의 제3궤도가 설치되고, 이 승강부품은 제1궤도의 궤적을 따라 위치가 이동되며, 흔듬부품은 제2궤도의 궤적을 따라 위치가 이동되고 수송부품은 제3궤도의 궤적을 따라 위치 이동되며 전동바퀴판의 설치를 통해 흔듬, 승강, 수송부품이 속 넣는 기계의 내부에서 동시에 작동되고 각 궤도의 설계차이로 인한 시간차에 의해 식품의 성형에 일관성과 완전성을 확보한다.

Description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transmission structure of a filling machine}
본 고안은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의 가공영역에 응용되는 것으로 그 특징은 식품에 속을 넣는 과정이 비교적 순조롭고 또한 기대 내부의 부품을 감소하여 전체 기계의 중량을 감소하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분해하여 소제하기 편리하며 장시간의 작동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여 식품의 일관성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일찍부터 전통적인 속이 들어가는 식품은 모두 수공으로 생산하였는데 하나 하나 속을 넣고 다시 오븐에 넣어 구워내어 식용이 가능한 식품을 만들었다. 비록 수공방식을 이용하면 식품이 전통적인 맛과 풍미를 가질 수 있지만 수공방식으로 식품을 제작하는데 따라오는 문제로 생산량의 제한, 인력원가의 증가, 품질관리의 통일성 부족 등 여러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라 속을 넣는 식품의 제작에서 재래의 시간과 인력을 들이는 방식과는 다른 기계의 일관된 작업과정을 통해 최종 제품이 크기, 중량, 외관과 모양에서 동일하게 제작해 내고자 한다.
중화민국 특허공고 제M35363의「자동으로 속 넣는 기기는 특별히 자동으로 속을 넣고 또 긴밀하게 눌러 껍질을 봉합하는 기기로 그 구조는 하나의 수송모터에 하나의 연결줄을 설치한 제1,2 톱니바퀴를 배합하고 이 연결줄에는 다수의 속을 넣는 판자리를 설치하고 이 연결줄이 드러내는 둥근 모양의 운동경로의 상방에는 하나의 재료이끔장치를 설치하며, 이 재료이끔장치는 하나의 이끔나선막대에 연결된 나선회전모터를 포함하는데, 이 이끔나선막대는 하나의 압력을 가하는 연동막대와 연접되는 위치이동 나선너트와 나선막대를 포함하고, 다른 단은 재료저장통 내에 설치되는 재료덮개에 연접된다. 그중 이 재료저장통 하방에는 하나의 재료배출구가 설치되어 재료를 써는 동작이 이 감측기를 통해 전기신호로 재료 써는 기기에 전달되어 모든 썰어진 재료가 이 재료배출구로 전달되어 반복적으로 위치가 이동된다. 한편 따로 이끔덮개부품과 누름덮개부품으로 구성되는 누름덮개장치가 설치되고 이 이끔덮개부품은 연결줄에서 위치이동중 속을 넣는 판자리에 맞물려 이 속을 넣는 판자리를 닫힌 상태로 만들며 이 누름덮개장치가 전, 후 자리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로써 재래용의 복잡한 구조를 간소화시킨다.
상술한「자동 속 넣는 기기」는 현재 흔히 보이는 것으로 재료 속을 넣는 식품을 제작하는 기계이며 비록 제작자에게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여 대량으로 식품을 제작할 수 있게 하지만 그러나 「자동 속 넣는 기기」는 전동수송의 구조에서 제1, 2 톱니바퀴가 연결줄에 배합하는 전동방식으로 다수의 속을 넣는 판자리의 수송을 이끌기 때문에 속 재료가 속 넣는 판자리 내에 주입되어야 성형되고 톱니바퀴와 연결줄의 작동방식을 이용하여 장시간 식품을 수송하면 쉽게 톱니가 빠지거나 벗겨지는 등 상황이 발생하고 또한 톱니바퀴의 설치 역시 반드시 기계의 각기 다른 작업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기계가 여러 다른 작업위치에 있을 때 톱니바퀴를 전체 기계의 작동에 맞추어 증가시켜야 하므로 전체 기계에 과중상황이 발생되고 원가의 증가 등 결점이 많다. 따라서「자동 속 넣는 기기」는 진일보한 개량이 있어야만 대중적인 사용에 부합될 수 있다.
상술한「자동 속 넣는 기기」의 결점에 착안하여 본 고안인은 많은 시간을 상관지식의 연구에 투입해 각항의 우열을 비교하고 관련제품의 연구와 개발, 여러차례의 실험과 테스트를 통해 일종의「속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를 제출하는 바 상술한 결점을 개선하여 대중들의 수요에 부합하고자 한다.
CN1 1 특허등록 제M35363호(자동으로 속 넣는 기기)가 등록된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식품의 가공영역에 응용되는 것으로 그 특징은 식품에 속을 넣는 과정이 비교적 순조롭고 또한 기대 내부의 부품을 감소하여 전체 기계의 중량을 감소하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분해하여 소제하기 편리하며 장시간의 작동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여 식품의 일관성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속 넣는 기기가 순조롭게 작동되며 또한 전동기구의 부품수량을 감소시켜 전체 기계의 중량, 크기를 줄이는 데 있다. 재래 기술의 개선과 관련해서 말하자면, 개래기술은 톱니바퀴와 연결줄의 배합을 통해 속 넣는 기구의 작동을 이끌기 때문에 장시간의 작동 시 쉽게 톱니가 빠지거나 벗겨지는 등 상황이 발생하고 또한 속 넣는 기기에서 작동에 필요한 부위가 많은데 톱니바퀴의 설치 역시 반드시 기계의 각기 다른 작업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기계가 여러 다른 작업위치에 있을 때 톱니바퀴를 전체 기계의 작동에 맞추어 증가시켜야 하므로 전체 기계에 필요한 톱니바퀴와 연결줄이 증가하여 전체 기계의 중량이 과중되는 결점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에서 설명한 목적과 효과에 도달하기 위해 본 고안인 일종의 속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는 속 넣는 기기 내의 모터연결로 속 넣는 기구의 작동과 수송을 이끌게 고안되었다. 이는 아래를 포함하는데, 하나의 전동바퀴판, 그 한측에는 하나의 모터와 서로 연결되는 돌출기둥이 설치되고 또 같은 측에 하나의 이 돌출기둥 주변을 돌아가는 제1궤도가 설치되고, 이 전동바퀴판의 다른 한 측 중심위치에는 하나의 제2궤도가 오목으로 돌아가며 설치되고, 이 제2궤도의 주변에는 나아가 하나의 양단이 개방된 모양의 제3궤도가 오목으로 설치된다. 하나의 전송바퀴판과 조립되어 설치되는 흔듬부품, 이는 두 개의 가로막대와 두 개의 세로막대 및 하나의 제1축막대를 포함하며, 이 두 개의 가로막대와 이 두 개의 세로막대는 서로 교착되게 연결되고 돌아가며 설치되어 하나의 조립구역을 형성한다. 또한 따로 하나의 집는 기구가 조립구역에 설치되고 이 제1축막대의 한단은 전동바퀴판의 가로막대에 근접되게 연결되고, 다른 한 단은 제2궤도에 삽입설치되어 전동바퀴판의 작동을 받아 이 두 개의 가로막대와 두 개의 세로막대가 좌우로 흔들리고 나아가 집는 기구의 열고 닫힘을 통제하게 된다.
하나의 승강부품은 두 개의 속 넣는 기구와 서로 조립되는 위치고정막대,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 이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와 연접되는 하나의 연접판 및 하나의 제2축막대를 포함하되, 이 두 개의 위치고정막대는 각각 전동바퀴판 양측에 설치되고 이 두개의 미끄럼조각좌는 각각 이 두 개의 위치고정막대에 씌어져 설치되며 동시에 위치고정막대에 맞추어 상하로 위치이동하며, 또 이 연접판은 전동바퀴판을 뛰어넘어 제1궤도의 한측에 설치되고, 동시에 이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에 연접되고, 이 제2축막대의 한단은 연접판에 접설되고 다른 한 단은 제1궤도에 삽입설치되며 따로 하나의 지탱대가 이 제2미끄럼조각좌에 설치되어 흔듬부품의 한측과 대응되고, 흔듬부품과 서로 조립되며, 이 제2 축막대는 전동바퀴판의 제1궤도의 위치이동에 따라 연접판의 조립을 통해 이 두 미끄럼조각좌가 이 두 개의 위치고정막대의 위치이동에 대해 이끌게 되며 동시에 지탱대가 흔듬부품과 함께 상하 위치이동하게 이끈다.
하나의 수송부품은 지탱대의 하방에 설치하고 속 넣는 기구와 조립하며, 이 수송부품은 하나의 제3축막대, 하나의 수송띠, 하나의 연접틀 및 두 개의 롤러막대를 포함하는데, 이 두 개의 롤러막대의 한 단은 속 넣는 기구와 서로 연접되어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이 제3축막대의 한 단은 전동바퀴판의 제3궤도에 삽입설치되고 다른 한 단은 속 넣는 기구와 서로 연접되며 이 두 미끄럼조각좌 중의 어느 하나와 서로 접합되고 또 이 연접틀은 이 두 개의 롤러막대 사이에 설치되어 제3축막대와 서로 조립설치되고, 그밖에 이 수송띠는 제2 롤러막대와 연접틀에 싸여있으며 이 제3축막대가 전동바퀴판의 전동을 받아 제3궤도의 궤적을 따라 위치이동하고 연접틀의 승강을 이끌며 동시에 수송띠를 승강시킨다.
본 고안의 진일보한 기술특징은 이 전동바퀴판의 중심위치에 하나의 축구멍을 뚫고 또 이 축구멍은 돌출기둥으로 모터의 한단에 조립되어 전동바퀴판에 설치된 제2궤도와 제3궤도의 한측을 향해 뚫고 설치되며 또 이 전동바퀴판에 설치된 제1, 2, 3궤도의 길이는 모두 다르고, 이 제2궤도는 나아가 하나의 첨단부가 있고 이 제1,2,3축막대는 각 궤도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흔듬부품, 승강부품과 수송부품이 작동에 있어서 시간상의 차이를 가지게 된다.
본 고안의 진일보한 기술특징은 이 연접조립틀은 나아가 하나의 연동조각, 하나의 맞물림좌, 하나의 "∩"자 형을 드러내는 틀과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데, 이 연동조각의 한 단은 제3축막대에 조립설치되고, 다른 한 단은 바깥으로 연장되고, 이 맞물림좌는 하나의 수송대부와 하나의 지탱막대부를 가지는데 이 수송대부와 지탱막대부는 서로 연접되고 또 이 지탱막대부는 연동조각을 뚫고 바깥을 향해 연장되는 한 단에 설치되고, 수송대부가 연동조각의 윗부분에 설치되게 하며 또 이 틀은 나아가 하나의 가로판부와 가로판부 양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세로판부를 포함하며, 이 지탱막대부는 연동조각의 한단을 뚫고 설치되어 틀의 가로판부와 서로 연접되고, 이 롤러는 두 개의 세로판부 사이에 가설되고 이 수송띠는 이 두 롤러막대, 수송대부와 롤러를 둘러싸고 설치되며 전동바퀴판의 전동이 제3축막대로 하여금 제3궤도를 따라 위치이동하게 한다. 동시에 연동조각이 맞물림좌와 대응되는 틀의 승강을 이끌어 맞물림좌의 수송대부가 수송띠를 밀어 흔듬부품에 접근되거나 혹은 멀어지게 한다.
본 고안의 기술특징은 이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에는 나아가 각 지탱대 방향을 향해 하나의 지탱조각을 돌출되게 설치하고 각 지탱조각은 서로 대응하는 미끄럼조각좌에 수직이 되게 설치되며, 또한 각 지탱조각과 지탱대 사이에는 나아가 각각 하나의 보조조각이 설치되며 각 보조조각의 양측은 각각 지탱조각과 지탱대에 붙어 맞대고 지탱대를 지탱하여 흔듬부품의 승강을 이끈다.
본 고안의 진일보한 기술특징은 이 제3축막대가 가설되는 속 넣는 기구의 한 단에 따로 하나의 탄성부품을 설치하는데 이 탄성부품의 한 단은 제3축막대에 씌어져 설치되고 다른 한 단은 속 넣는 기구 내부 아래면에 탄성으로 맞물린다.
본 고안의 진일보한 기술특징은 이 두 개의 가로막대 중 하나는 제1축막대와 서로 연접되고 다른 하나의 가로막대에는 하나의 잠금구멍이 가설되고, 따로 잠금구멍을 통해 집는 기구와 잠그게 조립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식품의 가공영역에 응용되는 것으로 그 특징은 식품에 속을 넣는 과정이 비교적 순조롭고 또한 기대 내부의 부품을 감소하여 전체 기계의 중량을 감소하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분해하여 소제하기 편리하며 장시간의 작동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여 식품의 일관성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인 속 넣는 기기의 입체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인 전동구조의 입체 개략도.
도3은 도2의 분해입체 개략도.
도4는 조2의 또 다른 각도에서 본 입체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인 전동바퀴판의 입체 개략도.
도6은 도5의 또 다른 각도에서 본 입체 개략도.
도7은 본 고안인 전동구조가 아직 작동하기 전의 상태를 앞에서 본 도면.
도8은 본 고안이 연접틀 위에서 상승하면서 전동바퀴판을 돌리는 초기 동작
개략도.
도9는 도8의 뒷면 동작 개략도.
도10은 도8을 위에서 내려다 본 개략도.
도11은 도10의 흔듬부품의 위치이동 동작 개략도.
도12는 본 고안인 흔듬부품이 속 재료를 절단한 후의 동작 개략도.
도13은 도12의 승강부품과 수송부품의 동작 개략도.
도14는 도13의 뒷면 동작 개략도.
도15는 수송부품이 식품을 담아 하강하는 동작 개략도.
도16은 수송대가 식품을 수송하고 승강부품이 상승하는 동작의 개략도.
본 고안에 적용된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는 도 1 내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서 달성하려는 상술한 목적과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일종의 속 넣는 기계의 전동구조와 이에 채용된 기술, 수단과 달성하려는 효과에 대해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 고안에 어떠한 형식의 제한을 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면 1에서 6까지를 참고하면 본 고안은 일종의 속 넣는 기구의 전동구조로 속 넣는 기구(10)내의 모터(101)와 연접되며, 속 넣는 기구(10)의 작동과 수송을 이끈다. 이는 아래를 포함하되, 하나의 전동바퀴판(1), 그 한측에는 하나의 모터(101)와 서로 연결되는 돌출기둥(11)이 설치되고 또 같은 측에 하나의 이 돌출기둥 주변을 돌아가는 제1궤도(12)가 설치되고, 이 전동바퀴판(1)의 다른 한 측 중심위치에는 하나의 제2궤도(13)가 오목으로 돌아가며 설치되고, 이 제2궤도(13)의 주변에는 나아가 하나의 양단이 개방된 모양의 제3궤도(14)가 오목으로 설치된다. 하나의 전송바퀴판(1)과 조립되어 설치되는 흔듬부품(2), 이는 두 개의 가로막대(21)와 두 개의 세로막대(22) 및 하나의 제1축막대(23)를 포함하며, 이 두 개의 가로막대(21)와 이 두 개의 세로막대(22)는 서로 교착되게 연결되고 돌아가며 설치되어 하나의 조립구역(24)을 형성한다. 또한 따로 하나의 집는 도구(3)가 조립구역(24)에 설치되고 이 제1축막대(23)의 한 단은 전동바퀴판(1)의 가로막대(21)에 근접되게 연결되고, 다른 한 단은 제2궤도(13)에 삽입설치되어 전동바퀴판(1)의 작동을 받아 이 두 개의 가로막대(21)와 두 개의 세로막대(22)가 좌우로 흔들리고 나아가 집는 기구(3)의 열고 닫힘을 통제하게 된다.
하나의 승강부품(4)은 두 개의 속 넣는 기구(10)와 서로 조립되는 위치고정막대(41),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42), 이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42)와 연접되는 하나의 연접판(43) 및 하나의 제2축막대(44)를 포함하되, 이 두 개의 위치고정막대(41)는 각각 전동바퀴판(1) 양측에 설치되고 이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42)는 각각 이 두 개의 위치고정막대(41)에 씌어져 설치되며 동시에 위치고정막대(41)에 맞추어 상하로 위치이동하며, 또 이 연접판(43)은 전동바퀴판(1)을 뛰어넘어 제1궤도(12)의 한측에 설치되고, 동시에 이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42)에 연접되고, 이 제2 축막대(44)의 한 단은 연접판(43)에 접설되고 다른 한 단은 제1궤도(12)에 삽입설치되며 따로 하나의 지탱대(5)가 이 제2미끄럼조각좌(42)에 설치되어 흔듬부품(2)의 한측과 대응되고, 흔듬부품(2)과 서로 조립되며, 또 지탱대(5)는 집는 기구(3)의 개합에 대응하여 하나의 통풍구멍(51)이 설치되고, 이 제2축막대(44)는 전동바퀴판(1)의 제1궤도(12)의 위치이동에 따라 연접판(43)의 조립을 통해 이 두 미끄럼조각자리(42)가 이 두 개의 위치고정막대(41)의 위치이동을 이끌게 되며 동시에 지탱대(5)가 흔듬부품(2)과 함께 상하 위치이동하게 이끈다.
하나의 수송부품(6)은 지탱대(5)의 하방에 설치하고 속 넣는 기구(10)와 조립하며, 이 수송부품(6)은 하나의 제3축막대(61), 하나의 수송띠(62), 하나의 연접틀(63) 및 두 개의 롤러막대(64)를 포함하는데, 이 두 개의 롤러막대(64)의 한 단은 속 넣는 기구(10)와 서로 연접되어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이 제3 축막대(61)의 한 단은 제3궤도(14)에 삽입설치되고 다른 한 단은 속 넣는 기구(10)와 서로 연접되며 이 두 미끄럼조각좌(42) 중의 어느 하나와 서로 접합되고 또 이 연접틀(63)은 이 두 개의 롤러막대(64) 사이에 설치되어 제3축막대(61)와 서로 조립설치되고, 그 밖에 이 수송띠(62)는 제2 롤러막대(64)와 연접틀(63)에 싸여있으며 이 제3축막대(61)가 전동바퀴판(1)의 전동을 받아 제3궤도(14)의 궤적을 따라 위치이동하고 연접틀(63)의 승강을 이끌며 동시에 수송띠(62)를 승강시킨다. 그중 이 전동바퀴판(1)의 전동은 제1축막대(23), 제2축막대(44), 제3축막대(61)를 각각 서로 대응하는 궤도의 궤적에 따라 위치이동하게 하고 나아가 흔듬부품(2), 승강부품(4) 및 수송부품(6)의 작동을 이끌어 식품이 속이 넣어진 후 성형과 수송상의 순조로움과 완전성을 확보하게 한다.
전술한 본 고안 실시예의 진일보한 기술특징은 본 신청 특허범위 제1항의 내용으로 본 고안의 목적과 실시형태를 상세히 규정하는 것이며, 그 나머지의 신청범위에서 서술한 기술특징은 신청범위 제1항의 내용을 상세하게 부가한 기술특징으로 결코 이에 신청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신청 특허범위는 반드시 기타 부속신청범위에서 서술한 기술특징을 포함할 필요가 없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작동방식과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세부적으로 전동바퀴판(1), 흔듬부품(2), 승강부품(4)과 수송부품(6)의 세부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2와 5,6에 의하면, 이 전동바퀴판(1)의 설계에 있어 그 중심위치에 하나의 축구멍(15)을 뚫고 또 이 축구멍(15)은 돌출기둥(11)으로 모터(101)의 한 단에 조립되어 전동바퀴판(1)에 설치된 제2궤도(13)와 제3궤도(14)의 한측을 향해 뚫고 설치되어 이 제1궤도(13)와 제3궤도(14)는 축구멍(15)의 주위에 돌아가며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모터(101)는 축심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동바퀴판(1)과 모터(101)의 조립은 축구멍(15)과 축심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며 모터(101)는 재래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전동바퀴판(1)의 설명을 지속하면, 속 넣는 기구(10)가 마지막으로 식품이 성형되었을때 순서와 과정에 따라 집고 자르고 수송하는 동작을 진행하고 또 성형된 식품의 변형을 막기 위해 전동바퀴판(1)에 설치한 제1, 2, 3궤도(12, 13, 14)의 길이는 모두 다르고, 그 궤적 역시 다르며 또 이 제2궤도(13)에는 첨단부(131)가 있고 이 제1,2,3축막대(23, 44, 61)는 각 궤도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각 축막대(제1축막대(23), 제2축막대(44), 제3축막대(61))에 의해 통제된 흔듬부품(2), 승강부품(4)과 수송부품(6)이 작동에 있어서 시간상의 차이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축막대(23)가 제2궤도(13)를 따라 위치이동할 때 전동바퀴판(1)의 전동이 제1축막대(23)로 하여금 제2궤도(13)의 첨단부(131)를 만나 첨단부(131)의 맞물림을 받아 흔듬부품(2)의 작동방향을 바꾸게 되고 또 시간적인 차이를 통해 각 조립부품(흔듬부품(2), 승강부품(4) 및 수송부품(6))이 상호 배합하여 가장 양호한 집고 자르며, 수송하는 작동에 이르고 완전성과 일관성을 가진 식품의 모양을 제작해 낸다. 이는 도면5, 6을 참고하기 바라며, 도2는 참고보조용이다.(본 고안의 전동바퀴판(1)에 설치된 제1,2,3 궤도(12, 13, 14)는 속 넣은 기구(10)의 각 부위의 작동에 시간상의 차이를 제공하여 가장 양호한 식품 제작에 이르게 하는 것이며 결코 이에 각 궤도의 모양과 길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지탱대(5)와 흔듬부품(2)의 작동을 이끄는 승강부품(4)의 설계에서 전체 지탱대(5)와 흔듬부품(2)의 상승, 하강의 작동을 확실히 이끌기 위해 이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42)는 나아가 흔듬부품(2)의 한 측에 대응하여 각기 하나의 지탱조각(421)이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고 각 지탱조각(421)과 대응하는 미끄럼조각좌(42)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또한 각 지탱조각(421)과 지탱대(5) 사이에는 나아가 각각 하나의 보조조각(422)이 설치되며 각 보조조각(422)의 양측은 각가 각 지탱조각(421)과 지탱대(5)에 붙어 맞대고, 각 보조조각(422)의 기능은 승강부품(4)의 미끄럼조각좌(42)에 확실히 지탱대(5)와 흔듬부품(2)의 승강을 이끌게 하는 것 외 더 나아가 각기 다른 두께의 보조조각(422)으로 승강부품(4)이 지탱대(5)와 흔듬부품(2)의 승강시간을 변하게 하여 사용자가 각기 다른 식품 속을 넣는 제작에 근거해 각기 다른 제작시간과 순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면7의 내용을 참고하고 도2는 보조용이다.
이 수송부품(6)의 설치에서, 성형되고 절단된 후의 식품이 확실히 순조롭게 수송되게 하기 위해 또 집는 기구로 집어 절단하는 과정에서 식품의 변형을 가져오지 않게 하기 위해 수송부품(6)의 연접틀(63)은 나아가 하나의 연동조각(631), 하나의 맞물림좌(632), 하나의 자형을 드러내는 틀(633)과 하나의 롤러(634)를 포함하는데, 이 연동조각(631)은 T자형을 드러내며, 그 한 단은 제3축막대(61)에 조립설치되고, 다른 한 단은 바깥으로 연장되고, 이 맞물림좌(632)는 연동조각(631)의 연장된 한단에 설치되는데 이는 하나의 수송대부(6321)와 하나의 지탱막대부(6322)를 가지는데 이 수송대부(6321)와 지탱막대부(6322)는 서로 수직으로 연접되고 또 이 지탱막대부(6322)의 말단은 연동조각(631)의 윗면을 뚫고 설치되며, 수송대부(6321)가 연동조각(631)의 윗부분에 설치되게 하며 또 이 틀(633)은 지탱막대부(6322)의 말단에 조립설치되는데, 이는 하나의 가로판부(6331)와 가로판부(6331) 양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세로판부(6332)를 포함하며, 이 두 개의 세로판부(6332)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이 롤러(634)는 이 두 세로판부(6332)의 사이에 가설되고 이 수송띠(62)는 제2롤러막대(64), 수송대부(6321)와 롤러(634)를 돌아가며 설치되고 이로써 식품이 집는 기구에 의해 집어져 절단되기 전에 전동바퀴판(1)의 전동이 제3축막대(61)로 하여금 제3궤도(14)를 따라 위치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연동조각(631)이 맞물림좌(632)와 대응되는 틀(633)의 승강을 이끌어 수송띠(62)를 밀어 올려 식품을 담게되고 또 집는 기구(3)가 식품을 집어 절단할 때 전동바퀴판(1)의 제3궤도(14)의 궤적변환으로 인해 제3축막대(61)가 수송대부(6321)과 대응되는 틀(633)을 하강하게 이끌어 흔듬부품(2)에서 멀어지게 하고 수송띠(62)가 롤러(634)의 돌아감에 의해 완성품을 앞으로 수송하고 이렇게 반복적으로 작동하여 식품의 제작속도와 식품의 모양과 외관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는 도2,3,7과 8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또한, 이 수송부품(6)의 주요목적은 안정적인 식품의 연접과 수송인데, 따라서 제3축막대(61)와 전동바퀴판(1)의 배합에서 반드시 안정적이어야 하며 흔들림, 진동 등으로 인해 식품이 수송띠(62)에서의 수송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이 제3축막대(61)의 속 넣는 기구(10)에 연접되는 한 단에 따로 하나의 탄성부품(7)을 설치하는데 이 탄성부품(7)의 한 단은 제3축막대(61)에 씌어져 설치되고 다른 한 단은 속 넣는 기구(10) 내부 아래면에 탄성으로 맞물린다. 이 탄성부품(7)의 설치를 통해 전동바퀴판(1)이 제3축막대(61)가 상승하게 위치이동하면서 생산된 낙차를 줄이고 제3축막대(61)가 상승과 하강의 작동에서 식품이 수송띠(62)의 진동을 받아 떨어지거나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도면7에서 9, 도면12에서 16에 제시한 내용이다.
상술한 세부설명을 통해 본 고안의 작동방식은 두 과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작동전에는 집는 도구(3)가 열린 상태를 드러내며, 지탱대(5)가 최고점에 위치하고 수송부품(6)의 연접틀(63)이 수송띠(62)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인데(도7과 도10 참고) 모터(101)가 작동을 시작하여 전동바퀴판(1)의 운전이 시작될 때 먼저 전동바퀴판(1)의 각 궤도설계가 제3축막대(61)로 하여금 먼저 제3궤도(14)를 따라 위치가 이동되어 연접틀(63)의 수송대부(6321)의 상승을 이끌고 또 수송대부(6321)의 상승이 수송띠(62)를 밀어 지탱대(5)와 흔듬부품(2)의 방향을 향해 접근되게 한다.(도8과 도2참고) 수송띠(62)가 올려진 후 전동바퀴판(1)이 지속적으로 전동하고 나아가 제1축막대(23)가 제2궤도(13)를 따라 위치이동하며, 제2축막대(44)는 제1궤도(12)를 따라 위치이동하고 이 제2축막대(44)는 제1궤도(12)를 따라 위치이동하고, 또한 연접판(43)을 통해 설치되며 이 두 미끄럼조각좌(42)를 동시에 각 위치고정막대(41)에 대응되게 하강시키고 나아가 지탱대(5)와 연동하여 흔듬부품(2)을 하강시킨다.(도13을 참고) 또 승강부품(4)이 지탱대(5)의 하강을 이끄는 동시에 이 제1축막대(23) 역시 제2궤도(13)를 따라 위치이동하여 흔듬부품(2)의 좌우 흔들림을 이끌고 이 흔듬부품(2)의 좌우 흔들림은 집는 기구(3)의 열림과 닫힘을 통제한다.(도11,12참고) 따라서 승강부품(4)이 지탱대(5)의 하강을 이끄는 동시에 흔듬부품(2)도 집는 도구(3)의 잡고 여는 두 작동을 이끌어 집는 도구(3)가 식품을 절단하게 하고 식품이 지탱대(5)의 통풍구멍(51)을 통해 수송부품(6)의 수송띠(62)에 떨어져 수송된다. 이는 도7에서 도15에 제시된 내용이다.
상술한 작동에 이어, 집는 기구(3)가 한번 집고 한번 여는 두 작동을 할 때 전동바퀴판(1)이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제3축막대(61)가 제3궤도(14)의 궤적을 따라 연접틀(63)의 수송대부(6321)를 이끌어 상승상태로부터 하강상태가 되게 하고 이로써 수송띠(62)가 수송대부(6321)에 의해 밀려져 융기된 부위가 평탄하게 회복되어 평평한 모양이 되며(도16) 안정적으로 성형된 식품을 받아 수송하게 된다. 또 수송부품(6)이 작동되는 동시에 이 제2축막대(44) 역시 지속적으로 제1궤도(12)의 궤적을 따라 위치이동하여 이 제2미끄럼조각좌(42)가 지탱대(5)와 흔듬부품(2)을 이끌어 원래의 수송띠(62)방향으로부터 하강하여 반대방향으로 변하여 상승하게 한다. 이로써 속 넣는 기계(10)가 식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전동작동은 상술한 두 가지 과정방식으로 설명한 후 전동바퀴판(1)이 지속적으로 전동하는 것을 통해 각 궤도(제1궤도(12), 제2궤도(13), 제3궤도(14))의 각기 다른 설계형태로 흔듬부품(2), 승강부품(4)과 수송부품(6)의 연속적인 작동을 이끌고 서로 배합되게 하여 속 넣는 기구(10)가 작동에 있어 이미 속을 넣어 제작된 식품을 안정적으로 수송하게 된다. 또한 식품에 속을 넣는 과정에서도 식품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일관성과 완전성을 가진 식품을 제작해 낼 수 있다. 도면7에서 16까지의 각 도면은 이 과정을 순서대로 연관, 작동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며 도면5와 6을 보조참고로 하면 완전한 동작으로 식품을 절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밖에 전동바퀴판(1)에 설치한 제1궤도(12), 제2궤도(13) 및 제3궤도(14)를 통해 각기 다른 작동부위(흔듬부품(2), 승강부품(4), 수송부품(6))가 동시에 전동바퀴판(1)을 이용해 서로간의 배합에 이르고 재래용 기술에 있어서처럼 각 동작부위가 독립된 전동부품으로 움직이면서도 피차 작동부위가 상호연결관계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부품이 너무 많고 조립이 복잡하며 전체 속 넣는 기구(10)가 너무 무겁고 체적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동바퀴판(1)에 설치한 제1,2,3궤도(12,13,14)를 이용하여 각 부위의 작동을 이끌고 내부 부품의 수량을 감소시켜 속 넣는 기구(10)의 중량과 체적을 감소시키며 나아가 속 넣는 기구(10)내부의 부품 간소화 조립으로 이후의 보수와 부품교체도 편리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면5와 6에서 제시한 것을 참고하기 바라며 도면2를 보조로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밝혀두고 싶은 것은 집는 기구(3)의 설치에서 이 흔듬부품(2)이 집는 기구(3)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두 개의 가로막대(21) 중의 하나를 전동바퀴판(1)의 가로막대(21)에 근접시키고 제1축막대(23)와 서로 연접하며 떠 다른 가로막대(21)에는 하나의 잠금구멍(211)을 개설하고 따로 잠금쇄(8)를 두어 잠금구멍(211)을 뚫고 집는 기구(3)와 조립 연접되도록 한다. 이로써 집는 기구(3)가 흔듬부품(2)의 통제를 받아 흔듬부품(2)이 왼쪽으로 흔들릴때 집는 기구(3)가 식품을 집어 절단하고, 이와 반대로 흔듬부품(2)이 오른쪽으로 흔들릴때 집는 기구(3)가 열리게 된다. 이로써 흔듬부품(2)의 좌우 흔들림을 통해 집는 기구(3)가 식품의 제작과정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개합동작을 하게되고, 전동바퀴판(1)의 설치를 통해 집어 절단된 식품이 일정한 크기와 중량을 유지하게 되어 식품이 일관성을 가지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면3에서 예시한 바와 같다.(본 고안에서는 흔듬부품(2)의 좌우 흔들림이 집는 기구(3)의 개합을 이끌어 식품을 집어 절단한다. 하지만 왼쪽으로 흔들릴때 집는 기구(3)가 닫히고, 오른쪽으로 흔들릴때 집는 기구(3)가 열리는 형태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동바퀴판(1)의 설계에 따라 변화가 생길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동바퀴판 11:돌출기둥
12:제1궤도 13:제2궤도
131:첨단부 14:제3궤도
15:축구멍 2:흔듬부품
21:가로막대 211:잠금구멍
22:세로막대 23:제1축막대
24:조립구역 3:잡는 기구
4:승강부품 41:위치고정막대
42:미끄럼 조각좌 421:지탱조각
422:보조조각 43:연접판
44:제2축막대 5:지탱대
51:통풍구멍 6:수송부품
61:제3축막대 62:수송띠
63:연접틀 631:연동조각
632:맞물림좌 6321:수송대부
6322:지탱부 633:틀
6331:가로판부 6332:세로판부
634:롤러 64:롤러막대
7:탄성부품 8:잠금쇄
10:속 넣는 기구 101:모터

Claims (6)

  1. 일종의 속 넣는 기구의 전동구조로 속 넣는 기구 내의 모터와 연결되어 속 넣는 기구의 작동과 수송을 이끄는데, 이는 아래를 포함하되,
    하나의 전동바퀴판, 그 한측에는 하나의 모터와 서로 연결되는 돌출기둥이 설치되고 또 같은 측에 하나의 돌출기둥 주변을 돌아가는 제1궤도가 설치되고, 이 전동바퀴판의 다른 한 측 중심위치에는 하나의 제2궤도가 오목으로 돌아가며 설치되고, 제2궤도의 주변에는 나아가 하나의 양단이 개방된 모양의 제3궤도가 오목으로 설치되고,
    하나의 전송바퀴판과 조립되어 설치되는 흔듬부품은 두 개의 가로막대와 두 개의 세로막대 및 하나의 제1축막대를 포함하며, 이 두 개의 가로막대와 이 두 개의 세로막대는 서로 교착되게 연결되고 돌아가며 설치되어 하나의 조립구역을 형성하고, 또한 하나의 집는 기구가 조립구역에 설치되고 이 제1축막대의 한단은 전동바퀴판의 가로막대에 근접되게 연결되고, 다른 한 단은 제2궤도에 삽입설치되어 전동바퀴판의 작동을 받아 이 두 개의 가로막대와 두 개의 세로막대가 좌우로 흔들리고 나아가 집는 기구의 열고 닫힘을 통제하게 되며,
    하나의 승강부품은 두 개의 속 넣는 기구와 서로 조립되는 위치고정막대,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 이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와 연접되는 하나의 연접판 및 하나의 제2축막대를 포함하되, 이 두 개의 위치고정막대는 각각 전동바퀴판 양측에 설치되고 이 두개의 미끄럼조각좌는 각각 이 두 개의 위치고정막대에 씌어져 설치되며 동시에 위치고정막대에 맞추어 상하로 위치이동하며, 또 이 연접판은 전동바퀴판을 뛰어넘어 제1궤도의 한측에 설치되고, 동시에 이 두개의 미끄럼조각좌에 연접되고, 이 두개의 축막대의 한단은 연접판에 접설되고 다른 한 단은 제1궤도에 삽입설치되며 따로 하나의 지탱대가 이 제2미끄럼조각좌에 설치되어 흔듬부품의 한측과 대응되고, 흔듬부품과 서로 조립되며, 이 제2 축막대는 전동바퀴판의 제1궤도의 위치이동에 따라 연접판의 조립을 통해 이 두 미끄럼조각좌가 이 두 개의 위치고정막대의 위치이동에 대해 이끌게 되며 동시에 지탱대가 흔듬부품과 함께 상하 위치이동하게 되고,
    하나의 수송부품은 지탱대의 하방에 설치하고 속 넣는 기구와 조립하며, 이 수송부품은 하나의 제3축막대, 하나의 수송띠, 하나의 연접틀 및 두 개의 롤러막대를 포함하는데, 이 두 개의 롤러막대의 한 단은 속 넣는 기구와 서로 연접되어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이 제3 축막대의 한 단은 전동바퀴판의 제3궤도에 삽입설치되고 다른 한 단은 속 넣는 기구와 서로 연접되며 이 두 미끄럼조각좌 중의 어느 하나와 서로 접합되고 또 이 연접틀은 이 두 개의 롤러막대 사이에 설치되어 제3축막대와 서로 조립설치되고, 그밖에 이 수송띠는 제2 롤러막대와 연접틀에 싸여있으며 이 제3축막대가 전동바퀴판의 전동을 받아 제3궤도의 궤적을 따라 위치이동하고 연접틀의 승강을 이끌며 동시에 수송띠를 승강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전동바퀴판의 중심위치에 하나의 축구멍을 뚫고 또 이 축구멍은 돌출기둥으로 모터의 한단에 조립되어 전동바퀴판에 설치된 제2궤도와 제3궤도의 한측을 향해 뚫고 설치되며 또 이 전동바퀴판에 설치된 제1, 2, 3궤도의 길이는 모두 다르고, 이 제2궤도는 하나의 첨단부가 있고 이 제1,2,3축막대는 각 궤도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흔듬부품, 승강부품과 수숭부품이 작동에 있어서 시간상의 차이를 가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연접틀은 나아가 하나의 연동조각, 하나의 맞물림좌, 하나의 "∩"자 형을 드러내는 틀과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데, 이 연동조각의 한 단은 제3축막대에 조립설치되고, 다른 한 단은 바깥으로 연장되고, 이 맞물림좌는 하나의 수송대부와 하나의 지탱막대부를 가지는데 이 수송대부와 지탱막대부는 서로 연접되고 또 이 지탱막대부는 연동조각을 뚫고 바깥을 향해 연장되는 한 단에 설치되고, 수송대부가 연동조각의 윗부분에 설치되게 하며 또 이 틀은 나아가 하나의 가로판부와 가로판부 양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세로판부를 포함하며, 이 지탱막대부는 연동조각의 한단을 뚫고 설치되어 틀의 가로판부와 서로 연접되고, 이 롤러는 두 개의 세로판부 사이에 가설되고 이 수송띠는 이 두 롤러막대, 수송대부와 롤러를 둘러싸고 설치되며 전동바퀴판의 전동이 제3축막대로 하여금 제3궤도를 따라 위치이동하게 하고 동시에 연동조각이 맞물림좌와 대응되는 틀의 승강을 이끌어 맞물림좌의 수송대부가 수송띠를 밀어 흔듬부품에 접근되거나 혹은 멀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미끄럼조각좌는 각 지탱대 방향을 향해 하나의 지탱조각을 돌출되게 설치하고 각 지탱조각은 서로 대응하는 미끄럼조각좌에 수직이 되게 설치되며, 또한 각 지탱조각과 지탱대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보조조각이 설치되며 각 보조조각의 양측은 각 지탱조각과 지탱대에 붙어 맞대고 지탱대를 지탱하여 흔듬부품의 승강을 이끌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3축막대가 가설되는 집는 기구의 한 단에 따로 하나의 탄성부품을 설치하는데 이 탄성부품의 한 단은 제3축막대에 씌어져 설치되고 다른 한 단은 속 넣는 기구 내부 아래면에 탄성으로 맞물리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가로막대 중 하나는 제1축막대와 서로 연접되고 다른 하나의 가로막대에는 하나의 잠금구멍이 가설되고, 따로 잠금구멍을 통해 집는 기구와 잠그게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KR2020130007271U 2013-08-29 2013-08-29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KR200474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71U KR200474256Y1 (ko) 2013-08-29 2013-08-29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71U KR200474256Y1 (ko) 2013-08-29 2013-08-29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256Y1 true KR200474256Y1 (ko) 2014-11-03

Family

ID=5228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271U KR200474256Y1 (ko) 2013-08-29 2013-08-29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25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097A (ja) * 1996-11-05 1998-05-19 Freunt Ind Co Ltd 遠心転動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粉粒体の造粒方法ならびにコーティング方法
JP2001327850A (ja) * 2000-03-14 2001-11-27 Freunt Ind Co Ltd 遠心転動造粒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粉粒体処理方法
JP2001334140A (ja) * 2000-05-25 2001-12-04 Freunt Ind Co Ltd 遠心転動造粒装置
JP2007259887A (ja) * 2006-03-27 2007-10-11 Freunt Ind Co Ltd 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遠心転動造粒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097A (ja) * 1996-11-05 1998-05-19 Freunt Ind Co Ltd 遠心転動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粉粒体の造粒方法ならびにコーティング方法
JP2001327850A (ja) * 2000-03-14 2001-11-27 Freunt Ind Co Ltd 遠心転動造粒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粉粒体処理方法
JP2001334140A (ja) * 2000-05-25 2001-12-04 Freunt Ind Co Ltd 遠心転動造粒装置
JP2007259887A (ja) * 2006-03-27 2007-10-11 Freunt Ind Co Ltd 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遠心転動造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801B1 (ko) 만두제조장치
TW201343116A (zh) 用於製造過濾器以及將該等過濾器插入至用於製備飲料的單劑量式容器中的裝置及方法
KR101234529B1 (ko) 두부 자동 절단장치
EP2894101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ordnen mehrerer Lebensmittel in wenigstens einem Unterteil einer Verpackung
US20080081098A1 (en) Produce cutting machine
CN202407011U (zh) 二次送面包子机
KR102073611B1 (ko) 만두 제조 장치
CN105724507A (zh) 紧凑型包馅食品成型机
KR20160099799A (ko) 만두제조장치
CN107352078A (zh) 半自动绒螯蟹包装机
KR200474256Y1 (ko) 식품에 속을 넣는 기기의 전동구조
JP2987578B1 (ja) ピザライスの成形装置
JP2008113593A (ja) 焼き食品の製造装置
CN207482856U (zh) 一种烟箱推烟装置
JP3186977U (ja) 詰め物包み機の伝動構造
JP2016088619A (ja) ひねり包装装置
CN107600541A (zh) 一种包装系统的开封盒设备
CN207311946U (zh) 一种包装系统的开封盒设备
CN208345044U (zh) 一种用于自动化立体货架的自动分配车
CN108857424B (zh) 一种船用地板扣底盘的自动加工装置
JP6984891B2 (ja) リテーナーの自動ロック装置
CN205727817U (zh) 蛋糕机
CN210061737U (zh) 一种鞋垫加工线
CN108568671B (zh) 一种船用地板扣底盘的自动加工设备
CN215591747U (zh) 一种自动化生产线用稳定性好的高效物流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