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133Y1 -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 - Google Patents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133Y1
KR200474133Y1 KR2020140004223U KR20140004223U KR200474133Y1 KR 200474133 Y1 KR200474133 Y1 KR 200474133Y1 KR 2020140004223 U KR2020140004223 U KR 2020140004223U KR 20140004223 U KR20140004223 U KR 20140004223U KR 200474133 Y1 KR200474133 Y1 KR 200474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ble metal
supply pipe
waste liquid
ion exchange
exchang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규
Original Assignee
박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규 filed Critical 박용규
Priority to KR2020140004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1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C22B11/042Recovery of noble metals from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ion-exchange extr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내부에 귀금속을 흡착할 수 있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되고, 상, 하부에 각각 상부캡 및 하부캡이 체결되며, 상기 하부캡을 관통하여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이 유입되는 제1공급관 및 제2공급관과, 원통 형상으로서 내측은 관통로가 형성되고 일측 저면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내부로는 상기 제1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폐액이 공급되며 타측 말단부 평면에는 충돌판이 형성되고 상기 충돌판 하측 측방으로는 개방된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폐액공급관과, 내부가 관통된 원형 형상으로서 상기 제2공급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외부로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이 여러 방향으로 공급되는 보조공급관과, 일측단에 제1스트레이너(Strainer)가 장착되어 상기 충돌판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충돌판의 측방에서 수직 절곡되며 타측이 상기 하부캡을 관통하여 폐액이 배출되는 배출관으로 구성되는 귀금속회수통과, 상기 귀금속회수통의 상측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트레이너의 측면 중앙부로 공기가 공급되며 제3체크밸브가 장착된 공기배관과, 귀금속이 함유된 액상 폐액을 원액탱크로부터 유입시켜 상기 귀금속회수통을 경유하여 다시 원액탱크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귀금속회수통 및 원액탱크를 연결하는 배관부재와, 상기 제1공급관에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밸브 및 제1체크밸브와, 상기 제2공급관에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2밸브 및 제2체크밸브와,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제1,2공급관 사이의 공급배관에 형성되고 내측에 제2스트레이너가 장착된 역류방지통과, 상기 원액탱크와 상기 순환펌프 사이에 설치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순환펌프를 자동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는 타이머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이온수지에 귀금속이 흡착될 수 있는 표면적의 증가로 귀금속의 회수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귀금속 회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장이 적으며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고가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여 경제성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The fluidic recovery tower to be filled with ion exchange resin for the precious metals recovery}
본 고안은 귀금속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귀금속이 흡착되는 이온교환수지의 표면적을 넓혀 귀금속 회수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귀금속 회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귀금속 회수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PCB)기판을 제작하는 기판회로 인쇄업이나 콘넥터 및 장식용 금 도금업등 금이 많은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가의 원자재를 그대로 폐기할 경우 국가와 개인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도금과 같은 공정에서 발생하는 수세수에는 공정에 따라 귀금속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귀금속을 회수하는 것은 자원의 절약차원에서나 혹은 중금속 함유 폐수에 의한 오염 방지 차원에서 매우 소중한 일로서, 이러한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으로 금속치환법, 전기분해방법, 이온교환수지법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상기 이온교환수지법은 수지흡착에 의해서 귀금속을 회수하게 되는데 귀금속을 흡착시킨 후 이온수지(이온교환수지)를 소각한 다음 왕수 공정에 투입한 후 다시 소각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후처리를 통해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식으로서, 이온교환수지법을 이용하는 종래의 귀금속회수용 이온교환수지탑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귀금속 회수용 이온교환수지탑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귀금속회수용 이온교환수지탑은 본체 내부에 귀금속을 흡착할 수 있는 이온수지(1)가 충전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턱 및 하부턱에 각각 볼트(21)와 너트(22)로 구성되는 체결구(20)에 의해 상부캡(30) 및 하부캡(31)이 체결되며, 상기 하부캡을 관통하여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이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급배출관(35)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배출관에는 각각 스트레이너(Strainer, 40)가 장착된 한 쌍의 귀금속회수통(50)과, 귀금속이 함유된 액상 폐액을 원액탱크(60)로부터 유입시켜 상기 한 쌍의 귀금속회수통(50)을 경유하여 다시 원액탱크(60)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70)와, 상기 한 쌍의 귀금속회수통(50) 간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귀금속회수통(50) 및 원액탱크(60)를 연결하는 다수의 밸브(81)가 장착된 배관부재(80)와, 상기 한 쌍의 귀금속회수통(50)을 연결하는 배관부재(80)에 자동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폐액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타이머로 구성된다.
상기 이온수지를 이용한 귀금속 회수장치는 귀금속 이온이 함유된 원액과 이온교환수지가 귀금속회수통 내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며 이동하면서 이온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원액은 귀금속회수통을 통과하여 다시 원액탱크로 유입되면서 순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귀금속회수통 내의 이온수지가 통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스트레이너(40) 주변으로 작은 구 형상의 이온수지가 쌓이게 되고 이렇게 겹겹이 쌓인 이온수지로 인해 귀금속이 흡착될 수 있는 이온수지의 표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귀금속 이온의 이온교환이 활발히 일어나지 못하고 흡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8646호, 2006년 3월 14일 공고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이온교환수지에 귀금속이 흡착될 수 있는 표면적의 증가로 귀금속의 회수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귀금속 회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두 번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장이 적으며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고가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여 경제성 있는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귀금속을 흡착할 수 있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되고, 상, 하부에 각각 상부캡 및 하부캡이 체결되며, 상기 하부캡을 관통하여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이 유입되는 제1공급관 및 제2공급관과, 원통 형상으로서 내측은 관통로가 형성되고 일측 저면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내부로는 상기 제1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폐액이 공급되며 타측 말단부 평면에는 충돌판이 형성되고 상기 충돌판 하측 측방으로는 개방된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폐액공급관과, 내부가 관통된 원형 형상으로서 상기 제2공급관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외부로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이 여러 방향으로 공급되는 보조공급관과, 일측단에 제1스트레이너(Strainer)가 장착되어 상기 충돌판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충돌판의 측방에서 수직 절곡되며 타측이 상기 하부캡을 관통하여 폐액이 배출되는 배출관으로 구성되는 귀금속회수통과, 상기 귀금속회수통의 상측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트레이너의 측면 중앙부로 공기가 공급되며 제3체크밸브가 장착된 공기배관과, 귀금속이 함유된 액상 폐액을 원액탱크로부터 유입시켜 상기 귀금속회수통을 경유하여 다시 원액탱크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귀금속회수통 및 원액탱크를 연결하는 배관부재와, 상기 제1공급관에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밸브 및 제1체크밸브와, 상기 제2공급관에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2밸브 및 제2체크밸브와,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제1,2공급관 사이의 공급배관에 형성되고 내측에 제2스트레이너가 장착된 역류방지통과, 상기 원액탱크와 상기 순환펌프 사이에 설치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순환펌프를 자동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는 타이머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이온교환수지에 귀금속이 흡착될 수 있는 표면적의 증가로 귀금속의 회수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귀금속 회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장이 적으며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고가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여 경제성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의 귀금속 회수용 이온교환수지탑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의 작동이 막 시작된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의 작동이 활발히 진행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의 작동을 멈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는 귀금속회수통(100)과, 공기배관(200)과, 원액탱크(300)와, 순환펌프(400)와, 배관부재(500)와, 제1밸브(610) 및 제1체크밸브(611)와, 제2밸브(620) 및 제2체크밸브(621)와, 역류방지통(700)과, 타이머(800)로 구성된다.
상기 귀금속회수통(100)은 내부에 귀금속을 흡착할 수 있는 이온교환수지(1)가 충전되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캡(110) 및 하부캡(111)이 체결되고 상기 하부캡(111)을 관통하여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이 유입되는 제1공급관(120) 및 제2공급관(121)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귀금속회수통(100) 내부에는 원통 형상으로서 내측은 관통로(131)가 형성되고 일측 저면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내부로는 상기 제1공급관(120)으로부터 유입되는 폐액이 공급되며 타측 말단부 평면에는 충돌판(132)이 형성되고 상기 충돌판(132) 하측 측방으로 개방된 다수의 분사구(133)가 형성된 폐액공급관(130)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급관(120)으로부터 유입되는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은 상기 폐액공급관(130)의 내부 관통로(131)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충돌판(132)에 충돌하면서 개방된 측방의 분사구(133)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폐액 중에 있는 이온교환수지도 하측에서 상측으로 강하게 이동되는 폐액의 흐름을 따라 이동되며 상측에 형성된 분사구(133)를 통해 배출되면서 귀금속회수통(100)의 내부에서 활발하게 순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다시 귀금속회수통의 벽에 부딪혀 다시 하측으로 중앙에서 귀금속회수통의 내측벽으로 유동하면서 폐액의 귀금속 이온을 활발하게 흡착하게 된다.
상기 제2공급관(121)에는 내부가 관통된 원형 형상으로서 외주면에 외부로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41)이 형성되어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이 여러 방향으로 공급되는 보조공급관(140)이 연결된다.
즉 상기 제2공급관(121)을 통해 유입되는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이 원형상의 보조공급관(140)에 형성된 통공(141)을 통해 귀금속회수통(100)의 내부 하측 모서리 주변으로 공급됨으로 인해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적은 귀금속회수통(100)의 내측 모서리 부근에 쌓여 이동되지 않는 이온교환수지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폐액에 함유된 귀금속 이온이 이온교환수지와 활발히 접촉하여 이온교환수지에 흡착하게 된다.
이러한 본원 고안의 폐액공급관(130) 및 보조공급관(140)의 구성에 의하여 이온교환수지에 귀금속이 흡착될 수 있는 표면적의 증가로 귀금속의 회수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귀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폐액이 배출되는 배출관(150)은 상기 충돌판(132)의 상측에 위치하고 일측단에 제1스트레이너(Strainer)(151)가 장착되며 상기 충돌판(132)의 측방에서 수직 절곡되어 타측이 상기 하부캡(111)을 관통한다.
상기 제1스트레이너(151)가 장착된 배출관(150)의 일부분을 절곡되게 한 구성은 상기 제1스트레이너(151)를 귀금속회수통(100)의 중앙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배출되는 폐액 중에 포함되어 유동하는 이온교환수지가 제1스트레이너(151)의 어느 한쪽으로 쏠려 어느 일부분에만 많이 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순환펌프(400)는 귀금속이 함유된 액상 폐액을 원액탱크(300)로부터 유입시켜 상기 귀금속회수통(100)을 경유하여 다시 원액탱크(300)로 순환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배관(200)은 상기 귀금속회수통(100)의 상측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트레이너(151)의 측면 중앙부로 공기를 공급하며 제3체크밸브(210)가 장착된다.
상기 공기배관(200)은 순환펌프(400)의 정지로 귀금속회수통(100) 내부로의 폐액의 유입이 정지하였을 경우 상기 배출관(150)을 통해 폐액이 배출되므로 귀금속회수통(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상기 공기배관(200)에 장착된 제3체크밸브(210)가 열려 상대적으로 귀금속회수통(100)의 내부보다 압력이 높은 외부의 공기가 강하게 유입되면서 제1스트레이너(151) 외주면에 겹겹히 쌓이게 되는 이온교환수지를 흩어지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순환펌프(400)가 다시 작동하게 되면 폐액이 유입됨으로써 귀금속회수통(10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제3체크밸브(210)는 닫히게 되므로 외부의 공기는 더 이상 유입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귀금속회수통(100)의 내측으로 인입된 공기배관(200)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관통된 관통공(220)이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공급관(120)에는 폐액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각각 제1밸브(610) 및 제1체크밸브(611)가 장착되고 상기 제2공급관(121)에는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2밸브(620) 및 제2체크밸브(621)가 장착된다.
상기 제1밸브(610) 및 제2밸브(620)는 원액탱크(300)로부터 유입되는 폐액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제1체크밸브(611) 및 제2체크밸브(621)의 구성은 만약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기 제1공급관(120) 및 제2공급관(121)을 통한 폐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1체크밸브(611) 및 제2체크밸브(621)는 쓰리웨이 밸브(The three- way valve)나 솔레노이드 밸브(The solenoid valve)에 비해 저가이므로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귀금속 회수기의 제작에는 비용이 저렴하게 드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배관부재(500)는 상기 귀금속회수통(100) 및 원액탱크(300)를 연결하며 상기 제1밸브(610) 및 제2밸브(620)에 연결된다.
또한 원통 형상의 투명한 고분자 재질로서 상기 순환펌프(400)와 상기 제1,2공급관(120,121) 사이의 배관부재(500)에 형성되고 내측에 제2스트레이너(710)가 구비된 역류방지통(700)이 장착된다.
상기 역류방지통(700)은 역류를 방지하는 제1체크밸브(611) 및 제2체크밸브(621)가 구비되었더라도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제2의 역류방지 장치로서 내부에 제2스트레이너(710)가 구비되어 있어 이온교환수지가 역류방지통(700) 내부에서 걸러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액탱크(300)와 상기 순환펌프(400) 사이에는 타이머(800)가 설치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순환펌프(400)를 자동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게 된다.
귀금속회수통(100)의 크기 및 내부에 충전된 이온교환수지의 양에 따라 타이머의 작동 및 정지시간이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30분에서 1시간 동안 작동 후 스트레이너에 겹겹이 쌓인 이온교환수지를 침강시키기 위하여 2분간 정지 후 다시 작동시킨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귀금속회수통(100) 내부의 스트레이너(151)의 하측으로 폐액이 채워져 있고 그 폐액 중에 이온교환수지가 침강되어 층층이 쌓여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의 작동이 막 시작된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3을 참고하면 제1밸브(610) 및 제2밸브(620)를 개방하고 순환펌프(400)를 작동하면 제1체크밸브(611)와 제2체크밸브(621)가 열리면서 귀금속이 함유된 원액이 제1공급관(120) 및 제2공급관(121)을 통해서 유입된다. 상기 제1공급관(120)을 통해서 유입된 폐액은 폐액공급관(130)의 관통로(131)를 통해서 공급되고 상기 관통로(131)를 통해서 공급되는 폐액은 충돌판(132)에 부딪혀 분사구(133)를 통해 귀금속회수통(100) 내부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귀금속회수통(100)의 내부에서 순환된다. 또한 상기 제2공급관(121)을 통해서 유입된 폐액은 보조공급관(140)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폐액은 상기 보조공급관(140)에 형성된 통공(141)을 통해서 귀금속회수통(100) 내부의 하측 모서리 쪽으로 배출되면서 이동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의 작동이 활발히 진행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4를 참고하면 유동회수기의 작동이 활발히 진행중인 상태로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구(133)를 통해 분사된 이온교환수지(1)는 귀금속회수통(100)의 내측 벽에 부딪혀 하측으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제1공급관(120)을 통해서 유입된 폐액이 폐액공급관(130) 내부로 강하게 분사됨으로 인해 상기 하측으로 이동된 이온교환수지는 다시 상기 폐액공급관(130)의 저면으로 빨려들어가면서 다시 폐액공급관(130)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다시 충돌판(132)에 부딪혀 분사구(133)를 통해 분사되어 귀금속회수통(100)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순환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폐액공급관(130)의 분사구(133)를 통해서 분사된 폐액 중에 함유된 귀금속 이온은 이온교환수지(1)에 흡착되고 흡착이 완료된 폐액은 상기 제1스트레이너(151)가 장착된 배출관(150)을 통해서 배출되는데 이때 이온교환수지(1)의 일부는 상기 제1스트레이너(151)의 외주면에 쌓이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의 작동을 멈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타이머(800)에 설정한 시간이 되면 타이머(800)에 의해 순환펌프(400)는 작동을 멈추게 되고 이때 순환펌프(400)가 작동을 멈추게 되므로 제1체크밸브(611) 및 제2체크밸브(621)가 닫혀 폐액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러면 상기 배출관(150)을 통해 폐액이 빠져나가게 되므로 귀금속회수통(100)의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 상기 공기배관(200)에 장착된 제3체크밸브(210)가 열리면서 공기(2)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에 의해 제1스트레이너(151)의 외주면에 겹겹이 쌓인 이온교환수지(1)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해 깨지면서 귀금속회수통(100) 내부의 하측으로 침강하게 된다.
약 2분간의 정지 후 다시 타이머(800)의 명령에 의해 순환펌프(400)가 작동하면서 도 2에서와 같이 유동회수기의 작동이 막 시작된 때의 상태를 보이게 되며, 폐액은 계속 원액탱크(300)와 귀금속회수통(100)을 순환하면서 이온교환수지(1)에 흡착을 하게 된다.
1 : 이온수지(이온교환수지) 2 : 공기
10 : 고정부재 11 : 헤드
12 : 몸체 20 : 체결구
21 : 볼트 22 : 너트
30, 110 : 상부캡 31, 111 : 하부캡
35 : 공급배출관 40 : 스트레이너
50, 100 : 귀금속회수통 60, 300 : 원액탱크
70, 400 : 순환펌프 80, 500 : 배관부재
81 : 밸브 120 : 제1공급관
121 : 제2공급관 130 : 폐액공급관
131 : 관통로 132 : 충돌판
133 : 분사구 140 : 보조공급관
141 : 통공 150 : 배출관
151 : 제1스트레이너 200 : 공기배관
210 : 제3체크밸브 220 : 관통공
610 : 제1밸브 611 : 제1체크밸브
620 : 제2밸브 621 : 제2체크밸브
700 : 역류방지통 710 : 제2스트레이너
800 : 타이머

Claims (2)

  1. 내부에 귀금속을 흡착할 수 있는 이온교환수지(1)가 충전되고, 상, 하부에 각각 상부캡(110) 및 하부캡(111)이 체결되며, 상기 하부캡(111)을 관통하여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이 유입되는 제1공급관(120) 및 제2공급관(121)과, 원통 형상으로서 내측은 관통로(131)가 형성되고 일측 저면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내부로는 상기 제1공급관(120)으로부터 유입되는 폐액이 공급되며 타측 말단부 평면에는 충돌판(132)이 형성되고 상기 충돌판(132) 하측 측방으로는 개방된 다수의 분사구(133)가 형성된 폐액공급관(130)과, 내부가 관통된 원형 형상으로서 상기 제2공급관(121)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외부로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41)이 형성되어 귀금속이 함유된 폐액이 여러 방향으로 공급되는 보조공급관(140)과, 일측단에 제1스트레이너(Strainer) (151)가 장착되어 상기 충돌판(132)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충돌판(132)의 측방에서 수직 절곡되며 타측이 상기 하부캡(111)을 관통하여 폐액이 배출되는 배출관(150)으로 구성되는 귀금속회수통(100);과,
    상기 귀금속회수통(100)의 상측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스트레이너(151)의 측면 중앙부로 공기가 공급되며 제3체크밸브(210)가 장착된 공기배관(200);과,
    귀금속이 함유된 액상 폐액을 원액탱크(300);로부터 유입시켜 상기 귀금속회수통(100)을 경유하여 다시 원액탱크(300)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400);와,
    상기 귀금속회수통(100) 및 원액탱크(300)를 연결하는 배관부재(500);와,
    상기 제1공급관(120)에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밸브(610) 및 제1체크밸브(611)와, 상기 제2공급관(121)에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2밸브(620) 및 제2체크밸브(621)와,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순환펌프(400)와 상기 제1,2공급관(120,121) 사이의 배관부재(500)에 형성되고 내측에 제2스트레이너(710)가 장착된 역류방지통(700);과,
    상기 원액탱크(300)와 상기 순환펌프(400) 사이에 설치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순환펌프(400)를 자동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는 타이머(8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금속회수통(100)의 내측으로 인입된 공기배관(200)의 외주면에 내부로 관통되는 관통공(220)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
KR2020140004223U 2014-06-03 2014-06-03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 KR200474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23U KR200474133Y1 (ko) 2014-06-03 2014-06-03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23U KR200474133Y1 (ko) 2014-06-03 2014-06-03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133Y1 true KR200474133Y1 (ko) 2014-09-23

Family

ID=5200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23U KR200474133Y1 (ko) 2014-06-03 2014-06-03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1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296B1 (ko) 2018-08-17 2019-10-22 주식회사 엔코 금 흡착 이온교환수지로부터 금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559A (ja) 2002-10-17 2004-05-13 Nikkiso Co Ltd 貴金属回収方法
KR200436956Y1 (ko) 2007-07-02 2007-10-24 고병산 공기공급형 금회수장치
KR200443784Y1 (ko) 2007-06-29 2009-03-11 신동만 멸균수단이 구비된 귀금속회수장치
KR101190999B1 (ko) 2012-04-10 2012-10-16 고동진 광촉매와 자외선 살균램프 및 공기공급기가 장착된 귀금속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559A (ja) 2002-10-17 2004-05-13 Nikkiso Co Ltd 貴金属回収方法
KR200443784Y1 (ko) 2007-06-29 2009-03-11 신동만 멸균수단이 구비된 귀금속회수장치
KR200436956Y1 (ko) 2007-07-02 2007-10-24 고병산 공기공급형 금회수장치
KR101190999B1 (ko) 2012-04-10 2012-10-16 고동진 광촉매와 자외선 살균램프 및 공기공급기가 장착된 귀금속 회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296B1 (ko) 2018-08-17 2019-10-22 주식회사 엔코 금 흡착 이온교환수지로부터 금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76621A (zh) 一种水法矿粉除杂设备
CN104404253B (zh) 带多层立管过滤装置的铀水冶离子交换塔
KR200474133Y1 (ko) 귀금속 이온교환수지 유동회수기
CN203694673U (zh) 体外循环清洗滤料的核桃壳过滤器
CN208757102U (zh) 一种可自动排渣的旋转式废水过滤装置
KR101436861B1 (ko) 귀금속 회수용 이온수지탑
CN104609628A (zh) 一种基于雾状喷头的工业废水处理装置及方法
CN205868538U (zh) 一种水法矿粉除杂设备
KR101736168B1 (ko) 맥동공급장치를 구비한 맥동탑
CN206040599U (zh) 一种轴向二极管酸洗装置
KR100789786B1 (ko) 금회수장치
KR100723988B1 (ko) 산업용 금의 회수방법 및 그 장치
CN115445260A (zh) 一种海水净化用多介质过滤器
CN211025720U (zh) 喷淋塔自动换水装置
JP2015112506A (ja) 洗浄装置
CN209735087U (zh) 一种环保型压力桶用杂质排放装置
CN207713488U (zh) 一种带进水过滤装置的潜水曝气机
KR200436956Y1 (ko) 공기공급형 금회수장치
KR20120104918A (ko) 마이크로/나노 버블을 이용한 부상조 및 수처리장치
KR101071501B1 (ko) 유해가스 다단 정화장치
KR100854563B1 (ko)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CN220745469U (zh) 一种处理危险废物渗滤液的柱形吸附装置
JP3970472B2 (ja) 汚水槽用スカム除去装置
CN205109389U (zh) 一种具有浆液喷淋功能的中空脱硫塔
CN212925132U (zh) 一种新型活性炭吸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