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959Y1 -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 Google Patents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959Y1
KR200473959Y1 KR2020140001317U KR20140001317U KR200473959Y1 KR 200473959 Y1 KR200473959 Y1 KR 200473959Y1 KR 2020140001317 U KR2020140001317 U KR 2020140001317U KR 20140001317 U KR20140001317 U KR 20140001317U KR 200473959 Y1 KR200473959 Y1 KR 200473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closing lid
towe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범
Original Assignee
손정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범 filed Critical 손정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959Y1/ko
Priority to CN201420761490.2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4363874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47K10/025Holder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때밀이 수건의 사이즈나 종류에 관계없이 때밀이 보조용구와 때밀이 수건 사이의 공간을 제거하고 상호 밀접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때를 미는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손이 잘 닿지 않는 등 부분도 힘들이지 않고 혼자서 때를 밀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측부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부(16)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20)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덮개의 연결측 단부(26)가 상기 본체의 제1단부(17) 측에 굽힘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핀으로 축설되어 회동시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폐덮개의 개방부 폐쇄 위치시 개폐덮개의 자유측 단부(23)와 상기 본체의 제2단부(18) 사이에 틈(4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가 때밀이 수건에 감싸진 상태에서 때밀이 수건의 잔여부가 상기 틈을 통해 중공부로 내입 가능하게 된 것이 특징인 때밀이 보조용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SUPPORTING TOOL FOR BATH TOWEL}
본 고안은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때를 미는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손이 잘 닿지 않는 등 부분도 힘들이지 않고 혼자서 때를 밀 수 있도록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때밀이 수건은 몸의 때를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포켓 형태로 두 겹으로 된 때밀이 수건의 경우 수건의 내입공간 속에 손을 집어넣어 때를 밀면, 손가락, 팔, 어깨 부위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4-0086076호(특허문헌 1)에서는 두 겹으로 된 때밀이 수건 속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때밀이 용구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대(2)의 외피에 돌출된 돌기(3)와 공간부(1)를 구성한 때밀이 용구를 제안한 바 있으며, 이는 두 겹으로 된 때밀이 수건 사이에 때밀이 용구를 삽입한 상태에서, 때밀이 수건 바깥쪽에서 용구를 손으로 잡으면 때밀이 용구가 손잡이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손잡이대 반대 아래 방향은 때밀이 수건과 피부의 마찰면이 되어, 힘들이지 않고 쉽게 때를 밀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때밀이 용구는 손이 닿지 않는 등 부분에는 사용할 수 없고, 또한 때밀이 수건의 사이즈가 큰 것을 사용하는 경우, 즉 때밀이 수건 내면의 원주 길이가 때밀이 용구 외면의 원주 길이보다 큰 것을 사용하는 경우, 수건의 내입 공간 내측으로 때밀이 용구를 넣었을 때 수건의 잔여 부분이 형성되므로 손으로 잡는 것이 불편하고 위치에 제한이 따르며 잔여부분을 피해서 때를 밀어야 하므로 때밀이 수건의 전체 면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효율성이 저하된다.
더욱이 때밀이 용구의 외면과 때밀이 수건의 내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호 밀접하지 않게 되므로 때밀이 수건이 쉽게 벗겨질 수 있고 피부에 효과적인 마찰이 어려워서 때를 미는 작업이 불편하고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4-0086076호 공개특허공보(2004.10.8 공개)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때밀이 수건의 사이즈나 종류에 관계없이 때밀이 보조용구와 때밀이 수건 사이의 공간을 제거하고 상호 밀접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때를 미는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손이 잘 닿지 않는 등 부분도 힘들이지 않고 혼자서 때를 밀 수 있도록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측부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덮개의 연결측 단부가 상기 본체의 제1단부 측에 굽힘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핀(예시한 것과 같이 힌지핀 또는 축핀)으로 축설되어 회동시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폐덮개의 개방부 폐쇄 위치시 개폐덮개의 자유측 단부와 상기 본체의 제2단부 사이에 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가 때밀이 수건에 감싸진 상태에서 때밀이 수건의 잔여부가 상기 틈을 통해 중공부로 내입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때밀이 수건을 보조용구 외면에 감싼 후 잔여 부분을 보조용구 내측 중공부에 집어넣을 수 있으므로 때밀이 수건의 사이즈나 규격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때밀이 수건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때밀이 수건과 보조용구를 상호 밀접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때밀이 수건의 전체 면을 이용하여 때를 밀 수 있어서 효율적일 뿐 아니라 피부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있으므로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며 효과적으로 때를 밀 수 있다.
게다가 길이가 긴 때밀이 수건을 이용하는 경우 때밀이 수건의 양쪽 끝에 손잡이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손이 잘 닿지 않는 등 부분까지 혼자서 쉽고 효과적으로 때를 밀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사시도로서 개폐덮개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사시도로서 개폐덮개를 연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단면도로서 개폐덮개를 연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조립 사시도로서 개폐덮개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조립 사시도로서 개폐덮개를 연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단면도로서 개폐덮개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구가 포켓형 때밀이 수건의 내입 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구가 포켓형 때밀이 수건에 밀착된 상태에서 잔여부가 중공부에 내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구가 장형 때밀이 수건에 감싸져서 양쪽 끝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구가 장형 때밀이 수건에 감싸진 동시에 손잡이부가 중공부에 내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특허문헌 1의 때밀이 용구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사시도로서 도 1은 개폐덮개를 닫은 상태를, 도 2는 개폐덮개를 연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단면도로서 개폐덮개를 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는 크게 본체(10), 개폐덮개(20) 및 상기 본체(10)와 개폐덮개(20)를 상호 연결하는 힌지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일정한 두께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중공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는 도시한 것과 같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중공부(11)가 외부와 연통하게 된다.
또한, 본체(10)에서 길이방향의 측부 일부분은 절개되고 절개된 일측 제1단부(17)와 타측 제2단부(18) 사이에 개방부(16)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18)를 개폐하기 위해 개폐덮개(20)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덮개(20)는 일정한 두께와 일정한 길이[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를 가진 것으로, 상기 개폐덮개(20)의 연결측 단부(26)가 상기 본체(10)의 개방부(16)의 일측 변인 제1단부(17)에 힌지핀(3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개폐덮개(20)가 힌지핀(30)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핀(30)에 의한 연결 구조는, 상기 본체(10)의 개방부(16)에서 제1단부(17)에 상기 힌지핀(30)이 관통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된 힌지 돌출부(12)가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개폐덮개(20)의 연결측 단부(26)에도 상기 힌지핀(30)이 관통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된 힌지 돌출부(21)가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며, 이때 상기 개폐덮개(20)의 힌지 돌출부(21)는 상기 본체(10)의 각 힌지 돌출부(12) 사이에 마련된 힌지 함몰부(13)에 끼워질 수 있다.
물론, 도시한 예와 달리 상기 각 힌지 돌출부(12)(21)는 본체(10) 및 개폐덮개(20) 전체 길이 방향에 대해 절반씩만 돌출될 수 있다. 즉, 본체(10)의 힌지 돌출부(12)는 상부에, 개폐덮개(20)의 힌지 돌출부(21)는 하부에 1개씩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핀(30)을 매개로 한 본체(10) 및 개폐덮개(20)의 회동 연결 구조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한편, 상기 개폐덮개(2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개방부(16)를 폐쇄했을 때(도 1의 상태), 상기 개폐덮개(20)의 자유측 단부(23)와 상기 본체(10)의 제2단부(18) 사이에는 때밀이 수건(50)(도 9 참조)을 끼울 수 있는 틈(40)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도 9 및 도 12에 관한 설명에서 구체화될 것이다.
상기 틈(40)에 끼워진 때밀이 수건(50)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개방부(16)에서 제2단부(18)에는 상기 중공부(11) 측으로 내입된 요홈(14)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덮개(20)의 자유측 단부(23)에는 상기 요홈(14)으로 내입되는 융기부(22)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틈(40)은 상기 요홈(14)과 융기부(22) 사이에 형성되어 때밀이 수건(50)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그만큼 때밀이 수건(50)을 견고하게 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홈(14)과 상기 융기부(22)는 본 고안에 있어서 선택적인 요소이며, 만약 요홈(14)과 융기부(22)를 설치하지 않는다면, 상기 틈(40)은 본체(10)의 제2단부(18) 측과 개폐덮개(20)의 자유측 단부(23) 측의 고유 두께만큼만 형성될 것이며, 이 경우에도 때밀이 수건(50)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 범주에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조립 사시도로서 도 5는 개폐덮개를 닫은 상태를, 도 6은 개폐덮개를 연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단면도로서 개폐덮개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는 크게 본체(10) 및 개폐덮개(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힌지핀(30)이 배제되어 부품수를 감소시켰다는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측부 일부가 절개되고, 절개된 제1단부(17) 및 제2단부(18) 사이에 개방부(16)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본체(10)는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사각형 등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그 단면 형태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상기 제2단부(18)로부터 본체(10)의 둘레 방향으로 홈이 일정 길이 연장된 가이드 홈(19)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19)은 도시한 것과 같이 2개가 한 쌍을 이룰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가운데에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홈(19)의 측벽에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힌지홀(19')이 천공되며, 상기 힌지홀(19')은 한 쌍이 각각 가이드 홈(19)의 양쪽 측벽에서 서로 마주보게 천공될 수 있고, 또는 가이드 홈(19)의 어느 한쪽 측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개폐덮개(20)는 상기 본체(10)의 개방부(16)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개방부(16)의 폭 및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 및 폭을 가진다.
이때 상기 본체(10)가 원통형 또는 타원형일 경우 상기 개폐덮개(20)는 상기 본체(10)의 주연과 동일한 원주율을 가진 호형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하면 개폐덮개(20)가 본체(10)의 개방부(16)를 폐쇄했을 때 본체(10) 및 개폐덮개(20)가 전체적으로 원통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 개폐덮개(20)의 연결측 단부(26)로부터 본체(10)의 둘레 방향으로 프레임(24)이 일정 길이 연장되는데, 상기 프레임(24)은 상기 본체(10)의 가이드홈(19)의 갯수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도시한 것과 같이 2개가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24)의 측벽에는 상기 본체(10)의 힌지홀(19')에 삽입되기 위한 축핀(25)이 돌출되며, 상기 축핀(25)은 도시한 예와 같이 상기 프레임(24)의 양측 외벽면에서 한 쌍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프레임(24)의 어느 한 쪽 측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축핀(25)이 상기 본체(10)의 힌지홀(19')에 내입되는 구조를 통해 상기 개폐덮개(20)의 연결측 단부(26)가 상기 개방부(16)의 제1단부(17) 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설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개폐덮개(20)가 축핀(25)과 힌지홀(19')을 축으로 하여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개방부(16)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4)의 폭과 높이가 상기 가이드홈(19)의 폭과 깊이에 각각 대응하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24)이 상기 가이드홈(19)에 내입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개폐덮개(20)가 개방부(16)를 폐쇄했을 때 상기 프레임(24) 및 본체(10)의 각 외면이 매끄럽게 연결되도록[즉, 어느 한 쪽이 돌출되어 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곡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덮개(20)가 개방부(16)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폐덮개(20)의 자유측 단부(23)와 상기 개방부(16)의 제2단부(18) 사이에 틈(40)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기능 및 작용 역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한 설명을 통해 구체화될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횡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개폐덮개(20)가 본체(10)에 대하여 힌지핀(30)을 매개로 연결되거나 힌지핀(30) 없이 개폐덮개(20)에 마련된 축핀(25)으로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상기 본체(10)와 개폐덮개(20)의 각 연결부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한 힌지 연결부(10')를 통해 연결된 것을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제1단부(17)와 개폐덮개(20)의 연결측 단부(26)는 상호 일체로 연결되고, 이때 각 연결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힌지 연결부(10')를 기점으로 굽히면 개폐덮개(20)가 회동하여 본체(10)의 개방부(16)를 개폐할 수 있다.
두께를 얇게 한 힌지 연결부(10')에 의한 연결 구조는 상기 본체(10)와 개폐덮개(20)를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하는 경우에 적합하고, 더욱이 한 벌의 사출 금형에서 본체(10)와 개폐덮개(20)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립공정과 부품 수의 감소로 생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구(제1실시예로 도시)가 포켓형 때밀이 수건의 내입 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구(제1실시예로 도시)가 포켓형 때밀이 수건에 밀착된 상태에서 잔여부가 중공부에 내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2겹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가장자리게 개방된 포켓형 때밀이 수건(50)을 사용하는 경우, 때밀이 수건(50)의 내입 공간(51)으로 본 고안의 보조용구를 집어넣는다. 이때 포켓형 때밀이 수건(50) 내부의 원주 길이는 보조용구의 외면 원주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보조용구를 때밀이 수건(50)의 내부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민 상태에서 개폐덮개(20)를 열고 때밀이 수건(50)의 잔여부(52)를 상기 틈(40)을 통해 중공부(11)로 집어넣은 후 개폐덮개(20)를 닫는다.
이와 같이 하면, 때밀이 수건(50) 중 잔여부(5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내면이 본체(10) 및 개폐덮개(20)의 외면에 밀착되므로 이 상태에서 손으로 어느 한 부분을 잡고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한 때밀이 수건(50)을 이용하여 때를 밀 수 있는데, 이 경우 그립(grip)이 용이하여 힘을 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때를 밀 수 있을 뿐 아니라, 잔여부(52)가 중공부(11)에 내입되어 있어서 보조용구 외면 전체에 때밀이 수건(50)이 밀접하게 형성되므로 보조용구를 돌려가면서 전체 면으로 때를 밀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구가 장형 때밀이 수건에 감싸져서 양쪽 끝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용구가 장형 때밀이 수건에 감싸진 동시에 손잡이부가 중공부에 내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긴 형태의 때밀이 수건(50)을 사용하는 경우 때밀이 수건(50)의 중간 부분으로 보조용구를 감싼 다음, 앞서 도 10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이 감싸고 남은 잔여부(52)를 틈(40)을 통해 중공부(11)로 밀어넣으면, 장형 때밀이 수건(50)의 중간 부분이 보조용구의 외면에 밀접하게 되고 나머지 양쪽 부분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양손으로 양쪽 손잡이부(53)를 각각 잡은 상태에서 보조용구가 내입된 부분으로 손이 잘 닿지 않는 등 부분의 때를 밀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도 12와 같이 장형 때밀이 수건(50)에서 양쪽 손잡이 부분(53)을 각각 중공부(11)로 밀어넣으면 도 11의 상태와 같이 보조용구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때밀이 수건(50)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a)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외면을 비롯하여 (b)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용구의 외면에 복수 개의 돌기(15)가 외향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기(15) 부분으로 때를 밀 수 있게 되어 국부적인 지압 효과와 함께 때를 밀 수 있다. 물론 상기 돌기(15)는 본체(10)와 개폐덮개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거나 양쪽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15)는 측면 관측시 가운데 부분이 상측 및 하측보다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예시한 것과 같이 본체(10)의 가운데 부분을 볼록하게 하고 각 돌기(15)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거나, 혹은 제1실시예(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10)와 개폐덮개(20)의 전체 길이에 대해 외경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돌기(15)의 높이를 더 높게 하는 것으로도 도 14와 같은 형태의 돌기(15)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굴곡이 있는 등의 중앙 부분도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때를 밀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 돌기(15)의 끝단 중앙에 홈 또는 요철을 형성하면 돌기(15) 끝 부분의 홈이나 요철에 의해서 피부와의 마찰력이 커지므로 더 효과적으로 때를 밀 수 있다.
이상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본체 11... 중공부
12... 힌지돌출부 13... 힌지함몰부
14... 요홈 15... 돌기
16... 개방부 17... 제1단부
18... 제2단부 19... 가이드홈
19'... 힌지홀
20... 개폐덮개 21... 힌지돌출부
22... 융기부 23... 자유측 단부
24... 프레임 25... 축핀
26... 연결측 단부
30... 힌지핀 40... 틈
50... 때밀이 수건 51... 내입공간
52... 잔여부 53... 손잡이부

Claims (11)

  1. 일정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측부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덮개의 연결측 단부가 상기 본체의 제1단부 측에 굽힘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핀으로 축설되어 회동시 상기 개폐덮개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폐덮개의 개방부 폐쇄 위치시 개폐덮개의 자유측 단부와 상기 본체의 제2단부 사이에 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가 때밀이 수건에 감싸진 상태에서 때밀이 수건의 잔여부가 상기 틈을 통해 중공부로 내입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이고, 상기 개폐덮개는 상기 본체의 주연과 동일한 원주율로서 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개폐덮개가 일체로 성형되되, 본체의 제1단부 및 개폐덮개의 연결측 단부의 연결부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서 된 힌지 연결부로 상호 굽힘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개폐덮개는 서로 분리되어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본체의 제1단부와 상기 개폐덮개의 연결측 단부에 각각 상기 힌지핀이 관통하도록 구멍이 형성된 힌지 돌출부가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2단부에 상기 중공부 측으로 내입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덮개의 자유측 단부에 상기 요홈으로 내입되는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틈은 상기 요홈과 융기부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개폐덮개는 서로 분리되되,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제2단부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가이드 홈이 하나 또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측벽에 힌지홀이 천공되며, 상기 개폐덮개의 연결측 단부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프레임이 하나 또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측벽에 축핀이 돌출되어 상기 축핀이 상기 힌지홀에 내입되어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에 내입 가능하게 되고, 개폐덮개의 개방부 폐쇄 위치시 상기 프레임 및 본체의 각 외면이 매끄럽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은 상기 가이드홈의 양쪽 측벽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축핀은 상기 프레임의 양쪽 측벽에서 한 쌍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개패덮개의 외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외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는 본체의 측면 관측시 가운데 부분이 상측 및 하측보다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끝단에 홈 또는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KR2020140001317U 2013-12-09 2014-02-21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KR200473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20761490.2U CN204363874U (zh) 2013-12-09 2014-12-04 搓澡巾的辅助工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151 2013-12-09
KR20130010151 2013-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959Y1 true KR200473959Y1 (ko) 2014-08-19

Family

ID=5198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317U KR200473959Y1 (ko) 2013-12-09 2014-02-21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3959Y1 (ko)
CN (1) CN20436387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452B1 (ko) * 2005-08-31 2007-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파우더 슬러쉬 몰딩에 의한 표피재의 성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99Y1 (ko) * 1986-11-04 1990-03-05 이은일 때 밀이기
KR920002813Y1 (ko) * 1990-02-27 1992-05-01 이봉우 때밀이기
KR920003823Y1 (ko) * 1990-07-28 1992-06-12 차영대 목욕용 때밀이 기구
KR200154621Y1 (ko) 1996-04-01 1999-08-16 유효용 휴대용 자동 때밀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699Y1 (ko) * 1986-11-04 1990-03-05 이은일 때 밀이기
KR920002813Y1 (ko) * 1990-02-27 1992-05-01 이봉우 때밀이기
KR920003823Y1 (ko) * 1990-07-28 1992-06-12 차영대 목욕용 때밀이 기구
KR200154621Y1 (ko) 1996-04-01 1999-08-16 유효용 휴대용 자동 때밀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452B1 (ko) * 2005-08-31 2007-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파우더 슬러쉬 몰딩에 의한 표피재의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363874U (zh)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02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US9186282B2 (en) Tampon applicator
KR102634142B1 (ko)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080006393U (ko) 세척용 브러시
KR200473959Y1 (ko) 때밀이 수건의 보조용구
US8555512B2 (en) Handle of tool
JP5258235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30070463A (ko)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JP5215499B1 (ja) ダブルクリップ
KR200461800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JP5719061B1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用の取出口蓋
KR100958526B1 (ko) 골프크럽용 헤드커버
JP5828411B2 (ja) 孫の手
KR200490811Y1 (ko) 각질제거 겸용 목욕타월 고정구
JP3130744U (ja) 箸の補助具
JP2020075058A (ja) 清掃具用柄、上記清掃具用柄を備えている清掃具、及び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
KR200331121Y1 (ko) 포장백용 손잡이
JP3175584U (ja) 多機能ワイヤーストリッパー
JP3931522B2 (ja) 蓋構造
RU104832U1 (ru) Съемная ручка-футляр для переноски клади
KR200485510Y1 (ko) 손잡이를 구비한 뚜껑
CN204119971U (zh) 夹层式的宠物排泄物承接构造
KR102523666B1 (ko) 약액 공급이 가능한 빗
JP2014065512A (ja) 収納容器
JPH0531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