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800Y1 -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800Y1
KR200461800Y1 KR2020110010117U KR20110010117U KR200461800Y1 KR 200461800 Y1 KR200461800 Y1 KR 200461800Y1 KR 2020110010117 U KR2020110010117 U KR 2020110010117U KR 20110010117 U KR20110010117 U KR 20110010117U KR 200461800 Y1 KR200461800 Y1 KR 200461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handle
present
portable termin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2020110010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8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단말기의 배면에 설치한 띠(벨트)형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단말기 배면(1)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구조는 상기 배면에 11자 모양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고정홀(3, 3')과, 상기 고정홀에 양단(51,51')이 삽입 고정된 벨트형 손잡이(5)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형 손잡이(5)는 고정부(51)와 접힘부(55) 그리고 양쪽 접힘부에서 연장되어 이어지는 신체접촉부(53)로 형성되고, 상기 신체접촉부의 형상은 중앙의 폭이 좁고 양쪽 접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만곡형이며, 상기 접힘부(55)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접힘부 안쪽면에 실리콘층(57)을 압착 형성하되, 상기 실리콘층은 고정홀(3,3') 안쪽의 홀턱(33)을 감싸도록 연장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STRAP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한 띠(벨트)형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이른바 스마트 폰은 배터리와 메모리 등의 성능발달로 경량화되면서 휴대가 용이함에 따라 점차 더 넓은 화면의 휴대용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 넓어짐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기기의 폭이 넓어질 수밖에 없어 손이 작은 사용자들에게는 한 손만으로 기기를 쥐고 조작하기가 어려워져 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기기의 두께 등 외형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손이 작은 사용자들도 한 손만으로 기기를 쉽게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폰 배면에 띠형(벨트형) 손잡이를 부착하되, 보다 편리한 구조로 형성하여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JP2006-279907 A
JP2002-199070 A
KR2002-30258 Y1
KR10-2011-0016618 A
KR10-2011-0038007 A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단말기 특히 스마트폰에 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뒷덮개 자체에 손잡이가 장착된 구조 또는 별도의 커버에 손잡이를 장착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손잡이를 제공하되, 손잡이의 구조가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용단말기 배면(1)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구조는 단말기 배면 뚜껑에 11자 모양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고정홀(3, 3')과, 상기 고정홀에 벨트의 양단(51,51')이 삽입 고정된 벨트형 손잡이(5)로 구성된다.
상기 벨트형 손잡이(5)는 고정부(51)와 접힘부(55) 그리고 양쪽 접힘부에서 연장되어 이어지는 신체접촉부(53)로 형성되는데, 상기 신체접촉부의 형상을 중앙의 폭이 좁고 양쪽 접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만곡형으로 제작하면 꼬임이 방지되고 사용시 손가락이 쉽게 삽입되어 단말기의 파지가 용이하다.
상기 접힘부(55)는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접힘부 안쪽면에 실리콘층(57)을 압착 형성하되, 상기 실리콘층을 고정홀(3,3') 안쪽 턱(33)을 감싸도록 연장하면, 탄성이 좋아지고 접힘부가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힘부(55)와 고정부(51,51')는 그 두께가 신체접촉부(53)의 3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의 고정부인 벨트 양단의 두께는 배면 안쪽에 위치하는 내부부품(보호커버일 경우에는 케이스 뒷 표면) 사이의 공간을 고려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벨트형 손잡이의 고정부(51,51')는 각각 고정홀(3,3')에 삽입되어 단말기배면 안쪽면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홀(3,3')은 홀턱(33)이 상기 손잡이의 고정부인 벨트의 양단(51,51')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라운딩 처리되고, 휴대용단말기의 폭방향(짧은 변)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벨트형 손잡이(5)가 휴대용단말기의 길이방향(긴 변)으로 장착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1)은 휴대용단말기 자체의 뒷 뚜껑 또는 휴대용단말기에 추가로 장착하는 보호커버의 배면이나 별도로 덧대는 장착판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 의해 휴대용단말기 특히 스마트폰에 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말기의 뒷 덮개 자체에 손잡이가 장착된 구조 또는 별도의 보호커버에 장착된 손잡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편리한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손잡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 폰과 손잡이 벨트 사이로 중지를 끼워 넣고 검지와 약지로 외부를 살며시 누르면서 손가락을 기기 쪽으로 약간 오므리면, 손바닥이나 엄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손가락 1개~3개 만으로 기기가 손에 고정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같은 효과는 종전에는 기기의 측면을 손바닥과 나머지 손가락으로 잡고 엄지로써 화면 터치하였지만, 본 고안의 경우 손가락 끝을 벨트에 끼우는 것만으로 기기를 잡을 수 있게 되어 엄지의 사용범위가 넓고 자유로워지고, 기기를 떨어뜨려 파손될 위험도 현저히 줄어든다.
따라서, 손이 작은 사용자는 물론, 화면 넓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PC도 누구나 한 손만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말기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말기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도
도 3은 도 2의 가-가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단말기 커버의 안쪽 사시도
도 5는 벨트형 손잡이의 또 다른 실시예들의 단면도
도 6은 고정홀의 또 다른 실시예의 표면도(가)와 이면도(나)
도 7은 별도의 장착판을 사용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장착판에 형성된 고정부의 구조도
도 9에서부터 도 12는 여러 가지 유형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 사상을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 '휴대용단말기'는 이른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PMP 등을 총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배면(1)'은 기기 본체 케이스 뒷부분의 덮개면을 지칭하거나 또는 단말기(이하 '기기'라고도 한다) 본체 케이스 뒷부분에 장착되는 보호커버의 표면을 의미한다. 즉,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는 보호커버에 본 고안이 구현된 것이고, 도 9 내지 12는 기기 본체의 배면에 본 고안을 구현한 예이다. 도 7, 8은 상기 배면에 장착판(7)을 이용하여 기기 본체 또는 보호커버의 배면에 구현한 예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 '벨트형 손잡이'는 띠형 외에 이와 유사한 형태의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 "벨트형 손잡이"는 반드시 벨트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에 준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폰의 보호커버에 벨트형 손잡이를 구현한 것의 분해사시도이다. 스마트폰 본체(번호 미부여)의 배면에 결합되는 보호커버 배면(1)(도면상으로는 표면)에 일(一)자형 고정홀(3,3') 2개를 11자 모양으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이 고정홀(3.3')에 벨트형 손잡이의 고정부인 벨트 양단(51,51')을 삽입하여 보호커버 이면(안쪽표면)에 접착고정하였다.(도 3, 도 4)
여기서 접착은 고정의 한 수단에 불과하므로 그밖의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다만, 접착에 의하는 것이 제조단가도 낮고, 공정이 용이하며, 제품의 외형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대신 고정력이 우수하여 다른 방법보다 더 바람직하다.
손잡이(5)(필요에 따라 '벨트'라고도 약칭한다)의 형태는 도 1,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관절에 해당하는 양쪽 접힘부(55)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손잡이는 신체 중 하나의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데, 이렇게 벨트의 양쪽 가장자리가 안쪽 중앙쪽으로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면 경사면을 따라 손가락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유도되고, 폭이 좁은 중앙부가 기기 배면에서 쉽게 벌어져 손가락을 끼우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만곡의 신체접촉부(53)(손가락 끼움부) 형상은 사용시 벨트 안쪽으로 끼워진 손가락의 등과 접촉하는 면적이 좁아 착용감이 좋고, 사용시 필요에 따라 기기의 방향을 전환할 때 저항이 적으며, 벨트의 중앙부가 말리는(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가 조립된 결합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벨트형 손잡이의 장착 위치는 기기의 중앙에 기기의 길이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정중앙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유사한 위치이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도 2의 (가)-(가)의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고정부인 벨트의 양단(51)은 벨트의 신체접촉부(53)에 비해 얇고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부(55)와 고정부(51)는 그 두께가 신체접촉부(53)의 20%~70%이며 바람직하게는 40%정도이다.
이렇게 하면 기기의 내부(또는 기기의 뒷표면)와 덮개 사이의 좁은 공간에 수용되어 기기의 내부부품(또는 기기의 뒷표면)을 압박하지 않고, 접힘부(55)에 유연한 관절기능을 제공하고, 얇은 배면에 접착면을 넓게 하여 사용시 고정홀(3,3')을 통해 전달되는 인장력으로 인한 절단압력을 분산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절에 해당하는 접힘부(55)를 원통형으로 하면 벨트가 기기표면에 쉽게 안착 및 이격될 수 있고, 접힘부 안쪽에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탄성체 층(57)을 형성하면 관절 운동이 원활해져 사용감이 좋아진다.
이와 함께 벨트가 지나는 고정홀의 홀턱(3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인 벨트 양단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라운딩 처리되면 접힘부(55)의 관절작용이 원활해지고, 홀턱의 접촉부에서 오는 벨트의 손상을 지연시킬 수 있다. 미설명부호 31은 바깥쪽 홀턱이며 본 실시예서는 이 부분도 오목하게 처리하였다.
또한, 벨트 재질은 적당한 신축성과 강한 인장력을 가지면서 피부 반응이 좋은 재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같은 재질로는 천연 가죽 또는 질기고 유연한 합성사와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접합재를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
도 5는 벨트형 손잡이(5)가 결합된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이다. 앞서 본 실시예와 다른 점은 고정홀(3,3')의 크기를 더 크게 하여 접힘부(55)가 고정홀 안에 수용되도록 하고, 안쪽 홀턱(33)의 양단에 절개부(36)를 형성함으로서 홀턱을 탄성편(37)으로 형성한 데 있다.
고정홀의 크기를 키운 것은 접힘부(55)의 윗면의 둥근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 벨트(5)에 손가락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손잡이 벨트(5)가 기기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안쪽 홀턱(33)을 탄성편(37)으로 한 것 역시 이같은 역할을 보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탄성편(37)이 손잡이 벨트의 고정부인 벨트의 양단(51,51')을 기기의 표면을 향해 밀착시키고 있다가, 안쪽 홀턱(33)에 보다 큰 힘이 가해질 때에는 탄성편(37)이 위로 휘어지고 힘이 약화되면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도 5의 (가)는 탄성편의 표면과 이면을 경사면으로 한 것이고, (나)는 이면만 경사면으로 한 것이다. 탄성편의 표면 또는/및 이면을 안쪽 홀턱을 향한 경사면으로 하게 되면 이에 맞게 고정부인 벨트 양단(51,51') 역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의 (가)로 도시한 고정홀(3) 및 절개부(36)로써 안쪽 홀턱(33)을 탄성편(37)로 형성한 것의 표면도(가)와 이면도(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탄성편 이면(저면)의 경우에는 안쪽 홀턱 반대편 경사면 끝에 단턱(38)을 형성하였지만 표면에는 단턱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지금까지의 실시예와는 달리 손잡이 벨트(5)를 별도의 장착판(7)을 이용하여 기기의 배면(1)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고정홀(3,3')은 기기본체 또는 보호커버의 배면(1)과 도 8 (나)에 도시된 장착판(7)의 안쪽 홀턱(33) 아래 경사면이 결합되면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판(7)은 손잡이 벨트(2)의 폭보다 약간 크게 제작하였으며 고정부인 손잡이 벨트의 양단이나 홀턱의 형태는 앞서 본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판을 모서리진 판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지 않도록 장착판의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하거나 경사면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개념 위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위에서 보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항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배면 3,3' 고정홀
5 벨트형 손잡이 7 장착판
33 안쪽 홀턱 36 절개부
37 탄성편 38 단턱
51(51') 고정부(벨트 양단) 53 신체접촉부
55 접힘부 57 실리콘층

Claims (1)

  1. 휴대용단말기 배면(1)에 고정되는 벨트형 손잡이(5)로서, 상기 벨트형 손잡이(5)는 중앙의 폭이 좁고 양쪽 고정홀(3,3')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짐으로써 단말기의 배면(1)에 노출되는 벨트의 양변이 만곡형으로 이루어진 신체접촉부(53)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홀 사이의 직선거리보다 길게 형성된 손잡이 벨트가 상기 고정홀 입구에서 접혀지는 접힘부(5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KR2020110010117U 2011-05-06 2011-11-15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KR200461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117U KR200461800Y1 (ko) 2011-05-06 2011-11-15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80 2011-05-06
KR2020110010117U KR200461800Y1 (ko) 2011-05-06 2011-11-15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376U Division KR200464024Y1 (ko) 2011-05-06 2011-09-16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800Y1 true KR200461800Y1 (ko) 2012-08-06

Family

ID=4713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117U KR200461800Y1 (ko) 2011-05-06 2011-11-15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8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7277A (zh) * 2014-08-28 2017-03-22 惠普发展公司, 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带的保护套
KR200491578Y1 (ko) * 2019-05-02 2020-05-07 이원정 모바일 케이스용 스트랩
WO2022231439A1 (en) * 2021-04-30 2022-11-03 Enatel Battery charger hand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907A (ja) * 2005-03-25 2006-10-12 Motoyoshi Fujimori ベルト保持具付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907A (ja) * 2005-03-25 2006-10-12 Motoyoshi Fujimori ベルト保持具付携帯電話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7277A (zh) * 2014-08-28 2017-03-22 惠普发展公司, 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带的保护套
CN106537277B (zh) * 2014-08-28 2019-12-2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带的保护套
KR200491578Y1 (ko) * 2019-05-02 2020-05-07 이원정 모바일 케이스용 스트랩
WO2022231439A1 (en) * 2021-04-30 2022-11-03 Enatel Battery charger h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02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US8737066B1 (en) Gripp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210219641A1 (en) Glove
KR101273260B1 (ko) 핸드폰용 손가락 거치대
KR200461800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GB2373868A (en) Pads for eyeglasses nose pads and temples
US20140159403A1 (en) Grip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KR101588227B1 (ko) 화장용 퍼프
US8555512B2 (en) Handle of tool
US20060180621A1 (en) Ergonomic clip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6047642A3 (en) Multipurpose glove
JP3176133U (ja) 携帯通信端末の保護カバー
CN210670185U (zh) 单手操作装置、自拍杆、手机支架、车载支架和移动电源
JP3184663U (ja) 携帯端末
CN209048386U (zh) 拇指固定器
TWM458769U (zh) 移動類電子設備支撐結構
KR20160114955A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CA2657306C (en) Ergonomic clip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71949Y1 (ko) 휴대전화 케이스
WO2016088514A1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JP2012115472A (ja) 挟み具
JP6201091B1 (ja) 携帯端末保持用カバー
CN105996371A (zh) 一种简易手机套
KR20120087398A (ko) 표지에 끼워서 쓸 수 있는 그립홀더
JP3177462U (ja) 携帯型電子装置の硬質プロテクティブ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