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846Y1 -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846Y1
KR200473846Y1 KR2020140003853U KR20140003853U KR200473846Y1 KR 200473846 Y1 KR200473846 Y1 KR 200473846Y1 KR 2020140003853 U KR2020140003853 U KR 2020140003853U KR 20140003853 U KR20140003853 U KR 20140003853U KR 200473846 Y1 KR200473846 Y1 KR 200473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ain body
plastic
plastic molding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범
Original Assignee
윤순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순범 filed Critical 윤순범
Priority to KR2020140003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8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플라스틱성형물을 성형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에 있어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내부공간내에 수용되되, 상기 본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금형장치에 밀착된 상기 플라스틱성형물을 밀어내는 이동부 및 상기 내부공간내에 수용되되, 상기 이동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단은 상기 플라스틱성형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에 플라스틱을 밀착시켜 플라스틱성형물을 성형하고, 성형된 플라스틱성형물을 별도의 분리공정이 없이, 이동부의 이동만으로 분리시켜 생산공정을 단순화 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PLASTIC FORMING MOLD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에 플라스틱을 밀착시켜 플라스틱성형물을 성형하고, 성형된 플라스틱성형물을 별도의 분리공정이 없이 이동부의 이동만으로 분리시키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장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로서 기능하는 플라스틱 성형물은, 예를 들어, 포장재 상에 볼록하게 튀어나온 볼록부분과, 포장재에 홈으로 형성된 오목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볼록부분과 오목부분이 결합함으로써 밀봉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밀봉부는 밀봉기능이 강화되기 위해 볼록부분의 선단이 상기 선단을 제외한 나머지부분보다 직경이 크고, 오목부분의 최하단이 최하단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부분보다 직경이 작아야 적절한데, 이러한 형상으로 플라스틱 성형물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금형장치에 플라스틱을 흡착시킬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경우 플라스틱성형물을 금형장치로부터 취출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금형장치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취출하기 위해, 플라스틱성형물의 볼록부분의 선단은, 볼록부분의 나머지부분과 동일한 직경을 가져야하며, 플라스틱성형물의 오목부분의 최하단은 오목부분의 나머지부분과 동일한 직경을 가져야한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분과 볼록부분으로 이루어진 밀봉부는 밀봉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플라스틱을 성형하는 일 방법은, 사출성형용 금형에 플라스틱 소재를 공급하여 내부공간이 완전히 채우고 강제 냉각시켜 일정한 형태로 플라스틱성형물을 성형하면 금형과 분리시키고 도장공장으로 이동 시켜 특수 지그(jig)에 고정시킨 후,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탈지와 세정작업을 거쳐 건조공정에서 완전하게 수분을 제거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6-4273호의 '인-몰드 금형의 전사 플라스틱 가이드장치'는 사출성형중 전사 플라스틱을 금형 형판으로 끊김없이 안전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이렇게 생산된 제품은 바로 사용하지 못하고 2차 가공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라인 생산방식의 적용 자체가 어렵다. 또한 인몰드성형 금형의 형판은 성형 제품이 바뀌면 이에 따라 가동측과 고정측을 분리하여 금형 전체를 재배치하거나 바꿔야 했기 때문에 제품 생산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 부담도 많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에 플라스틱을 밀착시켜 플라스틱성형물을 성형하고, 성형된 플라스틱성형물을 별도의 분리공정이 없이, 이동부의 이동만으로 분리시켜 생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도록 한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제1측면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는 플라스틱성형물을 성형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에 있어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내부공간 내에 수용되되, 상기 본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금형장치에 밀착된 상기 플라스틱성형물을 밀어내는 이동부 및 상기 내부공간내에 수용되되, 상기 이동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단은 상기 플라스틱성형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측면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은 제1측면의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으로서, 상기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에 플라스틱을 접촉하는 단계와, 상기 플라스틱이 상기 금형장치에 밀착되도록 흡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플라스틱성형물의 형상에 대응하는 플라스틱성형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사출성형된 플라스틱성형물을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플라스틱성형물을 취출하는 단계 및 상기 취출된 플라스틱성형물을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에 플라스틱을 밀착시켜 플라스틱성형물을 성형하고, 성형된 플라스틱성형물을 별도의 분리공정이 없이, 이동부의 이동만으로 분리시켜 생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의 이동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성형된 포장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는 플라스틱을 밀착하여 플라스틱성형물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이때 플라스틱은 액상의 수지가 형판에서 경화되어 굳혀진 것으로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mm 내지 0.1mm 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플라스틱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는 본체부(110), 이동부(120),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내부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공간(111)은 후술할 이동부(1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이다.
이동부(120)는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1)내에 수용되되, 본체부(1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에 밀착된 플라스틱성형물(P)을 밀어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의 이동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성형물(P)은 본체부(110)의 상단면과 고정부(130)의 상단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동부(120)에 밀착된 상태로 본체부(110)의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0)는 이동부(120)가 분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이, 이동부(120)가 이격된 거리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방은 상방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30)에는 상방과 하방의 직경차로 제1걸림턱(1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20)는 하단이 고정부(130)의 하방의 직경과 대응되는 거리(또는 상기 하방의 직경보다 짧은 거리)를 가지도록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1걸림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30)의 제1걸림턱(131)에 이동부(120)의 제1걸림부(121)가 걸쳐짐으로써 이동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은 이동부(120)가 분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이, 상방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에는 상방과 하방의 직경차로 제2걸림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20)는 하단이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의 하방의 직경과 대응되는 거리를 가지도록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걸림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1)의 제2걸림턱(112)에 이동부(120)의 제2걸림부(122)가 걸쳐짐으로써 이동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의 본체부(110), 이동부(120) 및 고정부(130)의 상단은 플라스틱성형물(P)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120)는 외력에 의해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거나, 별도의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한 압축력으로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관련하여 탄성수단은 내부공간(111)내에서 이동부(12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외력은, 금형장치(100)에서 플라스틱성형물(P)을 분리하기 위하여 가해지는 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외력은, 플라스틱성형물(P)을 금형장치(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플라스틱성형물(P)을 금형장치(100)로부터 들어올리는 힘을 의미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플라스틱성형물(P)과 함께, 플라스틱성형물(P)과 밀착된 이동부(120)가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부(120)가 이동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플라스틱성형물(P)이 금형장치(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20)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관련하여 도 3은 이동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이동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본체부(110)와 이루는 외각이 예각을 형성하거나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각을 형성하여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련하여 도 3에 도시된 이동부(120)는 2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4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금형장치의 정면도라 하면,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를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도 3의 2개의 이동부(120)는 고정부(13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모습으로 도시되는데, 이동부(120)가 4개로 형성될 경우 좌우로 배치된 2 개의 이동부(120)를 기준으로 나머지 2개의 이동부(120)가 상하로 배치되며, 나머지 2개의 이동부(120)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관련하여 도 4는 이동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0)에는 이동부(120)가 분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과 하방이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방과 하방을 연결하는 사이의 직경이 상방과 하방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단차이로 제3걸림턱(1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20)에는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3걸림턱(132)에 맞닿는 형상으로 성형된 제3걸림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12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제3걸림부(123)가 제3걸림턱(132)에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120)가 본체부(1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는 이동부(1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본체부(11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부(120)가 이동할 수 있을 만큼 본체부(110)의 내부가 비어있을 수 있다.
즉 이동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되, 본체부(1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라스틱이 본체부(110)와 고정부(1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0)에는 이동부(120)가 분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이 본체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4걸림턱(1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20)에는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4걸림턱(133)과 맞닿는 형상으로 성형된 제4걸림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12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제4걸림부(124)가 제4걸림턱(133)에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120)가 본체부(1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되, 본체부(1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라스틱이 본체부(110)와 고정부(1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관련하여 도 5는 이동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2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이동부(120)가 모여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이동부(120) 각각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관련하여 이동부(120)는 도 3에 도시된 이동부(120)와 같이 본체부(110)와 경사를 이루며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본체부(110)의 내부공간내에 수용되되, 이동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30)는 본체부(110)의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어 이동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성형된 포장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를 이용하여 성형된 플라스틱성형물(P)은 포장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밀봉부(B)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부(B)는 용기를 덮기 위한 뚜껑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밀봉부(B)의 볼록한 부분, 즉 플라스틱성형물(P)이 도 1 (a) 및 도 2(a)의 플라스틱(P)과 같은 볼록하게 성형된 볼록부분일 경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에서 이동부(120)의 상단과 고정부(130)의 상단의 높이는, 도 1 (a) 및 도 2(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0) 또는 이동부(120) 각각의 상단의 높이와 본체부(110)의 상단의 높이가 상이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밀봉부(B)의 오목한 부분, 즉 플라스틱성형물(P)이 도 1 (b) 및 도 2(b)의 플라스틱(P)과 같이 오목하게 성형된 오목부분일 경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에서 이동부(120)의 상단의 높이와 고정부(130)의 상단의 높이는 도 1 (b) 및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0)의 상단의 높이와 본체부(110)의 상단의 높이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이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이동부(120) 상단과 고정부(130) 상단이 이루는 단차에 따라 플라스틱성형물(P)의 형상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록하게 성형된 플라스틱성형물과 오목하게 성형된 플라스틱성형물이 결합함으로써, 밀봉부(B)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양한 무늬와 색상으로 제작된 플라스틱(P)을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의 플라스틱배치영역에 플라스틱을 접촉시킨다(S10). 이때 플라스틱배치공간은 본체부(110), 이동부(120), 고정부(130)가 이루는 각각의 상단면을 의미한다.
10단계를 통해 플라스틱이 플라스틱배치영역에 접촉되면, 플라스틱이 플라스틱배치영역에 밀착되도록 진공호스로 진공상태를 만들어 흡착시킨다(S11). 따라서 플라스틱은 플라스틱배치영역에 접착되면서 보다 견고한 접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후 플라스틱성형금형(100) 내부에 배열된 전기배선에 의한 전열장치에 의해 플라스틱이, 예를 들어 60∼80℃정도로 가열하여 플라스틱(P)을 플라스틱성형금형(10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시킬 수 있다(S12).
S12단계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냉각시킨다(S13). S13단계는 성형된 성형물을 팽창 시켜 급격히 식히는 과정이다. 이때 성형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방법으로는 공랭식 방법과 수랭식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공랭식 냉각방법은 공기로 플라스틱성형금형의 온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자연통풍식과 강제통풍식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강제통풍식은 별도의 냉각팬을 설치해 냉각하는 방식이다.
반면 수랭식 냉각방법은 물로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의 온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자연순환식과 강제순환식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강제순환식은 물펌프로 냉각수 통로에 냉각수를 보내 온도를 낮추는 방식이다.
이후 S13단계에서 냉각된 플라스틱성형물을 취출시킨다(S14). 여기서 취출이란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로부터 성형된 플라스틱성형물(P)의 분리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플라스틱성형물 취출방법은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의 이동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의 상단면 즉 본체부(110), 이동부(120), 고정부(130)에 밀착된 플라스틱성형물(P)을, 이동부(120)가 밀어내어 플라스틱성형물(P)을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취출과정에서 걸릴수 있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간단하여 사용자가 쉽게 취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다음으로 S14단계에서 취출된 플라스틱성형물(P)을 컷팅한다(S15).
위와 같은 플라스틱성형방법은 플라스틱을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를 이용하여 플라스틱성형물로 성형함과 동시에 별도의 분리작업 없이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100)로부터 플라스틱성형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식으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식이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110 : 본체부
120: 이동부 130: 고정부

Claims (13)

  1. 플라스틱성형물을 성형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에 있어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내에 수용되되,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금형장치에 밀착된 상기 플라스틱성형물을 밀어내는 한 쌍의 이동부;
    상기 내부공간내에 수용되되, 상기 한 쌍의 이동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단은 상기 플라스틱성형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부가 분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이 상기 이동부가 이격된 거리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방은 상기 상방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방과 하방의 직경차로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하단이 상기 하방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거리를 가지도록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에 걸쳐지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은,
    상기 이동부가 분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이 상방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방과 하방의 직경차로 제2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하단이 상기 하방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거리를 가지도록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턱에 걸쳐지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탄성수단에 의한 압축력으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개의 이동부 각각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와 이루는 외각이 예각을 형성하거나 둔각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부가 분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과 하방이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방과 하방을 연결하는 사이의 직경이 상기 상방과 상기 하방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단차이로 제3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3걸림턱에 맞닿는 형상으로 성형된 제3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이동부가 상방으로 이탈되면, 상기 이동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부가 분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방이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4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4걸림턱과 맞닿는 형상으로 성형된 제4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이동부가 상방으로 이탈되면, 상기 이동부가 상기 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성형물은,
    포장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밀봉부인,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는,
    상기 이동부의 상단의 높이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의 높이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밀봉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볼록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는,
    상기 이동부의 상단의 높이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의 높이가 상이한 평면 상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밀봉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12. 삭제
  13. 삭제
KR2020140003853U 2014-05-20 2014-05-20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 KR200473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53U KR200473846Y1 (ko) 2014-05-20 2014-05-20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53U KR200473846Y1 (ko) 2014-05-20 2014-05-20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846Y1 true KR200473846Y1 (ko) 2014-08-08

Family

ID=5198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853U KR200473846Y1 (ko) 2014-05-20 2014-05-20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84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9028A (ja) * 1981-10-22 1983-04-25 Meiki Co Ltd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JPH0673878B2 (ja) * 1989-05-26 1994-09-21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9028A (ja) * 1981-10-22 1983-04-25 Meiki Co Ltd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JPH0673878B2 (ja) * 1989-05-26 1994-09-21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03316B1 (ru) Высвобождение подрезанных сформованных емкостей после формования с нагревом
JP2019051645A5 (ko)
KR200473846Y1 (ko)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 및 플라스틱성형 금형장치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 방법
KR20160000996U (ko) 사출 성형용 금형
JP5790513B2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CN112373064B (zh) 一种左前梁成型设备及方法
AU2013223355B2 (en) Blow molding method, blow mold, and blow-molded container
US10265888B2 (en)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molded article using the mold
KR101655987B1 (ko) 수축, 확장되는 다수의 언더컷성형코어를 갖는 사출금형
KR20150109913A (ko) 사출 성형용 금형장치의 게이트 스크랩 커팅 시스템
JP4643321B2 (ja) 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
KR101656310B1 (ko) 블로우 성형방식을 가미하여 사출성형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76490B1 (ko) 버어 제거가 가능한 성형 장치
US9630358B1 (en) Threadless plastic blow molding device
JP6823258B2 (ja) 金型装置、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568994B1 (ko) 언더컷성형링이 구비된 언더컷 성형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CN210940079U (zh) 一种便于散热冷却的模具
KR102315869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용 압축성형 금형
JP6368985B2 (ja) 成形方法
JP2019077106A5 (ko)
KR101587710B1 (ko) 라디에이터 박스 또는 인터쿨러 박스의 제조 방법
KR101567382B1 (ko) 언더컷성형링과 공기투입관을 활용한 언더컷 성형구조를 갖는 금형
US8938991B2 (en) Method of making a molded glass article
CN203994444U (zh) 吸尘器内罩的成型模具
JP7461002B2 (ja) アンダーカット形状を有する成形品を製造する成形用型及びアンダーカット形状を有する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