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49Y1 - Brake system for handcart - Google Patents

Brake system for handc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49Y1
KR200473749Y1 KR2020140003367U KR20140003367U KR200473749Y1 KR 200473749 Y1 KR200473749 Y1 KR 200473749Y1 KR 2020140003367 U KR2020140003367 U KR 2020140003367U KR 20140003367 U KR20140003367 U KR 20140003367U KR 200473749 Y1 KR200473749 Y1 KR 200473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wheel
wire
center shaft
hand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3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록
김가영
김용배
강현선
Original Assignee
김일록
강현선
김용배
김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록, 강현선, 김용배, 김가영 filed Critical 김일록
Priority to KR2020140003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4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4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는, 본체의 양측에 구동바퀴(140)가 각각 구비되고, 주행 방향으로 손잡이(150)가 구비된 리어카(10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14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중심축(210);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이 상기 중심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220); 일단이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150)에 장착되는 작동레버(240)와 연결되는 와이어(230);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에 장착되는 접촉패드(250); 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레버(240)의 누름시 상기 와이어(230)는 상기 손잡이(150)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대(220)는 상단이 상기 손잡이(150)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은 상기 구동바퀴(140)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접촉패드(250)가 상기 구동바퀴(140)에 접촉하게 된다.The rear wheel br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ear wheel 100 having drive wheels 140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handle 150 in the direction of travel, A center shaft 210 fixed to the main body; A support 220 which is elongated vertically and has a cent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shaft 210; A wire 230 connected at one en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able 220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an operation lever 240 mounted on the handle 150; A contact pad 250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table 220; The wire 23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5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ire 23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50, 2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140 so that the contact pad 250 contacts the driving wheel 140.

Description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Brake system for handcart}{Brake system for handcart}

본 고안은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어카 손잡이에 장착되는 레버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어 리어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wheel brak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wheel brake apparatus that is manually operated by a lever mounted on a rear-wheel handle to stop movement of the rear-

통상적으로 손수레는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근래에는 저소득층이나 노인 분들이 생활비를 벌기 위해 박스 등의 폐자재 등을 수거하거나 할 때에도 많이 사용된다.Typically, a cart is used to transport cargo. In recent years, it is often used by low-income earners and elderly people to collect waste materials such as boxes to earn living expenses.

일반적으로 손수레는 짐칸을 형성하는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동바퀴가 구비되며, 진행 방향으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Generally, the hand cart is provided with a driving wheel on both sides of a body forming a luggage compartment, and a handle is protruded in a traveling direction.

이러한 손수레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밀거나 끌면서 이동하게 된다. These carts are moved by the user holding the handle and pushing or pulling.

그러나, 이러한 손수레에 무거운 짐을 싣고 비탈길을 내려갈 때에 가속도가 붙게되며, 사용자가 속력을 버티지 못할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However, when these carts are loaded with heavy loads and are accelerating when going down the slope,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if the user can not sustain the speed.

특히, 노약자나 여성이 무거운 짐을 싣고 비탈길을 내려갈 때에는 더욱더 위험한 문제점이 있다.Especially, there are more and more dangerous problems when elderly people or women carry heavy loads and go down the slope.

이를 위해 종래의 손수레에는 다양한 제동장치가 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손수레 제동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의 제품이 많아 실제 노인이나 저소득층의 사용자들이 설치를 기피하는 실정이다.
To this end, various braking devices have been introduced to the conventional hand carts. However, the conventional hand wheel braking devices are complicated in configuration and many expensive products, so that the actual elderly or low-income users are avoiding installa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626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162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3387호Korean Patent No. 10-0363387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하여 힘이 약한 노약자나 여성분들이 리어카를 쉽게 끌수 있도록 하는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ar-wheel brake apparatus which can easily be installed at low cost and exhibits a sufficient braking force, so that an elderly person or a woman who is weak in strength can easily pull the rear ca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는, 본체의 양측에 구동바퀴(140)가 각각 구비되고, 주행 방향으로 손잡이(150)가 구비된 리어카(10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14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중심축(210);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이 상기 중심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220); 일단이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150)에 장착되는 작동레버(240)와 연결되는 와이어(230);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에 장착되는 접촉패드(250); 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레버(240)의 누름시 상기 와이어(230)는 상기 손잡이(150)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대(220)는 상단이 상기 손잡이(150)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은 상기 구동바퀴(140)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접촉패드(250)가 상기 구동바퀴(140)에 접촉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king device for braking a braking device mounted on a rear car, the braking device including driving wheel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handle in a running direction, A center shaft 210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driving wheel 140 and fixed to the main body; A support 220 which is elongated vertically and has a cent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shaft 210; A wire 230 connected at one en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able 220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an operation lever 240 mounted on the handle 150; A contact pad 250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table 220; The wire 23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5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ire 23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50, 2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140 so that the contact pad 250 contacts the driving wheel 140.

일단이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바퀴(1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을 상기 구동바퀴(14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60); 를 더 포함한다.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main body by being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wheel 140.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frame 220 is fixed to the driving wheel 140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140, An elastic member (260) for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260); .

상기 중심축(2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가이드판(27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판(270)에는 상기 와이어(230)가 통과하는 가이드공(271)이 관통 형성된다.A guide plate 270 spac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shaft 210 and fixed to the main body; And a guide hole 271 through which the wire 230 passes is formed in the guide plate 270.

상기 접촉패드(250) 중 상기 구동바퀴(140)와 접촉하는 면에는 상기 구동바퀴(140)의 주행방향으로 '<' 또는 '>' 모양의 다수개의 마찰돌기(251)가 이격 형성된다.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251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ntact pad 250 which contacts the driving wheel 140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driving wheel 14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lary car br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상기 지지대(220)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중심축(21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이 상기 와이어(230)와 연결되며, 하단에 상기 접촉패드(250)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작동레버(240)의 누름시 상기 지지대(220)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접촉패드(250)로 상기 구동바퀴(140)를 제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힘을 발휘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저가로 제작할 수 있으며,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하여 힘이 약한 노약자나 여성분들이 리어카를 쉽게 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A hinge part 221 hinged to the center shaft 210 is formed at a center part of the supporter 220.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220 is connected to the wire 230, When the operating lever 240 is pressed, the support base 220 is rotated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a sufficient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ct pad 250 to brak the drive wheel 140 And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has an effect of enabling the elderly person or women who are weak in the power to exercise the braking force to easily pull the rear car.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상기 와이어(230)가 통과하는 상기 가이드공(271)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판(270)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230)를 지지하여 상기 와이어(2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guide plate 270 having the guide hole 271 through which the wire 230 passes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frame 130 to support the wire 230 to damage the wire 230 .

상기 접촉패드(250)에 상기 구동바퀴(140)의 주행방향으로 '<' 또는 '>' 모양의 다수개의 마찰돌기(251)가 이격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촉패드(250)와 상기 구동바퀴(140)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제동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251 are formed on the contact pad 250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140 so that the contact pad 250 and the driving wheels 140 And the braking force is improv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의 접촉패드의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arar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of a rear-wheel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rear-wheel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pad of a learar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의 접촉패드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rear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operating state of a rear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pad of a learar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는 중심축(210), 지지대(220), 와이어(230), 작동레버(240), 접촉패드(250), 탄성부재(260) 및 가이드판(270)으로 이루어진다.1 to 4, a rear wheel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shaft 210, a support 220, a wire 230, an operation lever 240, a contact pad 250, An elastic member 260 and a guide plate 270.

상기 중심축(210)은 리어카(100)의 구동바퀴(140)의 전방에 배치되며, 리어카(100)의 본체에 고정된다.The center shaft 2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riving wheel 140 of the rear car 100 and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rear car 100.

여기에서 상기 리어카(100)는 전체적인 외곽을 이루는 상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상기 구동바퀴(140) 및 주행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150)로 이루어진다. Here, the rear car 100 includes the main body and the handle 150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he driving wheel 140 and the handle 150 protruding in the running direction.

상기 본체는 대략 철제 프레임이나 강선으로 이루어지며, 대략 사각형 테두리 형상의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이 상하 이격 배치되고, 그 사이에 상하로 긴 연결프레임(130)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steel frame or a steel wire, and the upper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120, which are substantially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frame, are vertically spaced apart and a long connecting frame 130 is formed therebetween.

이러한 상기 본체의 연결프레임(130) 사이에 상기 중심축(210)이 장착된다. The center shaft 210 is mounted between the connecting frames 130 of the main body.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축(210)은 가로로 길게 형성된 원형의 축이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center shaft 210 is a circular shaft that is elongat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center shaft 210 is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즉, 상기 중심축(210)은 상기 구동바퀴(140)의 전방에 배치된 연결프레임(13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용접으로 고정 결합된다.That is, the center shaft 210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frames 130 disposed in front of the driving wheels 140, and fixedly connected by welding.

이러한 상기 중심축(210)에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후술할 상기 지지대(220)의 힌지부(221)가 나사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figure, the center shaft 210 has a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hinge portion 221 of the support base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screwed and rotatably mounted.

상기 지지대(22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은 후술할 상기 와이어(230) 및 탄성부재(260)와 연결되고, 하단에는 후술할 상기 접촉패드(250)가 장착되며, 대략 가운데에는 상기 중심축(210)과 힌지결합되는 힌지부(221)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The supporter 220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wire 230 and the elastic member 26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contact pad 250 to be described later mounted thereon. And a hinge portion 221 hinged to the center shaft 210 protrudes rearward.

상기 힌지부(221)에는 상기 중심축(210)이 삽입되는 힌지공(222)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힌지공(2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심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산(미도시)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A hinge hole 222 through which the center shaft 21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hinge portion 22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hole 222 is formed with a number A female thread (not shown) to be screwed with a thread (not shown) is formed.

이러한 상기 지지대(220)는 상기 힌지부(221)의 암나사산이 상기 중심축(210)의 수나사산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The support base 220 rotates the female screw thread of the hinge portion 221 along the male thread of the center shaft 210.

물론, 상기 중심축(210)과 상기 지지대(220) 사이에 베어링을 장착하여 상기 지지대(220)가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위와 같이 상기 힌지부(221)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힌지공(222)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210)의 외주면에 상기 수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고가의 베어링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지지대(220)를 상기 중심축(210)에 힌지 결합함으로써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의 어느 리어카(100)에도 쉽게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bearing between the center shaft 210 and the supporter 220 so that the supporter 220 is rotated. However, the hinge hole 222 having the hinge portion 221 formed with a female screw, And the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shaft 210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hinging the support shaft 220 to the center shaft 210 without using an expensive bearing,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any conventional rear lid 100.

또한, 상기 힌지부(221)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힌지공(222)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210)의 외주면에 상기 수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대(220)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대(220)의 좌우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시 위치가 틀어져도 다시 분리할 필요 없이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hinge portion 222 is formed with the hinge portion 221 and the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shaft 210 so that the support base 220 is rotated, ) Can be finely adjusted, so that even if the position is changed during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position without having to remove it again.

한편, 상기 와이어(230)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상기 작동레버(240)에 장착된다.One end of the wire 23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able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230 is mounted to the operation lever 24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상기 와이어(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40)의 누름 시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대(220)를 회전시킨다.As shown in FIG. 3, the wire 230 is moved to the right when the operating lever 240 is pressed, thereby rotating the support 220.

상기 작동레버(240)는 일반적인 자전거에 사용되는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리어카(100)의 상기 손잡이(150) 부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230)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3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operating lever 240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knob 150 of the rear car 100 and is connected to the wire 230 so that the wire 2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에는 상기 접촉패드(250)가 장착된다.Meanwhile, the contact pad 250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er 220.

상기 접촉패드(250)는 대략 사각형의 납작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레버(240)의 누름 시 상기 지지대(2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바퀴(140)와 접하여 상기 구동바퀴(14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The contact pad 25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so that when the support lever 220 rotates when the operation lever 240 is pressed, the contact pad 250 contacts the drive wheel 140, Stop the rotation.

여기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패드(250)에는 상기 구동바퀴(140)와 접하는 면에 다수개의 마찰돌기(251)가 형성된다.4,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251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ntact pad 25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140. As shown in FIG.

상기 마찰돌기(251)는 '<'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행 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형성된다.The friction protrusions 251 are formed in the shape of '<' or '>', and a plurality of the friction protrusions 251 are formed along the running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접촉패드(250)에 상기 구동바퀴(140)의 주행방향으로 '<' 또는 '>' 모양의 다수개의 마찰돌기(251)가 이격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촉패드(250)와 상기 구동바퀴(140)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제동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251 are formed on the contact pad 250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driving wheel 140 so that the contact pad 250 and the driving wheels 251, The braking force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raking member 140.

한편, 상기 탄성부재(260)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우측단이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에 장착되고, 좌측단이 상기 구동바퀴(140)의 상부에 배치되게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고정된다.The elastic member 260 is formed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and has a right end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220 and a left end disposed on the drive wheel 140, Respectively.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260)는 상기 작동레버(240)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을 상기 구동바퀴(14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elastic member 260 elastically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220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140 when no force is applied to the actuating lever 240.

즉, 상기 탄성부재(260)는 상기 지지대(220)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접촉패드(250)가 상기 구동바퀴(140)의 이격되게 한다.That is, the elastic member 260 resiliently supports the support table 22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contact pad 250 separates the drive wheels 140 from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대(220)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260)가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220)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평상시 상기 접촉패드(250)가 상기 구동바퀴(140)와 이격되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elastic member 260 is mounted between the upper frame 110 and the supporter 220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supporter 22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140) so as to prevent the malfunction.

한편, 상기 가이드판(270)은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30) 사이에 고정된다,.Meanwhile, the guide plate 27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spac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and is fixed between the connection frames 130.

상기 가이드판(270)에는 상기 와이어(230)가 통과하는 가이드공(271)이 관통 형성된다.A guide hole 271 through which the wire 230 passes is formed in the guide plate 270.

이러한 상기 가이드공(271)은 상기 와이어(230) 배치를 가이드하고, 하방향으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한다.The guide hole 271 guides the wire 230 and supports the wire 230 in a downward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상기 와이어(230)가 통과하는 상기 가이드공(271)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판(270)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230)를 지지하여 상기 와이어(2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The guide plate 270 having the guide hole 271 through which the wire 230 passes may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frame 130 to support the wire 230 so that the wire 230 may be damaged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is generated.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상기 탄성부재(260)에 의해 상기 지지대(220)는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상기 접촉패드(250)는 상기 구동바퀴(14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base 220 is normally biased counterclockwise by the elastic member 260, so that the contact pads (not shown) 250 are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wheel 14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40)를 누르면, 상기 와이어(230)는 상기 손잡이(150)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지지대(220)는 상단이 상기 손잡이(150)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은 상기 구동바퀴(140)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접촉패드(250)가 상기 구동바퀴(140)에 접촉되며, 상기 접촉패드(250)와 상기 구동바퀴(140)의 마찰에 의해 상기 구동바퀴(140)는 서서히 정지하게 된다.3, when the operating lever 240 is pressed, the wire 23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50, and the upper end of the wire 23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50, The lower end of the supporter 2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140 so that the contact pad 250 contacts the driving wheel 140 and the contact pad 250 and the driving The driving wheel 140 is gradually stopped by the friction of the wheel 140.

이와 같이 상기 지지대(220)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중심축(21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이 상기 와이어(230)와 연결되며, 하단에 상기 접촉패드(250)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작동레버(240)의 누름시 상기 지지대(220)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접촉패드(250)로 상기 구동바퀴(140)를 제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힘을 발휘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저가로 제작할 수 있으며,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하여 힘이 약한 노약자나 여성분들이 리어카를 쉽게 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220 is connected to the wire 230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22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220, When the operating lever 240 is pressed by the contact pad 250, the support table 220 is rotated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so that the drive wheel 140 can be braked with the contact pad 250 It is possible to produce force, and it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with a simple structure, and it has an effect of providing sufficient braking force so that elderly people or women who are weak in strength can easily pull the rear car.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100 : 리어카 110 : 상부프레임 120 : 하부프레임 130 : 연결프레임
140 : 구동바퀴 150 : 손잡이 210 : 중심축 220 : 지지대
221 : 힌지부 222 : 힌지공
230 : 와이어 240 : 작동레버
250 : 접촉패드 251 : 마찰돌기
260 : 탄성부재 270 : 가이드판
271 : 가이드공
100: lyker 110: upper frame 120: lower frame 130: connecting frame
140: drive wheel 150: handle 210: center shaft 220: support
221: hinge part 222: hinge ball
230: wire 240: operating lever
250: contact pad 251: friction protrusion
260: elastic member 270: guide plate
271: guide ball

Claims (4)

본체의 양측에 구동바퀴(140)가 각각 구비되고, 주행 방향으로 손잡이(150)가 구비된 리어카(10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14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중심축(210);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 상기 중심축(21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221)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22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220);
일단이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150)에 장착되는 작동레버(240)와 연결되는 와이어(230);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에 장착되되, 상기 구동바퀴(140)와 접촉하는 면에는 상기 구동바퀴(140)의 주행방향으로 '<' 또는 '>' 모양의 다수개의 마찰돌기(251)가 이격 형성되어 있는 접촉패드(250);
일단이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바퀴(1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220)의 상단을 상기 구동바퀴(14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60); 및
상기 중심축(2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되, 상기 와이어(230)가 통과하는 가이드공(27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판(270); 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221)에는 상기 중심축(210)이 삽입되는 힌지공(222)이 좌우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힌지공(2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심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221)의 암나사산이 상기 중심축(210)의 수나사산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지지대(220)의 좌우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고,
상기 작동레버(240)의 누름시 상기 와이어(230)는 상기 손잡이(150)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대(220)는 상단이 상기 손잡이(150)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지지대(220)의 하단은 상기 구동바퀴(140)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접촉패드(250)가 상기 구동바퀴(140)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카 브레이크 장치.
1. A braking device mounted on a rear car (100) having drive wheels (140) on both sides of a main body and having a handle (150) in a running direction,
A center shaft 210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driving wheel 140 and fixed to the main body;
A support 220 which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hinge part 221 hinged to the center shaft 210 at the center thereof so as to protrude rearward and to be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hinge part 221;
A wire 230 connected at one en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able 220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an operation lever 240 mounted on the handle 150;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251 having a shape of '<' or '>'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driving wheel 140 A contact pad 250 form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main body by being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wheel 140.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frame 220 is fixed to the driving wheel 140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140, An elastic member (260) for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260); And
A guide plate 270 spaced from the center shaft 210 and fixed to the main body 210, the guide plate 270 having a guide hole 271 through which the wire 230 passes; &Lt; / RTI &gt;
A hinge hole 222 through which the center shaft 21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hinge portion 22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hole 222 is formed with a male threaded portion 22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 shaft 210, So that the female screw thread of the hinge portion 221 rotates along the male threads of the central shaft 210 to finely adjus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upport table 220,
The wire 23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5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ire 23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150 and the lower end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140 so that the contact pad 2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iving wheel 140,
Wherein the braking device is a brak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40003367U 2014-04-28 2014-04-28 Brake system for handcart KR20047374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67U KR200473749Y1 (en) 2014-04-28 2014-04-28 Brake system for handc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67U KR200473749Y1 (en) 2014-04-28 2014-04-28 Brake system for handc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749Y1 true KR200473749Y1 (en) 2014-07-24

Family

ID=5198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367U KR200473749Y1 (en) 2014-04-28 2014-04-28 Brake system for handc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49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78A (en) 2017-08-11 2019-02-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Bidirectional brake apparatus for cartwheels
KR102330895B1 (en) 2021-02-03 2021-11-24 전정숭 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
KR102495946B1 (en) * 2021-08-03 2023-02-06 오정철 Hand cart with breake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78A (en) 2017-08-11 2019-02-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Bidirectional brake apparatus for cartwheels
KR102330895B1 (en) 2021-02-03 2021-11-24 전정숭 Rear cars equipped with advertisements and brakes
KR102495946B1 (en) * 2021-08-03 2023-02-06 오정철 Hand cart with break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421B2 (en) Stopper apparatus for roller wheel
KR200473749Y1 (en) Brake system for handcart
JP5361792B2 (en) Caster with brake, caster unit, mobile vehicle equipped with them
CN206012670U (en) A kind of chassis line traffic control handbrake mechanism
JP2012006409A (en) Brake mechanism of carriage
JP2013188282A (en) Replaceable caster mechanism for storage device
CN203681147U (en) Full-brake universal trundle
WO2017190386A1 (en) Caster having manual friction brake device
JP2014117961A (en) Brake device of cart
CN206394363U (en) The trundle bracket that a kind of magnetic tape trailer is stopped
CN205601815U (en) But automatic brake&#39;s jiayouche
CN204149767U (en) Universal wheel for luggage
KR20080033046A (en) The brake for caster
KR101705434B1 (en) Handle brake lever apparatus for bicycle having parking brake function
CN106741107A (en) One kind can self-stopping hand permbulator
CN107720500B (en) A kind of steady elevator
KR101753778B1 (en) A Method for Generating Power by Reducing Velocity of Cart in Slope
CN206453395U (en) A kind of case and bag road wheel with brake apparatus
JP7061248B2 (en) Brake mechanism
JP2012029955A (en) Golf bag-carrying cart
US20140189980A1 (en) Smart caster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free rolling
JP3165888U (en) Brake device
CN208469898U (en) A kind of dolly convenient for stablizing yardage roll
CN206357916U (en) A kind of Side-braking caster wheel
CN203063567U (en) Overload shock-proof trundle with shock-proof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